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소단장군(騷壇將軍) - 모영(毛穎)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성민(洪聖民)이 지은 작품의 인물. 수(愁)ㆍ성(性)ㆍ정(情)ㆍ지(志)ㆍ기(氣) 등을 의인화하여 지은 〈천군견지수공수성(天君遣志帥攻愁城)〉에 무신으로 등장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소대(小戴) - 대성(戴聖)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학자. 숙부 대덕(戴德)이 엮은 《대대례(大戴禮)》 85편을 간추려 《소대례(小戴禮)》 49편을 편찬함. 이 《소대례》가 곧 오늘날 전해지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소대(蘇臺) - 고소대(姑蘇臺)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오왕(吳王) 부차(夫差)가 고소산(姑蘇山) 위에 쌓은 대(臺).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유적>건물>누정
-
소대기(小戴記) - 예기(禮記)
예(禮)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유교 경전.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유덕(劉德)이 공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고, 대덕(戴德)이 85편으로, 대성(戴聖)이 49편으로 간추림. 대성이 편찬한 《소대례(小戴禮)》가 현존하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소대례기(小戴禮記) - 예기(禮記)
예(禮)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유교 경전.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유덕(劉德)이 공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고, 대덕(戴德)이 85편으로, 대성(戴聖)이 49편으로 간추림. 대성이 편찬한 《소대례(小戴禮)》가 현존하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소대시어(蘇大侍御) - 소환(蘇渙)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과거에 급제하여 어사(禦史)를 지냄. 두보(杜甫)와 시문(詩文)에 대해 논함에 서로 의기(意氣)가 잘 부합했음. 저서에 《소환시(蘇渙詩)》가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덕문(昭德門) - 소의문(昭義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사소문(四小門)의 하나. 숭례문(崇禮門)과 돈의문(敦義門) 사이, 즉 지금의 서소문동 큰길에 있던 서남간문(西南間門)으로, 일반적인 통행로이면서 광희문(光熙門)과 함께 시신(屍身)을 성 밖으로 운반하는 통로 구실을 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소도(昭度) - 윤향(尹向)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문하 평리(門下評理) 윤승순(尹承順)의 아들이며, 윤계동(尹季童)의 아버지.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의 옥사에 관련된 윤목(尹穆)의 죄를 고발하고,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 당시의 공신녹권(功臣錄券) 개정을 상소했다가 파직됨.
1374~141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소도(昭悼) - 의안대군(宜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소생으로, 배극렴(裵克廉)ㆍ조준(趙浚)ㆍ정도전(鄭道傳) 등의 요청으로 세자(世子)로 책봉되었으나,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피살됨.
138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소도(昭悼)@완원군 - 완원군(完原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세 번째 서자. 숙의홍씨(淑儀洪氏)의 소생.
1480~150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소도군(昭悼君) - 의안대군(宜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소생으로, 배극렴(裵克廉)ㆍ조준(趙浚)ㆍ정도전(鄭道傳) 등의 요청으로 세자(世子)로 책봉되었으나,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피살됨.
138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소도성(蕭道成) - 고제(高帝)
중국 남북조시대 남제(南齊)의 제1대 황제. 재위 479~482. 본래 남조 송(南朝宋)의 장군으로서 왕검(王儉) 등 귀족층의 지지를 얻었으며, 남조 송의 순제(順帝)로부터 양위(讓位)를 받아 제위에 올라 남제를 창건함.
427~48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동파(蘇東坡)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두(少杜) - 두목(杜牧)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강직한 성품으로 당 나라의 쇠운을 만회하려고 노력하였음. 산문과 시에 뛰어났으며, 특히 칠언절구(七言絶句)를 잘 했음.
803~85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량(蕭梁)@양 - 양(梁)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남조(南朝)의 세 번째 왕조. 남제(南齊) 말에 옹주 자사(雍州刺史) 소연(蕭衍)이 화제(和帝)에게 선양받아 세운 나라로, 6대 56년간 존속.
502~55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소량(蕭梁) - 무제(武帝)@남북조(양)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502~549. 경릉팔우(竟陵八友) 중 한 사람이며, 불교를 신봉해 500여 개의 사찰을 세움.
