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문숙(文肅)@김환 - 김환(金環)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낸 김계흥(金季興)의 아버지로, 학성군(鶴城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왕석작 - 왕석작(王錫爵)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거쳐 재상을 지냈으며, 성품이 강직하여 조정의 의론과 어긋나는 경우가 많았음.
1534~161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김제갑 - 김제갑(金悌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영원산성(領原山城)에서 순절(殉節)함.
1525~15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안숭선 - 안숭선(安崇善)
조선 세종(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 안경공(安景恭)의 손자. 1420년(세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ㆍ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냄.
1392~1452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장순손 - 장순손(張順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485년(성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권신 김안로(金安老)의 일파가 되어 벼슬했다는 비난을 받음.
1453~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문숙재(文叔栽) - 문익성(文益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에게 《대학(大學)》의 요지를 배우고, 나주 목사(羅州牧使)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526~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문숙재(文叔裁) - 문익성(文益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에게 《대학(大學)》의 요지를 배우고, 나주 목사(羅州牧使)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526~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문순(文純)@원부 - 원부(元傅)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충(元忠)의 할아버지. 충렬왕 때 유경(柳璥)ㆍ김구(金坵) 등과 함께 《고종실록(高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함. 《고금록(古今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첨의중찬(僉議中贊)에 오름.
1219~128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문순(文純) - 박세채(朴世采)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성리학자. 김상헌(金尙憲)ㆍ김집(金集)에게 수학하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묘배향을 주장함. 예송논쟁(禮訟論爭) 때 기년설(朞年說)을 지지하고 많은 저서를 남김.
1631~16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순(文純)@한원진 - 한원진(韓元震)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이간(李柬)과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의 논쟁을 벌여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주장함. 영릉 참봉(寧陵參奉) 등을 지내고, 저서로 《남당집(南塘集)》이 있음.
1682~175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결성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순(文純)@권상하 - 권상하(權尙夏)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ㆍ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이이(李珥)를 조종(祖宗)으로 하여 송시열에게 계승된 기호학파(畿湖學派)를 이끎.
1641~17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문순(文純)@이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순(文順) - 권홍(權弘)@1360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권균(權鈞)의 아들로, 예조 판서(禮曹判書)ㆍ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등을 지냄. 문학에 뛰어났으며, 전서ㆍ예서에 능하여 헌릉(獻陵)ㆍ문묘(文廟)ㆍ기자사(箕子祠)의 비문을 씀.
1360~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문순(文順)@안우기 - 안우기(安于器)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문성공(文成公) 안향(安珦)의 아들. 충렬왕 때 국학좨주(國學祭酒)로 최응(崔凝)과 함께 과거를 주관하였고, 우부승지(右部承旨)ㆍ밀직부사(密直副使) 등을 역임하였음.
1265~132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문순(文順)@민적 - 민적(閔頔)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충렬왕(忠烈王)이 국선(國仙)이라 불렀으며, 대사헌(大司憲)으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온 뒤 여흥군(驪興君)에 봉해졌음.
1269~133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문순(文順)@이규보 - 이규보(李奎報)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대표적 문인으로, 《백운소설(白雲小說)》ㆍ《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ㆍ〈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
1168~12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순거(文舜擧) - 문희개(文希凱)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과 친분이 두터웠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많은 전공을 세웠음. 고창 현감(高敞縣監) 등을 지냈고, 사직 후 부춘정(富春亭)에서 만년을 보냄.
1550~161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문숭산(文崧山) - 송악산(松岳山)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는 산 이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기은제(祈恩祭)를 지냈던 산 중의 하나로,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송악산의 기운을 받고 태어났다고 함.
