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선인태후(宣仁太后) - 선인황후(宣仁皇后)
중국 송(宋) 나라 제5대 황제 영종(英宗)의 황후. 신종(神宗) 때에 황태후가 되었고, 철종(哲宗) 때에 태황태후가 되어서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여 사마광(司馬光)을 재상으로 삼고 왕안석(王安石)을 배척하는 정책을 폄.
1032~109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선자(單子) - 선목공(單穆公)
중국 주(周) 경왕(景王) 때의 현대부(賢大夫). 선자(單子) 또는 선기(單旗)라고도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선자(宣子)@한기 - 한기(韓起)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경대부. 한궐(韓厥)의 아들로, 평공(平公) 때 노(魯) 나라에 사신으로 가 《주역(周易》등을 보고는, 주(周) 나라의 예법이 노 나라에 남아 있음을 감탄함.
?~B.C.51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선자(宣子)@완적 - 완적(阮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ㆍ학자ㆍ문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며, 노장(老莊)의 학문을 연구하였으나 정계에서 물러난 후 술과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냄.
21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선자(宣子)@조둔 - 조둔(趙盾)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영공(靈公)~성공(成公) 때의 대부. 조최(趙衰)의 아들.
B.C.654~B.C.60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선자(宣子) - 완수(阮脩)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 《노자(老子)》와 역학(易學)에 밝았고, 외출할 때 술 살 돈 1백 전(錢)을 늘 지팡이에 걸고 다닌 것으로 유명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선잠(先蠶) - 누조(嫘祖)
중국 고대 황제 헌원씨(黃帝軒轅氏)의 원비(元妃). 소호(少昊)의 어머니이며, 서릉씨(西陵氏)의 딸로, 양잠(養蠶)을 발명함. 황제를 도와 천하를 다스렸으며, 황제와 천하를 순시하던 중에 병으로 죽음. 시호를 ‘조신(祖神)’으로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선장(善長)@박선장 - 박선장(朴善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무안(務安). 남몽오(南夢鰲)의 문인으로, 예안 현감(禮安縣監)ㆍ경상 도사(慶尙都事) 등을 지냄.
1555~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선장(善長) - 유응부(兪應孚)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기계(杞溪). 단종(端宗)을 위하여 사절(死節)한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 무신이면서도 유학에 뜻이 깊고, 절개(節介)ㆍ충의(忠義)의 상징으로 추앙받음.
?~145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무신
-
선장(善長)@이선장 - 이선장(李善長)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한산(韓山).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이균(李均)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선정(仙亭) - 선유정(仙遊亭)
조선 전기에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된 정자.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의 아버지인 김진(金璡)이 약산(藥山)의 암동(巖洞)에 지은 것으로, 김성일 형제가 이곳에서 공부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누정
-
선정(宣靖) - 전약수(錢若水)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냈으나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은퇴하여 명철보신(明哲保身)함.
960~100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선정(巽亭) - 남긍(南兢)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이색(李穡)이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일 때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를 지냈으며, 민사평(閔思平)ㆍ정포(鄭誧) 등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선제(先帝)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선조대왕(宣祖大王) - 선조(宣祖)@조선
조선 제14대 왕. 재위 1567~1608. 중종(中宗)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셋째 아들. 초기에는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黨爭)과 전란(戰亂) 속에서 보냄.
1552~16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선조소경대왕(宣祖昭敬大王) - 선조(宣祖)@조선
조선 제14대 왕. 재위 1567~1608. 중종(中宗)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셋째 아들. 초기에는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黨爭)과 전란(戰亂) 속에서 보냄.
1552~16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선조소경대왕실록(宣祖昭敬大王實錄) - 선조실록(宣祖實錄)
조선 선조(宣祖)의 재위(在位) 41년간의 실록(實錄). 활자본. 221권. 1616년(광해군 8)에 기자헌(奇自獻) 등이 편찬하고 실록청(實錄廳)에서 간행함.
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선종(善宗) - 궁예(弓裔)
통일신라시대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왕. 재위 901~918. 통일신라 말기에 고구려의 부흥을 표방하고 후고구려를 건국함. 후에 도읍을 철원(鐵圓)으로 옮기고 국호를 태봉(泰封)으로 개칭함. 자신을 미륵불(彌勒佛)이라 칭하며 독재하다가 왕건(王建)의 추대세력에 의해 쫓겨나 죽음.
