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석평(碩枰) - 반석평(潘碩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천얼(賤孽) 출신으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좌찬성(左贊成)까지 지냈으며,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 등과 교유함.
?~154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석필(錫弼) - 유석필(柳錫弼)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낸 유순선(柳順善)의 아들. 음보(蔭補)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석헌(石軒)@유숭조 - 유숭조(柳崇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대사성(大司成)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도학정치(道學政治)를 실현하려던 성리학자로,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 유림을 배출하는 데 공이 큼. 저서로 《진일재집(眞一齋集)》이 있음.
1452~151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석헌(石軒) - 박우(朴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성품이 강직하여 권세가들의 미움을 받았으나 소신을 굽히지 않았으며, 지방관을 지낼 때 선정(善政)을 베풀어 포상을 받음.
1476~15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석헌(石軒)@유옥 - 유옥(柳沃)@유문표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박상(朴祥)ㆍ김정(金淨) 등과 연명으로 단경왕후(端敬王后) 신씨(愼氏)의 복위를 청하고 신씨를 폐위시켰던 훈신(勳臣)들의 죄를 규탄하는 상소를 올림.
1487~151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석형(石亨) - 이석형(李石亨)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회림(李懷林)의 아들이며, 김반(金泮)의 문인.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역대병요(歷代兵要)》ㆍ《치평요람(治平要覽)》등을 편찬함.
1415~14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석형(碩亨) - 정석형(丁碩亨)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성균관(成均館) 유생으로 강응정(姜應貞)ㆍ김용석(金用石)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석호(石湖) - 범성대(范成大)
중국 송(宋) 고종(高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시인. 시에 능하여 육유(陸游)ㆍ양만리(楊萬里)ㆍ우무(尤袤) 등과 더불어 중흥사대시인(中興四大詩人)으로 일컬어짐.
1126~119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석호(石虎) - 무제(武帝)@남북조(후조)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후조(後趙)의 제3대 황제. 재위 334~349. 고조(高祖) 석륵(石勒)을 도와 화북(華北)을 통일한 뒤 조카 석홍(石弘)을 죽이고 즉위함.
295~3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석홍(錫弘) - 김석홍(金錫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화를 입은 기묘당인(己卯黨人) 중의 한 명.
1493~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선(善)@성선 - 성선(成善)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종(成宗) 때의 문신으로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을 지낸 성윤문(成允文)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선(善) - 민선(閔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좌승지(左承旨) 등을 지냈으며, 기축옥사(己丑獄事) 때 최영경(崔永慶)의 처벌을 주장하다 탄핵을 받아 좌천됨. 이이(李珥)와 교우가 깊었음.
1539~160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선(墠) - 이선(李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한산(韓山). 영월 군수(寧越郡守) 이각(李殼)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선(宣) - 법왕(法王)
백제 제29대 국왕. 재위 599~600. 혜왕(惠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아버지. 즉위 후 살생(殺生)을 금지하고 왕흥사(王興寺)를 짓는 등 불력(佛力)에 의지하여 국정을 운영함.
?~600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선(愃) - 장헌세자(莊獻世子)
조선 제21대 영조(英祖)의 둘째 아들이자 22대 정조(正祖)의 아버지. 이복형 효장세자(孝章世子)가 요절하자 세자에 책봉되어 1749년(영조 25) 영조의 명을 받고 15세에 대리기무(代理機務)를 봄. 김한구(金漢耉) 일파의 모함을 받아 뒤주에 갇혀 죽음.
1735~176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선(旋) - 이선(李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원종공신(原從功臣) 이교연(李皎然)의 아버지로, 돈녕부 승(敦寧府丞)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선(歚) - 정선(鄭歚)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광산(光山). 그림에 뛰어나 현실감 넘치는 독창적인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를 완성하고, 금강전도(金剛全圖)ㆍ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등 많은 명작을 남김.
1676~17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선(瑄)@박선 - 박선(朴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아버지 박경인(朴慶因)과 함께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웠으며, 후에 경조우윤(京兆右尹)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음.