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문식(文肅) - 이원(李黿)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종직(金宗直)에게 문충(文忠)의 시호를 줄 것을 제안하였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장류(杖流)되었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참형당함. 문장에 능하고, 특히 행의(行義)로 추앙받음.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문신(文信) - 최온(崔昷)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평장사(平章事) 최선(崔詵)의 손자이며 좌복야(左僕射) 최종재(崔宗梓)의 아들로, 태부 중서시랑평장사(太傅中書侍郞平章事)를 지냄.
?~1268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문신(文愼) - 김변(金賆)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충렬왕이 세자로 원(元) 나라에 있을 때 예부 낭중(禮部郞中)으로 4년간 보좌하여 이등공신(二等功臣)에 녹훈됨.
1248~130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문신국(文信國) - 문천상(文天祥)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시인. 지방관으로 있을 때 천도를 반대하는 글을 올려 면직됨. 송 나라 멸망 후 옥중(獄中)에서 지은 〈정기가(正氣歌)〉로 유명함.
1236~1282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안(文安)@게혜사 - 게혜사(揭傒斯)
중국 원(元) 나라의 문인. 양재(楊載)ㆍ범곽(范椁)ㆍ우집(虞集)과 함께 원시사대가(元詩四大家), 또는 유관(柳貫)ㆍ황진(黃溍)ㆍ우집과 함께 유림사걸(儒林四傑)로 불림.
1274~134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문안(文安)@성임 - 성임(成任)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성염조(成念祖)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국조보감(國朝寶鑑)》ㆍ《경국대전(經國大典)》편찬에 참여하고, 글씨와 시문에 뛰어남.
1421~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안(文安)@유승단 - 유승단(兪升旦)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몽고(蒙古)의 침략을 피하기 위해 강화(江華)로 천도하려는 최우(崔瑀)의 계획에 반대함. 경사(經史)에 조예가 깊고 불전(佛典)에도 능통했음.
1168~123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관인>문신
-
문안(文安)@육구연 - 육구연(陸九淵)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지형문군(知荊門軍) 등을 지냄. 주희(朱熹)의 성즉리설(性卽理說)에 반대하여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주장하고, 저서로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을 남김.
1139~119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안(文安)@이첨 - 이첨(李詹)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내고, 하륜(河崙) 등과 함께 《삼국사략(三國史略)》을 찬수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소설 〈저생전(楮生傳)〉을 지음.
1345~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안(文安)@이사철 - 이사철(李思哲)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도조(度祖)의 첫째 아들인 이자흥(李自興)의 종손이며, 이난(李蘭)의 아들로, 《선원록(璿源錄)》 등을 개수하였고, 세조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좌의정 등을 역임함.
1405~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문안(文安)@이점 - 이점(李坫)
조선 성종(成宗)~종종(中宗) 때의 문신. 찰방(察訪) 이관의(李寬義)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과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내고, 몸가짐이 염간(廉簡)하여 청백리(淸白吏)로 일컬어짐.
1445~152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문안(文安)@김양감 - 김양감(金良鑑)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이자겸(李資謙)과 인척이면서도 정의를 지킴.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수록된 〈가락국기(駕洛國記)〉의 저자라고 전하기도 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관인>문신
-
문안(文安) - 김이상(金履祥)@송
중국 송(宋)~원(元) 나라의 학자. 정주학(程朱學)을 연구하여 왕노재(王魯齋)ㆍ하북산(何北山)에게 사사하고, 주자(朱子)ㆍ황면재(黃勉齋)의 학통(學統)을 이어받아, 절학(浙學)을 중흥함.
1232~1303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문안(文安)@정항 - 정항(鄭沆)
고려 숙종(肅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서(鄭敍)의 아버지로, 우정언(右正言)ㆍ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등을 지냄.
1080~11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문안(文安)@유정지 - 유정지(劉定之)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예부 시랑(禮部侍郞) 등을 지냈으며, 학문이 깊고 시문(詩文)에 능함. 저서로 《매재집(呆齋集)》ㆍ《역경도석(易經圖釋)》등이 있음.