870~918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철원 , 인명>왕실>국왕
-
선종(宣宗) - 선조(宣祖)@조선
조선 제14대 왕. 재위 1567~1608. 중종(中宗)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셋째 아들. 초기에는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黨爭)과 전란(戰亂) 속에서 보냄.
1552~16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선종대왕(宣宗大王) - 선조(宣祖)@조선
조선 제14대 왕. 재위 1567~1608. 중종(中宗)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셋째 아들. 초기에는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黨爭)과 전란(戰亂) 속에서 보냄.
1552~16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선종랑(善宗郞) - 자장(慈藏)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때의 고승. 636년(선덕여왕 5)에 당(唐) 나라에서 귀국하여, 분황사(芬皇寺) 대국통(大國統)을 지내며 불교 교단의 기강 확립에 주력함. 통도사(通度寺)의 금강계단(金剛戒壇)을 쌓고, 월정사(月精寺)ㆍ백담사(百潭寺) 등 1백여 개의 사찰을 창건한 것으로 전함. 저서에 《아미타경소(阿彌陀經疏)》ㆍ《관행법(觀行法)》등이 있음.
590~658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선종소경정륜입극성덕홍렬지성대의격천희운현문의무성예달효대왕(宣宗昭敬正倫立極盛德洪烈至誠大義格天熙運顯文毅武聖睿達孝大王) - 선조(宣祖)@조선
조선 제14대 왕. 재위 1567~1608. 중종(中宗)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셋째 아들. 초기에는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黨爭)과 전란(戰亂) 속에서 보냄.
1552~16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선종실록(宣宗實錄) - 선조실록(宣祖實錄)
조선 선조(宣祖)의 재위(在位) 41년간의 실록(實錄). 활자본. 221권. 1616년(광해군 8)에 기자헌(奇自獻) 등이 편찬하고 실록청(實錄廳)에서 간행함.
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선종안성사효대왕(宣宗安成思孝大王) - 선종(宣宗)@고려
고려 제13대 왕. 재위 1083~1094. 문종(文宗)의 둘째 아들. 불교를 장려하여 승과(僧科)를 설치하고, 많은 사탑(寺塔)을 건립함.
1049~1094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선좌(宣佐) - 윤선좌(尹宣佐)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1322년(충숙왕 9)에 권한공(權漢功)ㆍ채홍철(蔡洪哲) 등이 왕을 폐하고 심왕 고(瀋王暠)를 대신 세우려 하자 그 계획을 좌절시킴.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내고, 문장이 뛰어나 당대 표전(表箋)을 많이 지음.
1265~134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선주(先主)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선주(善州) - 선산(善山)
경상북도 구미(龜尾) 지역에 있던 고을 이름. 금오산(金烏山)과 천생산(天生山) 등이 병풍처럼 싸안고 있고, 낙동강(洛東江)이 가로지르고 있음.
경상도>선산 , 지명>행정지명
-
선주(宣州) - 선천(宣川)
평안북도 서남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태조(太祖) 이후 북방의 요충지 중 하나로 강동육주(江東六州) 중 통주(通州)에 해당됨.
평안도>선천 , 지명>행정지명
-
선주백(善州伯) - 김선궁(金宣弓)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태조(太祖)가 선궁(宣弓)이란 이름을 하사함.
922~?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무신
-
선주성(宣州城) - 동림산성(東林山城)
평안북도 선천(宣川)에 위치한 산성. 고려 전기에 강동육주(江東六州)를 수복한 다음 여진족을 방어하기 위해 쌓음. 둘레 약 5.4km, 높이 5m. 의주(義州)로 통하는 관문에 위치함.
한국>고려전기 , 평안도>선천 , 유적>시설>성,진,책
-
선지(善之)@원선지 - 원선지(元善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충선왕(忠宣王)은 토번(吐番)으로 유배되고, 충숙왕은 원(元) 나라에 머물러 있어 동요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홀로 의리를 버리지 않았음.
1281~133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선지(善之) - 안처선(安處善)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497년(연산군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선지(瑄之) - 어계선(魚季瑄)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좌참찬(左參贊)을 지내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며, 충효를 겸전하고 예서(隸書)에 능함.
1502~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선지교(選地橋) - 선죽교(善竹橋)
경기도 개성(開城) 선죽동(善竹洞)에 있는 돌다리 이름. 고려 태조(太祖) 때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 말에 정몽주(鄭夢周)가 이방원(李芳遠)이 보낸 조영규(趙英珪) 등에 의해 피살된 장소로 유명함.
