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계(成桂) - 유성계(柳成桂)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유숙(柳淑)의 아버지. 태상경(太常卿)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성고(成考) - 성종(成宗)@조선
조선 제9대 왕. 재위 1469~1494. 세종(世宗)과 세조(世祖)가 이룩한 치적을 기반으로 찬란한 문화정책을 펼쳤으며, 《경국대전(經國大典)》과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는 등 국가통치체제를 완비함.
1457~14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성공(成公) - 여조겸(呂祖謙)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주희(朱熹)와 함께 북송(北宋) 도학자의 어록을 편집하여 《근사록(近思錄)》을 찬함.
1137~118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성공(聖公) - 경시제(更始帝)
중국 후한(後漢)의 황제. 재위 23~25. 광무제(光武帝)의 족형(族兄). 평림병중(平林兵中)에 있으면서 경시 장군(更始將軍)이라 불렸으며, 그 후 추대되어 황제(皇帝)의 자리에 올랐으나 군중의 여망(輿望)을 잃고 적미군(赤眉軍)에게 살해됨.
?~2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공(聖孔)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성광(醒狂)@문할 - 문할(文劼)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로, 1579년(선조 1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1563~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성광(醒狂) - 이심원(李深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의 무고로 유배생활을 했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성광자(醒狂子) - 이심원(李深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의 무고로 유배생활을 했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성구(成九) - 김성구(金成九)
조선 후기의 유학. 《백담집(栢潭集)》속집(續集)을 간행할 때 이유수(李裕垂)와 함께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의 시문(詩文)을 모으고 정리하여 김굉(金㙆)의 서문을 받는 등 실무를 담당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성구(聖丘)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성구(聖求) - 손부(孫傅)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휘종(徽宗) 때 소식(蘇軾)과 언론(言論)이 같다는 이유로 기주(蘄州)에 안치되기도 하였으며, 상서우승(尙書右丞)과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등을 역임함.
1078~1128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성구(聲久) - 김성구(金聲久)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추길(金秋吉)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 등을 지냄. 안동(安東)의 백록사(栢麓祠)에 배향(配享)됨.
1641~17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성국공(郕國公) - 증삼(曾參)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증점(曾點)의 아들이며 공자(孔子)의 고제(高弟)로, 효심이 두텁고 내성궁행(內省躬行)에 힘썼으며, 노 나라 지방에서 제자들의 교육에 주력함.
B.C.506~B.C.43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성국종성(郕國宗聖) - 증삼(曾參)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증점(曾點)의 아들이며 공자(孔子)의 고제(高弟)로, 효심이 두텁고 내성궁행(內省躬行)에 힘썼으며, 노 나라 지방에서 제자들의 교육에 주력함.
B.C.506~B.C.43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성굴(醒屈)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성균감(成均監) - 국자감(國子監)
고려시대에 유학을 가르치던 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 992년(성종 11)에 종래의 국학(國學)을 당ㆍ송(唐宋)의 제도를 참작하여 정식 교육기관으로 개편하고, 국자학ㆍ태학ㆍ사문학ㆍ율학ㆍ서학ㆍ산학 등의 전문 학과를 둠.
992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법제>관청
-
성균관(成均館)@국자감 - 국자감(國子監)
고려시대에 유학을 가르치던 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 992년(성종 11)에 종래의 국학(國學)을 당ㆍ송(唐宋)의 제도를 참작하여 정식 교육기관으로 개편하고, 국자학ㆍ태학ㆍ사문학ㆍ율학ㆍ서학ㆍ산학 등의 전문 학과를 둠.
992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법제>관청
-
성극(省克) - 김홍미(金弘微)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낸 김범(金範)의 아들이며, 조식(曺植)과 유성룡(柳成龍)의 문인(門人). 이조 좌랑(吏曹佐郞) 재직 중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파면됨. 뒤에 복관되어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함.
1557~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성극당(省克堂) - 김홍미(金弘微)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낸 김범(金範)의 아들이며, 조식(曺植)과 유성룡(柳成龍)의 문인(門人). 이조 좌랑(吏曹佐郞) 재직 중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파면됨. 뒤에 복관되어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함.
