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강유선(康惟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명종 때 발생한 이홍남(李洪男) 형제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살당함.
1520~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학자
-
강윤권(姜允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달성(姜達成)의 아들로, 1520년(중종 15)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사재감 정(司宰監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강윤덕(姜潤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과 교류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강윤성(康允成)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상산백(象山伯) 강서(康庶)의 아들로, 이부 시랑(吏部侍郞)ㆍ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냄. 조선 태조의 계비(繼妃) 신덕왕후(神德王后)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강윤희(康允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1519년(중종 14)에 사림파가 박원종(朴元宗) 등 정국공신(靖國功臣)을 배척하려 한다는 김우증(金友曾)의 말을 고변(告變)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강은(姜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기묘명현(己卯名賢)으로, 노후에는 김안국(金安國)과 학문을 강론하며 여생을 보냄.
1487~155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은(姜隱)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권근(權近)과 교류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응(姜應)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진주(晉州)로, 우승지(承政院右承旨)를 지낸 강삼(姜參)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강응서(姜應瑞)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강희(姜僖)의 아들로, 과의교위(果毅校尉)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강응석(康應晳)
조선 전기의 인물. 노수신(盧守愼)의 외종숙(外從叔)의 외손. 다섯 살 때 글자를 쓸 줄 알아서 노수신을 감탄하게 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강응정(姜應貞)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첨지중추부사 강의(姜毅)의 아들로, 효성이 지극하였음. 성균관 유생 시절 박연(朴演)ㆍ손효조(孫孝祖) 등과 함께 주자(朱子)의 고사에 따라 향약(鄕約)을 만들고, 《소학(小學)》을 강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유학
-
강응청(姜應淸)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강세경(姜世卿)의 아들. 효행(孝行)으로 인의(引儀)에 제수되고 용궁(龍宮)의 용곡리사(龍谷里社)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강응태(姜應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밀양도호부사(密陽都護府使) 등을 지내고, 효행이 지극하였으며, 임천서원(臨川書院)에 배향됨.
1495~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응황(姜應璜)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ㆍ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한 일로 유성룡의 추천을 받아, 병조 좌랑(兵曹佐郞)ㆍ예산 현감(禮山縣監)ㆍ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71~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의(康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주천(舟川) 강유선(康惟善)의 아버지로, 창원도호부사(昌原都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강이행(姜利行)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안복(姜安福)의 아들이며, 강징(姜澂)ㆍ강린(姜潾)의 아버지로, 충무위 부사맹(忠武衛副司猛)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강익(姜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1538년(중종 33)에 전강(殿講)에 합격해 회시(會試)에 직부(直赴)되었으며, 문정왕후(文定王后)의 국장도감(國葬都監)에서 도첨(都僉)을 지냄. 인재(忍齋) 홍섬(洪暹)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강익(姜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1566년(명종 21) 영남 유생 33인의 소두(疏頭)로 정여창(鄭汝昌)을 제향한 함양의 남계서원(灆溪書院)에 사액을 청하여 성사시킴, 학행으로 추천되어 소격서 참봉(昭格署參奉)을 지냄.
1523~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
-
강인(姜絪)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지냄.
1555~163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강인범(姜仁範)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진천군(晉川君) 강혼(姜渾)의 아버지이며 어득강(魚得江)의 장인으로, 별제(別提)를 지내고 좌찬성(左贊成)에 증직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인수(姜仁壽)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동향(同鄕) 사람인 문익성(文益成)ㆍ주이(周怡)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강자계(康自戒)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강자순(姜子順)
조선 제5대 문종(文宗)의 부마. 본관은 진주(晉州)로, 상호군(上護軍) 강휘(姜徽)의 아들. 문종의 딸 경숙옹주(敬淑翁主)와 혼인했으며, 성종(成宗) 때 황주 선위사(黃州宣慰使) 등을 지냄.
14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강자정(姜子正)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상호군(上護軍) 강휘(姜徽)의 아들이고, 반성위(班城尉) 강자순(姜子順)의 아우. 1469년(예종 1) 증광시(增廣試) 생원과(生員科)에 입격하였으며,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강자평(姜子平)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대사간(大司諫)ㆍ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내고, 사후(死後)에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추죄(追罪)되었으나 중종(中宗) 때 신원됨.
