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속악가사(俗樂歌詞) - 악장가사(樂章歌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박준(朴浚)이 편찬하였다고 전하는 가집(歌集). 목활자본. 현전하는 가집 중 악장(樂章)과 속악가사(俗樂歌詞)를 엮은 순수 가집으로는 가장 오래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속의례경전(續儀禮經傳) - 의례경전통해속(儀禮經傳通解續)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황간(黃榦)ㆍ양복(楊復)이 지은 의례에 관한 책. 29권. 주희(朱熹)가 지은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의 속편으로, 《의례(儀禮)》를 경(經)으로 삼아, 여러 책에서 예(禮)에 관한 내용을 뽑아 덧붙여 주소(注疏)하고 도식(圖式)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속의례경전통해(續儀禮經傳通解) - 의례경전통해속(儀禮經傳通解續)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황간(黃榦)ㆍ양복(楊復)이 지은 의례에 관한 책. 29권. 주희(朱熹)가 지은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의 속편으로, 《의례(儀禮)》를 경(經)으로 삼아, 여러 책에서 예(禮)에 관한 내용을 뽑아 덧붙여 주소(注疏)하고 도식(圖式)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속장경(續藏經) -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고려시대에 부처님의 설법과 부처님이 정한 교단의 규칙 및 경(經)ㆍ율(律)에 대한 논(論) 등을 모아 간행한 불교 경전(經典)의 총칭.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ㆍ《교장(敎藏)》ㆍ《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 등이 판각됨.
한국>고려시대 , 문헌>서명
-
속전(續典) - 대전속록(大典續錄)
조선시대 기본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 반포 이후 성종(成宗) 22년(1491)까지의 새로운 수교(受敎)와 법규(法規)를 수집하여 편찬한 법전. 6권 1책. 목판본.
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법률ㅣ문헌>서명
-
속통감(續通鑑) - 송원통감(宋元通鑑)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설응기(薛應旂)가 지은 송ㆍ원(宋元)에 대한 편년체 사서(史書). 157권. 상노(商輅) 등의 《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을 저본으로 하여, 송 나라 태조(太祖)부터 원 나라 순제(順帝)까지 480년간의 역사를 다룸. 《자치통감(資治通鑑)》의 속편으로 지음.
162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속파한집(續破閑集) - 보한집(補閑集)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인 최자(崔滋)가 지은 시화집(詩話集). 3권 1책. 1254년(고종 41)에 간행함. 《파한집(破閑集)》ㆍ《역옹패설(櫟翁稗說)》과 더불어 고려시대 비평문학의 3대 걸작으로 꼽히며, 담무갈(曇無竭) 보살에 대한 기록이 있음.
1254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속편(續編) - 통감속편(通鑑續編)
중국 명(明) 나라의 진경(陳桱)이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과 주자(朱子)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체재를 본떠 편찬한 책. 24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속한서(續漢書) - 후한서(後漢書)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범엽(范曄)이 기전체(紀傳體)로 엮은 후한(後漢)의 정사(正史). 120권. 광무제(光武帝)에서 헌제(獻帝)까지 196년간의 역사 기록.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속함(速含) - 함양(咸陽)
경상도 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함양 , 지명>행정지명
-
속함대군(速咸大君) - 박언신(朴彦信)
신라 제54대 경명왕(景明王)의 셋째 아들. 속함대군(速咸大君)에 봉해짐. 함양박씨(咸陽朴氏)의 시조.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함양ㅣ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자
-
속혹문(續或問) - 속대학혹문(續大學或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언적(李彦迪)의 저서. 주희(朱熹)의 《대학혹문(大學或問)》의 예에 따라 《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에서 《대학장구(大學章句)》와 서차나 해석을 다르게 한 이유를 문답 형식으로 풀이함. 1책. 목판본.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손(孫) - 설손(偰孫)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시인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사람으로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고려에 귀화하여 경주설씨(慶州偰氏)의 시조가 됨. 고려 대표시인의 한 사람.