1557~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성극재(省克齋) - 문명개(文命凱)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 시문에 뛰어나며, 《성극재시고(省克齋詩稿)》를 저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성근(成槿) - 임성근(林成槿)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은진임씨(恩津林氏)의 시조. 봉선대부(奉善大夫) 임정(林挺)의 아버지로, 고려 때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성근(誠謹) - 정성근(鄭誠謹)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참수(斬首) 당함. 중종(中宗) 때 이조 참판(吏曹參判)으로 추증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성길(聖吉) - 유혜적(柳惠迪)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제두(柳齊斗)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성길사(成吉思) - 태조(太祖)@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이며, 몽고(蒙古) 제국의 창시자. 재위 1206~1227. 몽고를 통일하고 원 나라 건설의 기초를 마련하여 칭기즈칸으로 일컬어지며, 원을 세운 손자 세조(世祖)에 의해 태조로 추존됨.
1155?~1227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길사한(成吉思汗) - 태조(太祖)@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이며, 몽고(蒙古) 제국의 창시자. 재위 1206~1227. 몽고를 통일하고 원 나라 건설의 기초를 마련하여 칭기즈칸으로 일컬어지며, 원을 세운 손자 세조(世祖)에 의해 태조로 추존됨.
1155?~1227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남(成男) - 유성남(柳成男)
조선 전기의 유학. 정황(丁熿)의 《유헌집(游軒集)》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세정(世貞) - 민세정(閔世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여성군(驪城君) 민무질(閔無疾)의 증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현감을 지냈고, 기묘사화 때 파출(罷黜)되었다가 함경 도사(咸鏡都事)에 발탁됨.
14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세정(世貞)@박세정 - 박세정(朴世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이조 참의(吏曹參議)를 지낸 박점(朴漸)의 부친. 이이(李珥)의 《율곡전서(栗谷全書)》에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92~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세정(世貞)@왕세정 - 왕세정(王世貞)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젊을 때부터 문명이 높아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고,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명대 후기 고문사파(古文辭派)의 지도자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1526~159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세정(世靜) - 김세정(金世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공조 참판(工曹參判) 김굉(金硡)의 아들로, 동생 김세묵(金世默)의 아들 김수(金脩)가 계후(繼後)함. 빙고별제(氷庫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세정(洗精) - 송세정(宋洗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숙기(宋叔琪)의 아들이며, 판윤(判尹) 송겸(宋㻩)의 아버지로, 1514년(중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현령(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조(世祖)@무성제 - 무성제(武成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제(北齊)의 제4대 왕. 재위 561~565. 무능하고 국사를 돌보지 않음. 565년 후주(後主)에게 계위(繼位)시키고는 태상왕(太上王)으로 있다가 주색(酒色)에 빠져 32세에 죽음.
537~56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조(世祖)@무제 - 무제(武帝)@남북조(제)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482~493. 태조(太祖) 소도성(蕭道成)의 맏아들로, 아버지를 도와 남제(南齊) 창업에 참여함. 즉위 후 제도가 정비되고 문학과 불교가 성행하는 등 치세(治世)를 이룸.
440~49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조(世祖)@원제 - 원제(元帝)@남북조(양)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552~554. 아버지 무제(武帝)가 죽자 형제들을 물리치고 왕위에 오름. 본래 독서와 문학을 좋아하여 《금루자(金樓子)》 등의 저서를 편(編)하기도 함.
508~55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조(世祖) - 무제(武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1대 황제. 재위 265~290. 위(魏) 나라 원제(元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진 나라를 세운 뒤, 오(吳) 나라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함.
236~29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조(世祖)@태무제 - 태무제(太武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3대 황제. 명원제(明元帝)의 맏아들로, 화북(華北)을 통일하고, 송(宋) 나라를 공격하여 큰 타격을 입혔으며, 도교(道敎)를 숭상하고 불교(佛敎)를 억압함. 말년에 환관 종애(宗愛)에게 피살됨.
408~45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조(世祖)@광무제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조위무대왕(世祖威武大王) - 세조(世祖)@고려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의 아버지. 통일신라 송악군(松嶽郡)의 사찬(沙飡)으로 있다가 진성여왕(眞聖女王) 때 궁예(弓裔)에게 귀복하여 금성 태수(金城太守)를 지냈으며, 태조 때에 추존됨.