1409~146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안공(文安公) - 게혜사(揭傒斯)
중국 원(元) 나라의 문인. 양재(楊載)ㆍ범곽(范椁)ㆍ우집(虞集)과 함께 원시사대가(元詩四大家), 또는 유관(柳貫)ㆍ황진(黃溍)ㆍ우집과 함께 유림사걸(儒林四傑)로 불림.
1274~134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문암(文巖) - 김진종(金振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오랫동안 유배 생활을 하다 죽음.
1496~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야(文野) - 홍빈(洪彬)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참소로 인해 충숙왕과 충혜왕(忠惠王)이 원(元) 나라에 압송되었을 때 그 억울함을 변호하여 귀국 후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우정승(右政丞) 등을 지냄.
1288~135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약(文若) - 순욱(荀彧)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순가팔룡(荀家八龍) 중 한 명인 순곤(荀緄)의 아들로 조조(曹操)를 도와 패업을 이룩하였으나, 위왕(魏王)이 되려는 조조의 속셈을 반대하다가 미움을 사 자결함.
163~21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양(文襄)@오연총 - 오연총(吳延寵)
고려 숙종(肅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병부 낭중(兵部郞中) 등을 지내고, 송(宋) 나라에서 《태평어람(太平御覽)》을 들여옴. 예종 때 여진(女眞) 소탕에 공을 세워 협모동덕치원공신(協謀同德致遠功臣)에 책록됨.
1055~1116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양(文襄)@이지방 - 이지방(李之芳)
중국 청(淸) 나라 세조(世祖)~성조(聖祖) 때의 문신. 오삼계(吳三桂)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문화전 태학사(文華殿太學士) 등을 지냄.
1622~1694 중국>청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양(文襄)@한계미 - 한계미(韓繼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혜(韓惠)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등 공을 세워 세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421~147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양(文襄) - 양성지(梁誠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집현전(集賢殿)의 부수찬ㆍ교리를 거쳐 이조 판서(吏曹判書)ㆍ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고려사(高麗史)》ㆍ《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등을 편찬함.
1415~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양(文襄)@최연 - 최연(崔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최세건(崔世楗)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소윤(小尹)에 가담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동원군(東原君)에 봉해짐. 《무정보감(武定寶鑑)》을 편찬하고, 시문(詩文)에 능함.
1503~154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양(文陽) - 유희림(柳希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장수 현감(長水縣監) 유복룡(柳伏龍)의 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고,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20~160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양군(文陽君) - 유지(柳輊)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감찰(監察)을 지낸 유자미(柳自湄)의 아들로, 1453년(단종 1)에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찬성(贊成)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 유자신(柳自新)
조선 제15대 광해군(光海君)의 국구(國舅). 유잠(柳潛)의 아들이자 이담(李湛)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와 세자 광해군을 호종함. 도총부 도총관(都摠府都摠管) 등을 지내고, 광해군 즉위 후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에 봉해짐.
1541~161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문언(文彦) - 권문언(權文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규(權逵)의 아들.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門人)으로 벼슬길에는 나아가지 않음.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증직됨.
1530~15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문연(文淵)@권문연 - 권문연(權文淵)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예천(醴泉). 권지(權祉)의 아들이며, 초간(草澗) 권문해(權文海)의 동생. 권문해가 먼저 죽은 동생을 애도하며 지은 시가 《초간집(草澗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문연(文淵) - 마원(馬援)
중국 후한(後漢) 때의 장군. 광무제(光武帝)의 신하가 되어 교지(交趾)와 흉노(匈奴) 등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움.
B.C.14~A.D.4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문연(文淵)@정문연 - 정문연(鄭文淵)
고려 후기의 문신.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좌랑(佐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문열(文烈)@김천일 - 김천일(金千鎰)@1537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언침(金彦琛)의 아들이며, 이항(李恒)의 문인(門人). 임진왜란 때 창의기병(倡義起兵)하여 수원(水原)ㆍ강화도(江華島)에서 전공을 세우고, 2차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순사함.