?~1360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손(蓀)@허손 - 허손(許蓀)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좌의정 허침(許琛)의 아버지로, 재령 군수(載寧郡守)를 지내고 보조공신(補祚功臣)에 추록되었으며,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손(蓀) - 이손(李蓀)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 이수철(李守哲)의 아들. 1470년(성종 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좌찬성(左贊成)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책봉됨.
1439~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손^유(孫^劉) - 유^손(劉^孫)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제1대 황제인 소열제(昭烈帝) 유비(劉備)와 오(吳) 나라 제1대 황제인 대제(大帝) 손권(孫權)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손^조(孫^曹) - 조^손(曹^孫)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황제인 대제(大帝) 손권(孫權)과 위(魏) 나라의 황제인 무제(武帝) 조조(曹操)를 함께 부르는 말. 삼국시대에 적벽대전(赤壁大戰) 등의 치열한 전쟁을 통해 천하를 호령했던 두 영웅을 말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손강영설(孫康映雪) - 형설지공(螢雪之功)
반딧불과 눈빛으로 글을 읽어가며 고생 속에서 공부하는 것을 말함.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손강(孫康)은 가난하여 눈빛으로 글을 읽어 어사대부(御史大夫)에 오르고, 차윤(車胤)은 반딧불을 주머니에 넣어 그 불빛으로 글을 읽어 이부상서(吏部尙書)가 된 데서 유래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손경신서(孫卿新書) - 순자(荀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학자인 순황(荀況)의 사상서. 20권. 예치주의(禮治主義)를 강조하고, 성악설(性惡說)을 담고 있어 유자(儒者)들의 비판을 받음. 후에 한비자(韓非子) 등이 계승하여 법가(法家) 사상을 낳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손경여(孫敬輿) - 손식(孫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로, 의서습독관(醫書習讀官)을 지낸 손숙겸(孫叔謙)의 아들. 전라도 관찰사ㆍ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손경자(孫卿子) - 순자(荀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학자인 순황(荀況)의 사상서. 20권. 예치주의(禮治主義)를 강조하고, 성악설(性惡說)을 담고 있어 유자(儒者)들의 비판을 받음. 후에 한비자(韓非子) 등이 계승하여 법가(法家) 사상을 낳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손곡(損谷) - 김상성(金尙星)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으로, 김시환(金始煥)의 아들. 13세에 영평(永平)의 〈금수정기(金水亭記)〉를 지어 신동(神童)으로 불리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703~175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손곡(蓀谷) - 이달(李達)@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시인. 본관은 신평(新平). 최경창(崔慶昌)ㆍ백광훈(白光勳)과 어울리며 시사(詩社)를 결성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 일컬어짐. 제자 허균(許筠)이 그의 전기(傳記)인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을 지음.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문인
-
손곡집(蓀谷集) - 손곡시집(蓀谷詩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시인인 이달(李達)의 시집. 6권 1책. 활자본. 초간본(初刊本)은 1618년(광해군 10)에 허균(許筠)이 자신의 서문(序文)을 붙여 간행함.
161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손군립(孫君立) - 손흥례(孫興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지헌(芝軒) 정사성(鄭士誠), 용담(龍潭) 박이장(朴而章) 등과 교유함.
154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손권(孫權) - 대제(大帝)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222~252. 형 손책(孫策)의 뒤를 이어 강동(江東)을 차지하고, 유비(劉備)와 동맹하여 조조(曹操)를 적벽(赤壁)에서 무찌름.
182~25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손기숙(孫記叔) - 손명(孫蓂)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생원 손흥례(孫興禮)의 아버지.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손덕유(孫德裕) - 손영제(孫英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많은 사재를 희사하여 도산서원(陶山書院) 건립에 크게 이바지함. 저서로 《추천집(鄒川集)》이 있음.
1521~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손량(孫梁) - 기벌포(伎伐浦)
금강(錦江) 하구인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 장항읍(長項邑) 일대로 추정되는 백제 때의 지명. 백제의 국방상 요충지로, 사비성(泗沘城)을 지키는 중요한 관문 역할을 함.
한국>백제 , 충청도>서천 , 지명>자연지명
-
손량(孫亮) - 폐제(廢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252~258. 대제(大帝: 손권(孫權))의 막내아들. 맏형 손등(孫登)이 죽은 후 태자가 되어 제갈각(諸葛恪) 등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나, 손준(孫峻) 등에게 실권을 빼앗겨 결국 폐위되었으며, 후에 자살함.