?~897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세조위무원열민혜대왕(世祖威武元烈敏惠大王) - 세조(世祖)@고려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의 아버지. 통일신라 송악군(松嶽郡)의 사찬(沙飡)으로 있다가 진성여왕(眞聖女王) 때 궁예(弓裔)에게 귀복하여 금성 태수(金城太守)를 지냈으며, 태조 때에 추존됨.
?~897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세조혜장대왕실록(世祖惠莊大王實錄) - 세조실록(世祖實錄)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재위 13년간의 역사를 편년체(編年體)로 기록한 책. 활자본. 49권 42책. 신숙주(申叔舟)ㆍ강희맹(姜希孟)ㆍ한명회(韓明澮)ㆍ김수령(金壽寧)ㆍ양성지(梁誠之) 등이 참여하여 1469년(예종 원년)부터 편찬을 시작하였고, 1473년(성종 4)에 간행함.
14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세존(世尊)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세종(世宗)@남북조 - 선무제(宣武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7대 황제. 재위 499~515. 제6대 효문제(孝文帝)의 아들로 재위 기간 동안 정치가 부패하고 조정의 기강이 문란해짐.
483~51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종(世宗)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종대왕실록(世宗大王實錄) - 세종실록(世宗實錄)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재위 32년간의 역사를 서술한 책. 활자본. 163권 154책. 황보인(皇甫仁)ㆍ김종서(金宗瑞)ㆍ정인지(鄭麟趾) 등이 참여하여 1454년(단종 2)에 필사본이 완성되었고, 1473년(성종 4)에 간행함.
14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세종장헌대왕실록(世宗莊憲大王實錄) - 세종실록(世宗實錄)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재위 32년간의 역사를 서술한 책. 활자본. 163권 154책. 황보인(皇甫仁)ㆍ김종서(金宗瑞)ㆍ정인지(鄭麟趾) 등이 참여하여 1454년(단종 2)에 필사본이 완성되었고, 1473년(성종 4)에 간행함.
14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세좌(世佐) - 이세좌(李世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극감(李克堪)의 아들로, 무오사화 때 김종직(金宗直)을 극형에 처하도록 주장함. 연산군의 생모인 윤씨(尹氏) 폐위에 극간하지 않고 사약을 전하였다는 죄목으로 갑자사화 때 자살의 명을 받음.
1445~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세주(世柱) - 홍세주(洪世柱)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홍만종(洪萬宗)의 아버지로, 영천 군수(榮川郡守) 등을 지냄. 문집으로 《정허당집(靜虛堂集)》이 있음.
1612~166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세준(世俊)@안세준 - 안세준(安世俊)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첨정(僉正)을 지낸 안담(安霮)과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안여지(安汝止)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세준(世俊)@성세준 - 성세준(成世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성세정(成世貞)의 형이며 성운(成運)의 아버지.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선공감 부정(繕工監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세준(世俊) - 김세준(金世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문경(金文卿)의 아들로,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목사(牧使)를 지냄. 조욱(趙昱)과 교유하여 관련 시편(詩篇)이 《용문집(龍門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세준(世俊)@이세준 - 이세준(李世俊)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구(李構)의 아버지.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무신
-
세준(世𤎱) - 박세준(朴世𤎱)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오랫동안 대간(臺諫)을 지냈으며, 송시열(宋時烈)과 김수항(金壽恒)의 신원을 요청함. 선조(宣祖) 때 상의원 정(尙衣院正)을 지낸 박응인(朴應寅)의 증손.
1634~1700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세증(世曾) - 송세증(宋世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천(鎭川). 송선효(宋善孝)의 아들이며, 찬성(贊成) 송찬(宋贊)과 승지(承旨) 송하(宋賀)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문사>유학
-
세진(世晉) - 이세진(李世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교관(敎官) 이견손(李堅孫)의 아버지로, 영릉 참봉(英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세진(世珍) - 조세진(趙世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조영무(趙英茂)의 아버지로, 예의 판서(禮儀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진(世縝) - 심세진(沈世縝)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사복시 정(司僕寺正)에 추증(追贈)된 심위(沈渭)의 아들로, 참의(參議)를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세진(世震) - 김세진(金世震)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군수(郡守)를 지낸 김홍(金洪)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세집(世緝) - 나세집(羅世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성균 생원(成均生員) 나빈(羅彬)의 아들이며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나세찬(羅世纘)의 형.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세차우(洗車雨) - 세거우(洗車雨)
칠석(七夕) 전날인 음력 7월 6일에 내리는 비를 일컫는 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서로 타고 갈 수레를 씻기 때문에 내리는 비라 함.
