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소성황태후(昭聖皇太后) - 효강장황후(孝康張皇后)
중국 명(明) 나라의 제9대 황제인 효종(孝宗)의 비(妃).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소성후(邵城侯) - 김거실(金居實)
고려 전기의 서예가. 이규보(李奎報)는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의 〈동국제현서결평론서(東國諸賢書訣評論序)〉에서 묘품(妙品)ㆍ절품(絶品)으로 평가했음.
한국>고려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소소(小蘇) - 소철(蘇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 소순(蘇洵)의 아들이자 소식(蘇軾)의 동생으로,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좌천되었으나 복귀 후 문하시랑(門下侍郞) 등을 지냄.
1039~111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소(箾韶) - 소소(簫韶)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음악 이름. 아홉 곡조를 연주하자 봉황새가 날아와 춤을 추었다 함.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소소선생(笑笑先生) - 문동(文同)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화가. 시문과 글씨, 특히 죽화(竹畵)에 뛰어나 후세에 묵죽(墨竹)의 개조(開祖)로 추앙받음.
1018~1079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소쇄(瀟灑) - 양산보(梁山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제주(濟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가 실각하자 귀향하여 소쇄원(瀟灑園)을 짓고 한평생 은거함.
1503~15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학자
-
소쇄거사(瀟灑居士) - 양산보(梁山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제주(濟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가 실각하자 귀향하여 소쇄원(瀟灑園)을 짓고 한평생 은거함.
1503~15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학자
-
소쇄산인(瀟灑山人) - 양산보(梁山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제주(濟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가 실각하자 귀향하여 소쇄원(瀟灑園)을 짓고 한평생 은거함.
1503~15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학자
-
소쇄옹(瀟灑翁) - 양산보(梁山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제주(濟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가 실각하자 귀향하여 소쇄원(瀟灑園)을 짓고 한평생 은거함.
1503~15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학자
-
소쇄원(瀟灑園)@양산보 - 양산보(梁山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제주(濟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가 실각하자 귀향하여 소쇄원(瀟灑園)을 짓고 한평생 은거함.
1503~15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학자
-
소쇄주인(瀟灑主人) - 양산보(梁山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제주(濟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가 실각하자 귀향하여 소쇄원(瀟灑園)을 짓고 한평생 은거함.
1503~15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학자
-
소쇄처사(瀟灑處士) - 양산보(梁山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제주(濟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가 실각하자 귀향하여 소쇄원(瀟灑園)을 짓고 한평생 은거함.
1503~15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학자
-
소수추(掃愁帚)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소숙(小叔) - 이첨(李詹)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내고, 하륜(河崙) 등과 함께 《삼국사략(三國史略)》을 찬수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소설 〈저생전(楮生傳)〉을 지음.
1345~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숙(昭肅) - 조횡(趙竑)
중국 송(宋) 나라의 왕자ㆍ제후. 영종(寧宗)이 아들이 없어 종실(宗室)인 조횡(趙竑)을 황자(皇子)로 세워 장래의 후계로 삼으려 했지만, 정승(政丞)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저지당하고 결국 죽임을 당함.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제자.
?~122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소술(紹述) - 번종사(樊宗師)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ㆍ문신. 문장을 지을 때 난삽(難澁)ㆍ괴벽(乖僻)한 데로 흘러 읽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으므로, 그의 문장을 삽체(澁體)라 불렀음. 강주 자사(絳州刺史)ㆍ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냄.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신(昭信) - 원선지(元善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충선왕(忠宣王)은 토번(吐番)으로 유배되고, 충숙왕은 원(元) 나라에 머물러 있어 동요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홀로 의리를 버리지 않았음.
1281~133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소신(紹新) - 양소신(楊紹新)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형인 요동광녕진수총병관(遼東廣寧鎭守總兵官) 양소훈(楊紹勳)과 함께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참전하였으며, 후에 계문 참장(薊門參將)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소씨문견록(邵氏聞見錄) - 문견전록(聞見前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소백온(邵伯溫)의 저서. 20권. 소흥(紹興) 연간 이전까지의 송 나라 왕조의 여러 가지 일을 기록함.