243~26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손명복(孫明復) - 손복(孫復)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국자감 직강(國子監直講)ㆍ전중승(殿中丞)을 지냈으며, 태산(泰山) 아래에서 문도를 모아 가르치고 글을 저술하여 태산학파(泰山學派)를 이룸. 저서로《수양자집(睢陽子集)》이 있음.
992~105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손무송(孫撫松) - 손천우(孫天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각재(覺齋) 하항(河沆) 등과 함께 덕천서원(德川書院)을 건립함.
1533~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손무자(孫武子) - 손무(孫武)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병법가(兵法家). 오(吳) 나라의 왕 합려(闔閭)를 도와 초(楚)ㆍ제(齊)ㆍ진(晉) 나라를 공략함으로써 패자(霸者)가 되게 하고, 중국 최초의 병서인 《손자(孫子)》을 저술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손보(遜甫) - 안경공(安景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太祖) 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냄. 정도전(鄭道傳)ㆍ남은(南誾)의 죄를 감해줄 것을 요청했다가 탄핵을 받음.
1347~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손사(孫師) - 전손사(顓孫師)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송(宋) 나라 이후 공문십철(孔門十哲)로 성묘(聖廟)에 종향(從享)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손사의(孫士宜) - 손경의(孫景義)
조선 전기의 유학.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손사재(孫四宰) - 손중돈(孫仲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계천군(鷄川君) 손소(孫昭).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청환직(淸宦職)을 두루 역임하였고, 중종(中宗) 때 청백리에 녹선됨.
1463~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손삼(孫三) - 손강(孫康)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어사대부(御史大夫)를 지냈으며, 집이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에 비추어 글을 읽었다는 형설지공(螢雪之功)의 고사로 유명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손삼재(孫三宰) - 손중돈(孫仲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계천군(鷄川君) 손소(孫昭).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청환직(淸宦職)을 두루 역임하였고, 중종(中宗) 때 청백리에 녹선됨.
1463~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손선공(孫宣公) - 손석(孫奭)
중국 송(宋)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경술(經術)로써 한림시강학사(翰林侍講學士)에 이르렀고, 저서에는 《악기도(樂記圖)》ㆍ《오경절해(五經節解)》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손성(孫聖) - 공급(孔伋)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손자. 사서(四書)의 하나인 《중용(中庸)》을 편찬했으며, 증삼(曾參)의 학(學)을 배워 유학의 전승에 힘씀.
B.C.483~B.C.40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손순(孫舜) - 손순(孫順)
통일신라 흥덕왕(興德王) 때의 효자. 경주손씨(慶州孫氏)의 시조. 어머니의 음식을 빼앗아 먹는 어린아이를 매장하려다 석종(石鐘)을 얻은 후 왕으로부터 포상을 받았으며, 후에 옛집을 희사하여 홍효사(弘孝寺)라는 절을 삼았다 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효자
-
손신로(孫莘老) - 손각(孫覺)
중국 송(宋)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호원(胡瑗)의 문하에서 공부하였으며, 왕안석(王安石)과 교유함. 벼슬이 간의대부(諫議大夫)에 이름.
1028~1090 중국>송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손심(孫心) - 의제(義帝)
중국 초(楚) 나라 황제. 초 회왕(懷王) 웅괴(熊槐)의 손자. 항우(項羽)에 의해 황제로 세워졌으나, 항우의 밀명(密命)을 받은 영포(英布)에게 침강(郴江)에서 살해됨.
?~B.C.205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손암(巽岩) - 이도(李燾)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벽(李壁)의 아버지로, 수찬(修撰) 등을 지내고, 《속자치통감장편(續資治通鑑長編)》ㆍ《설문해자오음운보(說文解字五音韻譜)》등을 저술하는 등 사학가(史學家)로서 활동이 두드러짐.
1115~118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손암(巽庵)@정약전 - 정약전(丁若銓)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진주 목사(晉州牧使) 정재원(丁載遠)의 아들이며 정약용(丁若鏞)의 형으로, 신유사옥(辛酉邪獄) 때 흑산도(黑山島)로 유배되어 《자산어보(玆山魚譜)》를 지음.
