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문정(文靖)@서박 - 서박(徐薄)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1497년(홍치 10) 황제의 칙령으로 《대명회전(大明會典)》 편찬에 착수하여 1549년(가정 28년)에 완성함.
1428~149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서명응 - 서명응(徐命膺)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영의정 서명선(徐命善)의 형으로, 대제학을 거쳐 상신(相臣)에 오르고 봉조하(奉朝賀)에 이름. 역학(易學)에 정통한 실학(實學)의 대가로 북학파(北學派)의 비조(鼻祖)로 일컬어짐.
1716~178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윤집형 - 윤집형(尹執衡)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상서 좌복야(尙書左僕射) 윤금강(尹金剛)의 아들이자, 문숙공(文肅公) 윤관(尹瓘)의 아버지로, 검교 소부소감(檢校小府少監)을 지냈으며, 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에 추증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안지 - 안지(安止)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찬성(贊成) 안사종(安士宗)의 아들로, 1445년(세종 27) 권제(權踶)ㆍ정인지(鄭麟趾) 등과 함께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지었으며, 시(詩)ㆍ서(書)에 능하였음.
1377~146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이지활 - 이지활(李智活)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세조(世祖)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거창(居昌)의 박유산(朴儒山)에 은거하였으며, 단종의 승하 소식을 듣고 통곡하다 죽음.
14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이달충 - 이달충(李達衷)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천(李蒨)의 아들로, 유학(儒學)에 정통함.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낼 때 공석에서 신돈(辛旽)을 비판하여 파면되었다가 신돈이 실각한 후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복직함.
1309~138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이동 - 이동(李侗)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스승. 나종언(羅從彦)에게 수학하고, 정호(程顥)ㆍ정이(程頤) 사상의 정수를 주희에게 전수함.
1093~116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문정(文靖)@위요옹 - 위요옹(魏了翁)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왕에게 열 가지 폐단을 논하여 정사에 참여하였으나 간신들의 견제로 인해 홀로 경학을 궁구하고 옛것을 배워 일가를 이룸.
1178~123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원효연 - 원효연(元孝然)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세조 즉위 후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예조 판서 등을 역임함.
?~146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유백유 - 유백유(柳伯濡)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로서 전제개혁(田制改革)을 비난하였기 때문에 광주(光州)로 유배되었다가 조선왕조 개창 후 좌사간대부(左司諫大夫)를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이식 - 이식(李植)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인조반정 후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당대의 이름난 학자로서, 문장이 뛰어나 신흠(申欽)ㆍ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와 함께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로 불림.
1584~1647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지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임열 - 임열(任說)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참봉 임명필(任明弼)의 아들. 세 번 과거에 급제하여 문명을 떨치고, 대사헌ㆍ공조 판서ㆍ한성부 판윤 등을 거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510~15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심정 - 심정(沈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해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고 화천군(花川君)에 봉해졌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조광조(趙光祖) 등을 숙청함.
1471~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우집 - 우집(虞集)
중국 원(元) 나라의 시인ㆍ학자. 당시(唐詩)를 연구 계승하여, 양재(楊載)ㆍ범곽(范椁)ㆍ게혜사(揭傒斯)와 함께 원시사대가(元詩四大家)로, 또는 유관(柳貫)ㆍ황진(黃溍)ㆍ게혜사와 함께 유림사걸(儒林四傑)로 불림. 만권당(萬卷堂)에 초치(招致)되어 이제현(李齊賢) 등과 교류함.
1272~134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문정(文靖)@유구언 - 유구언(游九言)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초명은 구사(九思). 장식(張栻)의 문인으로, 저서에 《묵재유고(默齋遺稿)》가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문정(文靖)@윤두수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이색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성여완 - 성여완(成汝完)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첨서밀직(簽書密直)ㆍ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고려가 망하자 포천(抱川)에 은거함.
1309~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소세양 - 소세양(蘇世讓)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종(仁宗) 때 윤임(尹任) 일파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가 명종 때 재등용되어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송설체(松雪體)를 잘 씀.
1486~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김의정 - 김의정(金義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중종의 총애를 받자 김안로(金安老)에게 미움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김안로가 처형된 후에 다시 등용됨.