91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유적>시설>기타시설
-
선차(宣差) - 이사백(李師伯)
고려 후기의 인물.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그가 차(茶)를 보내준 데 대해 사례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선철(先哲) - 윤선철(尹先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탁(尹倬)의 아들이며, 양주 목사(楊州牧使) 윤경(尹暻)의 아버지로, 부정(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선초(善初) - 박호원(朴好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남평 현감(南平縣監)을 지낸 박이(朴苡)의 아들로, 명종 때 토포사(討捕使)의 종사관(從事官)에 임명되어 임꺽정(林巨正) 등 도적을 진압함. 대사헌(大司憲)ㆍ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냄.
152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선초(善初)@김선초 - 김선초(金善初)
조선 전기의 문신. 《구암집(龜巖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안악 , 인명>관인>문신
-
선춘현(先春峴) - 선춘령(先春嶺)
함경도 두만강(豆滿江)의 북쪽 칠백 리 지점에 있는 고개. 1107년(예종 2)에 윤관(尹瓘)이 여진족(女眞族)을 내쫓고 9성(城)을 쌓은 뒤 이곳에 ‘고려지경(高麗之境)이라는 경계비(境界碑)를 세움.
함경도>회령 , 지명>자연지명
-
선취옹(先醉翁) - 서할(徐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의 동서(同壻)이며,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의 족숙(族叔).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문사>유학
-
선치(先致) - 김선치(金先致)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홍건적(紅巾賊)을 평정시켜 일등공신(一等功臣)이 되어 그 형상이 벽상(壁上)에 그려짐.
1318~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선평(宣平) - 김선평(金宣平)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신안동김씨(新安東金氏)의 시조. 권행(權幸)ㆍ장길(張吉) 등과 함께 태조를 도와 후백제의 견훤(甄萱)을 고창군에서 대파하는 데 공을 세워 아부공신(亞父功臣)을 받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선행(先幸) - 홍선행(洪先幸)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 당성(唐城)에 세거한 사족(士族)의 후손으로, 금오위 별장(金吾衛別漿)을 지냈으며, 남양홍씨(南陽洪氏) 토홍계(土洪系)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무신
-
선행(善行)@고용후 - 고용후(高用厚)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들.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판결사(判決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청사집(晴沙集)》ㆍ《정기록(正氣錄)》 등이 있음.
157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선행(善行) - 권목(權霂)
조선 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두인(權斗寅)의 아버지. 김중청(金中淸)의 문인으로, 영릉 참봉(英陵參奉)을 지내고, 권유(權濡)와 함께 《충재집(冲齋集)》을 간행하는 데 힘씀.
1614~16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선향(善鄕) - 선산(善山)
경상북도 구미(龜尾) 지역에 있던 고을 이름. 금오산(金烏山)과 천생산(天生山) 등이 병풍처럼 싸안고 있고, 낙동강(洛東江)이 가로지르고 있음.
경상도>선산 , 지명>행정지명
-
선헌(宣獻)@두황상 - 두황상(杜黃裳)
중국 당(唐) 숙종(肅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태상경(太常卿)ㆍ문하시랑(門下侍郎)ㆍ중서문하평장사(中書門下平章事) 등을 지냈으며, 배도(裵度)와 함께 어질고 강직한 신하로서 군주를 충직하게 보좌한 인물로 비유됨.
739~808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선헌(宣獻) - 누약(樓鑰)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직언(直言)을 잘 하여 중서사인(中書舍人)에 등용되고 그 뒤 한림학사(翰林學士)ㆍ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냄. 경사(經史)의 고증에 능하고 시문(詩文)ㆍ서예에도 뛰어남.
1137~121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선형(璿衡) - 혼천의(渾天儀)
고대에 천체(天體)의 운행과 위치를 관측하던 장치(裝置). 구형(球形)의 겉면에 해ㆍ달ㆍ별 등의 천상(天像)을 그려 사각(四脚)의 틀 위에 올려놓고 돌리면서 관측함.
중국>전한 , 중국 , 물품>기타용품>공구
-
선혜(宣惠) - 순종(順宗)@고려
고려 제12대 국왕. 재위 1083~1083. 1054년(문종 8) 왕태자(王太子)에 책봉되고, 문종(文宗)이 죽자 즉위하나 그해에 죽음.