1571~161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선(瑄) - 김선(金瑄)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창(咸昌). 전주 부윤(全州府尹)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선(瑄)@민선 - 민선(閔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함. 신광한(申光漢)의 《기재집(企齋集)》에 연구(聯句)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선(璇) - 황선(黃璇)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을 지낸 황예창(黃禮昌)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선(璿)@민선 - 민선(閔璿)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상정(閔祥正)의 아들이며, 태조(太祖)의 4남 회안대군(懷安大君) 이방간(李芳幹)의 장인. 충혜왕 때 등과하여, 판도판서(判圖判書) 등을 지냈으며,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선(璿)@송선 - 송선(宋璿)
고려 후기의 문신. 민제(閔霽)의 장인이며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 송씨(宋氏)의 아버지로, 여양군(礪良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선(璿)@김선 - 김선(金璿)
고려 후기의 문인. 임춘(林椿)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선(璿) - 조선(趙璿)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부마. 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를 지낸 조말생(趙末生)의 아들로, 태종의 딸인 정정옹주(貞靜翁主)와 혼인함.
1410~14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왕실>인척
-
선(璿)@정선 - 정선(丁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 정세명(丁世明)의 아들로 교감(校勘)을 지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되고, 이후 향리로 퇴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선(璿)@이선 - 이선(李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이원수(李元秀)의 아들이자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첫째 형. 남부 참봉(南部參奉) 등을 지냄.
1524~157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선(璿)@안선 - 안선(安璿)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관기(官紀)의 확립과 풍속(風俗)의 교화에 힘쓰고,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으로서 언관(言官)의 임무를 수행함.
1440~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선(羨) - 은선(殷羨)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성품이 탐욕스럽고 잔인하였으며, 예장 태수(豫章太守)로 옮겨 갈 때 서울 사람들이 부친 백여 통의 편지를 모두 물에 던져버렸다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선(船) - 이선(李船)
조선 전기의 종친. 영의정 한효원(韓效元)의 아들인 한관(韓綰)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선(詵) - 홍선(洪詵)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본관은 당성(唐城). 홍백수(洪百壽)의 아들이며 홍탁(洪鐸)의 아버지. 1304년(충렬왕 30) 충선왕(忠宣王)을 죽이려는 음모를 막아 공신이 되고, 여러 차례 원(元)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옴.
?~131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선(詵)@최선 - 최선(崔詵)
고려 명종(明宗)~희종(熙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주(東州). 뛰어난 학행으로 과거를 주관하여 많은 인재를 발탁하고 《태평어람(太平御覽)》등의 간행을 주관함.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냄.
?~1209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선(選) - 서선(徐選)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서원(徐遠)의 아들이며, 원천석(元天錫)의 문인. 1415년(태종 15) 서얼의 차별대우를 진언했으며,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감. 우부대언(右副代言)ㆍ판한성부사(判漢城府使) 등을 지냄.
1367~143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선(選)@조선후기 - 이선(李選)@조선후기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우의정(右議政) 이후원(李厚源)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1673년(현종 14) 노산군(魯山君)의 묘소에 시제(時祭)하고 황보인(皇甫仁)ㆍ김종서(金宗瑞) 등의 신원(伸寃)을 상소함.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還局) 때 기장(機張)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632~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선(選)@조선전기 - 이선(李選)@조선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이순증(李順曾)의 아들로, 명종 때 환관 박세겸(朴世謙)의 비행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재서용되어 오위장(五衛將) 등을 지냄.
1522~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선(鏇) - 김선(金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원주 목사(原州牧使)를 지낸 김태경(金泰卿)의 아들. 대사성(大司成)ㆍ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선각(先覺) - 윤국형(尹國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희렴(尹希廉)의 아들. 임진왜란 때 왜적 방어에 실패하여 파직되고, 재기용된 뒤 난리 후의 혼란한 업무들을 처리함.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543~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선각(禪覺) - 혜근(惠勤)
고려 충혜왕 복위(忠惠王復位)~우왕(禑王) 때의 승려. 선종(禪宗)의 고승(高僧)으로, 원(元) 나라에 가서 인도 승려 지공(指空)의 가르침을 받고, 처림(處林)에게서 중국 선교(禪敎)의 영향을 받음. 보우(普愚)와 함께 조선시대 불교의 초석을 세움.