1495~15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김자지 - 김자지(金自知)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밀직 제학(密直提學) 김도(金濤)의 아들. 배불론자(排佛論者)의 한 사람으로 음양ㆍ복서(卜筮)ㆍ천문ㆍ지리ㆍ의약ㆍ음률 등 여러 학문에 뛰어남.
1367~143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남효온 - 남효온(南孝溫)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수학함.
1454~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문정(文靖)@최항 - 최항(崔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삭녕(朔寧). 훈구파(勳舊派)의 대학자로서 문물제도 정비에 크게 기여하고, 역사ㆍ언어ㆍ문장에 정통하여 대중국 외교문서 작성을 전담함.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및 실록(實錄) 편찬 등에 참여함.
1409~14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이항 - 이항(李沆)@송
중국 송(宋) 진종(眞宗) 때의 문신.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견지명이 뛰어나 천재(天災) 등 세세한 일까지 모두 아뢰어 진종의 마음을 경계하였으므로, 당시에 ‘성상(聖相)’으로 일컬어짐.
947~100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한계희 - 한계희(韓繼禧)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혜(韓惠)의 아들로, 남이(南怡)의 옥사와 성종의 즉위 때 공을 세워 두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경국대전(經國大典)》과 《의방유취(醫方類聚)》의 편찬에 참여함.
1423~148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김질 - 김질(金礩)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 등의 단종(端宗) 복위 계획을 고변하여 사육신(死六臣) 사건의 계기를 제공함.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에 참여함.
1422~14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동괴 - 동괴(董槐)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보광(輔廣)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관직은 승상(丞相)까지 이르렀음.
?~12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정(文靖)@위기 - 위기(魏驥)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대종(代宗) 때의 문신. 《영락대전(永樂大典)》 편찬에 참여하고, 남경 이부상서(南京吏部尙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저서에 《남재적고(南齋摘稿)》가 있음.
1374~147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정공서원(文正公書院) - 도봉서원(道峯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기도 양주(楊州)에 건립한 서원. 건립한 해인 1573년(선조 6)에 사액되고, 조광조(趙光祖)ㆍ송시열(宋時烈) 등을 배향함.
157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문정공집(文定公集) - 육문정공집(陸文定公集)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인 육수성(陸樹聲)의 시문집. 26권 10책. 목판본. 서삼중(徐三重)이 서문(序文)을 쓰고, 저자의 아들인 육언장(陸彦章) 등이 발문(跋文)을 썼으며, 1616년에 간행됨.
161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문정대비(文定大妃) - 문정왕후(文定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지임(尹之任)의 딸.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明宗)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禪敎) 양종(兩宗)을 부활시키고, 도첩제(度牒制)를 다시 실시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문정왕대비(文定王大妃) - 문정왕후(文定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지임(尹之任)의 딸.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明宗)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禪敎) 양종(兩宗)을 부활시키고, 도첩제(度牒制)를 다시 실시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문정왕후비(文定王后妃) - 문정왕후(文定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지임(尹之任)의 딸.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明宗)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禪敎) 양종(兩宗)을 부활시키고, 도첩제(度牒制)를 다시 실시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문제(文齊) - 박충좌(朴忠佐)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우탁(禹倬)에게 주자학을 배웠으며, 판전민도감사(判田民都監事)ㆍ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함.
1287~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문조(文祖) - 문종(文宗)@조선
조선 제5대 왕. 재위 1450~1452. 20년 간 세자로 있으면서 세종(世宗)을 보필한 공이 컸으나, 몸이 약하여 재위 2년 4개월 만에 병사함.
1414~14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문종공순대왕실록(文宗恭順大王實錄) - 문종실록(文宗實錄)
조선 제5대 문종(文宗) 연간의 역사 기록. 총 13권이었으나 제11권이 산일(散逸)되어 현재 12권만 전하며, 정인지(鄭麟趾)ㆍ정창손(鄭昌孫) 등이 편찬을 담당하여 1455년(단종 3)에 완성함.
145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문좌(文佐) - 고태익(高台翼)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 고득종(高得宗)의 아들이자, 고태필(高台弼)의 아우.
