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소자성헌(昭慈聖獻) - 소자성헌황후(昭慈聖獻皇后)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의 황후(皇后). 철종ㆍ휘종(徽宗) 때 폐출되었으나 복위되어 흠종(欽宗)ㆍ고종(高宗)에 걸쳐 두 차례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073~1131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소자왕(巢刺王) - 이원길(李元吉)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의 넷째 아들. 형인 은태자(隱太子) 이건성(李建成)과 함께 후에 태종(太宗)이 된 이세민(李世民)을 몰래 제거하려다가 오히려 이세민에게 죽임을 당함.
603~62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소자첨(蘇子瞻)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장(少章) - 권두굉(權斗紘)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유(權濡)의 아들이자, 창설재(蒼雪齋) 권두경(權斗經)의 아우이며, 병조 정랑(兵曹正郎)을 지낸 권만(權萬)의 아버지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668~174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소재(疎齋)@최표 - 최표(崔彪)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원(元) 나라 제과(制科)에 급제하였으며,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함.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藁)》에 그의 당호(堂號)에 대한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소재(疎齋) - 이이명(李頤命)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ㆍ학자.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6세손.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유배되었다가 갑술옥사(甲戌獄事) 때 재등용 된 후 좌의정 등을 지내고, 노론(老論) 정권의 핵심적 인물로 활약함.
1658~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재(疏齋) - 이이명(李頤命)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ㆍ학자.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6세손.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유배되었다가 갑술옥사(甲戌獄事) 때 재등용 된 후 좌의정 등을 지내고, 노론(老論) 정권의 핵심적 인물로 활약함.
1658~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재(穌齋)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재(素齋) - 유순선(柳順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호조 참판(戶曹參判) 유유(柳柔)의 아들이며, 유종선(柳從善)의 형으로,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ㆍ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16~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소재(蘇齋)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재상(穌齋相)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재상공(穌齋相公)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재상국(穌齋相國)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재선생문집(穌齋先生文集) - 소재집(穌齋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노수신(盧守愼)의 시문집(詩文集). 나흠순(羅欽順)이 쓴 발문(跋文)이 있음.
160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천안 , 문헌>서명
-
소재선생집(疎齋先生集) - 소재집(疎齋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이이명(李頤命)의 시문집(詩文集). 20권 10책. 활자본. 1725년(영조 1) 수습한 유집(遺集)을 바탕으로 1759년(영조 35)에 손자 이봉상(李鳳祥)이 다시 편차(編次)하여 간행함.
175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소적위(掃狄衛) - 내금위(內禁衛)
조선시대 임금의 호위와 궁중의 엄호를 맡은 군대 조직. 1407년(태종 7)에 설치되었으며, 장번군(長番軍)으로서 엄격한 시험을 통해 선발됨. 주로 양반의 자제로 편제되었으며, 다른 병종보다 후대를 받음.
140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직
-
소절(少節) - 모의(毛義)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효자.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관직에 제수하는 임명장을 받고 기뻐했다는 ‘모의봉격(毛義奉檄)’ 고사가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정(昭靖)@목영 - 목영(沐英)
중국 명(明) 나라의 무신. 홍무제(洪武帝:明 太祖)의 양자가 되어 무공(武功)을 세움. 1377년에 토번(吐審)을 정벌하고, 1381년에는 운남(雲南) 토벌에 공을 세웠으며 만족(蠻族)을 평정시킴.
1345~139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소정(昭靖) - 윤곤(尹坤)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냄. 아우 윤향(尹向)과 함께 문학으로 이름을 떨침.
?~14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소정(素廷) - 상노(商輅)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학자. 절강(浙江) 순안(淳安) 출신으로,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냄. 성화(成化) 연간에 《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을 편찬함.
1414~1486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소제(少帝) - 후주(後主)@삼국(촉)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제2대 황제. 재위 223~263. 제갈량(諸葛亮)의 보좌를 받아 정권을 유지하다가 제갈량이 죽은 뒤 위(魏) 나라에 항복하여 안락공(安樂公)에 봉해짐.