464~5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령후(昭靈侯) - 장노사(張路斯)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안휘성(安徽省) 영상현(潁上縣) 사람으로, 사후(死後)에 용왕이 되어 수한(水旱)을 다스린다는 설화가 전함. 소식(蘇軾)이 영주 지사(潁州知府)가 되었을 때 《소령후비기(昭靈侯碑記)》를 지어 그 덕을 기렸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례(蘇禮) - 박소례(朴蘇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 경상우도 수군절도사(慶尙右道水軍節度使) 박지번(朴之蕃)의 아버지로,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문사>유학
-
소로(穌老)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로(邵老) - 박희년(朴希年)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게 지어 준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소륙(昭六) - 최양(崔瀁)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낸 최지(崔贄)의 아들. 외삼촌인 정몽주(鄭夢周)에게 수학하고 문하찬성사를 지냈으며, 고려가 망하자 전주(全州)에 은거함.
1351~142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소릉(少陵)@이상의 - 이상의(李尙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임진왜란 때 광해군(光海君)을 호위한 위성공신(衛聖功臣)으로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에 봉해짐. 인조반정으로 훈공이 삭탈되고 품계도 강등되어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로 좌천됨.
1560~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소릉(少陵)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릉(昭陵)@현덕왕후 - 현덕왕후(顯德王后)
조선 제5대 문종(文宗)의 비(妃).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전(權專)의 딸. 단종(端宗)의 어머니로, 세종(世宗) 때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나 가례(嘉禮)를 행하지 못한 채 4년 만에 죽자 현덕(顯德)이란 시호가 내려졌으며, 문종이 즉위한 후 왕후로 추봉(追封)됨.
1418~144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소릉(昭陵) - 인종(仁宗)@송
중국 북송(北宋)의 제4대 황제. 재위 1022~1063. '경력(慶曆)의 치(治)'라는 북송의 최전성기를 누렸지만 말년에는 재정 곤란에 빠짐.
1010~106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릉(昭陵)@태종 - 태종(太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626~649. 고조(高祖)의 아들이며, 당 나라의 실질적인 창건자로, 돌궐족(突厥族)을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하였으며, ‘정관(貞觀)의 치(治)’로 일컬어지는 성세(盛世)를 이루어 후세 제왕의 모범이 됨.
598~64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릉(韶陵) - 원종(元宗)@고려
고려 제24대 왕. 재위 1260~1274. 고종(高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안혜태후 유씨(安惠太后柳氏). 한때 임연(林衍)에 의해 폐위당하였으나 원(元)의 도움으로 복귀함. 전민변정도감(田民辨整都監)을 설치하고, 강화도(江華島)에서 개성(開城)으로 환도(還都)하였으며,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진압함.
1219~12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소릉수(少陵叟)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립(素立) - 박소립(朴素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1563년(명종 18) 이조 좌랑(吏曹佐郞)으로 있을 때 척신 이량(李樑)과 사이가 나빠 대사헌 이감(李戡)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으나 심의겸(沈義謙)의 도움으로 복직됨. 선조 즉위에 공을 세워 대사성(大司成)ㆍ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514~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소만요(小蠻腰) - 양류소만요(楊柳小蠻腰)
버들가지 같은 소만(小蠻)의 허리. 당(唐) 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가 버들가지를 자신의 가기(家妓) 중에 춤을 잘 추는 소만의 허리에 비유하여 읊은 시에서 유래한 말로, 가느다란 버들가지를 뜻함.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소명윤(蘇明允) - 소순(蘇洵)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학자.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예리한 논법(論法)과 정열적인 평론(評論)으로 구양수(歐陽修)의 인정을 받아 명성을 떨쳤으며, 아들 소식(蘇軾)ㆍ소철(蘇轍)과 함께 ‘삼소(三蘇)’로 일컬어짐.
1009~106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소명태자(昭明太子) - 소통(蕭統)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태자ㆍ문인. 제1대 황제인 무제(武帝)의 맏아들로, 유교(儒敎)와 불교(佛敎)에 조예가 깊고 특히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양 나라 이전 문인들의 명작을 모아 《문선(文選)》을 편찬함.
