“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문비(文埤) - 이문비(李文埤)
조선 전기의 유학. 사가(四佳) 서거정(徐居正)과 교유하여 전라도 남원(南原) 축천정(丑川亭)에서 서거정이 베푼 시회에 참여한 일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산 , 인명>문사>유학
-
문빈(文彬)@문걸 - 문걸(文傑)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문숭질(文崇質)의 아들로,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지냈음.
?~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문빈(文彬)@박문빈 - 박문빈(朴文彬)
고려 후기의 문인. 목은(牧隱) 이색(李穡)과 교유하였으며, 고려가 망하자 절개를 지키며 밀양(密陽)에 은거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문인
-
문사성(文司成) - 문경동(文敬仝)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안동(安東). 문속명(文續命)의 아들로, 음주와 독서를 즐기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특히 사부(詞賦)에 뛰어남.
1457~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산(文山) - 문천상(文天祥)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시인. 지방관으로 있을 때 천도를 반대하는 글을 올려 면직됨. 송 나라 멸망 후 옥중(獄中)에서 지은 〈정기가(正氣歌)〉로 유명함.
1236~1282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산선생전집(文山先生全集) - 문산전집(文山全集)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이며 애국시인인 문천상(文天祥)의 시문집. 1552년 언무경(鄢懋卿)이 판각한 28권본 이래 여러 개의 판본이 전해짐. 송(宋)ㆍ원(元) 교체기의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비장하고 강개한 작품들이 대부분임.
1552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문산집(文山集) - 문산전집(文山全集)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이며 애국시인인 문천상(文天祥)의 시문집. 1552년 언무경(鄢懋卿)이 판각한 28권본 이래 여러 개의 판본이 전해짐. 송(宋)ㆍ원(元) 교체기의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비장하고 강개한 작품들이 대부분임.
1552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문상(文尙) - 탁문상(卓文尙)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낸 탁광수(卓光守)의 맏아들로, 성균 진사(成均進士)였음.
1479~152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문서(文恕) - 손문서(孫文恕)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관(醫官). 본관은 광주(光州). 어의(御醫) 손사명(孫士銘)의 아들로, 1590년(선조 23) 증광시(增廣試) 의과(醫科)에 입격하였으며, 의술이 뛰어나 추앙을 받음. 김성일(金誠一)의 《학봉집(鶴峯集)》에 그에게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술인>의원
-
문서(文瑞)@여응구 - 여응구(呂應龜)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성산(星山). 주세붕(周世鵬)의 문인. 성균관 유생 시절 보우(普雨)와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불교진흥책을 강력히 비판하였으며, 학유(學諭)에 제수되었으나 출사하지 않고 향리에서 후학을 양성함.
1523~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문사>학자
-
문서(文瑞)@송인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문서(文瑞)@백현룡 - 백현룡(白見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이황(李滉)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적을 무찌름.
1543~16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학자
-
문서(文瑞)@김번 - 김번(金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관서지방에 전염병이 만연하자, 둔전책(屯田策)을 건의하고 군졸의 잡다한 세를 없애주어 백성의 주거를 편안하게 하였음.
1479~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문서(文瑞) - 권성익(權聖翊)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중심으로 그 변화에 대한 의견을 밝힘.
1735~182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학자
-
문서감진색(文書監進色) -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
고려시대~조선 초기에 외교문서를 담당하던 기관. 고려시대 임시기구인 문서감진색(文書監進色)을 고친 이름이며, 조선 태종(太宗) 때 기구가 확장되고, 1410년(태종 10)에 승문원(承文院)으로 관제가 개편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문석(文錫) - 유문석(柳文錫)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지낸 유조인(柳祖訒)의 아들로, 1624년(인조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현감(縣監)을 지냄.
158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선(文先) - 양표(楊彪)
중국 후한(後漢) 말의 문신. 양수(楊修)의 아버지로, 사도(司徒)ㆍ태위(太尉) 등을 지냄. 조조(曹操)의 미움을 받아 살해당할 뻔 했으나 공융(孔融)의 항의로 목숨을 건졌으며, 한 황실이 종말에 가까웠다는 것을 알고 병을 핑계로 은퇴함.
142~22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선(文宣)@공자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문선(文宣) - 소자량(蕭子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ㆍ문인. 무제(武帝)의 둘째 아들로, 경릉군왕(竟陵郡王)에 봉해졌으며, 《사부요략(四部要略)》을 편찬함. 문인들을 모아놓고 시 짓기 놀이를 할 때 촛불 일촌(一寸)이 탈 동안 완성하기로 규정을 삼은 고사가 전해짐.