207~27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제(蕭帝) - 무제(武帝)@남북조(양)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502~549. 경릉팔우(竟陵八友) 중 한 사람이며, 불교를 신봉해 500여 개의 사찰을 세움.
464~5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제(蕭齊) - 남제(南齊)
중국 남북조시대 남조(南朝)의 두 번째 왕조. 남조 송(南朝宋)의 장군 소도성(蕭道成)이 순제(順帝)로부터 양위(讓位)를 받아 세웠으며, 7대 24년간 존속.
479~50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소제(蘇堤) - 소공제(蘇公堤)
중국 송(宋) 나라 소식(蘇軾)이 쌓은 제방. 항주 자사(杭州刺使)로 있을 때 서호(西湖)에 쌓은 것과 광동(廣東) 혜주(惠州)로 좌천되었을 때 풍호(豐湖)에 쌓은 것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유적>시설>기타시설
-
소조(紹祖) - 양소조(楊紹祖)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전둔위(前屯衞) 사람으로, 1598년(선조 31) 6월에 흠차보정중영참장(欽差保定中營參將) 도지휘첨사(都指揮僉事)로 마병(馬兵)을 이끌고 조선의 왜란에 참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소조천(小早川) - 소조천융경(小早川隆景)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 임진왜란 때 선봉장으로 벽제관(碧蹄館)에서 이여송(李如松)의 명(明) 나라 군사를 대패시켰으나, 금산(金山) 이치(梨峙)에서는 권율(權慄)에게 대패당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소종(紹宗)@박소종 - 박소종(朴紹宗)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함양(咸陽). 유학 박눌(朴訥)의 아버지로, 사직(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무신
-
소종(紹宗) - 윤소종(尹紹宗)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고려 때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역임하고, 조선 개국 후에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수문관 대제학(修文館大提學)을 지냄.
1345~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소주(蘇州)@태안 - 태안(泰安)
충청남도 태안반도(泰安半島)의 중간에 위치한 고을 이름.
충청도>태안 , 지명>행정지명
-
소주(蘇州)@위응물 - 위응물(韋應物)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젊었을 때 의협심이 강하여 현종(玄宗)의 근위사관으로서 분방한 생활을 하였으나, 안녹산(安祿山)의 난 이후 학문에 정진하여 관계에 진출한 뒤 좌사 낭중(左司郞中)ㆍ소주 자사(蘇州刺史) 등을 지냄.
737~80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주도병(燒酒陶甁)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중도(笑中刀) - 이의부(李義府)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간신. 허경종(許敬宗)과 함께 측천무후(則天武后)를 추종하여 고종(高宗)의 황후인 왕씨(王氏)를 폐하도록 함. 겉으로는 온유하지만 속으로는 음험하여 남들을 해쳤으므로, ‘소중도(笑中刀)’ 또는 ‘이묘(李猫)’라 일컬어짐.
614~66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지(少之) - 강노(姜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소지(昭之) - 김소윤(金昭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을 지낸 김극뉴(金克忸)의 아들.
1475~153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소지(紹地) - 하소지(河紹地)
조선 세종(世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전력부위(展力副尉) 하원(河源)의 생부이자, 하위지(河緯地)의 동생. 1447년(세종 2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소지(蕭之) - 소망지(蕭望之)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원제(元帝) 때의 문신ㆍ학자. 홍공(弘恭)ㆍ석현(石顯) 등 환관의 전횡을 막아 제도를 개혁하려 하였으나 오히려 그들의 모함에 빠져 자살함.
B.C.106~B.C.4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지선사(小止禪師) - 소지(小止)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선종(禪宗) 승려. 혜감국사(慧鑑國師) 만항(萬恒)의 수제자이며, 무학대사(無學大師) 자초(自超)의 스승. 1344년(충혜왕 5)에 자초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내림.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소지왕(炤知王) - 소지마립간(炤知麻立干)
신라 제21대 왕. 재위 479~499. 각 지방에 우역(郵驛)을 두고 경주(慶州)에 시장을 설치함. 고구려ㆍ말갈ㆍ왜적의 침입을 자주 받자, 백제와 연합하여 고구려에 대항함.