501~53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소모(小毛) - 모장(毛萇)
중국 전한(前漢) 때의 학자. 모형(毛亨)이 지은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증보한 것으로 전해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소모공(小毛公) - 모장(毛萇)
중국 전한(前漢) 때의 학자. 모형(毛亨)이 지은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증보한 것으로 전해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소무황제(昭武皇帝) - 무제(武帝)@남북조(전조)
중국 남북조시대 전조(前趙)의 왕. 재위 310~318. 고조(高祖) 유연(劉淵)의 넷째 아들로, 형인 태자 유화(劉和)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함. 즉위 후 진(晉) 나라를 공격하여 회제(懷帝)와 민제(愍帝)를 사로잡는 등 폭정을 일삼다가 국란(國亂) 속에 죽음.
?~31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문(召文) - 의성(義城)
경상북도 중앙에 동서로 길게 위치한 고을 이름. 지금의 고을은 옛 의성(義城)과 옛 비안(比安)이 합해 이루어진 것으로, 옛 의성은 현재 의성군의 동부에 해당함.
경상도>의성 , 지명>행정지명
-
소문(小文) - 종병(宗炳)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금(琴)ㆍ서(書)ㆍ화(畫)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렸고, 노장학(老莊學)에 깊은 조예를 지니고 형산(衡山)에 은거하면서 조정에서 불러도 일체 응하지 않았음.
375~44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예술인>서화가
-
소문(少文) - 종병(宗炳)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금(琴)ㆍ서(書)ㆍ화(畫)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렸고, 노장학(老莊學)에 깊은 조예를 지니고 형산(衡山)에 은거하면서 조정에서 불러도 일체 응하지 않았음.
375~44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예술인>서화가
-
소문(蘇文) - 연개소문(淵蓋蘇文)
고구려 말기의 재상ㆍ무신. 혼란한 고구려 말기에 정권을 잡아 자신을 제거하려는 대인(大人)들을 모두 제거하고 보장왕(寶藏王)을 옹립하여 대막리지(大莫離支)에 오름.
?~665 한국>고구려 , 인명>관인>무신
-
소문국(召文國) - 의성(義城)
경상북도 중앙에 동서로 길게 위치한 고을 이름. 지금의 고을은 옛 의성(義城)과 옛 비안(比安)이 합해 이루어진 것으로, 옛 의성은 현재 의성군의 동부에 해당함.
경상도>의성 , 지명>행정지명
-
소문성(召文城) - 의성(義城)
경상북도 중앙에 동서로 길게 위치한 고을 이름. 지금의 고을은 옛 의성(義城)과 옛 비안(比安)이 합해 이루어진 것으로, 옛 의성은 현재 의성군의 동부에 해당함.
경상도>의성 , 지명>행정지명
-
소미(少微) - 강지(江贄)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학자. 《자치통감(資治通鑑)》 294권을 선별하여 50권으로 엮어 《자치통감절요(資治通鑑節要)》를 만들었으나 당시에는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다가, 후손 강묵(江默)이 주희(朱熹)의 문하에 출입하면서 질정(質正) 하여 유명해짐.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소미산인(少微山人) - 김일손(金馹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스승인 김종직(金宗直)이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실록(實錄)에 기재한 일로 인해 훈구파(勳舊派)의 미움을 사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당함.
1464~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미절요(少微節要) - 자치통감절요(資治通鑑節要)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강지(江摯)가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간략하게 간추려 편집한 사서(史書). 50권. 조선 초기부터 《통감(通鑑)》이라는 이름으로 글방의 초학(初學) 교재로 통용됨.
1237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소미진인(少微眞人) - 서경덕(徐敬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독자적인 기철학(氣哲學)의 체계를 완성하여,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
148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소미타(小彌陀) - 혼구(混丘)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일연(一然)의 제자로, 충숙왕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가송잡저(歌頌雜著)》 등을 저술함.
1251~132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종교인>승려
-
소미통감(少微通鑑) - 자치통감절요(資治通鑑節要)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강지(江摯)가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간략하게 간추려 편집한 사서(史書). 50권. 조선 초기부터 《통감(通鑑)》이라는 이름으로 글방의 초학(初學) 교재로 통용됨.