1537~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문열(文烈)@박인량 - 박인량(朴寅亮)@고려전기
고려 문종(文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사은사(謝恩使)로 송(宋) 나라에 가서 김근(金覲)과 함께 지은 《소화집(小華集)》을 간행하여 명성을 얻었으며,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저서로 《고금록(古今錄)》ㆍ《수이전(殊異傳)》 등이 있음.
?~109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열(文烈)@한상질 - 한상질(韓尙質)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청성군(淸城君) 한수(韓脩)의 아들이며, 한명회(韓明澮)의 조부. 예문춘추관 대학사(藝文春秋館大學士) 등을 지냈으며, 조선 개국 후에 주문사(奏聞使)로 명(明) 나라에 파견되어 조선(朝鮮)이란 국호를 승인받음.
?~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문열(文烈)@최순작 - 최순작(崔純爵)
고려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평장사(平章事)를 지내고 완산백(完山伯)에 봉해졌음.
?~1108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문열(文烈)@박태보 - 박태보(朴泰輔)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박세당(朴世堂)의 아들로, 박세후(朴世垕)에게 출계함. 1677년(숙종 3)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천 현감(伊川縣監)ㆍ파주 목사(坡州牧使) 등을 지냈으나, 1689년(숙종 15)에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하다 유배를 가던 중에 죽음.
1654~168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문열(文烈)@이조년 - 이조년(李兆年)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농서군공(隴西郡公) 이장경(李長庚)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냄. 심양왕 고(瀋陽王暠)가 충숙왕(忠肅王)의 왕위 찬탈을 도모할 때 원 나라의 중서성(中書省)에 그 부당함을 상소하여 음모를 저지시킴.
1269~134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문열(文烈)@조헌 - 조헌(趙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배천(白川).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옥천(沃川) 등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으나 금산(錦山) 전투에서 700명의 의병과 분전하다가 함께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김포 , 인명>관인>문신
-
문열(文烈)@이신효 - 이신효(李愼孝)@1422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음직(蔭職)으로 출사하여,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지냄.
1422~1493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문열(文烈)@이계전 - 이계전(李季甸)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손자로,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4~145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열(文烈) - 김부식(金富軾)
고려 숙종(肅宗)~의종(毅宗) 때의 문신ㆍ학자. 《삼국사기(三國史記)》를 편찬함.
1075~1151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영(文楧) - 박문영(朴文楧)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1606년(선조 3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박이장(朴而章)이 덕천서원(德川書院)에 왔을 때 함께 원록(院錄)을 중수(重修)함.
1570~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ㅣ경상도>산음 , 인명>문사>유학
-
문영(文英)@김순 - 김순(金恂)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방경(金方慶)의 넷째 아들. 1312년(충선왕 4)에 상락군(上洛君)에 봉해졌으며,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오름. 성격이 관후(寬厚)하고 예서(隷書)를 잘 썼으며, 거문고와 퉁소를 즐김.
1258~132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문영(文英) - 고경(高慶)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음. 간의동지(諫議同知)를 지낸 고용현(高用賢)의 아버지.
1276~134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문영(文英)@고용현 - 고용현(高用賢)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고경(高慶)의 아들로,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과 교유하였음.
1302~136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문영(文英)@목영 - 목영(沐英)
중국 명(明) 나라의 무신. 홍무제(洪武帝:明 太祖)의 양자가 되어 무공(武功)을 세움. 1377년에 토번(吐審)을 정벌하고, 1381년에는 운남(雲南) 토벌에 공을 세웠으며 만족(蠻族)을 평정시킴.
1345~139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문예부주(文睿府主) - 명덕태후(明德太后)
고려 제27대 충숙왕(忠肅王)의 비. 본관은 남양(南陽). 남양부원군(南陽府院君) 홍규(洪奎)의 딸로, 충혜왕(忠惠王)과 공민왕(恭愍王)을 낳았으며, 공민왕이 즉위하여 대비(大妃)에 오름.
