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설송(雪松) - 김해(金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醴安). 영흥 도호부사 (永興都護府使) 김반천(金半千)의 아들.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내던 중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항전하다가 전사함.
1534~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설순빙리(雪笋冰鯉) - 설순빙리(雪筍冰鯉)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맹종(孟宗)이 눈 속에서 죽순(竹筍)을 구한 일과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왕상(王祥)이 얼음을 녹여 잉어를 얻은 일에서 나온 고사성어로, 지극한 효성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설순빙어(雪笋氷魚) - 설순빙리(雪筍冰鯉)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맹종(孟宗)이 눈 속에서 죽순(竹筍)을 구한 일과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왕상(王祥)이 얼음을 녹여 잉어를 얻은 일에서 나온 고사성어로, 지극한 효성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설신당(薛新幢) - 원효(元曉)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신문왕(神文王) 때의 고승. 불교사상의 융합과 그 실천에 힘쓴 정토교(淨土敎)의 선구자이며, 평생 불교의 대중화에 힘씀.
617~686 한국>통일신라ㅣ한국>신라 , 경상도>경주ㅣ경상도>경산 , 인명>종교인>승려
-
설암(雪庵) - 김태현(金台鉉)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수(金須)의 아들. 《동국문감(東國文鑑)》을 편찬함.
1261~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설암(雪菴) - 이부광(李溥光)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ㆍ서예가. 조맹부(趙孟頫)가 주방(酒坊)에 쓴 그의 글씨를 보고 추천하여 세조(世祖) 때 소문관 태학사(昭文館太學士)에 봉해짐. 한때 궁성(宮城) 전각의 편액(扁額)에 그의 작품이 많았다고 함.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예술인>서화가
-
설연(偰椽) - 설장수(偰長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한 후 공양왕(恭讓王) 옹립에 공을 세움. 정몽주(鄭夢周)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조선 개국 후 복직되어 여러 차례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옴.
1341~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설옹(雪翁)@양연 - 양연(梁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양성지(梁誠之)의 손자로, 대사헌(大司憲)일 때 왕의 밀지를 받아 김안로(金安老)ㆍ채무택(蔡無擇)ㆍ허항(許沆) 등을 탄핵하여 처형시킴. 훈구파(勳舊派)의 중심인물로 사림파(士林派)를 배척함.
?~154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설옹(雪翁) - 정포(鄭誧)
고려 후기의 문신. 정해(鄭瑎)의 손자이자 정책(鄭㥽)의 아들로,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냄. 시와 문장이 간결하고 예스러우며, 《설곡집(雪谷集)》이 전해짐.
1309~1345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설원(雪園) - 양원(梁園)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 양효왕(梁孝王) 유무(劉武)가 하남성(河南省) 개봉현(開封縣) 동남쪽에 만든 정원. 매승(枚乘)ㆍ사마상여(司馬相如) 등 사부(辭賦)에 뛰어난 문사들을 초청하여 주연을 베풀던 곳으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기타유적
-
설월(雪月) - 김부륜(金富倫)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김성일(金誠一)ㆍ이발(李潑)과 도의를 강마하였으며, 만년에 설월당(雪月堂)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
1531~15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설월당(雪月堂) - 김부륜(金富倫)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김성일(金誠一)ㆍ이발(李潑)과 도의를 강마하였으며, 만년에 설월당(雪月堂)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
1531~15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설월당선생문집(雪月堂先生文集) - 설월당집(雪月堂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김부륜(金富倫)의 시문집. 6권 3책의 석인본(石印本). 7대손 김시찬(金是瓚) 등이 정조(正祖) 연간에 수집한 원고를 10대손 김제면(金濟冕) 등이 개정(改正)하여 1940년 안동(安東)에서 간행함.