1237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소민(昭敏) - 조존성(趙存性)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창원(趙昌遠)의 아버지로, 성혼(成渾)ㆍ박지화(朴枝華)의 문하에서 수학함. 강화 부사(江華府使) 등 외직 재임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으며,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554~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소백(召伯)@소공 - 소공(召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은(殷) 왕조의 후손 무경(武庚)의 반란을 진압하고 성왕(成王)을 옹립한 뒤 형 주공(周公)과 함께 성왕을 보필하여 왕조의 기반을 확립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소백(紹伯) - 고제(高帝)
중국 남북조시대 남제(南齊)의 제1대 황제. 재위 479~482. 본래 남조 송(南朝宋)의 장군으로서 왕검(王儉) 등 귀족층의 지지를 얻었으며, 남조 송의 순제(順帝)로부터 양위(讓位)를 받아 제위에 올라 남제를 창건함.
427~48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백강(小白岡) - 소백산(小白山)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榮州市) 순흥면(順興面)과 충청북도 단양군(丹陽郡) 가곡면(佳谷面)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태백산(太白山)과 함께 신성시되었으며, 산세가 웅장하고 명승고적이 많음.
충청도>단양ㅣ경상도>영천(榮川) , 지명>자연지명
-
소백록(小白錄) - 유소백산록(遊小白山錄)
조선 명종(明宗) 때 풍기 군수(豐基郡守)로 재임 중이던 이황(李滉)이 소백산(小白山)을 유람하면서 쓴 기행문(紀行文).
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문헌>작품명
-
소백산인(小白山人) - 이선(李選)@조선후기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우의정(右議政) 이후원(李厚源)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1673년(현종 14) 노산군(魯山君)의 묘소에 시제(時祭)하고 황보인(皇甫仁)ㆍ김종서(金宗瑞) 등의 신원(伸寃)을 상소함.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還局) 때 기장(機張)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632~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소범(小范) - 범중엄(范仲淹)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곽황후(郭皇后)의 폐립 문제로 여이간(呂夷簡)과 대립하고, 구양수(歐陽修)ㆍ한기(韓琦) 등과 붕당을 형성함.
989~105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범(少范) - 범중엄(范仲淹)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곽황후(郭皇后)의 폐립 문제로 여이간(呂夷簡)과 대립하고, 구양수(歐陽修)ㆍ한기(韓琦) 등과 붕당을 형성함.
989~105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범노자(小范老子) - 범중엄(范仲淹)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곽황후(郭皇后)의 폐립 문제로 여이간(呂夷簡)과 대립하고, 구양수(歐陽修)ㆍ한기(韓琦) 등과 붕당을 형성함.
989~105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범용도노자(小范龍圖老子) - 범중엄(范仲淹)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곽황후(郭皇后)의 폐립 문제로 여이간(呂夷簡)과 대립하고, 구양수(歐陽修)ㆍ한기(韓琦) 등과 붕당을 형성함.
989~105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범자(小范子) - 범중엄(范仲淹)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곽황후(郭皇后)의 폐립 문제로 여이간(呂夷簡)과 대립하고, 구양수(歐陽修)ㆍ한기(韓琦) 등과 붕당을 형성함.
989~105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보(召保) - 소공(召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은(殷) 왕조의 후손 무경(武庚)의 반란을 진압하고 성왕(成王)을 옹립한 뒤 형 주공(周公)과 함께 성왕을 보필하여 왕조의 기반을 확립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소보(召父) - 소신신(召信臣)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 남양 태수(南陽太守)로 있을 때 어진 정사를 펼쳐 교화가 크게 행해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보(蘇甫) - 박소보(朴蘇甫)
조선 전기의 문인. 홍귀달(洪貴達)의 족형으로, 그가 엮은 《빙허루제(憑虛樓題)》의 서문이 홍귀달의 《허백정집(虛白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소보권(蕭寶卷) - 동혼후(東昏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 제5대 국왕. 재위 498~501. 총희(寵姬) 반비(潘妃)에게 미혹되어 국정을 문란하게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봉(蘇鳳) - 소순(蘇洵)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학자.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예리한 논법(論法)과 정열적인 평론(評論)으로 구양수(歐陽修)의 인정을 받아 명성을 떨쳤으며, 아들 소식(蘇軾)ㆍ소철(蘇轍)과 함께 ‘삼소(三蘇)’로 일컬어짐.