?~499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소천(小川) - 마귀(麻貴)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장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명 나라가 파견한 조선 원병의 제독으로서, 권율(權慄)과 합세하여 도산성(島山城)을 공격하였으나 성과를 올리지 못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소첨(小瞻) - 강륜(康崙)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신천(信川). 절충장군(折衝將軍) 강희철(康希哲)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종 때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소총(篠䕺) - 홍유손(洪裕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김수온(金守溫)ㆍ김시습(金時習)ㆍ남효온(南孝溫) 등과 교유하며 학문과 시율(詩律)을 논함. 무오사화 때 제주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1452~152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문인
-
소축(小畜) - 왕우칭(王禹偁)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사문(詞文)에 능했음. 강직한 성품 때문에 여러 차례 좌천되었으나, 〈삼출부(三黜賦)〉를 지어 자신의 뜻을 나타냄.
954~10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치(嘯痴) - 임제(林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시인ㆍ문신. 성운(成運)의 문인으로,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지제교(知製敎)를 지냄. 동서(東西)의 당파싸움을 개탄(慨歎)하여 벼슬을 버리고 명산을 유람하며 문장가로 명성을 떨침.
1549~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태(蘇泰) - 태안(泰安)
충청남도 태안반도(泰安半島)의 중간에 위치한 고을 이름.
충청도>태안 , 지명>행정지명
-
소태부(蕭太傅) - 소망지(蕭望之)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원제(元帝) 때의 문신ㆍ학자. 홍공(弘恭)ㆍ석현(石顯) 등 환관의 전횡을 막아 제도를 개혁하려 하였으나 오히려 그들의 모함에 빠져 자살함.
B.C.106~B.C.4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태종(小太宗) - 선종(宣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6대 황제. 재위 846~859. 제11대 헌종(憲宗)의 열네 번째 아들로, 환관 마원지(馬元贄) 등에 의해 황태숙(皇太叔)으로 옹립된 후 즉위하였으며, 토번(吐藩)에 빼앗겼던 영토를 회복하는 등 ‘작은 태종(小太宗)’으로 일컬어짐.
810~85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통(少通) - 최광(崔廣)
중국 진(秦) 말~한(漢) 초 때의 은자. 진 나라 시황(始皇)의 폭정을 피하여 상산(商山)에 은거한 상산사호(商山四皓) 중의 한 사람으로, 한 나라 고조(高祖) 때 장량(張良)의 계책을 쓴 여후(呂后)의 초빙을 받아 태자빈객(太子賓客)이 됨.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소퇴계(小退溪) - 박승임(朴承任)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심학(心學)과 성리학(性理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영주(榮州)의 구산정사(龜山精舍)에 제향됨.
1517~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퇴계(小退溪)@이동표 - 이동표(李東標)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운익(李雲翼)의 아들로,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화를 당한 박태보(朴泰輔) 등을 신구(伸救)하다가 양양 현감(襄陽縣監)으로 좌천되었으며, 낙향한 후 여러 번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644~17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소파로(蘇坡老)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판공(蘇判公) - 이거명(李居明)
통일신라 때의 문신. 경주이씨(慶州李氏)의 중시조. 진골(眞骨) 출신이며, 시조 이알평(李謁平)의 36세손으로, 소판(蘇判)에 오름.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소평(少平) - 동선(董宣)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광무제(光武帝) 때 잘못을 한 호양공주(湖陽公主)에게 머리를 조아리지 않은 강직함으로 유명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평(昭平) - 이현(李鉉)@이포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褆)의 손자이자, 함양군(咸陽君) 이포(李𧦞)의 아들로, 호산군(湖山君)에 봉해지고,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소평(昭平)@정미수 - 정미수(鄭眉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문종(文宗)의 외손자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으로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졌음.
1456~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소평(昭平)@정광세 - 정광세(鄭光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을 지낸 정난손(鄭蘭孫)의 아들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지냄.