고봉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문좌(文佐)@주문좌 - 주문좌(周文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주장손(周長孫)의 아들이며, 지지당(止止堂) 김맹성(金孟性)의 문인으로,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세상에 중망을 얻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문좌(文佐)@이문좌 - 이문좌(李文佐)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일손(金馹孫)ㆍ권오복(權五福) 등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안협 현감(安峽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문주(文州) - 문천(文川)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함경도>문천 , 지명>행정지명
-
문주박씨(文州朴氏) - 경순왕후(敬順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조부인 도조(度祖) 이춘(李椿)의 비(妃).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문천 , 인명>왕실>왕비
-
문주왕(文州王) - 문주왕(文周王)
백제 제22대 왕. 재위 475~477. 개로왕(蓋鹵王)의 아들이며, 삼근왕(三斤王)의 아버지. 즉위 후 웅진(熊津)으로 천도하고 국방에 힘썼으나 실패하였으며, 병관좌평(兵官佐平) 해구(解仇)에게 실권을 빼앗기고 그의 하수인에게 살해됨.
?~477 한국>백제 , 충청도>공주 , 인명>왕실>국왕
-
문주왕(文洲王) - 문주왕(文周王)
백제 제22대 왕. 재위 475~477. 개로왕(蓋鹵王)의 아들이며, 삼근왕(三斤王)의 아버지. 즉위 후 웅진(熊津)으로 천도하고 국방에 힘썼으나 실패하였으며, 병관좌평(兵官佐平) 해구(解仇)에게 실권을 빼앗기고 그의 하수인에게 살해됨.
?~477 한국>백제 , 충청도>공주 , 인명>왕실>국왕
-
문준(文濬) - 성문준(成文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둘째 아들로, 성혼이 무욕(誣辱)을 당하자 임천(林泉)에 은거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냄. 박학다식하며 글씨에 능함.
1559~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중(文中) - 정엄(鄭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정만종(鄭萬鍾)의 아들.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여산 군수(礪山郡守)ㆍ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냈으며, 《명종실록(明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530~15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문중(文中)@송문중 - 송문중(宋文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조선 태조가 잠저(潛邸)에 있을 때 그를 보좌하였고, 풍해도 관찰사(豐海道觀察使)를 지낼 때 왜구(倭寇)를 물리치는 등 공을 세움.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
-
문중(文仲)@정엄 - 정엄(鄭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정만종(鄭萬鍾)의 아들.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여산 군수(礪山郡守)ㆍ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냈으며, 《명종실록(明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530~15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문중(文仲)@태조(오대십국) - 태조(太祖)@오대십국(후주)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의 하나인 후주(後周)의 제1대 황제. 재위 951~954. 그의 강대한 세력을 견제하려는 후한(後漢)의 은제(隱帝)를 축출하고 제위에 올랐으며, 후한의 폐정(弊政)과 악법(惡法)을 폐지하는 등 개혁정치를 펼침.
904~954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중(文仲)@장손진 - 장손진(臧孫辰)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장공(莊公)ㆍ민공(閔公)ㆍ희공(僖公)ㆍ문공(文公) 4대 동안 집정하였으며, 희공 27년에는 여러 나라의 제후들을 모아 예를 따르지 않는 국가를 토벌하기 위한 맹약을 주도함.
?~B.C.61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문중(文仲) - 이기(李芑)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의무(李宜茂)의 아들로,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 등 소윤(小尹) 일파와 손잡고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킴. 보익공신(輔翼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76~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중(文仲)@오응정 - 오응정(吳應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1574년(선조 7) 무과(武科)에 급제하였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전라도 방어사(全羅道防禦使)로 남원성(南原城) 전투에서 활약하다 전사함. 남원(南原)의 충렬사(忠烈祠)에 배향됨.
1548~159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무신
-
문중(文仲)@공문중 - 공문중(孔文仲)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성품이 강직하여 재상 왕안석(王安石)이 창안한 재정 관리와 군사 훈련하는 법이 옳지 않다고 논한 일로 파직되기도 하였으며, 중서사인(中書舍人)ㆍ지공거(知貢擧) 등을 지냄..