1009~106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소봉(韶鳳) - 악소봉(樂韶鳳)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문신. 시강학사(侍講學士)를 지냈으며 송렴(宋濂) 등과 함께 《홍무정운(洪武正韻)》을 편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봉영(小蓬瀛) - 도담(島潭)
충청도 단양(丹陽)의 북부에 있는 명승지. 못 가운데 세 바위가 솟아 있으며, 중앙봉에는 정도전(鄭道傳)이 지었다고 하는 정자가 있음.
충청도>단양 , 지명>자연지명
-
소부(疏傅) - 소광(疏廣)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신. 황태자의 태부(太傅)로 있으면서 관직과 명성이 점차 높아지자 떠나지 않으면 후회할 일이 생긴다고 하며, 소부(少傅)로 있던 조카 소수(疏受)와 함께 사임하고 낙향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부(蕭傅) - 소망지(蕭望之)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원제(元帝) 때의 문신ㆍ학자. 홍공(弘恭)ㆍ석현(石顯) 등 환관의 전횡을 막아 제도를 개혁하려 하였으나 오히려 그들의 모함에 빠져 자살함.
B.C.106~B.C.4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부리(所夫里) - 부여(扶餘)
충청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백제의 마지막 수도로서 소부리(所夫里) 혹은 사자(泗泚)ㆍ사비(泗沘)라고도 불림.
충청도>부여 , 지명>행정지명
-
소부자(邵夫子) - 소옹(邵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 이지재(李之才)에게 천문(天文)ㆍ역수(易數) 등을 배우고,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易哲學)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數理哲學)을 완성함.
1011~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소비선(蘇飛仙)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사마(小司馬) - 사마정(司馬貞)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문신ㆍ사학자. 홍문관 학사(弘文館學士) 등을 지냈으며, 《사기(史記)》의 주석서인 《사기색은(史記索隱)》을 저술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사업(蘇司業) - 소원명(蘇源明)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문신.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를 거쳐 국자 사업(國子司業)을 지냄. 두보(杜甫)와 절친하게 지내, 두보가 그를 포함한 여덟 명의 명신(名臣)을 애도하여 지은 팔애시(八哀詩)가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산(小山)@안기도 - 안기도(晏幾道)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휘종(徽宗) 때의 문인. 안수(晏殊)의 일곱째 아들로, 아버지와 함께 이안(二晏)이라 불림. 섬세하고 애상적인 시풍을 보임.
1031~110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소산(小山)@동일원 - 동일원(董一元)
중국 명(明) 나라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대군을 이끌고 조선에 파병되었으나 사천(泗川) 싸움에서 패배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소산(小山) - 유안(劉安)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 고조(高祖)의 손자. 빈객들과 함께 도가(道家) 사상에 의한 통일된 이론서 《회남자(淮南子)》를 저술하여 당시 유교(儒敎) 중심의 이론에 대항함. 무제(武帝) 때 반역을 기도했다가 실패한 뒤 자살함.
B.C.179~B.C.12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제후
-
소산(蘇山) - 부소산(扶蘇山)
충청도 부여(扶餘)에 있는 산. 높이 106m. 부여는 백제의 도읍지로, 이 산에는 백제의 멸망과 관련한 부소산성(扶蘇山城)ㆍ낙화암(落花巖) 등의 유적이 많이 남아 있음.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소삼(蘇三)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상(穌相)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상반죽(瀟湘班竹) - 상죽(湘竹)
상수(湘水)의 대나무로,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뜻함.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었을 때 두 비(妃)인 아황과 여영이 상수에서 흘린 눈물이 대줄기를 얼룩지게 하였다 해서 남편을 따라 죽은 두 비의 절개를 상징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소상인(紹上人) - 절전(絶傳)
고려 후기의 승려.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藁)》에 송서(送序)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소색(蕭賾) - 무제(武帝)@남북조(제)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482~493. 태조(太祖) 소도성(蕭道成)의 맏아들로, 아버지를 도와 남제(南齊) 창업에 참여함. 즉위 후 제도가 정비되고 문학과 불교가 성행하는 등 치세(治世)를 이룸.
440~49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생(紹生) - 이소생(李紹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포(李包)의 아들로,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세조(世祖)의 불의(不義)를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대흥(大興)으로 내려가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대흥 , 인명>관인>문신
-
소서(邵書) -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 소옹(邵雍)이 저술한 철학서(哲學書). 12권. 역리(易理)를 응용하여 수리(數理)로써 천지만물의 생성과 변화를 설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소서비(小西飛) - 소서비탄수(小西飛彈守)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 임진왜란 때 왜장 소서행장(小西行長)의 부장으로, 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김경서(金景瑞)와 의기(義妓) 계월향(桂月香)이 함께 도모한 유인책으로 인해 죽임을 당했다고 전함.