460~4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문선(文選)@동문선 - 동문선(東文選)
조선 성종(成宗) 때 서거정(徐居正) 등이 왕명을 받아 신라 때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시문(詩文)을 모아 엮은 시문집. 이후 숙종(肅宗) 때 당시까지의 시문을 추가하여 개편(改編)한 것까지 통틀어 이르기도 함.
14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문선왕(文宣王)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문선왕묘(文宣王廟) - 공자묘(孔子廟)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弟子) 및 여러 성현(聖賢)들의 신위를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사당 이름. 원래는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에 있는 사당을 지칭하였으나, 당(唐) 나라 태종(太宗) 이후로 각 주현(州縣)에 설치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문선왕묘(文宣王廟)@문묘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문성(文城) - 문화(文化)
황해도 삼천(三泉), 신천(信川) 서부, 안악(安岳) 남부 일대에 있었던 옛 고을 이름. 단군(檀君)의 전설이 깃들어 있으며 구월산(九月山)이 있는 곳으로 유명함.
황해도>문화 , 지명>행정지명
-
문성(文城)@유계분 - 유계분(柳桂芬)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유승순(柳承順)의 아들이며, 유성원(柳誠源)의 조카. 이조 정랑을 지냈으며, 서거정(徐居正)과 교유함.
139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장말익 - 장말익(張末翼)
고려 정종(靖宗) 때의 문신. 호부 상서(戶部尙書)ㆍ삭방도 안렴사(朔方道按廉使) 등을 지내고, 문하시중 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증직됨. 울진부원군(蔚珍府院君)으로 봉해지고, 울진장씨(蔚珍張氏)의 시조(始祖)가 되어 월계서원(月溪書院)에 배향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울진 , 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정인지 - 정인지(鄭麟趾)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우(權遇)의 문인.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내면서 문한(文翰)을 관장하고, 천문ㆍ역법ㆍ아악을 정리하는 등 문풍 육성과 제도 정비에 기여함.
1396~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유보 - 유보(柳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로 파직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호조(戶曹)와 공조(工曹)의 판서(判書)를 거쳐 우의정(右議政)을 역임함. 주계군(朱溪君) 이심원(李深源)의 사위.
?~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장작 - 장작(張鷟)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 글이 청동전(靑銅錢)과 같다고 하여 청전학사(靑錢學士)라고 칭하였으며, 고공원외랑(考功員外郞) 등을 지냈음. 문장에 이름이 있어 신라ㆍ일본의 사신(使臣)들이 그의 문장을 구입해 갔다고 함.
660?~74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이이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왕수인 - 왕수인(王守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ㆍ문신. 양명학(陽明學)의 창시자. 심성론(心性論)으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철학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침.
1472~152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 - 강희경(姜希經)
고려 선종(宣宗) 때의 문신.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지밀직제학(同知密直提學)ㆍ평의사(評議使) 등을 거쳐 내사령(內史令)에 이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김인존 - 김인존(金仁存)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학문과 문장이 뛰어나 중국에 여러 번 사신으로 다녔으며, 중요한 국사(國事)마다 왕의 자문역을 했음.
?~1127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소옹 - 소옹(少翁)
중국 한(漢) 무제(武帝) 때의 방사(方士). 방술(方術)로 무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효력이 점점 없어지자 몰래 백서(帛書)를 소에게 먹이고는 소를 잡아 백서를 꺼내게 해 신통력을 과시하려다가 들통나 결국 죽임을 당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문성(文成)@안향 - 안향(安珦)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학자. 원(元) 나라에서 주자서(朱子書)를 베껴오고 섬학전(贍學錢)을 설치하는 등 성리학(性理學)의 도입과 보급에 힘씀.
1243~130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윤증 - 윤증(尹拯)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윤선거(尹宣擧)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박세당(朴世堂)ㆍ박세채(朴世采)ㆍ민이승(閔以升) 등과 교유함. 후에 송시열과 대립하여 소론(少論)의 영수로 추대됨.
1629~171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이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최아 - 최아(崔阿)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탁지엽 - 탁지엽(卓之葉)
고려 선종(宣宗) 때의 문신. 광산탁씨(光山卓氏)의 시조로, 선종 때 학업(學業)과 경술(經術)로 천거되어 태사(太師) 등을 지내고, 광산군(光山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사마량 - 사마량(司馬亮)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 혜제(惠帝) 때의 왕족. 선제(宣帝) 사마의(司馬懿)의 아들로 태재(太宰) 등을 지냈으나, 혜제의 황후 가씨(賈氏)에게 죽임을 당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문성(文聖) - 문종(文宗)@조선
조선 제5대 왕. 재위 1450~1452. 20년 간 세자로 있으면서 세종(世宗)을 보필한 공이 컸으나, 몸이 약하여 재위 2년 4개월 만에 병사함.