1038~1088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중자(文中子)@중설 - 중설(中說)
중국 수(隋) 나라의 유학자인 왕통(王通)의 저서. 《논어(論語)》를 본떠서 왕통이 문인(文人)들과 나눈 대화를 분류ㆍ정리한 책으로, 왕도(王道)ㆍ천지(天地)ㆍ사군(事君) 등으로 구성됨. 동생 왕응(王凝)과 아들 왕복치(王福畤)가 자신들의 의견을 첨가하여 편찬함.
중국>수 , 중국 , 문헌>서명
-
문중자(文中子) - 왕통(王通)
중국 수(隋) 나라의 학자. 기본 바탕은 유학에 두고 유ㆍ불ㆍ도 합일을 주장했으며, 제자 중에서 당(唐) 나라의 문무대관이 된 사람들이 많음.
584~617 중국>수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문중자중설(文中子中說) - 중설(中說)
중국 수(隋) 나라의 유학자인 왕통(王通)의 저서. 《논어(論語)》를 본떠서 왕통이 문인(文人)들과 나눈 대화를 분류ㆍ정리한 책으로, 왕도(王道)ㆍ천지(天地)ㆍ사군(事君) 등으로 구성됨. 동생 왕응(王凝)과 아들 왕복치(王福畤)가 자신들의 의견을 첨가하여 편찬함.
중국>수 , 중국 , 문헌>서명
-
문지(文之) - 김취문(金就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광좌(金匡佐)의 아들로, 형 취성(就成)과 함께 박영(朴英)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웠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 됨.
1509~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문지(文之)@밀성군 - 밀성군(密城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총명과 지혜가 뛰어나 세종의 남다른 사랑을 받았으며, 익대공신(翊戴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 에 책록됨.
1430~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문직(文直) - 사포선(史褒善)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감찰어사(監察御使)ㆍ대리시경(大理寺卿) 등을 지내고, 왜구(倭寇)가 창궐할 때 성을 쌓아 방비를 튼튼히 함.
1499~156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진(文眞)@최재 - 최재(崔宰)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선부 전서(選部典書)를 지낸 최득평(崔得枰)의 아들로 성품이 강직함. 전리 판서(典理判書)ㆍ개성 윤(開城尹)을 지낸 뒤, 벼슬을 사퇴하고 낙향함.
1303~137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문진(文眞) - 이장용(李藏用)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인주(仁州). 원종이 몽고(蒙古)에 입조할 때 수행하고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냈으나, 원종의 손위(遜位)를 권한 일로 면직되어 서인(庶人)이 됨. 경사(經史)ㆍ음양(陰陽)ㆍ의약(醫藥)ㆍ율력(律曆)에 통달함.
1201~127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질(文質) - 나종언(羅從彦)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양시(楊時)에게서 이정(二程)의 학문을 배우고, 이동(李侗)에게 전하여 주희(朱熹)에 이르렀으므로, 양시(楊時)ㆍ이동(李侗)과 함께 '남검삼선생(南劍三先生)'으로 불림.
1072~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문질(文質)@이예 - 이예(李芮)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집현전 박사(集賢殿博士)로 있을 때 세종의 총애를 받고, 《의방유취(醫方類聚)》ㆍ《고려사(高麗史)》등의 편찬에 참여함. 형조 판서 등을 지내고, 학식ㆍ문명이 높아 명망을 떨침.
1419~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문질(文質)@완문질 - 완문질(阮文質)
베트남 여조(黎朝) 때의 문신. 명(明) 헌종(憲宗) 때 하절사(賀節使)로 중국을 방문해 조선의 사신(使臣) 홍귀달(洪貴達)과 교유함.
중국>명 , 기타지역 , 인명>관인>문신
-
문집양촌(文集陽村) - 양촌집(陽村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근(權近)의 시문집. 40권 10책. 목판본. 초간본은 세종(世宗) 초년에 아들 권도(權蹈)가 편찬하였으나 간행자와 간행연대는 불분명함. 〈응제시(應制詩)〉ㆍ〈동국사략론(東國史略論)〉ㆍ〈동현사략(東賢事略)〉 등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문징명(文徵明) - 문벽(文璧)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서화가ㆍ문인. 스승인 심주(沈周)와 함께 남종화(南宗畵) 중흥의 중심인물이며, 당인(唐寅) 등과 함께 문인화가들의 유파인 오파(吳派)를 형성함.