1320~137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종교인>승려
-
선각국사(先覺國師) - 도선(道詵)
통일신라 문성왕(文聖王)~효공왕(孝恭王) 때의 승려. 15세에 출가하여 23세 때 천도사(穿道寺)에서 구족계를 받고, 전라도 백계산(白鷄山) 옥룡사(玉龍寺)에서 후학들을 가르치다 죽음.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의 대가로 더욱 유명함.
827~898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영암 , 인명>종교인>승려
-
선강(善綱) - 이선강(李善綱)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1561년(명종 1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하였으며, 《송암집(松巖集)》에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있음.
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선강갈문왕(宣康葛文王) - 선강대왕(宣康大王)
통일신라 제44대 민애왕(閔哀王)의 아버지. 민애왕 즉위 후 선강대왕(宣康大王)에 봉해짐. 상대등(上大等)을 지냄.
?~83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국왕
-
선거(宣擧) - 윤선거(尹宣擧)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학자. 김집(金集)의 문인으로, 유계(兪棨)ㆍ송시열(宋時烈)ㆍ윤휴(尹鑴)ㆍ윤선도(尹善道)ㆍ이유태(李惟泰) 등과 교유함. 성리학(性理學)의 대가이고 예론(禮論)에도 정통함.
1610~166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금산 , 인명>문사>학자
-
선건(善建) - 고인후(高因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들.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종군하여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금산(錦山) 전투에서 아버지와 함께 전사함.
1561~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선경(善卿)@안윤덕 - 안윤덕(安潤德)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안동 판관(安東判官) 안팽로(安彭老)의 아들. 삼포왜란(三浦倭亂) 때 부원수(副元帥)가 되어 지휘하고,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시절 단군(檀君)과 기자(箕子)의 사당을 수축(修築)함.
1457~153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선경(善卿)@노선경 - 노선경(盧善卿)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도염서 승(都染署丞) 노갑생(盧甲生)의 아들. 함양 군수(咸陽郡守)ㆍ공조 정랑(工曹正郞)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학문 연구와 후진 교육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선경(善卿)@이공달 - 이공달(李公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판결사(判決事) 이시보(李時珤)의 아들이자 찰방(察訪) 이응성(李應誠)의 아버지로,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냄.
1464~151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선경(善卿) - 조숙(曺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조승로(曺承老)의 아들. 1540년(중종 35)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시정(寺正)을 지냄. 김인후(金麟厚)ㆍ임운(林芸)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선경(善慶)@김흥우 - 김흥우(金興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청풍(淸風). 김육(金堉)의 아버지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1585년(선조 18) 생원ㆍ진사 양시에 합격하여 강릉 참봉(江陵參奉)을 지냄. 문사(文辭)에 능하며 글씨를 잘 썼음.
1564~159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풍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선경(善慶) - 박운손(朴雲孫)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어려서 최항(崔恒)과 같이 학문하였으며, 지평현(砥平縣)의 객사(客舍) 중건을 완수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선경(善慶)@이선경 - 이선경(李善慶)
조선 후기의 문신. 권문해(權文海)ㆍ백광훈(白光勳) 등과 교유하고, 찰방(察訪)을 지냄. 그에 관한 기록이 《초간집(草澗集)》과 《옥봉집(玉峯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선경(宣卿) - 이훤(李萱)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예안(禮安)으로, 연산 현감(連山縣監)을 지낸 이보간(李輔幹)의 아들. 1513년(중종 8년) 생원시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선계(仙溪)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선계(善繼) - 윤사종(尹師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진사. 본관은 영천(永川). 윤형(尹炯)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유학
-
선계변무(璿系辨誣) - 종계변무(宗系辨誣)
조선 태조(太祖) 때부터 선조(宣祖) 때까지 명(明) 나라 사책(史冊)에 잘못 기록된 태조의 종계(宗系)를 바로잡아 줄 것을 주청한 사건. 1394년(태조 3) 태조가 이인임(李仁任)의 아들로 잘못 기록된 것을 인식한 이래 개록을 요구하여 1588년(선조 21) 관철됨.