1298~138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문옥(文沃) - 유문옥(柳文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유덕수(柳德粹)의 아버지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문옥(文玉) - 세조(世祖)@남북조(전진)
중국 남북조시대 전진(前秦)의 제3대 황제. 재위 357~385. 태학(太學)을 정비하고 학문을 장려하며 전연(前燕)과 전량(前凉)을 멸하고 강북(江北) 지방을 통일하였으나, 동진(東晉) 공략 때 비수(淝水) 전투에서 대패하고, 후진(後秦)의 요장(姚萇)에게 살해됨.
338~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온(文溫)@박여룡 - 박여룡(朴汝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면천(沔川)으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 때 행재소(行在所)를 호위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1605년(선조 38) 선무 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41~161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온(文溫) - 민사평(閔思平)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찬성사 민적(閔頔)의 아들이며, 정승 김륜(金倫)의 사위. 이제현(李齊賢)ㆍ정자후(鄭子厚) 등과 함께 문명(文名)이 높았으며, 《동문선(東文選)》에 그의 시 9수가 전함.
1295~13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문온(文溫)@김구용 - 김구용(金九容)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우왕 때 삼사 좌윤(三司左尹)으로 이숭인(李崇仁)ㆍ정도전(鄭道傳) 등과 북원(北元)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竹州)로 귀양 감. 사장(詞章)에 뛰어나고, 특히 시(詩)로 유명함.
1338~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옹(汶翁) - 유여항(柳汝恒)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참찬(參贊) 유간(柳澗)의 아들.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괄(李适)의 난(亂) 후 고문으로 죽음.
1581~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왕(文王) - 문종(文宗)@고려
고려 제11대 왕. 재위 1046~1083. 각종 법률 제정으로 내치(內治)를 다지고 국방ㆍ외교에도 힘썼으며, 유학을 장려하고 송(宋) 나라 문화를 수입하여 문화의 황금기를 이룸.
1019~108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문요(文瑤) - 박문요(朴文瑤)
고려 후기의 문신. 지제교(知制敎) 등을 역임하였으며, 죽산군(竹山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문요(文饒)@유관 - 유관(劉寬)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문신. 태위(太尉)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품이 온순하고 인자하여 남양 태수(南陽太守)로 있을 때 아전이나 백성들이 과실을 범하면 아프지 않은 부들 채찍으로 벌을 주었다고 함.
120~18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요(文饒)@이덕유 - 이덕유(李德裕)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 아버지 이길보(李吉甫)와 함께 당을 결성하여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의 당파와 40여 년간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임. 위구르 등 외족의 격퇴를 통해 중앙집권 강화를 도모하고, 폐불(廢佛)을 단행함.
787~84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요(文饒) - 권덕유(權德裕)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공주 목사(公州牧使)를 지낸 권박(權博)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권극례(權克禮)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문우(文佑) - 강문우(姜文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교서관 교리(校書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문우(文虞) - 이문우(李文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이겸(李謙)의 아들로,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문울(文蔚) - 장문울(張文蔚)
중국 당(唐) 나라 말의 재상(宰相). 방간(方干)처럼 급제하지 못한 문인(文人) 15명을 추증할 것을 청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울(文蔚)@진문울 - 진문울(陳文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 고풍스럽고 우아한 절조로 나라와 향리에서 모두 우러러보았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문웅(文雄) - 서정경(徐禎卿)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인. 한위(漢魏)와 성당(盛唐)의 시풍을 이어 고아(古雅)한 풍격의 시를 지음. 명 나라 전칠자(前七子) 중의 한 사람.