1414~14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문성(文誠) - 이문성(李文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낸 이제신(李濟臣)의 아버지로, 병마사(兵馬使)가 되어 왜구를 물리침.
1503~15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무신
-
문성공(文成公) - 장량(張良)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공신. 유방(劉邦)에게 적재의 간언을 올려 항우(項羽)를 제압하고 한(漢) 왕조를 여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말년에 유방의 시의심(猜疑心)을 알아채고 적송자(赤松子)처럼 은거함.
?~B.C.168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성군(文城君)@문성군 - 이건(李健)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손자이자 안남군(安南君) 이수련(李壽鍊)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억울하게 죽은 봉성군(鳳城君) 이완(李岏)의 후사로 들어감.
1560~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문성군(文城君)@유순 - 유순(柳洵)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에 봉해짐. 시부(詩賦)에 뛰어나 《연주시격(聯珠詩格)》을 한글로 번역하고, 의학ㆍ지리학에도 조예가 깊음.
1441~151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성군(文城君) - 유수(柳洙)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 문성군(文城君)에 봉해지고, 성종(成宗)의 즉위를 보좌한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15~148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문성군(文城君)@유량 - 유량(柳亮)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선 개국에 협력한 공으로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방간(芳幹)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조선 초기 제도 확립에 크게 기여함.
1355~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성무열성인장효(文成武烈聖仁莊孝) - 정조(正祖)
조선 제22대 왕. 재위 1776~1800. 숙종(肅宗)ㆍ영조(英祖)의 탕평론을 이어받아 재위 초부터 민산(民産)ㆍ인재(人才)ㆍ융정(戎政)ㆍ재용(財用) 등의 부문별로 왕정체제를 강화하여 위민정치를 실현하고자 매진함.
1751~18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유량 - 유량(柳亮)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선 개국에 협력한 공으로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방간(芳幹)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조선 초기 제도 확립에 크게 기여함.
1355~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 - 유순(柳洵)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에 봉해짐. 시부(詩賦)에 뛰어나 《연주시격(聯珠詩格)》을 한글로 번역하고, 의학ㆍ지리학에도 조예가 깊음.
1441~151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성부정(文城副正)@이건 - 이건(李健)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손자이자 안남군(安南君) 이수련(李壽鍊)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억울하게 죽은 봉성군(鳳城君) 이완(李岏)의 후사로 들어감.
1560~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문성부정(文城副正) - 이상(李湘)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며, 남천군(南川君) 이쟁(李崝)의 아들로, 효성이 지극하였음.
1486~152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문성유씨(文城柳氏) - 문화유씨(文化柳氏)
고려 태조(太祖) 때 익찬벽상공신(翊贊壁上功臣)에 서훈된 유차달(柳車達)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집단>성씨
-
문성장군(文成將軍) - 소옹(少翁)
중국 한(漢) 무제(武帝) 때의 방사(方士). 방술(方術)로 무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효력이 점점 없어지자 몰래 백서(帛書)를 소에게 먹이고는 소를 잡아 백서를 꺼내게 해 신통력을 과시하려다가 들통나 결국 죽임을 당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문성정(文城正) - 이상(李湘)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며, 남천군(南川君) 이쟁(李崝)의 아들로, 효성이 지극하였음.
1486~152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문성황제(文成皇帝) - 문성제(文成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4대 황제. 재위 452~465. 탁발황(拓跋晃)의 아들이며, 헌문제(獻文帝)의 아버지로, 숙부인 안남왕(安南王)을 이어 즉위한 후 민력(民力)을 기르고 안정시키는 데 힘써 북위 융성의 기초를 닦음.
440~4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성후(文成侯) - 장량(張良)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공신. 유방(劉邦)에게 적재의 간언을 올려 항우(項羽)를 제압하고 한(漢) 왕조를 여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말년에 유방의 시의심(猜疑心)을 알아채고 적송자(赤松子)처럼 은거함.
?~B.C.168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소(文昭) - 증조(曾肇)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증포(曾布)의 동생.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냈고, 《신종실록(神宗實錄)》 편수에 참여함.
1047~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소(文素) - 범질(范質)
중국 후당(後唐)~북송(北宋) 때의 대신. 후당 때 지제고(知制誥)를 지내고, 후주(後周) 때 참지추밀원사(參知樞密院事)를 지냈으며, 북송 때 재상을 지내고 노국공(魯國公)에 봉해짐.