사상>현상>자연현상
-
세찬(世纘) - 나세찬(羅世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두 차례 장원급제로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권신(權臣)을 서슴지 않고 탄핵하는 기개가 있었음.
1498~155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세창(世彰) - 유세창(柳世彰)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로, 유희(柳禧)의 아들. 이정(李楨)의 서재(書齋)인 대관대(大觀臺)를 중수하고 지은 상량문(上樑文)이 《구암집(龜巖集)》에 실려 있음.
1657~171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세창(世昌)@정세창 - 정세창(鄭世昌)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양(晉陽).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장연 현감(長淵縣監)ㆍ광흥창 수(廣興倉守) 등을 지냄.
1474~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세창(世昌)@왕월 - 왕월(王越)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환관 왕직(汪直) 등과 결탁하여 권세를 누림. 조선 성종(成宗) 때 경복궁(景福宮) 안에서 멀리 바람에 날려온 그의 시권(詩券)을 주워 주년사(奏年使) 편에 부쳤다 함.
1423~14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세창(世昌)@경세창 - 경세창(慶世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이세좌(李世佐)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나, 중종 때에 관직이 회복되어 홍문관 부제학ㆍ대사간ㆍ도승지 등을 두루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세창(世昌)@이현손 - 이현손(李賢孫)
조선 전기의 종친. 이신요(李神饒)의 아들로, 김굉필(金宏弼)ㆍ이심원(李深源)의 문인(門人). 독실한 행실로 모범을 보이고, 주계군(朱溪君) 이심원의 유고(遺稿)를 수습하여 전함.
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세창(世昌)@강세창 - 강세창(姜世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강희맹(姜希孟)이 지은 자설(字說)이 《사숙재집(私淑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세창(世昌) - 두연(杜衍)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재상이면서도 매우 검소하였으며, 청렴강직하기로 이름남. 부필(富弼) 등과 함께 많은 개혁을 함. 사위가 죄를 지어 재상에서 물러남.
978~105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세창(世昌)@성세창 - 성세창(成世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났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다시 유배되어 죽음.
1481~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세채(世采) - 박세채(朴世采)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성리학자. 김상헌(金尙憲)ㆍ김집(金集)에게 수학하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묘배향을 주장함. 예송논쟁(禮訟論爭) 때 기년설(朞年說)을 지지하고 많은 저서를 남김.
1631~16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세철(世哲) - 조세철(趙世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익희(趙益禧)의 아들로, 1516년(중종 11)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147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세청(世淸) - 경세청(慶世淸)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진산 군수(珍山郡守) 경면(慶綿)의 아들이며, 홍문관 부제학(副提學) 경혼(慶渾)의 아버지. 지평(持平)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세촌(細村) - 이문좌(李文佐)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일손(金馹孫)ㆍ권오복(權五福) 등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안협 현감(安峽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세춘(世春)@임세춘 - 임세춘(林世春)
고려 말기의 문신. 평택임씨(平澤林氏)의 중시조. 세자전객령(世子典客令) 겸 연희궁부사(延禧宮副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세춘(世春) - 권세춘(權世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영사원종공신(寧社原從功臣)에 책록된 권도(權濤)의 아버지로, 사포서 별좌(司圃署別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세충(世充) - 왕세충(王世充)
중국 수(隨) 말~당(唐) 초의 무신. 수 양제(煬帝)의 신임을 얻어 고위직에 올랐으나 황제 양동(楊侗)을 폐위하고 스스로 정국(鄭國)을 세워 왕위에 오름. 후에 이세민(李世民)에게 패퇴하여 항복함.
?~62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세충(世忠)@최세충 - 최세충(崔世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최응현(崔應賢)의 맏아들로, 도총부 도사(都摠府都事)ㆍ금구 현령(金溝縣令) 등을 지냄.
1453~153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세충(世忠)@한세충 - 한세충(韓世忠)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무신. 남송(南宋) 초에 악비(岳飛)ㆍ유광세(劉光世)ㆍ장준(張浚) 등의 군벌 병력과 협력하여 금(金) 나라의 침략을 저지하는 전공을 세움.