1940 한국>근대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설월옹(雪月翁) - 김부륜(金富倫)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김성일(金誠一)ㆍ이발(李潑)과 도의를 강마하였으며, 만년에 설월당(雪月堂)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
1531~15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설월유고(雪月遺稿) - 설월당집(雪月堂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김부륜(金富倫)의 시문집. 6권 3책의 석인본(石印本). 7대손 김시찬(金是瓚) 등이 정조(正祖) 연간에 수집한 원고를 10대손 김제면(金濟冕) 등이 개정(改正)하여 1940년 안동(安東)에서 간행함.
1940 한국>근대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설월유집(雪月遺集) - 설월당집(雪月堂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김부륜(金富倫)의 시문집. 6권 3책의 석인본(石印本). 7대손 김시찬(金是瓚) 등이 정조(正祖) 연간에 수집한 원고를 10대손 김제면(金濟冕) 등이 개정(改正)하여 1940년 안동(安東)에서 간행함.
1940 한국>근대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설의(說誼) - 금강경오가해설의(金剛經五家解說誼)
조선 전기의 승려인 기화(己和)가 《금강경(金剛經)》의 주석서인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에 자신의 해석을 붙여 간행한 책. 세조(世祖) 때 동활자본으로 간행함.
145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설잠(雪岑)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설장군(薛將軍) - 설인귀(薛仁貴)
중국 당(唐) 나라의 장군. 658년 고구려 원정에 나섰다가 횡산(橫山)에서 패했으며, 남생(男生)이 당 나라에 원병을 청하자 좌무위장군(左武衛將軍)으로 다시 고구려를 침략하여 고구려 멸망 후 검교안동도호(檢校安東都護)가 됨.
614~68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설전(薛牋) - 설도전(薛濤牋)
중국 당(唐) 나라의 종이. 기생 설도(薛濤)가 만년에 은거해서 심홍색 양질의 종이를 만들게 하여 그것을 이용하여 촉(蜀)의 명사들과 시를 증답(贈答)함.
중국>당 , 중국 , 물품>기타물품
-
설조명(薛肇明) - 설앙(薛昂)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문하시랑(門下侍郞)ㆍ자정전 대학사(資政殿大學士) 등을 지냈으며, 왕안석(王安石)과 교유함.
?~113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설지충(薛之忠) - 설지충(薛之冲)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설공검(薛公儉)의 아들. 독로화(禿魯花)로서 원(元) 나라에 다녀왔으며,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설창(雪囱) - 이정은(李貞恩)
조선 태종(太宗)의 아들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둘째 아들. 음률(音律)과 시(詩)에 뛰어나고 청담파(淸談派)의 일원이 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설창(雪窓) - 권두인(權斗寅)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심함.
1643~17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봉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설창(雪窓)@이정은 - 이정은(李貞恩)
조선 태종(太宗)의 아들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둘째 아들. 음률(音律)과 시(詩)에 뛰어나고 청담파(淸談派)의 일원이 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설천(雪川) - 어몽룡(魚夢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함종(咸從). 군수(郡守) 어운해(魚雲海)의 아들로, 진천 현감(鎭川縣監)을 지냄. 묵매(墨梅)를 잘 그려서 이정(李霆)의 묵죽(墨竹), 황집중(黃執中)의 묵포도와 함께 당시의 삼절(三絶)로 불림.
1566~?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함종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설천(雪泉) - 안성(安省)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문과에 급제하여 보문각 직학사(寶文閣直學士)ㆍ상주 판관(尙州判官)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참찬(參贊) 등을 지냄.
?~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설초(雪樵) - 윤안국(尹安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윤응상(尹應商)의 아들로, 병조 참의(兵曹參議)ㆍ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역임함.
1569~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설하(雪下) - 남기제(南紀濟)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으로, 〈용문산문답(龍門山問答)〉과 《아아록(我我錄)》을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설하거사(雪下居士) - 남기제(南紀濟)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으로, 〈용문산문답(龍門山問答)〉과 《아아록(我我錄)》을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설학(雪壑) - 이대기(李大期)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전치원(全致遠) 등과 정인홍(鄭仁弘)의 휘하에서 공을 세웠으며, 청풍 군수(淸風郡守)ㆍ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초계(草溪)의 청계서원(淸溪書院)에 배향됨.