1046~108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선호(仙豪)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선호지(船乎知) - 백운동(白雲洞)
경상북도 영주(榮州)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중종(中宗) 때 풍기 군수(豊基郡守) 주세붕(周世鵬)이 흰 구름이 골짜기에 서려 있다고 하여 백운동(白雲洞)이라 이름 지음.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지명>자연지명
-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 고려도경(高麗圖經)
중국 송(宋) 나라의 서긍(徐兢)이 1123년 국신사(國信使)의 일원으로 고려에 왔을 때 보고 들은 고려의 여러 가지 실정을 그림을 곁들여서 기록한 책. 전 40권.
1124?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선황제(宣皇帝) - 선제(宣帝)@남북조(북주)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의 제4대 황제. 재위 578~579. 무제(武帝)의 맏아들이며 정제(靜帝)의 아버지. 포악하고 황음무도(荒淫無道)하여 국력의 쇠퇴를 초래함.
559~58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선황제(宣皇帝)@정조 - 정조(正祖)
조선 제22대 왕. 재위 1776~1800. 숙종(肅宗)ㆍ영조(英祖)의 탕평론을 이어받아 재위 초부터 민산(民産)ㆍ인재(人才)ㆍ융정(戎政)ㆍ재용(財用) 등의 부문별로 왕정체제를 강화하여 위민정치를 실현하고자 매진함.
1751~18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선휘(宣徽) - 왕공신(王拱辰)
중국 송(宋)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낙양 유수(洛陽留守)ㆍ어사중승(御史中丞)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설(卨) - 설(契)
중국 은(殷) 나라의 시조로 전해지는 전설상의 인물. 우(禹)의 치수(治水)를 도운 공으로 상(商)에 봉해지고, 자씨(子氏) 성을 하사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설(渫) - 민설(閔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예조 전서(禮曹典書) 민경생(閔慶生)의 아들로, 직예문관(直藝文館)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설강(雪江)@유사 - 유사(柳泗)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유희송(柳希松)의 아들로, 낙안 군수(樂安郡守)ㆍ종성 부사(鍾城府使) 등을 지냄.
1502~157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설강(雪江) - 안현(安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우의정ㆍ좌의정 등을 역임하였음. 의술에 정통하여 내외 의국(醫局)도 관리하였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01~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설계(雪溪)@문려 - 문려(文勵)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로, 정인홍(鄭仁弘)의 문인.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했으며,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왜적을 치는 데 공을 세워 선무 일등공신(宣武一等功臣)에 책록됨.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설계(雪溪) - 김인경(金仁慶)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 본관은 광산(光山). 중종의 딸인 혜순옹주(惠順翁主)와 결혼함. 동서지간인 여성군(礪城君) 송인(宋寅)과 주고 받은 시들이 《이암유고(頤庵遺稿)》에 실려 있음.
1514~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왕실>인척
-
설계학사(雪溪學士)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설곡(雪谷)@어몽룡 - 어몽룡(魚夢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함종(咸從). 군수(郡守) 어운해(魚雲海)의 아들로, 진천 현감(鎭川縣監)을 지냄. 묵매(墨梅)를 잘 그려서 이정(李霆)의 묵죽(墨竹), 황집중(黃執中)의 묵포도와 함께 당시의 삼절(三絶)로 불림.
1566~?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함종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설곡(雪谷) - 정보(鄭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의 손자로, 사육신(死六臣)의 무죄를 주장하다가 연일(延日)로 유배된 뒤 단성(丹城)으로 이배(移配)되어 죽임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설곡(雪谷)@정포 - 정포(鄭誧)
고려 후기의 문신. 정해(鄭瑎)의 손자이자 정책(鄭㥽)의 아들로,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냄. 시와 문장이 간결하고 예스러우며, 《설곡집(雪谷集)》이 전해짐.
1309~1345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설곡선생(雪谷先生) - 정포(鄭誧)
고려 후기의 문신. 정해(鄭瑎)의 손자이자 정책(鄭㥽)의 아들로,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냄. 시와 문장이 간결하고 예스러우며, 《설곡집(雪谷集)》이 전해짐.
1309~1345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설곡선생집(雪谷先生集) - 설곡집(雪谷集)
고려 후기의 문신인 정포(鄭誧)의 문집. 아들 정추(鄭樞)가 전후 2권으로 편집하고, 1376년(우왕 2) 안동 도호부사(安東都護府使)인 이방한(李邦翰)이 2권 1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37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설공(薛公) - 전영(田嬰)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장군. 위왕(威王)의 아들이자 맹상군(孟嘗君)의 아버지로, 위(魏) 나라의 군사를 대패시키는 등 제 나라를 강성하게 하는 데 공헌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설공찬환혼전(薛公瓚還魂傳) - 설공찬전(薛公贊傳)
조선 중종(中宗) 때 채수(蔡壽)가 지은 고전소설. 귀신 또는 저승을 주요 소재로 활용하여 당대의 정치와 사회 및 유교이념의 한계를 비판함.