?~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소하(小河) - 소릉하(小凌河)
중국 요녕성(遼寧省) 대릉하(大凌河)의 서쪽에 있는 강 이름. 하북성(河北省) 명안객라산(明安喀喇山)에서 발원하여 동남쪽으로 흐르다가 요동만(遼東灣)으로 흘러듦.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소학동자(小學童子) - 김굉필(金宏弼)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흥(瑞興)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극형에 처해짐. 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함께 오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학주(小學註) - 소학집주(小學集註)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지은 《소학(小學)》에 대한 주석서.
157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소학집주(小學輯註) - 소학집주(小學集註)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지은 《소학(小學)》에 대한 주석서.
157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소한당(所閑堂) - 권람(權攬)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조 즉위의 기반을 마련함. 《국조보감(國朝寶鑑)》ㆍ《동국통감(東國通鑑)》 편찬에 참여함.
1416~14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소한당(所閒堂) - 신수근(愼守勤)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거창부원군(居昌府院君) 신승선(愼承善)의 아들. 연산군(燕山君)의 비(妃)인 거창(居昌) 신씨(愼氏)의 동생이자, 중종(中宗)의 비(妃)인 단경왕후(端敬王后)의 아버지. 좌의정(左議政)을 지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에 반대하다 피살됨.
1450~150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소한산(小韓山) - 이파(李坡)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계전(李季甸)의 아들로, 《동국통감(東國通鑑)》과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의 편찬에 참여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성리학(性理學)에 밝고 문장이 뛰어남.
1434~14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소한재(素寒齋) - 이수정(李守貞)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광양군(光陽君) 이세좌(李世佐)의 아들이며 이준경(李浚慶)의 아버지.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ㆍ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 등을 지냄.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처형됨.
1477~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 소수림왕(小獸林王)
고구려의 제17대 왕. 재위 371~384. 고국원왕(故國原王)의 아들. 전진(前秦)과 평화적 관계를 수립하고, 불교 수용ㆍ태학(太學) 설립ㆍ율령(律令) 반포 등을 통하여 고대국가 체제를 정비하였으며, 백제의 수곡성(水谷城)을 침공하여 견제함.
?~384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소헌(昭憲) - 소헌왕후(昭憲王后)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비. 본관은 청송(靑松). 심온(沈溫)의 딸로, 1418년 세종이 즉위하자 왕후로 봉해짐. 심온이 대역(大逆)의 혐의를 받고 사사되자 폐비(廢妃)의 논의가 있었으나 내조의 공이 인정되어 일축됨.
1395~14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소헌(素軒) - 조태구(趙泰耉)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로, 우의정 조사석(趙師錫)의 아들. 소론의 영수로 1721년(경종 1)에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일으켜 김창집(金昌集) 등 노론 4대신을 역모죄로 몰아 사사(死賜)하게 한 뒤 영의정에 오름.
1660~17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소헌왕비(昭憲王妃) - 소헌왕후(昭憲王后)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비. 본관은 청송(靑松). 심온(沈溫)의 딸로, 1418년 세종이 즉위하자 왕후로 봉해짐. 심온이 대역(大逆)의 혐의를 받고 사사되자 폐비(廢妃)의 논의가 있었으나 내조의 공이 인정되어 일축됨.
1395~14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소현원(紹賢院) - 소현서원(紹賢書院)
황해도 해주(海州) 고산면(高山面)에 있는 서원. 조선 선조(宣祖) 때 세워지고 광해군(光海君) 때 사액(賜額)되었으며, 고종(高宗) 때 철폐되었다가 1950년대 이후에 복원됨. 주희(朱熹)ㆍ조광조(趙光祖)ㆍ이이(李珥) 등을 배향함.
157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소혜(昭惠) - 소혜왕후(昭惠王后)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장남인 덕종(德宗)의 비. 본관은 청주(淸州).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확(韓確)의 딸로, 불경(佛經)에 조예가 깊어 불경을 언해(諺解)하였고, 부녀자가 지켜야 할 도리인 《내훈(內訓)》을 간행함.