1430~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강재문집(康齋文集)
중국 명(明) 나라 학자인 오여필(吳與弼)의 문집. 12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강전(姜絟)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로, 개암(介庵) 강익(姜翼)의 손자. 강익의 유고(遺稿)를 수습하여 정광연(鄭光淵)에게 발문을 부탁하는 등 문집 정리에 노력함.
?~166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강정우(姜貞祐)
고려시대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시중(侍中)을 역임하였음.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제(姜霽)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의(引儀) 강응청(姜應淸)의 아들로, 영덕 현감(盈德縣監)ㆍ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냄.
1526~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강제(康帝)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4대 황제. 재위 342~344. 명제(明帝)의 아들이자, 성제(成帝)의 아우로, 성제가 죽은 후 권신 유빙(庾冰)ㆍ유익(庾翼)의 도움으로 즉위함.
322~34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강조(康兆)
고려 목종(穆宗)~현종(顯宗) 때의 무신. 목종의 모후인 천추태후(千秋太后)와 외척 김치양(金致陽)이 그들 사이에 태어난 아들을 목종의 후계자로 세우려 하자, 정변을 일으켜 현종을 옹립하고 목종을 시해함.
?~1010 한국>고려전기 , 인명>관인>무신
-
강종(康宗)
고려의 제22대 왕. 재위 1211~1213. 명종(明宗)의 맏아들. 1197년 부왕과 함께 최충헌(崔忠獻)에게 쫓겨 강화도로 갔다가, 희종(熙宗)을 폐한 최충헌에 의해 왕위에 오름.
1152~121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강종경(姜宗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사인(舍人) 강극성(姜克誠)의 아들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兪)를 지냈으며, 성혼(成渾)과 교분이 두터웠고, 특히 역학(易學)에 밝고 글씨를 잘 썼음.
1543~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종수(姜終壽)
조선 전기의 문신. 주부(主簿)를 지내고 신광한(申光漢)ㆍ심언광(沈彦光)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강종윤(姜宗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동생 강덕윤(姜德胤)과 함께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錄勳)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강중진(康仲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장류(杖流)됨.
1459~152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강중해(姜仲海)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 때의 은사(隱士). 형 강굉(姜肱)과 함께 효행(孝行)과 우애(友愛)로 이름이 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기타인명>은자
-
강지(江贄)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학자. 《자치통감(資治通鑑)》 294권을 선별하여 50권으로 엮어 《자치통감절요(資治通鑑節要)》를 만들었으나 당시에는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다가, 후손 강묵(江默)이 주희(朱熹)의 문하에 출입하면서 질정(質正) 하여 유명해짐.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강지연(康之淵)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신천강씨(信川康氏)의 시조로, 몽고의 난이 일어나 강화도로 천도할 때 왕을 호종하여 호성공신(扈聖公臣)이 되고 신성부원군(信城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강진(康津)
전라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청자의 주요 생산지였으며,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19년간 유배생활을 했던 곳으로 잘 알려짐.
전라도>강진 , 지명>행정지명
-
강진유씨(康津兪氏)
고려 말에 감문위 상장군(監門衛上將軍)을 지낸 유적(兪迪)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집단>성씨
-
강진향(降眞香)
유구(琉球)ㆍ태국(泰國)ㆍ중국(中國) 등지에서 나는 향나무로 만든 향(香) 이름. 돌림병이 돌 때나 집안에 괴상한 기운이 있을 때 피우면 나쁜 기운을 물리칠 수 있다고 함.
물품>기타용품>의료용품
-
강진휘(姜晉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諭) 강종경(姜宗慶)의 아들.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ㆍ선전관(宣傳官)을 지냈지만 30세의 나이로 요절함.
1567~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징(姜澂)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진주(晉州). 글씨에 능하여 중종(中宗)의 총애를 받음.