1758~181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손암(巽庵) - 심의겸(沈義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1575년(선조 8)에 그를 지지하는 서인(西人)과, 김효원(金孝元)을 지지하는 동인(東人)이 서로 논쟁하기 시작해 동서분당(東西分黨)의 시초가 됨.
1535~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손암(損菴) - 이식(李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승상(李承常)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동서분당(東西分黨)이 일어나자 정희적(鄭熙績) 등과 함께 서인(西人)의 등용을 막으려다 체직됨.
1510~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손양(孫陽) - 백락(伯樂)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 때의 인물. 방구인(方九堙)의 추천으로 목공(穆公)의 말을 관리하였으며, 천리마(千里馬) 감정의 달인으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손언장(孫彦章) - 손홍륜(孫弘綸)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집(河西集)》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손오(孫吳) - 오(吳)@삼국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국명. 손권(孫權)이 유비(劉備)와 결탁하여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대파한 뒤 세운 왕조로, 4대 52년간 존속.
222~28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손옹(巽翁)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손우(遜愚) - 홍석(洪錫)@조선후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김상헌(金尙憲)의 문인으로,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太白山) 춘양(春陽)에 은거하여 강흡(姜洽)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후에 세자익위사 사어(世子翊衛司司禦)를 지냄.
1604~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손우재(遜愚齋) - 홍석(洪錫)@조선후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김상헌(金尙憲)의 문인으로,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太白山) 춘양(春陽)에 은거하여 강흡(姜洽)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후에 세자익위사 사어(世子翊衛司司禦)를 지냄.
1604~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손자(孫子) - 손무(孫武)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병법가(兵法家). 오(吳) 나라의 왕 합려(闔閭)를 도와 초(楚)ㆍ제(齊)ㆍ진(晉) 나라를 공략함으로써 패자(霸者)가 되게 하고, 중국 최초의 병서인 《손자(孫子)》을 저술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손재(孫宰) - 손작(孫綽)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문인. 시부(詩賦)에 능하여 〈천태산부(天台山賦)〉 등을 지어 당대에 이름을 떨치고, 저작좌랑(著作佐郞) 등을 지냄.
314~37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손재(巽齋) - 심의겸(沈義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1575년(선조 8)에 그를 지지하는 서인(西人)과, 김효원(金孝元)을 지지하는 동인(東人)이 서로 논쟁하기 시작해 동서분당(東西分黨)의 시초가 됨.
1535~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손재(遜齋) - 이겸(李謙)@이맹지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장령(掌令)으로서 유운(柳雲)ㆍ조광조(趙光祖) 등을 변호하는 극렬한 상소를 올렸다가 파직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손정(孫丁) - 정위(丁謂)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진종 때 총애를 받아 승상(丞相) 구준(寇準)을 배척하였으나, 인종 때 애주(崖州)로 쫓겨나 죽음. 노다손(盧多遜)과 함께 송 나라의 간신(奸臣)으로 꼽힘.
966~103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손지(巽之) - 범육(范育)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지당주사(知唐州事)를 지낸 범상(范祥)의 아들로, 호부 시랑(戶部侍郎)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손지(損之)@이종민 - 이종민(李宗閔)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 우승유(牛僧孺)와 함께 ‘우당(牛黨)’의 대표적인 인물로, 이덕유(李德裕)ㆍ이길보(李吉甫) 중심의 ‘이당(李黨)’과 40여 년간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임.
?~84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손지(損之) - 김변(金賆)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충렬왕이 세자로 원(元) 나라에 있을 때 예부 낭중(禮部郞中)으로 4년간 보좌하여 이등공신(二等功臣)에 녹훈됨.
1248~130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손지(遜志) - 방효유(方孝孺)
중국 명(明) 태조(太祖)~혜제(惠帝) 때의 학자. 석학인 송렴(宋濂)에게 수학하고, 혜제(惠帝)를 섬겨 시강학사(侍講學士)로서 신임을 받았으나, 영락제(永樂帝) 때 등극 조서 작성을 거부하다가 죽임을 당하였음.