1550~1626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소선(笑仙) - 성제원(成悌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보은 현감(報恩縣監) 등을 지냈으며, 박응순(朴應順) 등 많은 인재를 육성함.
1506~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선(紹先) - 양소선(楊紹先)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전둔위(前屯衛) 사람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흠차요동총병표하영령이병원임참장(欽差遼東摠兵票下營領夷兵原任參將)으로 마병(馬兵)을 이끌고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참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소선(蕭選) - 문선(文選)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소통(蕭統)이 양 나라 이전 문인들의 명작 800여 편을 모아 엮은 책. 30권. 중국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시문총집(詩文總集).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소선(蘇仙)@소탐 - 소탐(蘇耽)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선인(仙人). 인효(仁孝)로 널리 알려졌으며 득도하여 승천하기 전에 모친에게 미래에 닥칠 전염병에 대한 비방(秘方)을 알려 주어 백성을 구제하게 했다는 전설이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소선(蘇仙)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선광렬애효황제(昭宣光烈哀孝皇帝) - 애제(哀帝)@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20대 황제. 재위 904~907. 주온(朱溫)에게 강제로 퇴위 당하고 1년 후에 시해당함.
892~908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선제(昭宣帝) - 애제(哀帝)@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20대 황제. 재위 904~907. 주온(朱溫)에게 강제로 퇴위 당하고 1년 후에 시해당함.
892~908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설옹(掃雪翁) - 김영남(金穎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김기(金誋)의 아들. 진양 군수(晋陽郡守)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 동강(東江)의 왜적을 방어하는 한편, 사천(泗川)에 있는 적을 소탕하고 수천석의 군량미를 서울에 운반하였음.
1547~161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소성(邵城) - 인천(仁川)
경기도 중서부 서해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는 안산(安山)ㆍ금천(衿川)을, 북쪽으로는 부평(富平)을 경계로 하고 있음.
경기도>인천 , 지명>행정지명
-
소성거사(小性居士) - 원효(元曉)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신문왕(神文王) 때의 고승. 불교사상의 융합과 그 실천에 힘쓴 정토교(淨土敎)의 선구자이며, 평생 불교의 대중화에 힘씀.
617~686 한국>통일신라ㅣ한국>신라 , 경상도>경주ㅣ경상도>경산 , 인명>종교인>승려
-
소성공혜효황제(昭聖恭惠孝皇帝) - 의종(懿宗)
중국 당(唐) 나라 제17대 황제. 재위 860~873. 선종(宣宗)의 맏아들로, 즉위 후 주색(酒色)에 빠져 정사를 게을리 하고 충간(忠諫)하는 신하를 멀리하며, 불사(佛事)에 재정을 탕진하는 등 방탕하고 무능하였음.
833~87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성군(邵城君) - 채신보(蔡申保)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필선(弼善)을 지낸 채륜(蔡倫)의 아들로, 평해 현감(平海縣監)ㆍ남양 부사(南陽府使)를 지냄.
1419~148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음성 , 인명>관인>문신
-
소성군개국백(邵城郡開國伯) - 이자겸(李資謙)
고려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의 외척. 본관은 인주(仁州). 딸이 인종의 비(妃)가 되자 익성공신(翼聖功臣)에 녹훈됨. 예종의 사후 어린 인종을 즉위시킨 뒤 권세를 독차지하고 왕을 독살하려다 왕의 밀명을 받은 척준경(拓俊京) 등에 의해 처형됨.
?~112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왕실>인척
-
소성수(召城守) - 이순정(李順丁)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이며, 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소성연효황제(昭聖衍孝皇帝) - 순종(順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追尊皇帝). 제9대 황제인 무종(武宗)의 아버지로, 1307년에 추존 황제가 됨.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성정의명렬(昭聖貞懿明烈) - 인목왕후(仁穆王后)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계비(繼妃). 1602년(선조 35)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1617년(광해군 9)에 삭호(削號)당하고 서궁(西宮)에 유폐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복호(復號)됨.
1584~163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