한국>조선전기 , 사건>기타사건
-
선고(宣考) - 선조(宣祖)@조선
조선 제14대 왕. 재위 1567~1608. 중종(中宗)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셋째 아들. 초기에는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黨爭)과 전란(戰亂) 속에서 보냄.
1552~16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선곡(善谷)@이옹 - 이옹(李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승사랑(承仕郞) 이극인(李克仁)의 아들로, 1569년(선조 2)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옹원 정(司饔院正) 등을 지냄.
15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선곡(善谷) - 예안(禮安)
경상도 안동(安東) 지역의 옛 지명. 고구려 때 매곡현(買谷縣)이었다가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선곡(善谷)으로 고쳤고, 고려 태조(太祖) 때 성주(城主) 이능선(李能宣)이 귀순하여 예안(禮安)이라고 함.
경상도>예안 , 지명>행정지명
-
선곡옹(善谷翁) - 이옹(李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승사랑(承仕郞) 이극인(李克仁)의 아들로, 1569년(선조 2)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옹원 정(司饔院正) 등을 지냄.
15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선곡정(善谷正) - 이윤원(李潤源)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문익성(文益成)과 교유하고, 숙천 도호부사(肅川都護府使)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선공(宣公)@손석 - 손석(孫奭)
중국 송(宋)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경술(經術)로써 한림시강학사(翰林侍講學士)에 이르렀고, 저서에는 《악기도(樂記圖)》ㆍ《오경절해(五經節解)》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선공(宣公) - 육지(陸贄)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문신. 덕종이 두 차례 피난길에 올랐을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로서 항상 곁에서 조칙(詔勅)의 기초와 정책(政策) 입안을 담당하였으므로 ‘내상(內相)’이라 일컬어짐.
754~80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선공(宣公)@장식 - 장식(張栻)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재상을 지낸 아버지 장준(張浚)의 음보(蔭補)로 관리가 되었음. 호굉(胡宏)에게 사사하고 성학(聖學)을 공부했으며,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 등과 함께 동남(東南)의 3현(三賢)이라 일컬어졌음.
1133~118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선관백(先關白) - 덕천가강(德川家康)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초대 장군(將軍). 풍신수길(豊臣秀吉) 아래에서 빼어난 전략가로 있었으나 풍신수길 사후 그의 일족을 멸하고 전국(戰國)을 제패하여 강호 막부(江戶幕府)를 세움.
1543~1616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선광(宣光) - 주거(周擧)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ㆍ학자. 여남(汝南) 사람으로, 주방(周防)의 아들. 박학다식하고 오경(五經)에 능통하여 유학자들의 종사(宗師)가 됨. 《후한서(後漢書)》에 열전(列傳)이 있음.
?~14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선광릉(宣光陵) - 무제(武帝)@남북조(전조)
중국 남북조시대 전조(前趙)의 왕. 재위 310~318. 고조(高祖) 유연(劉淵)의 넷째 아들로, 형인 태자 유화(劉和)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함. 즉위 후 진(晉) 나라를 공격하여 회제(懷帝)와 민제(愍帝)를 사로잡는 등 폭정을 일삼다가 국란(國亂) 속에 죽음.
?~31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선교각종산문도반총섭조제(禪敎各宗山門道伴摠攝調題) - 무외(無畏)
고려 후기 천태종(天台宗)의 승려. 1302년(충렬왕 28) 묘련사(妙蓮社)의 제3세 법주(法主)가 되고, 1313년(충선왕 5) 국통(國統)으로 책봉됨. 원혜 경의(圓慧景宜)ㆍ순암 의선(順菴義璇)과 함께 묘련사파 승려로 불림. .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선교도총섭정지원명묘변무애국일도대선사(禪敎都摠攝淨智圓明妙辯無礙國一都大禪師) - 찬영(粲英)
고려 충정왕(忠定王)~공양왕(恭讓王) 때의 승려.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 한적(韓績)의 아들이고, 보우(普愚)의 제자. 공민왕(恭愍王) 때 양가도승록(兩街都僧錄)이 되고, 우왕(禑王)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사후에 국사(國師)의 시호를 받음.