1466~153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강창귀(姜昌貴)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음직으로 판도정랑(版圖正郞)에 오르고, 아들 군보(君寶)의 공적으로 문하시중(門下侍中) 진원부원군(晉原府院君)에 증직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첨(姜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선조 때 사간(司諫)으로 있으면서 최영경(崔永慶)ㆍ정철(鄭澈) 등을 탄핵함.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ㆍ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59~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촌별곡(江村別曲)
조선 선조(宣祖) 때 차천로(車天輅)가 지은 우리말 가사(歌辭). 벼슬을 버리고 자연 속에 한가로이 묻혀 지내는 심정을 읊은 내용임.
한국>조선시대 , 문헌>작품명
-
강총(江摠)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문신ㆍ문인. 양(梁)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진 나라 후주(後主) 때 상서령(尙書令)이 되었으며, 뒤에 수(隋) 나라에서 상개부(上開府)를 지냄. 문장에 능하고 특히 시에 뛰어났음.
519~5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강태수(姜台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할아버지는 희맹(希孟)이고, 아버지는 장례원 사평(掌隸院司評) 학손(鶴孫)이며, 큰아버지 귀손(龜孫)에게 입양되었음.
1479~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필주(姜弼周)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생원 강희철(姜熙哲)의 아버지로, 훈도(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강학년(姜鶴年)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었으나 장령(掌令)으로서 공신들의 폐단을 상소하다가 파직됨. 효종(孝宗) 때 홍명하(洪命夏)의 상소로 신원되어 대사헌에 추증되고, 회덕의 용호사(龍湖祠)에 제향됨.
1585~164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학손(姜鶴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희맹(姜希孟)의 아들이며, 강귀손(姜龜孫)의 아우로, 조지서 사지(造紙署司紙)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강한(姜漢)
조선 성종(成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서예가. 본관은 진주(晉州). 학행과 뛰어나고 필법(筆法)이 정묘했으며,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문하(門下)에서 정옥견(鄭玉堅)ㆍ권오복(權五福)ㆍ정사룡(鄭士龍) 등이 배출되었음.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항(姜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으로 활약하다 일본에 잡혀간 뒤 성리학을 전파하여, 일본 주자학의 개조가 된 등원성와(藤原醒窩)에게 학문적 영향을 미침.
1567~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해(康海)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림수찬(翰林修撰) 등을 지냈으며, 이몽양(李夢陽) 등과 문학의 복고(復古)를 주창한 전칠자(前七子) 중의 한 사람. 특히 산곡(散曲)에 뛰어나 왕구사(王九思)와 함께 대가로 일컬어짐.
1475~154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강헌저황후(康獻褚皇后)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동진(東晉) 효무제(孝武帝)의 황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강혁(江革)
중국 후한(後漢) 때의 효자. 임치(臨淄) 사람으로 홀어머니를 봉양하였는데, 난리를 만나 피난하던 도중 도적을 만났지만 도적들이 그의 효성에 감복하여 피난길을 알려 주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강현(姜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김안로(金安老)의 간사(奸邪)를 논핵하여 귀양보냄.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형조판서(刑曹判書)ㆍ경연특진관(經筵特進官) 등을 지냄.
1486~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 , 인명>관인>문신
-
강형(姜詗)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낸 강자평(姜子平)의 아들. 1504년(연산군 10)에 대사간(大司諫)이 되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인해 처형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호(姜滸)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사안(姜士安)의 양부(養父)로,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이조 판서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호가도(江湖歌道)
조선시대 시가문학(詩歌文學)에 널리 나타난 자연 예찬의 문학 사조(思潮). 자연에 묻혀 살면서 유교적 관념을 노래한 작품이 많으며, 이현보(李賢輔)와 송순(宋純)에 이르러 구체적으로 풍조(風潮)가 성립됨.
한국>조선시대 , 사상>기법>방법
-
강호문(康好文)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1362년(공민왕 11)에 과거에 급제하여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를 지냈으며, 시문(詩文)에 능함. 부인 문씨(文氏)는 왜구에게서 순결을 지켜 열녀(烈女)로 칭송됨. 이색(李穡)․권근(權近) 등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강호시파(江湖詩派)
중국 남송(南宋) 때 유행한 시파(詩派). 유극장(劉克莊) 등이 주도하여 강서시파(江西詩派)의 형식 기교와 답습 모방의 폐해에 반발하며 만당체(晩唐體)를 표방하고 시풍(詩風)의 일변을 도모함.