1437~150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소호(少皥) - 소호(少昊)
중국 고대의 전설적 황제. 삼황오제(三皇五帝)의 하나로, 황제(黃帝)와 누조(嫘祖)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태호(太昊)의 법을 닦았기 때문에 소호(少昊)라 일컬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소호(韶頀) - 대호(大濩)
중국 은(殷) 나라의 제왕인 탕왕(湯王)이 이윤(伊尹)에게 명해서 지었다는 음악 이름. 탕왕이 천하를 구제한 후 만민(萬民)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불렀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기타>가무
-
소호금천씨(少昊金天氏) - 소호(少昊)
중국 고대의 전설적 황제. 삼황오제(三皇五帝)의 하나로, 황제(黃帝)와 누조(嫘祖)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태호(太昊)의 법을 닦았기 때문에 소호(少昊)라 일컬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소호지(少皞摯) - 소호(少昊)
중국 고대의 전설적 황제. 삼황오제(三皇五帝)의 하나로, 황제(黃帝)와 누조(嫘祖)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태호(太昊)의 법을 닦았기 때문에 소호(少昊)라 일컬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소화(小華) - 남유용(南有容)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남용익(南龍翼)의 증손. 이재(李縡)의 문인으로, 양관(兩館) 대제학(大提學)과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냈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음.
1698~17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소화엄경(小華嚴經) - 능엄경(楞嚴經)
불교의 대승경전. 10권. 705년 인도의 승려 반랄밀제(般剌蜜帝)에 의해 한역되어 당(唐) 나라에 전래됨. 밀교부에 속해있으나 선정(禪定)을 설하여 선종의 소의경전(所衣經典)이 됨.
기타지역 , 문헌>서명
-
소황제(昭皇帝) - 인종(仁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1525년. 성조(成祖) 영락제(永樂帝)의 장자(長子)로, 영락제의 대외적극책(對外積極策)에서 비롯된 흩어진 내치를 회복하였음.
1378~142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후(昭侯)@육손 - 육손(陸遜)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무신. 대제(大帝)의 도독(都督)으로서 형주(荊州)를 쳐 빼앗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함. 유비(劉備)를 이릉(夷陵)에서 패퇴시키고, 조휴(曹休)의 군대를 무찌르는 등 많은 전공을 세움.
183~24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소훈(紹勳) - 양소훈(楊紹勳)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요동광녕진수총병관(遼東廣寧鎭守總兵官)으로 아우 양소신(楊紹新)과 함께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참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소휴(昭休) - 현종(顯宗)@조선
조선 제18대 왕. 재위 1659~1674. 효종(孝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인선왕후(仁宣王后). 대동법(大同法) 시행ㆍ동철활자(銅鐵活字) 주조 등의 개혁이 있었으나, 예론(禮論)을 둘러싼 남인(南人)ㆍ서인(西人) 간의 당쟁으로 인해 국력이 피폐됨.
1641~1674 한국>조선후기 , 인명>왕실>국왕
-
소흥(紹興) - 월주(越州)
중국 절강성(浙江省)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춘추전국시대에 월왕(越王) 구천(句踐)에 의해 건설된 도시로, 현재는 소흥(紹興)으로 불림. 항주만(杭州灣) 남쪽에 위치하며, 역사적인 명승지와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도요(陶窯) 지대로 유명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속(洬) - 유속(柳洬)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낸 유몽익(柳夢翼)의 아들로, 1618년(광해군 10)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해남 현감(海南縣監)을 지냄.
1568~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속(涑)@윤속 - 윤속(尹涑)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백령(尹伯齡)의 아들로, 부정(副正) 윤광령(尹光齡)에게 출계함. 1525년(중종 2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속(涑) - 조속(趙涑)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조수륜(趙守倫)의 아들. 시ㆍ서ㆍ화 삼절(詩書畵三絶)로 일컬어지고, 영모(翎毛)ㆍ매죽(梅竹)ㆍ산수(山水)에 능했음.
1595~166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속강목(續綱目) - 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명
중국 명(明) 나라 성화(成化) 연간에 상노(商輅) 등이 편찬한 역사서. 27권. 송(宋) 나라 태조(太祖) 때부터 원(元) 나라 순제(順帝) 때까지 408년간의 기록.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속강목(續綱目)@속자치통감강목 - 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 김우옹(金宇顒)이 송(宋) 나라 태조(太祖) 때부터 원(元) 나라 순제(順帝) 때까지 408년간의 중국 역사를 강목체(綱目體)로 서술한 책.