1511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설당(雪堂)@왕선 - 왕선(王詵)
중국 북송(北宋) 때의 서화가. 시(詩)와 사(詞)를 잘 지었고 서예에 능했으며, 특히 산수화를 잘 그림. 소동파(蘇東坡)ㆍ황정견(黃庭堅)ㆍ미불(米芾) 등과 친교가 깊었음.
1048~1104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설당(雪堂)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설대리(薛大理) - 설선(薛瑄)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주학파(程朱學派)의 이학(理學)을 계승하였으며, 이부우시랑(吏部右侍郞) 겸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역임함. 저서에 《설문청집(薛文淸集)》이 있음.
1389~146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설도전(薛濤箋) - 설도전(薛濤牋)
중국 당(唐) 나라의 종이. 기생 설도(薛濤)가 만년에 은거해서 심홍색 양질의 종이를 만들게 하여 그것을 이용하여 촉(蜀)의 명사들과 시를 증답(贈答)함.
중국>당 , 중국 , 물품>기타물품
-
설두(雪竇) - 중현(重顯)
중국 송(宋) 나라 운문종(雲門宗)의 승려. 성도 보안원(成都普安院)의 인선(仁銑)과 지문 광조(智門光祚)에게 사사하였으며, 저서에는 《설두송고(雪竇頌古)》와 《설두칠부집(雪竇七部集)》 등이 있음.
980~1052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설두중현(雪竇重顯) - 중현(重顯)
중국 송(宋) 나라 운문종(雲門宗)의 승려. 성도 보안원(成都普安院)의 인선(仁銑)과 지문 광조(智門光祚)에게 사사하였으며, 저서에는 《설두송고(雪竇頌古)》와 《설두칠부집(雪竇七部集)》 등이 있음.
980~1052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설령(雪嶺) - 설한령(雪寒嶺)
평안도 강계(江界)와 함경도 장진(長津)의 경계에 있는 고개. 개마고원(蓋馬高原) 지역과 자강고원(慈江高原) 지역을 잇는 주요한 교통요지임.
함경도>삼수ㅣ평안도>강계 , 지명>자연지명
-
설례(薛禮) - 설인귀(薛仁貴)
중국 당(唐) 나라의 장군. 658년 고구려 원정에 나섰다가 횡산(橫山)에서 패했으며, 남생(男生)이 당 나라에 원병을 청하자 좌무위장군(左武衛將軍)으로 다시 고구려를 침략하여 고구려 멸망 후 검교안동도호(檢校安東都護)가 됨.
614~68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설록(雪錄) - 설원록(雪寃錄)
고려 말 충신인 차원부(車原頫)의 유작(遺作)과 비운(悲運)의 일대기를 기록한 책. 박팽년(朴彭年)의 기문(記文)과 하위지(河緯地)의 서문(序文)이 있음.
185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설리(設利) - 사리(舍利)
참된 불도(佛道)의 수행 결과로 생기는 구슬 모양의 유골. 양산(梁山) 통도사(通度寺)와 오대산(五臺山) 상원사(上院寺) 등에 석가(釋迦)의 진신사리(眞身舍利)가 봉안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짐.
사상>현상>신체증상
-
설리라(設利羅) - 사리(舍利)
참된 불도(佛道)의 수행 결과로 생기는 구슬 모양의 유골. 양산(梁山) 통도사(通度寺)와 오대산(五臺山) 상원사(上院寺) 등에 석가(釋迦)의 진신사리(眞身舍利)가 봉안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짐.
사상>현상>신체증상
-
설림(舌林) - 서천(舒川)
충청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지금의 서천군(舒川郡)은 조선시대의 서천ㆍ한산(韓山)ㆍ비인(庇仁)의 세 고을이 합하여 이루어짐.
충청도>서천 , 지명>행정지명
-
설문(說文) - 설문해자(說文解字)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인 허신(許愼)이 지은 중국 최초의 자서(字書). 소전(小篆) 9,353자와 고문(古文)ㆍ주문(籒文) 등 1,063자를 540부로 분류하여 육서(六書)의 의의(意義)를 추구함. 30권.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설백(雪栢) - 신여정(申汝挺)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광주 부윤(廣州府尹)을 지낸 신준(申埈)의 아들로, 1635년(인조 1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양성 현감(陽城縣監)을 지냈으며, 영국공신(寧國公臣)에 책록됨.