중국>송 , 중국 , 사상>기타사상
-
강호후집(江湖後集)
중국 남송(南宋)의 문인 진기(陳起)가 강호파(江湖派) 시인들의 시를 모아 출간한 시문집(詩文集). 24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강혼(姜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봉해짐.
146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강홍립(姜弘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신(姜紳)의 아들로, 광해군(光海君) 때 명(明) 나라가 후금(後金)을 치기 위해 원병을 요청하자 오도도원수(五道都元帥)로 출정하여 패한 뒤 후금에 항복함.
1560~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강화(江華)
인천 북서부 연안과 서해 15개 도서(島嶼)로 이루어진 지역 이름. 그중 강화도(江華島)는 몽고(蒙古) 침입과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임시수도의 역할을 함.
경기도>강화 , 지명>행정지명
-
강화산성(江華山城)
현재 인천광역시 강화군(江華郡)의 강화읍(江華邑)을 에워싸고 있는 고려시대의 산성. 1234년(고종 21) 몽고(蒙古)의 침입으로 인해 강화도로 천도할 당시 본격적으로 축조되었으며, 이후 조선시대까지 수많은 외세의 침략을 당함.
1234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강화 , 유적>시설>성,진,책
-
강회계(姜淮季)
고려 공양왕(恭讓王)의 부마(駙馬). 본관은 진주(晉州)로, 찬성사(贊成事) 강시(姜蓍)의 아들. 공양왕의 셋째 딸 경화궁주(敬和宮主)와 혼인하였으며, 공양왕의 세자 왕석(王奭)의 시학(侍學)을 지냄. 공양왕이 폐위되자 개경(開京)의 회보문(會寶門) 밖에서 참수됨.
1364~139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강회백(姜淮伯)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준(趙浚)ㆍ정도전(鄭道傳) 등을 탄핵하다가 유배되었으나, 조선이 건국된 뒤 동북면도순문사(東北面都巡問使)를 지냄.
1357~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회숙(姜淮叔)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강시(姜蓍)의 넷째 아들로, 제위장군(諸衛將軍)ㆍ함안 군사(咸安郡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강회순(姜淮順)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강시(姜蓍)의 셋째 아들로, 사재 소감(司宰少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회중(姜淮仲)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고려 말에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냄. 조선 개국 이후 4차에 걸쳐 관직을 내리고 출사를 권했으나 끝내 불응함.
?~144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강효문(康孝文)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무신. 함길도 절도사(咸吉道節度使)가 되어 진관(鎭管)을 순시하던 중, 이시애(李施愛)가 반란을 일으켜 그 당여에게 살해당함.
?~146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강휘(姜徽)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반성위(班城尉) 강자순(姜子順)의 아버지로, 상호군(上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강휘망(姜徽望)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오건(吳健)의 위패를 봉안한 서계서원(西溪書院)의 사액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려 사액을 받음.
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강휘정(姜徽鼎)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로, 한사(寒沙) 강대수(姜大遂)의 문인. 오건(吳健)의 위패를 봉안한 서계서원(西溪書院)의 사액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려 사액을 받음.
1634~167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강흔(姜訢)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로, 관찰사(觀察使) 강자평(姜子平)의 아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노필(盧㻶)ㆍ유호인(兪好仁) 등과 교유함. 1496년(연산군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강흔수(姜欣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 강희맹(姜希孟)의 손자. 1510년(중종 5) 선공감(繕工監)에 제수되었으나 출사하지 않고 전라도 영광(靈光)에 은거하여 여생을 보냄.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강흡(姜洽)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장생(金長生)ㆍ신흠(申欽)에게 사사(師事)하고, 현감(縣監) 등을 지냄.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太白山)에 은거하여 심장세(沈長世)ㆍ홍석(洪錫)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일컬어짐.
1602~16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강희(姜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예조 참판 강징(姜澂)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거쳐 신창 현감(新昌縣監)을 역임함.