1551~162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설학재(雪壑齋) - 정구(鄭矩)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감찰대부(監察大夫) 정양생(鄭良生)의 아들로,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ㆍ의정부 찬성(議政府贊成)을 지냄.
1350~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설한령(薛罕嶺) - 설한령(雪寒嶺)
평안도 강계(江界)와 함경도 장진(長津)의 경계에 있는 고개. 개마고원(蓋馬高原) 지역과 자강고원(慈江高原) 지역을 잇는 주요한 교통요지임.
함경도>삼수ㅣ평안도>강계 , 지명>자연지명
-
설한빙령(雪寒冰嶺) - 설한령(雪寒嶺)
평안도 강계(江界)와 함경도 장진(長津)의 경계에 있는 고개. 개마고원(蓋馬高原) 지역과 자강고원(慈江高原) 지역을 잇는 주요한 교통요지임.
함경도>삼수ㅣ평안도>강계 , 지명>자연지명
-
설헌(雪軒) - 정오(鄭䫨)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원(元) 나라에서 왕을 수종한 공으로 1등 공신이 되었으며,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올라 서원군(西原君)에 봉해졌으며,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됨.
?~135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설호진(薛虎珍) - 설거백(薛居伯)
신라 개국공신(開國功臣) 6부 촌장 중 한 사람. 경주(慶州)를 본관으로 하는 순창설씨(淳昌薛氏)의 시조. 신라 516년(법흥왕 3)에 무신공(武信公)으로 시호되고 무열왕(武烈王) 때 장무왕(壯武王)에 추봉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
-
섬(暹) - 강섬(姜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강공망(姜公望)의 아들. 1546년(명종 1)에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16~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섬(暹)@신섬 - 신섬(申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용궁 현감(龍宮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섬(暹)@홍섬 - 홍섬(洪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언필(洪彦弼)의 아들이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김안로(金安老)ㆍ이량(李樑)ㆍ남곤(南袞)의 횡포를 탄핵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경서에 밝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04~15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섬(暹)@황섬 - 황섬(黃暹)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황응규(黃應奎)의 아들이며 정탁(鄭琢)의 문인.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고 평안도 모운사(平安道募運使)가 되어 군량 조달 등의 공을 세움.
1544~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섬(暹)@경섬 - 경섬(慶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통신부사(通信副使)가 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첫 번째 사절로 일본에 건너가 국교를 다시 열게 하고 임진왜란 때의 포로 1,340명을 데리고 돌아옴.
1562~162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섬(暹)@안섬 - 안섬(安暹)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섬(蟾) - 황섬(黃蟾)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장수(長水). 판결사(判決事)를 지낸 황윤준(黃允峻)의 아버지로, 첨절제사(僉節制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무신
-
섬(贍) - 김섬(金贍)
고려 후기의 문신. 문하주서(門下注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섬(銛) - 이섬(李銛)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첫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섬강(蟾江) - 섬진강(蟾津江)
전라도 진안(鎭安)에서 발원하여 동부지역을 남류(南流)하고, 경상도 하동(河東)을 지나 남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전라도>진안ㅣ경상도>하동 , 지명>자연지명
-
섬강노인(蟾江老人) - 김익수(金益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중종 때 진하사(進賀使)로 중국에 다녀왔으며, 충청도 관찰사, 형조ㆍ병조 참판 등을 역임함.
14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섬계생(剡溪生) - 대규(戴逵)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화가ㆍ학자. 인품이 고상하여 당대의 명사인 사안(謝安)ㆍ사현(謝玄)ㆍ왕순(王珣)ㆍ왕휘지(王徽之) 등에게 존경을 받음.