1470~1559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창(文昌)@최치원 - 최치원(崔致遠)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효공왕(孝恭王) 때의 문신ㆍ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12세에 입당(入唐)하여 빈공과(賓貢科)에 장원급제하고, 고변(高騈)의 종사관 등을 지내면서 문명(文名)을 떨침. 귀국하여 아찬(阿飡)) 등을 지내다가 은거함.
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창(文昌) - 장적(張籍)@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 한유(韓愈)의 추천으로 국자박사(國子博士)가 되었으나 눈이 멀어 높은 벼슬에 오르지 못하자 자신의 불만과 인간의 고통을 반영하는 악부체의 시와 오언율시 등을 지음.
766?~83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창(文昌)@이문창 - 이문창(李文昌)
조선 전기의 종친. 임당(林塘) 정유길(鄭惟吉)의 외증조부로, 장풍령(長豐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문창(文昌)@단문창 - 단문창(段文昌)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목종(穆宗) 때의 재상(宰相). 한유(韓愈)가 쓴 〈평회서비(平淮西碑)〉를 다시 지어 세웠는데 졸문이라는 평가를 받음.
773~83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창부원군(文昌府院君) - 유희분(柳希奮)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의 아들. 광해군 때 정인홍(鄭仁弘)과 함께 대북파(大北派)에 가담해 정권을 좌우하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죽임을 당함.
1564~162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창성(文昌星) - 문성(文星)
문운(文運)을 주관하는 별로, 문신(文臣) 또는 문재(文才)가 있는 사람을 가리킴.
자연물>천체
-
문창후(文昌侯) - 최치원(崔致遠)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효공왕(孝恭王) 때의 문신ㆍ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12세에 입당(入唐)하여 빈공과(賓貢科)에 장원급제하고, 고변(高騈)의 종사관 등을 지내면서 문명(文名)을 떨침. 귀국하여 아찬(阿飡)) 등을 지내다가 은거함.
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천(蚊川) - 경주(慶州)
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진한(辰韓)의 중심지이자 신라(新羅) 천년의 고도(古都).
경상도>경주 , 지명>행정지명
-
문천부수(文川副守) - 이귀복(李龜福)
조선 전기의 종친. 영성수(寧城守) 이경생(李敬生)의 셋째 아들이며, 청백리(淸白吏)인 최명창(崔命昌)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문천부원군(文川府院君) - 유사공(柳思恭)
조선 전기의 문신. 영의정(領議政) 유순(柳洵)의 아버지. 세자익위사 좌세마(世子翊衛司左洗馬)를 지내고, 추충적덕보조공신(推忠積德補祚功臣)ㆍ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문천정(文川正) - 이수갑(李壽甲)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증손이자, 도안정(道安正) 이철(李轍)의 아들이며, 김극핍(金克愊)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문청(文淸)@동괴 - 동괴(董槐)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보광(輔廣)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관직은 승상(丞相)까지 이르렀음.
?~12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청(文淸)@김매순 - 김매순(金邁淳)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거쳐 강화부 유수(江華府留守) 등을 지냈고, 당대의 문장가로 홍석주(洪奭周) 등과 함께 명성이 높아 여한십대가(麗韓十大家)의 한 사람으로 꼽히며 성리학에 뛰어남.
1776~18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청(文淸) - 권단(權㫜)
고려 고종(高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ㆍ승려. 한림학사 권위(權韙)의 아들로, 찬성사(贊成事)로 치사(致仕)하고 선흥사(禪興寺)에 들어가 승려가 됨.
1228~131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관인>문신
-
문청(文淸)@남유용 - 남유용(南有容)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남용익(南龍翼)의 증손. 이재(李縡)의 문인으로, 양관(兩館) 대제학(大提學)과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냈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음.
1698~17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청(文淸)@정철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청(文淸)@유재 - 유재(劉宰)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진사(進仕)에 급제하였으나 은거하여 저술활동을 하였고, 저서로 《만당집(漫塘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문청(文淸)@이후백 - 이후백(李後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와 양관 제학(兩館提學)을 지냈으며, 문장이 뛰어나고 덕망이 높아 사림(士林)의 추앙을 받음.