1357~1402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손지(遜志)@고손지 - 고손지(高遜志)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문신ㆍ문인. 《원사(元史)》를 편수함.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손천총(孫千總) - 손광유(孫光裕)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무신.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의 이웃에 우거하였으며, 《아계유고(鵝溪遺稿)》에 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무신
-
손통(孫通) - 숙손통(叔孫通)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문신. 한(漢) 고조(高祖) 때 조의(朝儀)를 제정하였으며, 혜제(惠帝) 때 종묘(宗廟) 등의 의법(儀法)을 정하고 태자 태부(太子太傅)를 지냈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손호(孫狐) - 대제(大帝)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222~252. 형 손책(孫策)의 뒤를 이어 강동(江東)을 차지하고, 유비(劉備)와 동맹하여 조조(曹操)를 적벽(赤壁)에서 무찌름.
182~25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손호(孫皓) - 말제(末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마지막 황제. 재위 264~280. 처음에는 선정을 베풀었으나 가혹한 조세(租稅)와 폭정(暴政) 등으로 민심을 잃었으며, 진(晉) 나라에 항복하여 귀명후(歸命侯)에 봉해짐.
242~284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손홍비(孫洪庇) - 손홍량(孫洪亮)
고려 충선왕(忠宣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일직(一直)으로, 격재(格齋) 손조서(孫肇瑞)의 고조(高祖). 충정왕(忠定王) 때 공신에 책록되고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냈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궤장(几杖)과 자신의 초상화를 하사받음.
1287~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손휴(孫休) - 경제(景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제3대 황제. 재위 258~264. 대제(大帝: 손권(孫權))의 여섯째 아들로, 아우 폐제(廢帝: 손량(孫亮))가 폐위된 뒤 손침(孫綝)의 옹립을 받아 등극함. 제도를 혁신하고 백성들에게 은혜를 베풀어 나라의 번영을 꾀함.
235~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송(誦) - 성왕(成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2대 왕. 재위 B.C.1042~B.C.1021. 어린 나이에 무왕(武王)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며, 숙부인 주공 단(周公旦)과 소공 석(召公奭)의 보좌를 받아 주 나라의 성세(盛世)를 이룸.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송^교(松^喬) - 교^송(喬^松)
중국 주(周) 나라의 태자로 신선이 된 왕자교(王子喬)와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의 신선인 적송자(赤松子) 황초평(黃初平)을 함께 부르는 말. 불로장수한 신선을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후한ㅣ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송^사(松^思) - 순^철(淳^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순(朴淳)과 정철(鄭澈)을 함께 부르는 말. 서인(西人)의 대표 인물들로, 절친하며 절개가 곧은 학자들로 유명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송간(松澗)@김윤명 - 김윤명(金允明)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현감 김박(金博)의 아들로, 1568년(선조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안음 현감(安陰縣監) 등을 지냈으며, 유성룡(柳成龍)ㆍ정사성(鄭士誠)과 교유함.
1545~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송간(松澗) - 이정회(李庭檜)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아 공을 세운 뒤에 귀향하여 지남서당(芝南書堂)을 짓고 후진교육에 힘씀.
1542~16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송간(松澗)@홍천경 - 홍천경(洪千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임진왜란 때 김천일(金千鎰)의 진중에서 군량의 수집과 수송을 담당하고, 정유재란 때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의병모집의 격문을 작성하였으며, 중추부 첨지사(中樞府僉知事) 등을 지냄.
1553~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송간(松澗)@황응규 - 황응규(黃應奎)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황사우(黃士祐)의 아들이며, 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인. 호조(戶曹)ㆍ형조(刑曹)ㆍ공조(工曹)의 정랑(正郞)과 좌랑(左郞) 등을 지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양곡을 군량으로 바치고 의병을 모아 출전함.
1518~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송간(松磵)@김윤명 - 김윤명(金允明)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현감 김박(金博)의 아들로, 1568년(선조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안음 현감(安陰縣監) 등을 지냈으며, 유성룡(柳成龍)ㆍ정사성(鄭士誠)과 교유함.