1615~165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설봉(說峯) - 연사(演師)
고려 후기의 승려.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원천석(元天錫)과 수창(酬唱)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설봉(雪峰) - 각연(覺演)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독곡(獨谷) 성석린(成石璘)과 교유하였고, 《독곡집(獨谷集)》에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설봉(雪峰)@박신 - 박신(朴信)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운봉(雲峰). 운성부원군(雲城府院君) 박종우(朴從愚)의 아버지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 조선 개국 후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362~144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운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설부보(偰符寶) - 설사(偰斯)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문신. 원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명 태조(太祖) 주원장(朱元璋)에게 귀부하였으며, 일찍이 부보랑(符寶郞)으로 고려에 사신 와서 공민왕(恭愍王)을 책봉하고 인(印)과 금단(錦段)을 전달함.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설빈옹(雪鬢翁)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설사(雪簑) - 남이공(南以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남호(南琥)의 아들. 선조 때 이발(李潑)ㆍ정인홍(鄭仁弘) 등과 함께 북인(北人)의 우두머리로서 영의정(領議政) 유성룡(柳成龍)을 탄핵ㆍ파직시킴. 이조 판서(吏曹判書)ㆍ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를 지냄.
1565~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설사례(薛思禮) - 원효(元曉)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신문왕(神文王) 때의 고승. 불교사상의 융합과 그 실천에 힘쓴 정토교(淨土敎)의 선구자이며, 평생 불교의 대중화에 힘씀.
617~686 한국>통일신라ㅣ한국>신라 , 경상도>경주ㅣ경상도>경산 , 인명>종교인>승려
-
설사룡(薛士龍) - 설계선(薛季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심성의 수양보다는 국가정책, 국방, 재정, 민생의 안정 등 사회ㆍ정치적 문제를 주요 관심의 대상으로 하는 사공파(事功派)의 학자로서 《서고문훈(書古文訓)》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설산(雪山) - 가야산(伽倻山)
경상도 성주(星州)와 합천(陜川) 사이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설산(雪山)@설악산 - 설악산(雪嶽山)
강원도 양양(襄陽)ㆍ인제(麟蹄)ㆍ속초(束草)에 걸쳐 있는 산 이름.
강원도>인제ㅣ강원도>양양 , 지명>자연지명
-
설서당(薛誓堂) - 원효(元曉)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신문왕(神文王) 때의 고승. 불교사상의 융합과 그 실천에 힘쓴 정토교(淨土敎)의 선구자이며, 평생 불교의 대중화에 힘씀.
617~686 한국>통일신라ㅣ한국>신라 , 경상도>경주ㅣ경상도>경산 , 인명>종교인>승려
-
설서당(薛誓幢) - 원효(元曉)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신문왕(神文王) 때의 고승. 불교사상의 융합과 그 실천에 힘쓴 정토교(淨土敎)의 선구자이며, 평생 불교의 대중화에 힘씀.
617~686 한국>통일신라ㅣ한국>신라 , 경상도>경주ㅣ경상도>경산 , 인명>종교인>승려
-
설선(薛禪) - 세조(世祖)@원
몽고 제국의 제5대 칸으로, 중국 원(元) 나라의 시조. 재위 1260~1294. 칭기즈 칸의 손자이며, 예종(睿宗)의 아들로, 일본ㆍ중앙아시아ㆍ유럽에까지 원정(遠征)하여 대제국을 건설함.
1215~1294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설성(雪城)@음성 - 음성(陰城)
충청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북쪽으로는 충주(忠州), 남쪽으로는 괴산(槐山)ㆍ청안(淸安), 서쪽으로는 진천(鎭川)에 접해 있음.
충청도>음성 , 지명>행정지명
-
설성(雪城)@음죽 - 음죽(陰竹)
경기도 동남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기도 내륙지방의 교통요지로서 도로가 발달하였고, 천민천(天民川) 유역은 기름진 평야로 쌀이 많이 생산됨. 현재는 경기도 이천시(利川市)에 편입됨.
경기도>음죽 , 지명>행정지명
-
설소보(薛少保) - 설직(薛稷)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 태자소보(太子少保) 등을 역임하였으며, 두회정(竇懷貞)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됨.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모두 능하여 명성을 떨침.
649~713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