113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소아(少兒) - 위소아(衛少兒)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의 황후인 위황후(衛皇后)의 언니이자 대장군(大將軍) 위청(衛靑)의 누나. 대장군 곽중유(霍仲孺)와 밀통하여 곽거병(霍去病)을 낳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소아(素娥) - 항아(姮娥)
중국 고대 유궁후(有窮后) 예(羿)의 아내. 예가 서왕모(西王母)에게 얻은 선약(仙藥)을 몰래 훔쳐 먹고 신선이 되어 혼자 월궁(月宮)으로 달아났으나, 두꺼비로 변해 달에서 외롭게 살고 있다고 전함. 달에 사는 신선(神仙)이나, 달 자체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임.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소안(昭安) - 신준(申浚)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내면서 언로(言路)의 개방 등 시무십조(時務十條)를 진언하였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4~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소알천(蘇閼川) - 소경(蘇慶)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신문왕(神文王) 때의 문신. 647년(진덕여왕 1)에 상대등(上大等)이 되고, 진덕여왕(眞德女王)이 죽은 후 왕위를 김춘추(金春秋)에게 사양함. 이후 진주(晉州)로 옮겨 가 진주소씨(晉州蘇氏)의 중시조가 됨.
577~686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소암(小庵) - 노수(盧遂)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노응세(盧應世)의 아들로, 김대유(金大有)에게 수학하고 이황(李滉)을 사사하였으며, 김응생(金應生)ㆍ정윤량(鄭允良) 등과 함께 영천(永川)에 임고서원(臨皐書院)을 창건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소암(巢巖) - 박진경(朴晉慶)
조선 선조(宣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정구(鄭逑)와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영숭전 참봉(永崇殿參奉)을 지내고, 병자호란 때 최현(崔晛)과 더불어 의병을 일으킴. 남강서원(南岡書院)에 배향됨.
1581~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소암(疎庵) - 임숙영(任叔英)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병을 핑계로 참여하지 않았다가 파직됨. 고문(古)에 힘썼으며, 중국 육조(六朝)의 사륙문(四六文)에 뛰어났음.
1576~162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소암(笑巖) - 오공(悟公)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ㆍ성석린(成石璘) 등과 교유하여 《운곡행록(耘谷行錄)》과 《독곡집(獨谷集)》에 서권(書卷)ㆍ송시(送詩)ㆍ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종교인>승려
-
소암(笑庵)@강사필 - 강사필(姜士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강온(姜溫)의 아들. 조욱(趙昱)의 문인으로, 충청 감사(忠淸監司)ㆍ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152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소암(笑庵) - 오공(悟公)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ㆍ성석린(成石璘) 등과 교유하여 《운곡행록(耘谷行錄)》과 《독곡집(獨谷集)》에 서권(書卷)ㆍ송시(送詩)ㆍ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종교인>승려
-
소암(素庵) - 상노(商輅)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학자. 절강(浙江) 순안(淳安) 출신으로,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냄. 성화(成化) 연간에 《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을 편찬함.
1414~1486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소암(素菴) - 김이원(金履元)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대북(大北)에 속하여 임해군(臨海君)을 사사(賜死)하게 하고 소북(小北)을 제거하기 위한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잘 다스려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훈됨.
1553~161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소암(邵庵) - 우집(虞集)
중국 원(元) 나라의 시인ㆍ학자. 당시(唐詩)를 연구 계승하여, 양재(楊載)ㆍ범곽(范椁)ㆍ게혜사(揭傒斯)와 함께 원시사대가(元詩四大家)로, 또는 유관(柳貫)ㆍ황진(黃溍)ㆍ게혜사와 함께 유림사걸(儒林四傑)로 불림. 만권당(萬卷堂)에 초치(招致)되어 이제현(李齊賢) 등과 교류함.
1272~134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소암선생집(疎菴先生集) - 소암집(疎菴集)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임숙영(任叔英)의 시문집. 목판본. 초간본은 권임(權恁)이 유고를 수집하고 이식(李植)이 편정(編定)하였으며, 1635년(인조 13)에 이배원(李培元)ㆍ강여재(姜與載) 등이 충주(忠州)에서 간행함.
163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문헌>서명
-
소암자(疎庵子) - 임숙영(任叔英)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병을 핑계로 참여하지 않았다가 파직됨. 고문(古)에 힘썼으며, 중국 육조(六朝)의 사륙문(四六文)에 뛰어났음.
1576~162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소약란(蘇若蘭) - 소혜(蘇蕙)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전진(前秦) 부견(符堅) 때의 열녀. 연파장군(連波將軍)을 지낸 두도(竇滔)의 아내로 두도가 죄를 입어 귀양가자, 남편을 그리워한 나머지 비단을 짜서 회문선도(回文旋圖)를 만들어 시(詩)를 써 보내주었다는 고사가 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열녀
-
소양(少陽) - 진동(陳東)
중국 송(宋) 나라 흠종(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이자 우국지사(憂國之士). 흠종 때 태학생(太學生)으로서 글을 올려 채경(蔡京)ㆍ동관(童貫) 등 6인의 복주(伏誅)를 청하였고, 고종이 남도(南渡)한 뒤에는 이강(李綱)의 유임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는데, 이 일로 인하여 구양철(歐陽澈)과 함께 죽임을 당함.