911~96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소(聞韶) - 의성(義城)
경상북도 중앙에 동서로 길게 위치한 고을 이름. 지금의 고을은 옛 의성(義城)과 옛 비안(比安)이 합해 이루어진 것으로, 옛 의성은 현재 의성군의 동부에 해당함.
경상도>의성 , 지명>행정지명
-
문소김씨(聞韶金氏) - 의성김씨(義城金氏)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아들이자 고려 태조(太祖)의 외손으로 의성군(義城君)에 봉해진 김석(金錫)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집단>성씨
-
문손(文孫) - 박문손(朴文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이조 좌랑(吏曹佐郞) 박성무(朴成武)의 아버지로, 통찬(通贊)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문손(文孫)@최문손 - 최문손(崔文孫)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최한경(崔漢卿)의 아버지로, 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문송서(文宋瑞) - 문천상(文天祥)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시인. 지방관으로 있을 때 천도를 반대하는 글을 올려 면직됨. 송 나라 멸망 후 옥중(獄中)에서 지은 〈정기가(正氣歌)〉로 유명함.
1236~1282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수(文修) - 섭미도(葉味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저작 좌랑(著作佐郞) 등을 지내고, 주희의 어류(語類)를 모아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수보살(文殊菩薩) - 문수(文殊)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제불(諸佛)의 지혜를 맡은 보살로,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의 왼쪽에 위치하며, 오른쪽의 보현(普賢)과 함께 석가를 양쪽에서 보필하는 협시보살(脇侍菩薩)로 일컬어짐.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문수사리(文殊師利) - 문수(文殊)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제불(諸佛)의 지혜를 맡은 보살로,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의 왼쪽에 위치하며, 오른쪽의 보현(普賢)과 함께 석가를 양쪽에서 보필하는 협시보살(脇侍菩薩)로 일컬어짐.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문숙(文叔)@심예겸 - 심예겸(沈禮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성천 부사(成川府使)를 지냄.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叔)@강전 - 강전(姜絟)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로, 개암(介庵) 강익(姜翼)의 손자. 강익의 유고(遺稿)를 수습하여 정광연(鄭光淵)에게 발문을 부탁하는 등 문집 정리에 노력함.
?~166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문숙(文叔)@성계례 - 성계례(成繼禮)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1522년(중종 17) 진사시에 입격함. 찰방(察訪) 등을 지냈으며,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叔)@이격비 - 이격비(李格非)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예부 원외랑(禮部員外郞) 등을 역임하였고, 경학(經學)에 정통하고 사장(詞章)에 뛰어났으며, 저서에 《예기설(禮記說)》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숙(文叔)@박연 - 박연(朴演)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인. 남효온(南孝溫)ㆍ강응정(姜應貞) 등과 함께 소학계(小學契)를 만들어 《소학(小學)》을 강론하였으며, 향약(鄕約)을 만듦.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문숙(文叔)@반우문 - 반우문(潘友文)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영종(寧宗) 때 곤산현(昆山縣)을 다스리면서 인자하고 백성들을 사랑하였으므로 ‘반불자(潘佛子)’라 일컬어졌으며,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 등과 교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叔) - 김영수(金寧秀)
조선 전기의 유학. 길재(吉再)의 외예(外裔)로, 함창(咸昌)의 양한정(養閑亭) 옆에서 자연을 즐기며 살았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문사>유학
-
문숙(文叔)@심문숙 - 심문숙(沈文叔)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 폐제(廢帝)에 의해 사사된 무신 심경지(沈慶之)의 아들. 시중(侍中) 등을 지냈으나 폐제(廢帝)의 포악함을 보고 자살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叔)@황상 - 황상(黃裳)@송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 때의 문신. 좌승상(左丞相) 유정(留正)에 의해 발탁되어 익선(翊善)을 지내며 황자(皇子)였던 영종(寧宗)을 보필함. 저서에 《왕부춘추강의(王府春秋講義)》ㆍ《겸산집(兼山集)》 등이 있음.
1146~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叔)@박린 - 박린(朴璘)@조선전기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박광우(朴光佑)의 아버지로,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강예습독(講隷習讀)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叔)@광무제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숙(文淑)@최유청 - 최유청(崔惟淸)
고려 예종(睿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주(東州)로, 최석(崔奭)의 아들. 사신으로 송(宋) 나라와 금(金) 나라에 다녀오고, 집현전 대학사(集賢殿大學士) 등을 지냄. 경사(經史)와 불경(佛經)에 밝았으며 글씨에도 뛰어남.
1095~1174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淑) - 안목(安牧)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검교찬성사(檢校贊成事)를 지낸 안우기(安于器)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진현관 대제학(進賢館大提學) 등을 지내고, 충숙왕 때 이군해(李君侅) 등과 함께 인사권을 관장함.