1328~139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선구사(旋龜寺) - 백담사(百潭寺)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 때 자장(慈藏)이 강원도(江原道) 인제(麟蹄) 설악산에 창건한 사찰. 처음 이름은 한계사(寒溪寺)였으나, 소실(燒失)과 중건(重建)의 반복으로 이름과 위치가 여러 번 바뀜. 1455년(세조 1)에 승려 재익(載益) 등이 옛 한계사 터의 윗쪽 20리 지점에 중건하고 백담사라고 개칭함.
647 한국>신라 , 강원도>인제 , 유적>건물>사찰
-
선궁(宣弓) - 김선궁(金宣弓)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태조(太祖)가 선궁(宣弓)이란 이름을 하사함.
922~?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무신
-
선귤당(蟬橘堂) - 이덕무(李德懋)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서얼 출신으로,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침. 명(明)과 청(淸)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
1741~17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선기(單旗) - 선목공(單穆公)
중국 주(周) 경왕(景王) 때의 현대부(賢大夫). 선자(單子) 또는 선기(單旗)라고도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선기옥형(璿璣玉衡) - 혼천의(渾天儀)
고대에 천체(天體)의 운행과 위치를 관측하던 장치(裝置). 구형(球形)의 겉면에 해ㆍ달ㆍ별 등의 천상(天像)을 그려 사각(四脚)의 틀 위에 올려놓고 돌리면서 관측함.
중국>전한 , 중국 , 물품>기타용품>공구
-
선길(善吉) - 이여경(李餘慶)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를 지낸 이수원(李守元)의 아들로, 청도 군수(淸道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선녕(宣寧) - 목종(穆宗)@고려
고려 제7대 국왕. 재위 997~1009. 전시과(田柴科)를 개정(改定)하고 학문을 장려하는 등 치적을 쌓았으나 강조(康兆)에게 피살됨.
980~100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선능성(宣綾城) - 선시중(宣時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을 지낸 박희중(朴熙中)의 맏아들 박휘생(朴暉生)을 사위로 삼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선니(宣尼)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선니묘(宣尼廟) - 공자묘(孔子廟)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弟子) 및 여러 성현(聖賢)들의 신위를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사당 이름. 원래는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에 있는 사당을 지칭하였으나, 당(唐) 나라 태종(太宗) 이후로 각 주현(州縣)에 설치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선니묘(宣尼廟)@문묘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선덕여주(善德女主) - 선덕여왕(善德女王)
신라 제27대 왕. 재위 632~647. 진평왕(眞平王)의 딸. 선정(善政)을 베풀어 민생을 보살피고 당(唐) 나라의 문화와 불법(佛法)을 수입하였으며, 분황사(芬皇寺)ㆍ첨성대(瞻星臺)ㆍ황룡사구층목탑(皇龍寺九層木塔) 등을 건립함.
?~647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선덕왕(善德王) - 선덕여왕(善德女王)
신라 제27대 왕. 재위 632~647. 진평왕(眞平王)의 딸. 선정(善政)을 베풀어 민생을 보살피고 당(唐) 나라의 문화와 불법(佛法)을 수입하였으며, 분황사(芬皇寺)ㆍ첨성대(瞻星臺)ㆍ황룡사구층목탑(皇龍寺九層木塔) 등을 건립함.
?~647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선덕제(宣德帝) - 선종(宣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5대 황제. 재위 1425~1435. 재위 기간 중 과거법(科擧法)을 고치고 군제(軍制)와 학제(學制)를 개혁하는 등 내치(內治)에 힘씀.
1398~143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선덕주(宣德主) - 선덕왕(宣德王)
신라 제37대 국왕. 재위 780~785.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의 10세손으로 해찬(海飡) 김효방(金孝芳)의 아들. 혜공왕(惠恭王) 때 김지정(金志貞)의 난을 진압하고 즉위하였으며, 어룡성(御龍省)을 개편하고 패강진(浿江鎭)을 개척함.
?~78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선도(善道) - 윤선도(尹善道)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ㆍ시인. 남인(南人)의 거두로, 치열한 당쟁 속에서 일생을 유배지에서 보냄. 경사(經史)에 해박하고 특히 시조(時調)에 뛰어나, 정철(鄭澈)ㆍ박인로(朴仁老)와 더불어 ‘조선삼대시가인(朝鮮三大詩歌人)’으로 불림.