1086~112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양(少陽)@박소양 - 박소양(朴少陽)
고려 후기의 유학. 밀직대언(密直代言) 박윤문(朴允文)의 아들로 과거에 여러 번 낙방하고 중국으로 가서 주유(周遊)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소양(昭襄) - 윤신달(尹莘達)
고려 태조(太祖)~광종(光宗) 때의 문신ㆍ공신. 파평윤씨(坡平尹氏)의 시조. 왕건(王建)을 도와 후삼국(後三國)을 통일하는 데 공을 세우고 벽상삼한익찬공신(壁上三韓翊贊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 등을 지냄.
893~97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소양(昭養) - 황맹헌(黃孟獻)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장수(長水). 영의정 황희(黃喜)의 현손이며 김해 부사(金海府使) 황관(黃瓘)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고, 이과(李顆)의 옥사(獄事)를 다스린 공으로 정난공신(定難功臣)에 책록됨.
1472~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소양당(素養堂) - 김수령(金壽寧)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국조보감(國朝寶鑑)》ㆍ《동국통감(東國通鑑)》ㆍ《세조실록(世祖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경사(經史)에 밝고 문장이 뛰어났음.
1436~14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양사(瀟陽祠) - 소양서원(瀟陽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문경(聞慶)에 건립된 서원. 정언신(鄭彥信)ㆍ심대부(沈大孚)ㆍ김낙춘(金樂春)ㆍ남영(南嶸) 등을 배향함.
17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문경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소양수(昭陽水) - 소양강(昭陽江)
강원도 중부지역을 남서류하여 춘천(春川) 북쪽에서 북한강(北漢江)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경관이 아름다워 시(詩)에 자주 차운(次韻) 되었음.
강원도>춘천ㅣ강원도>인제ㅣ강원도>양구 , 지명>자연지명
-
소양왕(昭襄王)@소왕 - 소왕(昭王)@춘추전국(연)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연(燕) 나라의 제후. 재위 B.C.312~B.C.279. 곽외(郭隗)와 악의(樂毅)를 등용하여 부국강병을 꾀했으며, 연 나라를 멸망시키려 한 제(齊) 나라와 전쟁을 일으켜 제 나라의 국력을 약화시킴.
?~B.C.2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소역(蕭繹) - 원제(元帝)@남북조(양)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552~554. 아버지 무제(武帝)가 죽자 형제들을 물리치고 왕위에 오름. 본래 독서와 문학을 좋아하여 《금루자(金樓子)》 등의 저서를 편(編)하기도 함.
508~55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연(昭然) - 서소연(徐昭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와 더불어 성리설(性理說)에 대해 논변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소연(蕭衍) - 무제(武帝)@남북조(양)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502~549. 경릉팔우(竟陵八友) 중 한 사람이며, 불교를 신봉해 500여 개의 사찰을 세움.
464~5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연(逍衍) - 김서현(金舒玄)
신라 진평왕(眞平王) 때의 귀족ㆍ장군. 김유신(金庾信)의 아버지. 629년(진평왕 51) 고구려의 낭비성(娘臂城:충청북도 청원)을 함락시킴.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소열(昭烈)@유관 - 유관(劉寬)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문신. 태위(太尉)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품이 온순하고 인자하여 남양 태수(南陽太守)로 있을 때 아전이나 백성들이 과실을 범하면 아프지 않은 부들 채찍으로 벌을 주었다고 함.
120~18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열(昭烈)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열제(昭烈帝)@고국원왕 - 고국원왕(故國原王)
고구려 제16대 왕. 재위 331~371. 미천왕(美川王)의 아들로, 전연(前燕)과 대립하다가 국내성(國內城)을 잃고 수도를 동황성(東黃城)으로 옮김. 371년 평양성(平壤城)에서 백제 근초고왕(近肖古王)을 맞아 싸우다가 전사함.
?~371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소염경(笑髥卿)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오자(小烏子)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온(少蘊) - 섭몽득(葉夢得)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지복주 겸 복건안무사(知福州兼福建安撫使) 등을 역임하고, 평생 학문을 연구하였으며, 특히 사(詞)에 뛰어나 여러 저술을 남김.