1520~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문청(文淸)@남효온 - 남효온(南孝溫)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수학함.
1454~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문청(文淸)@설선 - 설선(薛瑄)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주학파(程朱學派)의 이학(理學)을 계승하였으며, 이부우시랑(吏部右侍郞) 겸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역임함. 저서에 《설문청집(薛文淸集)》이 있음.
1389~146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청(文淸)@증기 - 증기(曾幾)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육유(陸游)의 스승으로, 진회(秦檜)의 노여움을 사서 파직되었다가 다시 기용되어 권 예부 시랑(權禮部侍郞) 등을 역임하였음.
1084~116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청(文淸)@최자 - 최자(崔滋)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우복야(右僕射)를 지낸 최민(崔敏)의 아들. 문장이 뛰어나 이규보(李奎報)의 후계자로 추천되고, 수태사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守太師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를 지냄.
1188~1260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문촌계수(文村溪叟) - 금원정(琴元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진사. 본관은 봉화(奉化)로, 동래 현령(東萊縣令)을 지낸 금휘(琴徽)의 아들. 1501년(연산군 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기묘년에 효우(孝友)로 천거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문충(文忠)@김만기 - 김만기(金萬基)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숙종의 국구(國舅)로, 김만중(金萬重)의 형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내고,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에 봉해짐.
1633~16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문충(文忠)@김종수 - 김종수(金鍾秀)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김치만(金致萬)의 아들. 노론(老論) 벽파(僻派)의 영수로서 정조의 신임을 받고, 임성주(任聖周)ㆍ윤시동(尹蓍東)ㆍ김상묵(金尙默) 등과 교유함.
1728~17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충(文忠)@이심원 - 이심원(李深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의 무고로 유배생활을 했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문충(文忠)@관미생 - 관미생(管尾生)
조선 성종(成宗) 때 김일손(金馹孫)이 붓을 의인화하여 지은 〈관처사묘지명(管處士墓誌銘)〉에 나오는 처사 관술(管述)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문충(文忠)@구양수 - 구양수(歐陽脩)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유(韓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古文) 부흥에 힘씀. 추밀부사(樞密副使)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충(文忠)@김류 - 김류(金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으로, 송익필(宋翼弼)의 문인.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였고, 이귀(李貴) 등과 함께 인조반정(仁祖反正)을 주도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시문(詩文)과 서법(書法)에 뛰어남.
1571~164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충(文忠)@김상용 - 김상용(金尙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돈녕부 도정 김극효(金克孝)의 아들이며,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족을 호종하고 강화(江華)로 갔다가 강화성(江華城)이 함락되자 자결함.
1561~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충(文忠)@장거정 - 장거정(張居正)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재상으로서 국정을 잘 다스렸으나, 잔혹하고 지나치게 엄격하다는 비난을 들음. 저서로 《서경직해(書經直解)》ㆍ《장태악집(張太岳集)》등이 있음.
1525~158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충(文忠)@민정중 - 민정중(閔鼎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으로,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민광훈(閔光勳)의 아들.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직언(直言)을 잘했는데,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유배되어 죽음.
1628~16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충(文忠)@김수항 - 김수항(金壽恒)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상헌(金尙憲)의 손자로 가학(家學)을 계승하고 송시열(宋時烈)과 교유함. 노론의 영수로서 기사환국으로 인한 남인의 재집권 때 사사됨. 시문에 뛰어나고 그의 변려문(騈儷文)은 당대 제일로 꼽힘.
1629~16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충(文忠)@부필 - 부필(富弼)
중국 송(宋) 나라의 정치가. 범중엄(范仲淹)의 추천으로 벼슬길에 올랐으며, 요(遼) 나라와의 국경 문제를 원만히 해결한 후 재상이 되었으나,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 실행에 반대하다가 축출됨.
1004~108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충(文忠)@서거정 - 서거정(徐居正)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天文)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경국대전(經國大典)》ㆍ《동국통감(東國通鑑)》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동인시화(東人詩話)》ㆍ《동문선(東文選)》등을 저술함.
1420~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