?~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
-
섬지(掞之) - 위섬지(魏掞之)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자(朱子)와 교유하였음. 포의(布衣)로 발탁되어 벼슬이 태학록(太學錄)에 이름. 사부(詞賦)를 폐(廢)하기를 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떠나 독서에 전념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섬촌(蟾村) - 민우수(閔遇洙)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麗興)으로, 충문공(忠文公) 민진후(閔鎭厚)의 아들. 김창협(金昌協)ㆍ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신임사화(辛壬士禍) 이후 관직에서 물러나 학업에 전념함.
1694~175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섭(涉) - 가섭(賈涉)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가사도(賈似道)의 아버지로 관직은 경동하북로 진무대사(京東河北路鎭撫大使)에 이름.
1178~12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섭(涉)@당 - 이섭(李涉)@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이균(李鈞)의 아들로, 동생 이발(李渤)과 함께 백록동(白鹿洞)에 은거하였다가 후에 태학 박사(太學博士) 등을 지냄.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섭(涉)@조선 - 이섭(李涉)@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천(鎭川). 직산 현감(稷山縣監) 이관림(李管林)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문사>유학
-
섭(涉)@유섭 - 유섭(柳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청주 목사(淸州牧使)로 왜적을 맞아 싸움.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섭(涉)@윤섭 - 윤섭(尹涉)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파평(坡平). 현감 윤철(尹轍)의 아들이며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형(姊兄)으로, 첨사(僉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섭(爕) - 윤섭(尹爕)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윤승류(尹承柳)의 아들로, 성종의 열한 번째 서녀(庶女)인 정숙옹주(靜淑翁主)와 혼인함.
?~151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왕실>인척
-
섭(𤫙) - 이섭(李𤫙)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의 계후(繼後)인 강양군(江陽君) 이숙(李潚)의 손자이며, 희안수(喜安守) 이집(李輯)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섭^형(聶^荊) - 형^섭(荊^聶)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자객인 형가(荊軻)와 한(韓) 나라의 자객인 섭정(聶政)을 함께 부르는 말. 의협심이 강한 사람을 말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섭공(葉公) - 심제량(沈諸梁)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대부. 《논어(論語)》에 공자(孔子)에게 정치에 대해 가르침을 청한 기록이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섭등(攝騰) - 가섭마등(迦葉摩騰)
고대 인도의 승려. 후한(後漢) 때 중국에 불법을 최초로 전하고 불경을 번역하였으며, 낙양(洛陽)에서 죽었음.
중국>후한 , 기타지역ㅣ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섭마등(攝摩騰) - 가섭마등(迦葉摩騰)
고대 인도의 승려. 후한(後漢) 때 중국에 불법을 최초로 전하고 불경을 번역하였으며, 낙양(洛陽)에서 죽었음.
중국>후한 , 기타지역ㅣ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섭수심(葉水心) - 섭적(葉適)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백웅(鄭伯熊)의 문인으로, 영가학파(永嘉學派)의 대표적 인물. 송대 성리학의 공담(空談)에 반대하고 도(道)는 개개의 사물과 분리될 수 없음을 주장함. 저서에 《섭적집(葉適集)》이 있음.
1150~12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섭원(爕元) - 남섭원(南爕元)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 본관은 의령(宜寧). 성종 때 우부승지를 지낸 남흔(南忻)의 아들로, 숙의김씨(淑儀金氏) 소생인 휘정옹주(徽靜翁主)와 혼인함. 경순옹주(慶順翁主)의 남편인 남치원(南致元)의 사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왕실>인척
-
섭윤(葉尹) - 심제량(沈諸梁)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대부. 《논어(論語)》에 공자(孔子)에게 정치에 대해 가르침을 청한 기록이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섭정칙(葉正則) - 섭적(葉適)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백웅(鄭伯熊)의 문인으로, 영가학파(永嘉學派)의 대표적 인물. 송대 성리학의 공담(空談)에 반대하고 도(道)는 개개의 사물과 분리될 수 없음을 주장함. 저서에 《섭적집(葉適集)》이 있음.