1077~114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옹(小翁) - 위현성(韋玄成)
중국 한(漢) 나라 선제(宣帝)~원제(元帝) 때의 문신. 위현(韋賢)의 아들로, 부자(父子)가 모두 승상(丞相)을 지냈으며, 경학(經學)에 밝아 명성이 높았음.
?~B.C.3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옹(穌翁)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옹(蘇翁)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완(小阮) - 완함(阮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은자. 노장(老莊)의 허무주의(虛無主義)를 주장했고, 숙부인 완적(阮籍)과 함께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 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소왕(巢王) - 이원길(李元吉)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의 넷째 아들. 형인 은태자(隱太子) 이건성(李建成)과 함께 후에 태종(太宗)이 된 이세민(李世民)을 몰래 제거하려다가 오히려 이세민에게 죽임을 당함.
603~62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소왕(昭王) - 소양왕(昭襄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제후. 재위 BC.306~B.C.251. 주(周)의 난왕(赧王)을 항복시키고 육국(六國)의 합종(合縱) 세력을 격파하여 진 제국의 기초를 닦음. 조(趙) 나라의 화씨벽(和氏璧)을 취하려다 인상여(藺相如)로 인해 실패한 일로 유명함.
B.C.324~B.C.25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소왕(素王)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소왕(蕭王)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요당(逍遙堂)@이항 - 이항(李沆)@1474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조 참의(吏曹參議)를 지낸 이세인(李世仁)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주도하여 조광조(趙光祖) 등을 숙청했으며, 영천 군수(榮川郡守)ㆍ대사헌(大司憲)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냈음.
1474~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상도>개령 , 인명>관인>문신
-
소요당(逍遙堂)@심정 - 심정(沈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해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고 화천군(花川君)에 봉해졌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조광조(趙光祖) 등을 숙청함.
1471~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소요당(逍遙堂) - 권륜(權綸)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대사성(大司成)ㆍ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냄.
1415~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소요당(逍遙堂)@박하담 - 박하담(朴河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학행(學行)으로 장례원 사평(掌隸院司評) 등에 제수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청도(淸道)의 운문산(雲門山) 아래에 소요당(逍遙堂)을 짓고 여생을 보냈으며, 김대유(金大有)와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음.
1479~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문인
-
소요당(逍遙堂)@박세무 - 박세무(朴世茂)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대사헌(大司憲) 박소립(朴素立)의 아버지로, 군자감 정(軍資監正) 등을 지내고 《동몽선습(童蒙先習)》을 저술함.
1487~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소요당(逍遙堂)@강문회 - 강문회(姜文會)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성종 때에는 사표(師表)로 추앙되었으나, 연산군(燕山君)의 폭정으로 관직을 버리고 단성(丹城)으로 낙향하여 후진양성에 힘씀. 저서로 《소요당기(逍遙堂記)》가 있음.
1433~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소요부(邵堯夫) - 소옹(邵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 이지재(李之才)에게 천문(天文)ㆍ역수(易數) 등을 배우고,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易哲學)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數理哲學)을 완성함.
1011~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소요산인(逍遙山人) - 정현(鄭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정백붕(鄭百朋)의 아들로, 아버지를 도와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참여해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됨. 말년에는 부사(府使)직을 사임하고 양주(楊州) 소요산(逍遙山)에 은거함.
152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소요재(趙遙齋) - 최숙정(崔淑精)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세조실록(世祖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ㆍ《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ㆍ《동문선(東文選)》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등을 지냄.
1432~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소요정(逍遙亭) - 권륜(權綸)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대사성(大司成)ㆍ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냄.
1415~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소우(蘇宇) - 남천택(南天澤)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양(英陽). 남잡(南磼)의 아들로, 1648년(인조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 등을 지냄.
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소우약(銷憂藥)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소운(素雲)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소원(少原) - 황효원(黃孝源)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황사간(黃士幹)의 아들. 성격이 각박하여 수령(守令)을 종처럼 대하고 처첩(妻妾)으로 인한 소송(訴訟)이 그치지 않았으며, 재화를 탐하여 화가옹(貨家翁)이라 불림.
1414~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소원(紹元) - 김사(金嗣)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수원(水原). 벼슬하지 않고 안빈수도(安貧守道)하며 후학을 양성함.
1447~153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학자
-
소원(紹院) - 소수서원(紹修書院)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 순흥(順興)에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1542년(중종 37) 주세붕(周世鵬)이 창건하고, 1550년(명종 5)에 사액됨. 안향(安珦)ㆍ안축(安軸)ㆍ주세붕(周世鵬)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소원(騷原)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소유(少游)@표연말 - 표연말(表沿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행장(行狀)을 미화하였다는 등의 죄명으로 경원(慶源)으로 유배가던 도중 죽었으며,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당했다가 뒤에 신원됨.