1479~151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문원(文元)@전조생 - 전조생(田祖生)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으로, 전희경(田希慶)의 셋째 아들. 1336년(충숙왕 복위5) 과거에 급제하고 찬성첨의부사(贊成僉議府事) 등을 지냈으나, 충정왕(忠定王)이 선위한 후 그를 호종하여 이후에는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1318~13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문원(文元)@송명흠 - 송명흠(宋明欽)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송준길(宋浚吉)의 현손이자 이재(李縡)의 문인. 옥과 현감(玉果縣監) 등을 지내고, 경연관(經筵官)이 되어 정치 문제를 논하다가 파직된 뒤 사후에 복관됨.
1705~176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원(文元)@요로 - 요로(饒魯)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황간(黃榦)의 문인으로, 성학(聖學)에 뜻을 두고 치지역행(致知力行)을 근본으로 삼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문원(文元)@이언적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원(文元) - 김장생(金長生)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서인(西人)의 영수 역할을 하였고, 예학(禮學)을 깊이 연구함.
1548~163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원(文元)@박지빈 - 박지빈(朴之彬)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함양(咸陽). 군부 총랑(軍薄摠郞)을 지낸 박장(朴莊)의 아버지로, 위위시 윤(衛尉寺尹)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무신
-
문원(文園) - 사마상여(司馬相如)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랑장(中郞將)ㆍ효문원령(孝文園令) 등을 지내고, 〈자허부(子虛賦)〉ㆍ〈상림부(上林賦)〉 등 유명한 작품을 남김.
B.C.179~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원(文垣) - 예문관(藝文館)
고려~조선시대 왕의 칙령(勅令)과 교명(敎命)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청.
한국>고려전기 , 법제>관청
-
문원(文源) - 최환(崔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 고성 현령(固城縣令)으로 있을 때 선정을 베풀어 표창을 받았으나, 나주 목사(羅州牧使) 시절 전라도 방어사로 부임하는 남치근(南致勤)을 병으로 맞이하지 못하였다가 이로 인해 장살(杖殺)당함.
?~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흥해 , 인명>관인>문신
-
문원(文苑)@홍문관 - 홍문관(弘文館)
조선 세조(世祖) 때 설치한 궁중의 경서(經書)ㆍ사적(史籍)의 관리, 문한(文翰)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사헌부(司憲府)ㆍ사간원(司諫院)과 함께 삼사(三司)라고 불림.
14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청
-
문원(文苑)@예문관 - 예문관(藝文館)
고려~조선시대 왕의 칙령(勅令)과 교명(敎命)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청.
한국>고려전기 , 법제>관청
-
문원(聞遠)@금난수 - 금난수(琴蘭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봉화(奉化).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장예원 사평(掌隸院司評)ㆍ봉화 현감(奉化縣監) 등을 지내고, 귀향한 뒤에는 퇴계 학문을 강구함.
1530~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원(聞遠) - 박주종(朴周鍾)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학자. 본관은 함양(咸陽). 학문이 깊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많은 저술을 남김.
1813~188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
-
문원공(文元公) - 박지빈(朴之彬)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함양(咸陽). 군부 총랑(軍薄摠郞)을 지낸 박장(朴莊)의 아버지로, 위위시 윤(衛尉寺尹)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무신
-
문원군(文元君) - 유복룡(柳伏龍)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역임한 유희림(柳希霖)의 아버지로,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장수 현감(長水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원군(文原君)@유희담 - 유희담(柳希聃)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송만(松巒) 윤현(尹晛)의 사위로, 1590년(선조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문원군(文原君) - 유응룡(柳應龍)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영의정을 지낸 유순(柳洵)의 장남. 이조 참판(吏曹參判)ㆍ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문원유씨(文原柳氏) - 문화유씨(文化柳氏)
고려 태조(太祖) 때 익찬벽상공신(翊贊壁上功臣)에 서훈된 유차달(柳車達)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집단>성씨
-
문위(文位) - 탁문위(卓文位)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탁영(卓英)의 맏아들로, 충렬왕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