1150~12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섭평암(葉平巖) - 섭채(葉采)
중국 송(宋) 이종(理宗) 때의 문신. 건양(建陽) 출신으로 1241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경헌부 교수(景獻府敎授)ㆍ한림학사 겸 시강(翰林學士兼侍講) 등을 역임하였고, 명도(明道)와 주자(朱子)의 설을 모아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를 남김.
?~126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섭하손(葉賀孫) - 섭미도(葉味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저작 좌랑(著作佐郞) 등을 지내고, 주희의 어류(語類)를 모아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섭황제(攝皇帝) - 왕망(王莽)
중국 신(新) 나라의 황제. 재위 8~23년. 전한(前漢) 말에 왕위를 찬탈하고 황제가 되었으나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에 의해 멸망함.
B.C.45~A.D.23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城) - 김성(金城)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김종손(金宗孫)의 아들로, 오위 부장(五衛副將)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성(城)@윤성 - 윤성(尹城)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1528년(중종 2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하여 김인후가 그의 아들에게 지어준 시가 《하서전집(河西全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성(宬) - 구성(具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구사맹(具思孟)의 아들이자 원종(元宗)의 비(妃)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오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고,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참여하지 않은 일로 사후(死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58~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惺) - 박성(朴惺)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ㆍ의사(義士). 본관은 밀양(密陽). 박사눌(朴思訥)의 아들이고 정구(鄭逑)의 문인. 임진왜란 때는 김성일(金誠一)의 참모로, 정유재란 때는 이원익(李元翼)의 참모로 크게 활약함.
1549~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惺)@유성 - 유성(柳惺)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유영길(柳永吉)의 아들로, 1599년(선조 32) 정시(庭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헌납(獻納)ㆍ지평(持平) 등을 지냄. 유영경(柳永慶)이 이끄는 소북(小北)으로, 광해군이 즉위한 후 탄핵을 받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2~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성(成)@유공작 - 유공작(柳公綽)@당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헌종(憲宗)이 무예를 좋아하여 자주 사냥을 나가자 〈태의잠(太醫箴)〉을 지어 풍간(諷諫)함. 오원제(吳元濟)를 토벌할 때 공을 세우고,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냄.
765~83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성(成) - 종요(鍾繇)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 문제(文帝) 때의 문신ㆍ서예가. 호소(胡昭)와 함께 유덕승(劉德升)에게 글씨를 배우고, 해서(楷書)로 발전해가는 새로운 시대를 개척함으로써 왕희지(王羲之)와 더불어 ‘종왕(鍾王)’으로 병칭됨.
151~23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성(成)@변성 - 변성(邊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변처령(邊處寧)의 아들로, 1522년(중종 17) 별시(別試)에 급제하였고,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성(成)@김성 - 김성(金成)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역적. 판사(判事) 역임. 임중보(林仲甫)가 꾸민 역모에 연좌되어 참수 당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문신
-
성(成)@하성 - 하성(河成)
고려시대의 문신. 진주하씨(晉州河氏) 단계공파(丹溪公波)의 시조로, 주부(主簿)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성(晟)@조성 - 조성(趙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음악이론가ㆍ학자ㆍ의원. 본관은 평양(平壤). 정주 판관(定州判官) 조수함(趙守諴)의 아들이며, 조욱(趙昱)의 형.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았고, 군직(軍職)에 나가 의술을 가르쳤으며 편종ㆍ편경을 이정(釐正)함.
1492~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ㅣ서울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문사>학자
-
성(晟)@이성 - 창원군(昌原君)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두 번째 서자. 근빈(謹嬪) 박씨(朴氏)의 소생으로, 성격이 방탕(放蕩)하고 난폭하여 여러 차례 국문(鞫問)을 당함.