1449~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소유(少游) - 진관(秦觀)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문인. 태학박사(太學博士) 등을 지냄. 고문(古文)과 시, 특히 사(詞)에 뛰어나 소식(蘇軾)의 문하에 있으면서 황정견(黃庭堅)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 등과 함께 ‘소문 4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1049~11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유(少瑜) - 기소유(紀少瑜)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 무제(武帝) 때의 문신ㆍ문인. 일찍이 문장 육수(陸倕)로부터 청루 붓을 받는 꿈을 꾼 뒤 문장이 크게 진보되었다고 함. 초서에 능하고, 기실참군(記室參軍) 등을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유(少遊) - 진관(秦觀)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문인. 태학박사(太學博士) 등을 지냄. 고문(古文)과 시, 특히 사(詞)에 뛰어나 소식(蘇軾)의 문하에 있으면서 황정견(黃庭堅)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 등과 함께 ‘소문 4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1049~11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유기(小由基) - 진요자(陳堯咨)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지개봉부(知開封府)ㆍ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냈으며, 예서(隸書)에 능하고 활쏘기를 잘했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윤(昭胤) - 김소윤(金昭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을 지낸 김극뉴(金克忸)의 아들.
1475~153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소은(小隱)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소은(蘇隱)@이파 - 이파(李坡)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계전(李季甸)의 아들로, 《동국통감(東國通鑑)》과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의 편찬에 참여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성리학(性理學)에 밝고 문장이 뛰어남.
1434~14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소은(蘇隱) - 이봉(李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계전(李季甸)의 아들이자, 이파(李坡)의 아우로, 진위 겸 진향사(陳慰兼進香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441~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소응궁(昭應宮) - 옥청소응궁(玉淸昭應宮)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 궁중에 건립한 도교사원(道敎寺院).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사찰
-
소의(昭懿)@안천보 - 안천보(安天保)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천선(安天善)의 아들이며, 소헌왕후(昭憲王后)의 외조부. 고려 말에 벼슬하다 면직되어 오랫동안 은거하였으며, 조선 때 등용되어 좌의정 등을 지냄.
1339~14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소의(昭懿) - 김수(金睟)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 때 《십구사략(十九史略)》을 개수(改修)하여 주를 붙임.
1547~161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소의(疏儀) - 봉선잡의(奉先雜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이언적(李彦迪)이 지은 제례서. 목판본. 2권 1책. 《주자가례(朱子家禮)》및 선현들의 글에서 취사를 가려 수록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소의청혜공(昭義淸惠公) - 백이(伯夷)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고죽군(孤竹君)의 아들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叔齊)와 더불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종친
-
소의홍씨(昭儀洪氏) - 희빈홍씨(熙嬪洪氏)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후궁.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운 정국공신(靖國功臣) 홍경주(洪景舟)의 딸.
1494~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소의흠숙(昭懿欽淑) - 정현왕후(貞顯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우의정을 지낸 윤호(尹壕)의 딸이며, 중종(中宗)의 생모.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윤씨(尹氏)가 폐위되자 이듬해 왕비로 봉해짐.
1462~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소이(昭夷) - 홍상(洪常)
조선 추존왕인 덕종(德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남양(南陽). 좌의정 홍응(洪應)의 아들로, 덕종의 딸 명숙공주(明淑公主)와 혼인하였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난 뒤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57~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소이(昭夷)@임백령 - 임백령(林百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박상(朴祥)의 문인이며, 임억령(林億齡)의 동생.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주도한 공으로 정난위사공신(定難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숭선군(崇善君)에 봉해짐.
?~15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소이(蘇二)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이상(蘇二相) - 소세양(蘇世讓)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종(仁宗) 때 윤임(尹任) 일파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가 명종 때 재등용되어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송설체(松雪體)를 잘 씀.
1486~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소자(蘇子) - 소진(蘇秦)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경대부. 낙양(洛陽) 출신으로 귀곡자(鬼谷子) 왕허(王詡)의 문하생이며, 각국에 진(秦) 나라에 대항하는 합종론(合縱論)을 유세하여 육국(六國)의 재상이 됨.
?~B.C.31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소자(邵子)@소자 - 소옹(邵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 이지재(李之才)에게 천문(天文)ㆍ역수(易數) 등을 배우고,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易哲學)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數理哲學)을 완성함.
1011~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