1587~167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해남ㅣ전라도>영암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선도산(仙桃山) - 계룡산(鷄龍山)
충청남도 공주(公州)ㆍ논산(論山)ㆍ대전(大田)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신라시대 오악(五嶽) 중 하나.
충청도>연산ㅣ충청도>공주 , 지명>자연지명
-
선도산(仙桃山)@서악 - 서악(西岳)
경상도 경주(慶州)의 서쪽에 있는 산의 신라(新羅) 때 명칭.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지명>자연지명
-
선도산성(仙桃山城) - 서형산성(西兄山城)
경상북도 경주(慶州) 서쪽에 위치한 산성. 593년(진평왕 15) 개축하였으며, 673년(문무왕 13)에 증축함. 성의 원래 둘레가 2000여 보(步)로, 서라벌을 지키는 주요산성 중 하나.
593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성,진,책
-
선동(仙洞) - 김감(金勘)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원신(金元臣)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에 봉해짐.
1466~150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선동(仙洞)@이령 - 이령(李領)
조선 전기의 처사(處士). 과거(科擧)에 실패한 뒤 전국을 돌며 산수(山水)를 유람하고 고승(高僧)을 찾아다니다 청주(淸州)의 파관산(葩串山)에 거주함.
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선동(善仝) - 문선동(文善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강성(江城). 문화 현령(文化縣令) 문광서(文光瑞)의 아버지로, 한산 군수(韓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선령(宣靈) - 목종(穆宗)@고려
고려 제7대 국왕. 재위 997~1009. 전시과(田柴科)를 개정(改定)하고 학문을 장려하는 등 치적을 쌓았으나 강조(康兆)에게 피살됨.
980~100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선로(禪老) - 불혜(佛慧)
조선 전기의 승려. 백광훈(白光勳)의 《옥봉집(玉峯集)》에 〈연화암증불혜장로(蓮花菴贈佛慧長老)〉라는 시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선릉(宣陵)@현종 - 현종(顯宗)@고려
고려 제8대 왕. 재위 1010~1031.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인 안종(安宗) 왕욱(王郁)의 아들로, 어머니는 헌정왕후(獻貞王后). 헌애왕후(獻哀王后)의 견제를 받다가 강조(康兆)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며, 거란(契丹)과 우호를 다지고 문화 발전을 꾀함.
992~103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선릉(宣陵) - 성종(成宗)@조선
조선 제9대 왕. 재위 1469~1494. 세종(世宗)과 세조(世祖)가 이룩한 치적을 기반으로 찬란한 문화정책을 펼쳤으며, 《경국대전(經國大典)》과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는 등 국가통치체제를 완비함.
1457~14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선리(仙李)@조선 - 조선(朝鮮)
우리나라 근세의 통일 왕조. 이성계(李成桂)가 신진 사대부(士大夫)의 추대를 받아 세운 나라로, 태조(太祖)에서 순종(純宗)까지 27대 519년간 존속.
1392~1910 한국>조선시대 , 시간>국명
-
선리(仙李)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선리(仙李)@전주이씨 - 전주이씨(全州李氏)
신라 때 사공(司空)을 지낸 이한(李翰)을 시조로 하는 성씨. 조선시대의 국성(國姓).
한국>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선리(仙李)@당 - 당(唐)
수(隋) 나라에 이은 중국의 통일 왕조. 문화ㆍ예술의 황금시대를 이루었으며, 고조(高祖)에서 애제(哀帝)까지 20대 290년간 존속.
618~907 중국>당 , 중국 , 시간>국명
-
선리군(仙李君)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선맹(宣孟) - 조둔(趙盾)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영공(靈公)~성공(成公) 때의 대부. 조최(趙衰)의 아들.
B.C.654~B.C.60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선면천(宣沔川) - 선거이(宣居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도사(都事)를 지낸 선상(宣祥)의 아들로, 이순신(李舜臣)과 녹둔도(鹿屯島)에서 여진족(女眞族)을 막아 공을 세웠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도 이순신과 함께 해전(海戰)에서 큰 공을 세움.
1550~15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