1290~136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淑)@서문숙 - 서문숙(徐文淑)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지례 현감(知禮縣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광조(趙光祖)의 유문(遺文)을 수집하여 《정암집(靜庵集)》을 편찬하는 데 기여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안정복 - 안정복(安鼎福)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익(李瀷)의 문인으로, 실학(實學)을 연구하여 역사지리학(歷史地理學)을 세밀히 고증한 《동사강목(東史綱目)》을 저술함.
1712~179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오억령 - 오억령(吳億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義州)에 호종하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가 탄핵을 받아 낙향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52~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동복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김주정 - 김주정(金周鼎)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무신. 금오위대장군(金吾衛大將軍) 김경량(金鏡亮)의 아들로, 소용대장군 좌우부도통(昭勇大將軍左右副都統) 등을 역임하였고, 호두금패(虎頭金牌)를 하사받음.
?~129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 - 김정준(金貞俊)
고려 정종(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책(金策)의 아들로, 문하시랑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를 지냄. 《고려사(高麗史)》에는 정(貞)이 정(廷)으로 되어 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박석명 - 박석명(朴錫命)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정종(定宗)이 태종에게 선위(禪位)할 때 그 교서(敎書)를 전하였으며, 태종에게 황희(黃喜)를 천거함.
1370~140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박은 - 박은(朴誾)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됨. 시문(詩文)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강서파(江西派)로 일컬어짐.
147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성석용 - 성석용(成石瑢)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성여완(成汝完)의 아들이자 성석린(成石璘)의 아우로, 고려 때 밀직제학(密直提學) 등을 지냈으며, 조선 개국에 공이 있어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오경 - 오경(吳儆)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문인. 형 오부(吳俯)와 함께 학문과 문장으로 이름을 날려 '강동이오(江東二吳)'로 불렸으며, 안무도감(安撫都監) 등을 지냄.
1125~118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이일상 - 이일상(李一相)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정귀(李廷龜)의 손자이며 이명한(李明漢)의 아들.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내고, 효종(孝宗)의 북벌계획 수립에 송시열(宋時烈) 등과 도움을 주었으며,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ㆍ《효종실록(孝宗實錄)》을 편찬함.
1612~166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변계량 - 변계량(卞季良)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이색(李穡)ㆍ권근(權近)ㆍ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조선 초기 관인문학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주로 조선 건국을 찬양하는 글을 씀. 오랜 기간 대제학(大提學)을 맡아 외교문서를 작성하여 명문장가로 이름을 떨침.
1369~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한익모 - 한익모(韓翼謨)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신원(伸寃) 과정에서 삭직되고 유배되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70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채제공 - 채제공(蔡濟恭)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오광운(吳光運)ㆍ강박(姜樸)의 문인. 남인(南人) 중 청남(淸南) 계열의 지도자로서 사도세자(思悼世子)를 옹호하고 탕평책(蕩平策)을 추진하는 등 영조와 정조에게 깊은 신임을 받았으며, 영의정 등을 지냄.
1720~179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황간 - 황간(黃榦)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이자 사위. 지안경부(知安慶府) 등을 지냈으며 양담계(陽潭溪)에서 담계정사(潭溪精舍)를 세워 저술활동과 후진교육에 힘씀.
1152~122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정경세 - 정경세(鄭經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대제학(大提學)을 지냄.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였으며,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음.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정엽 - 정엽(鄭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 황주 판관(黃州判官)으로서 왜군을 격퇴한 공으로 중화 부사(中和府使)가 됨. 대사성(大司成)으로서 타직(他職)을 겸하는 예가 정엽으로부터 비롯됨.
1563~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유작 - 유작(游酢)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정호학(程顥學)에 매진하여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감찰어사(監察御史)ㆍ지호주(知濠州) 등을 지냄.
1053~11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이지강 - 이지강(李之剛)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집(李集)의 둘째 아들로, 이방원(李芳遠)의 측근이 되어 활약하고, 태종(太宗) 즉위 후 풍기 단속과 공신(功臣) 세력을 제거하는 데 앞장섬.
1363~142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임희재 - 임희재(任熙載)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를 일으킨 임사홍(任士洪)의 아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 때 죽음을 당함. 서예에 능했고 특히 송설체(松雪體)를 잘 썼음.
1472~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이보림 - 이보림(李寶林)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제현(李齊賢)의 손자로,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윤관 - 윤관(尹瓘)
고려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무신. 별무반(別武班)을 창설하고 예종 때 구성(九城)을 쌓아 침범하는 여진(女眞)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111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