1492~153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강희경(姜希經)
고려 선종(宣宗) 때의 문신.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지밀직제학(同知密直提學)ㆍ평의사(評議使) 등을 거쳐 내사령(內史令)에 이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희맹(姜希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의 아들. 뛰어난 문장가로, 경사(經史)와 전고(典故)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 저서에 《금양잡록(衿陽雜錄)》ㆍ《사숙재집(私淑齋集)》 등이 있음.
1424~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강희안(姜希顔)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시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림.
1417~14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희이(姜希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나식(羅湜)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문인
-
강희철(姜熙哲)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훈도(訓導)를 지낸 강필주(姜弼周)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함종 , 인명>문사>유학
-
강희철(康希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충순위 전력부위(忠順衛展力副尉) 강귀형(康貴亨)의 아들로, 명종 때 내금위 어모장군(內禁衛禦侮將軍)ㆍ절충장군(折衝將軍)을 거쳐 무직(武職)으로 당상관에 오름.
1492~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개공(蓋公)
중국 진(秦)~전한(前漢) 때의 은자. 《노자(老子)》에 밝았으며 악신공(樂臣公)을 스승으로 섬겼음. 한(漢) 나라 조참(曹參)이 제상(齊相)이 되었을 때 개공(蓋公)에게서 황로학(黃老學)으로 정치하는 법을 들으며 스승으로 받듦.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개국공신(開國功臣)@고려
고려 태조(太祖) 1년에 태봉왕(泰封王)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왕으로 추대한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918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개국공신(開國功臣)@조선
조선 태조(太祖) 1년에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로가 큰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1392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개국사(開國寺)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이 후삼국을 통일한 후 개성(開城)의 탄현문(炭峴門) 밖에 세웠던 사찰. 몽고(蒙古)의 침입 때 소실된 것을 충숙왕(忠肅王) 때 목헌(木軒)이 중창함.
93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사찰
-
개령(開寧)
경상북도 김천시(金泉市) 및 구미시(龜尾市) 일부 지역의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경상도>개령 , 지명>행정지명
-
개로왕(蓋鹵王)
백제의 제21대 왕. 재위 455~475. 비유왕(毗有王)의 맏아들이며, 문주왕(文周王)의 아버지. 북위(北魏)를 이용하여 고구려의 남하 정책을 저지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으며, 475년 고구려의 침입 때 붙잡혀 참수됨.
?~475 한국>백제 , 경기도>광주 , 인명>왕실>국왕
-
개방(開方)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공자(公子). 제(齊) 나라에 벼슬할 때 관중(管仲)의 배척을 받았으나, 관중이 죽은 뒤 제 환공(齊桓公)에게 중용되었으며, 수조(豎刁)ㆍ역아(易牙)와 함께 국정을 전횡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개산송당(蓋山松堂)
조선 명종(明宗) 때 박광옥(朴光玉)이 전라도 나주(羅州) 선도면(船道面)에 지은 집의 당호(堂號). 이곳에서 문하생들과 함께 성리학을 연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유적>건물>사제
-
개성(開城)
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고려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고려의 수도.
경기도>개성 , 지명>행정지명
-
개성최씨(開城崔氏)
통일신라 말에 대상(大相)을 지낸 최우달(崔佑達)을 시조로 하는 성씨. 본래 황주(黃州)를 본관으로 했으나 이성계(李成桂)가 조선을 개국한 후 개성(開城)으로 관향을 고쳐 하사함.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개성 , 인명>집단>성씨
-
개암집(介庵集)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강익(姜翼)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初刊本)은 1686년(숙종 12)에 양천익(梁天翼)이 함양(咸陽)의 남계서원(灆溪書院)에서 목판으로 간행함.
168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문헌>서명
-
개암집(開巖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우굉(金宇宏)의 시문집(詩文集). 4권 2책. 임진왜란 등의 병화(兵火)를 거치면서 거의 산일되었으나, 후손 김여용(金汝鎔)이 수집하여 1729년(영조 5)에 간행함.
17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개연(蓋延)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무신. 후한의 건국공신인 이십팔장(二十八將) 가운데 한 사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