18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문헌>서명
-
속고내(束古乃) - 속고내(速古乃)
조선 전기의 여진족(女眞族) 수령. 회령(會寧) 일대를 자주 침범하였으나 조선의 북벌(北伐)에 의하여 신복(臣服)함.
한국>조선전기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속단양산수기(續丹陽山水記) - 단양산수가유자속기(丹陽山水可遊者續記)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이황(李滉)이 단양 군수(丹陽郡守)를 지낼 때 그 지역의 산수(山水)를 유람하고 지은 기문(記文).
1548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속록(續錄)@대전속록 - 대전속록(大典續錄)
조선시대 기본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 반포 이후 성종(成宗) 22년(1491)까지의 새로운 수교(受敎)와 법규(法規)를 수집하여 편찬한 법전. 6권 1책. 목판본.
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법률ㅣ문헌>서명
-
속록(續錄) -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 세조(世祖) 때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成宗) 때 완성된 조선시대 통치의 기본 법전. 조선 건국 전후부터 1484년(성종 15)에 이르기까지 약 100년간의 왕명ㆍ교지(敎旨)ㆍ조례(條例) 중 영구히 준수할 것을 모아 엮음. 6권 4책. 인본(印本).
1485 한국>조선전기 , 법제>법률ㅣ문헌>서명
-
속명(續命) - 김속명(金續命)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화평(化平). 1361년(공민왕 10)에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호종공신(扈從功臣)에 녹훈되고,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냄. 충혜왕(忠肅王)의 비(妃)인 명덕태후(明德太后)의 인척으로 성품이 청렴하고 강직함.
?~1386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속명(續命)@문속명 - 문속명(文續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문손관(文孫貫)의 아들이며, 문경동(文敬仝)의 아버지로, 전연사 직장(典涓司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속명신언행록(續名臣言行錄) - 송조속명신언행록(宋朝續名臣言行錄)
조선 전기의 문신 정유일(鄭惟一)이 주자(朱子)의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에 누락된 기타 영웅호걸(英雄豪傑)과 절의문장(節義文章)을 모아 엮은 책.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속문선(續文選)@문선 - 문선(文選)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소통(蕭統)이 양 나라 이전 문인들의 명작 800여 편을 모아 엮은 책. 30권. 중국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시문총집(詩文總集).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속문선(續文選) - 속동문선(續東文選)
조선 중종(中宗) 때 신용개(申用漑) 등이 서거정(徐居正)의 《동문선(東文選)》 취지를 이어 편찬한 시문집(詩文集). 23권 11책. 목판본.
151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속미인곡(續美人曲) - 속사미인곡(續思美人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인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사미인곡(思美人曲)〉에 이어 임금을 그리는 정을 두 여인의 문답형식으로 표현하였는데 뜻이 더욱 간절해짐. 두 작품을 함께 '전후미인곡(前後美人曲)'으로 부르며, 《송강가사(松江歌辭)》에 실려 전함.
158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문헌>작품명
-
속삼강록(續三綱錄) - 속삼강행실도(續三綱行實圖)
조선 중종(中宗) 때 신용개(申用漑)가 왕명을 받아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보유(補遺)하여 편찬한 책.
151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속수(涑水) - 사마광(司馬光)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구법당(舊法黨)의 영수로, 왕안석(王安石) 일파의 신법(新法)을 폐지하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함.
1019~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속수선생(涑水先生) - 사마광(司馬光)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구법당(舊法黨)의 영수로, 왕안석(王安石) 일파의 신법(新法)을 폐지하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함.
1019~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속수현(涑水賢) - 사마광(司馬光)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구법당(舊法黨)의 영수로, 왕안석(王安石) 일파의 신법(新法)을 폐지하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함.
1019~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속신선전(續神仙傳) - 속선전(續仙傳)
중국 오대십국 남당(南唐) 때의 문인인 심분(沈汾)이 36인의 신선(神仙)에 관한 이야기를 모아 엮은 책. 3권.
중국>오대십국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