1089~115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세충(世忠)@송세충 - 송세충(宋世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심원(李深源)의 문인(門人)으로,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를 거쳐 경상도 도사(慶尙道都事) 등을 역임함.
1468~152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세충(世忠) - 김세충(金世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예손(金禮孫)의 아버지로, 종묘서 부봉사(宗廟署副奉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칙(世則) - 이세칙(李世則)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연안(延安). 이숙기(李叔琦)의 아들로, 1483(성종 14) 식년시(式年試)에 합격하였으며, 지조가 출중하고 시문에 능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세침(世忱) - 배세침(裵世忱)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장기(長鬐). 참봉(參奉) 배연수(裵延壽)의 아들로, 1570년(선조 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세침(世琛) - 여세침(呂世琛)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사섬시 부정(司贍寺副正) 여윤수(呂允秀)의 아들로, 장악원 첨정(掌樂院 僉正) 등을 역임함
1490~157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침(世琛)@조세침 - 조세침(趙世琛)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창(淳昌). 전력부위(展力副尉) 조지원(趙之瑗)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문사>유학
-
세칭(世秤) - 목세칭(睦世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사천(泗川).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과거를 포기하고 향리로 돌아와 학문에 전념함.
1487~155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
-
세통(世通) - 성세통(成世通)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창녕(昌寧).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의 둘째 아들이자, 돈재(遯齋) 성세창(成世昌)의 형.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세평(世平) - 성세평(成世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재상을 지낸 성락(成洛)ㆍ성람(成灠)과 성영(成泳)의 아버지.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등을 지냄.
1516~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세평(世泙) - 박세평(朴世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1516년(중종 1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세필(世弼) - 김세필(金世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복직되었으나, 조광조(趙光祖)를 사사(賜死)한 중종의 과오를 규탄하다가 장배(杖配)됨. 경학(經學)에 밝았음.
1473~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세필(世弼)@장세필 - 장세필(張世弼)
조선 전기의 유학. 가난한 살림에도 반드시 술과 고기를 갖추어 어머니를 섬긴 인물로,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하였음이 《추강집(秋江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유학
-
세한(勢漢) - 김세한(金勢漢)
경주김씨(慶州金氏)의 시조인 김알지(金閼智)의 아들.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세한당(歲寒堂) - 정현(鄭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정백붕(鄭百朋)의 아들로, 아버지를 도와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참여해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됨. 말년에는 부사(府使)직을 사임하고 양주(楊州) 소요산(逍遙山)에 은거함.
152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세한재(歲寒齋) - 안종도(安宗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경률(安景嵂)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모아 왜적과 싸움. 이감(李戡)ㆍ이중경(李重慶)과 동향(同鄕) 친구로, 권신 이량(李樑)의 비호 아래 현직(顯職)을 두루 지냄.
1522~160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헌(世憲)@성세헌 - 성세헌(成世憲)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성희문(成希文)의 첫째 아들이자,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낸 성세장(成世章)의 형.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세헌(世憲) - 김세헌(金世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원(金瑗)의 아들로,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사옹원 정(司饔院正)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현(世賢) - 오세현(吳世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오억령(吳億齡)과 오백령(吳百齡)의 아버지로, 사옹원 직장(司饔院直長)을 지냄.
1524~160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 , 인명>관인>문신
-
세현(世賢)@정세현 - 정세현(鄭世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석성 현감(石城縣監)을 지낸 정수덕(鄭守德)의 아들.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현(世賢)@박세현 - 박세현(朴世賢)
조선 전기의 무신. 이황(李滉)의 조카사위.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세현(世顯) - 복세현(卜世顯)
조선 전기의 문인. 충청도 홍주(洪州)에 매죽당(梅竹堂)을 짓고 거처하였으며, 심의(沈義)의 《대관재난고(大觀齋亂稿)》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
-
세협(世協) - 송세협(宋世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양근 군수(楊根郡守) 송여림(宋汝霖)의 아들이고 안악 군수(安岳郡守) 송세훈(宋世勛)의 동생. 쌍청당(雙淸堂) 옆에 건물을 지었는데, 조카 송남수(宋柟壽)가 증축(增築)하여 절우당(節友堂)이라고 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유학
-
세형(世亨)@안세형 - 안세형(安世亨)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주서(注書) 안함(安馠)의 아버지로, 사포(司圃)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