1457~14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성(晟) - 이성(李晟)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장군. 주자(朱泚)의 난을 평정하여 그 공으로 사도(司徒)가 되고, 봉천(奉天)의 포위를 푼 공으로 서평왕(西平王)에 봉해짐.
727~79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성(渻) - 서성(徐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으나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 후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를 호종함.
1558~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성(珹) - 유성(柳珹)
조선 전기의 유학.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유현강(柳玄江)이 지은 〈차면앙정운(次俛仰亭韻)〉의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성(省)@권성 - 권성(權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승(權昇)의 맏아들이며, 여주 목사(驪州牧使) 권현(權睍)의 형으로,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결성(結城)과 부안(扶安) 두 고을의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무신
-
성(省) - 안성(安省)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문과에 급제하여 보문각 직학사(寶文閣直學士)ㆍ상주 판관(尙州判官)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참찬(參贊) 등을 지냄.
?~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성(筬) - 허성(許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일본에 통신사로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을 직고하고, 임진왜란 때는 군병모집에 진력함.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48~161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성(誠)@민성 - 민성(閔誠)
조선 전기의 유학. 노수신(盧守愼)과 친분이 있어, 서우량(徐友諒)과 함께 자(字)를 지어줄 것을 청함. 노수신이 보낸 시들이 《소재집(穌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성(誠) - 이성(李誠)
조선 전기의 종친. 파림군(坡林君) 이주(李珘)의 아들이며, 독송정(獨松亭) 김개(金鎧)의 둘째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성(誠)@허성 - 허성(許誠)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허주(許周)의 아들이며 안동 부사(安東府使)를 지낸 허관(許寬)의 아버지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냄.
1382~14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성^간(成^簡) - 우^율(牛^栗)
조선 선조(宣祖) 때의 성리학자인 문간공(文簡公)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문성공(文成公) 율곡(栗谷) 이이(李珥)를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후기ㅣ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ㅣ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성^호(惺^虎) - 호^성(虎^惺)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문경호(文景虎)와 박성(朴惺)을 함께 부르는 말. 정철(鄭澈)을 간흉으로 비판했기 때문에 죄 없는 사람에 대해 무고한 사람을 말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성간(成澗) - 유성간(柳成澗)
고려 원종(元宗) 때의 문신. 한림학사(翰林學士) 유순(柳淳)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ㆍ영의정(領議政)을 지냄. 서산유씨(瑞山柳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성건(成乾) - 박성건(朴成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언(朴彦)의 아들로, 1472년(성종 3)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성검토(成檢討) - 성헌(成憲)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한림원 검토(翰林院檢討)를 지냈으며, 1568년(선조 2)에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을 지낸 왕새(王璽)와 함께 황태자 책립의 조서를 반포하기 위해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성경(成卿) - 이응(李凝)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1566년(명종 21)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냄.
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성경(盛卿) - 이만영(李萬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으로, 이석(李碩)의 아들.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을 지냈으며, 문장(文章)과 행의(行誼)로 유명하여 《함평선행록(咸平善行錄)》에 행적이 올라 있음.
1510~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성경(聖卿) - 동현(董賢)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 애제(哀帝)의 총애를 받아 권력을 휘두르다 애제가 죽은 후 자살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성계(成季) - 계우(季友)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형인 장공(莊公)이 죽자 그의 아들 반(般)을 세우려 하였으나 반이 살해되자 진(陳) 나라로 망명하였다가, 뒤에 장공의 아들인 신(申)을 희공(僖公)으로 옹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성계(成季)@임성계 - 임성계(林成季)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흥국군 판관(興國軍判官)을 지냈고, 주희(朱熹)와 교유하였으며 저서로 《애헌가전(艾軒家傳)》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성계(成季)@이소기 - 이소기(李昭玘)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소식(蘇軾)의 문인(門人)으로 문장에 뛰어났으며, 흡주 지사(歙州知事)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