1545~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송간(松磵)@홍천경 - 홍천경(洪千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임진왜란 때 김천일(金千鎰)의 진중에서 군량의 수집과 수송을 담당하고, 정유재란 때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의병모집의 격문을 작성하였으며, 중추부 첨지사(中樞府僉知事) 등을 지냄.
1553~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송간(松磵) - 강희이(姜希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나식(羅湜)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문인
-
송간(松磵)@이단하 - 이단하(李端夏)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아들로,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이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가운데 경학(經學)을 대표할 만한 인물로, 저서에 《선묘보감(宣廟寶鑑)》ㆍ《외재집(畏齋集)》 등이 있음.
1625~168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지평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송감(宋鑑) - 송원통감(宋元通鑑)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설응기(薛應旂)가 지은 송ㆍ원(宋元)에 대한 편년체 사서(史書). 157권. 상노(商輅) 등의 《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을 저본으로 하여, 송 나라 태조(太祖)부터 원 나라 순제(順帝)까지 480년간의 역사를 다룸. 《자치통감(資治通鑑)》의 속편으로 지음.
162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송강(松岡)@서경주 - 서경주(徐景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서성(徐渻)의 아들로, 선조의 딸 정신옹주(貞愼翁主)와 결혼하여 달성위(達城尉)에 책봉됨.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총관(摠管)과 상의원 제조(尙衣院提調) 등을 지냄.
1579~164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송강(松岡) - 조사수(趙士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방좌(趙邦佐)의 아들로,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거쳐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을 지냄.
1502~155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송강(松岡)@이서 - 이서(李舒)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홍주(洪州). 고려 우왕(禑王) 때 6년간의 여묘살이로 정문(旌門)을 받았으며,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332~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송강(松岡)@권응정 - 권응정(權應挺)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송인수(宋麟壽)ㆍ이언적(李彦迪)ㆍ노수신(盧守愼) 등과 함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의 배후로 지목되어 유배됨.
1498~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송강(松江) - 대동강(大同江)
평안남도 낭림산맥(狼林山脈) 서쪽에서 발원, 남서류(南西流)하여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평안도>평양 , 지명>자연지명
-
송강(松江)@조징 - 조징(趙澄)
조선 중중(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1566년(명종 21) 중시(重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지내고, 1574년(선조 7)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던 중 해주(海州)에서 병사함.
1511~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강(松江)@정철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송강고(松江稿) - 송강집(松江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철(鄭澈)의 시문집. 1633년(인조 11)경에 아들 정홍명(鄭弘溟)이 원집(原集) 2권 1책을 목판본으로 간행함.
163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강상공(松江相公)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송강옹(松江翁)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송강유고(松江遺稿) - 송강집(松江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철(鄭澈)의 시문집. 1633년(인조 11)경에 아들 정홍명(鄭弘溟)이 원집(原集) 2권 1책을 목판본으로 간행함.
163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거사(宋居士) - 송인(宋絪)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의 동생. 고향인 담양(潭陽)에 제승정(濟勝亭)을 짓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문인
-
송걸(宋傑) - 여송걸(余宋傑)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역경(易經)》을 배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송견(宋堅) - 송대원(宋大原)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중국 당(唐) 나라에서 호부 상서(戶部尙書)를 지낸 송주은(宋柱殷)의 후예로, 판원사(判院事)를 지내고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짐. 은진송씨(恩津宋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송경(宋景) - 경공(景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송(宋) 나라의 제후(諸侯). 재위 B.C.51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송경(松京) - 개성(開城)
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고려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고려의 수도.
경기도>개성 , 지명>행정지명
-
송경략(宋經略) - 송응창(宋應昌)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장군. 병부 우시랑(兵部右侍郞)ㆍ대사마(大司馬)를 지내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경략 군문(經略軍門)으로 임명되어 제독 군무(提督軍務) 이여송(李如松) 등과 명군(明軍) 4만여 명을 이끌고 참전함.
1536~160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송경번(宋景繁) - 송승희(宋承禧)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진사(進士) 송구(宋枸)의 아들이고 병조 참판을 지낸 송일(宋馹)의 아버지로, 정랑(正郞)ㆍ사성(司成)을 지냄.
1538~15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