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송소련(宋少連) - 송지문(宋之問)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심전기(沈佺期)와 함께 시(詩)로 명성을 떨치며 율시(律詩)의 형식을 완성시킴. 수문관 직학사(修文館直學士)를 지냄.
656~71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송수(松叟) - 박기년(朴耆年)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이조 판서를 지낸 박중림(朴仲林)의 아들로, 단종(端宗) 복위를 도모하다가 여러 형제들과 함께 대역죄로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송수(松壽)@김송수 - 김송수(金松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훈도(訓導)를 지낸 김공신(金公信)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송수(松壽) - 원송수(元松壽)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하여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신돈(辛旽)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고 신돈의 난정(亂政)을 개탄하다가 병사함.
1324~1366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송승상문산선생전집(宋丞相文山先生全集) - 문산전집(文山全集)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이며 애국시인인 문천상(文天祥)의 시문집. 1552년 언무경(鄢懋卿)이 판각한 28권본 이래 여러 개의 판본이 전해짐. 송(宋)ㆍ원(元) 교체기의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비장하고 강개한 작품들이 대부분임.
1552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송악(松岳) - 송악산(松岳山)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는 산 이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기은제(祈恩祭)를 지냈던 산 중의 하나로,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송악산의 기운을 받고 태어났다고 함.
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송악(松岳)@개성 - 개성(開城)
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고려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고려의 수도.
경기도>개성 , 지명>행정지명
-
송악(松嶽) - 개성(開城)
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고려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고려의 수도.
경기도>개성 , 지명>행정지명
-
송악산(松嶽山) - 송악산(松岳山)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는 산 이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기은제(祈恩祭)를 지냈던 산 중의 하나로,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송악산의 기운을 받고 태어났다고 함.
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송안(松顔) - 구찬록(具贊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퇴계(退溪)가 그 학문에 뜻이 있음을 칭찬함. 벼슬은 감정(監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송안군(松安君) - 이자수(李子脩)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5대조. 공민왕 때 홍건적(紅巾賊)을 평정한 공으로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고,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송암(松巖)@윤엄 - 윤엄(尹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파평(坡平). 윤지함(尹之諴)의 아들로, 호조 좌랑(戶曹佐郞) 등을 지냄. 서화(書畵)에 능하고 필법(筆法)에 조예가 깊었으며, 감식안이 높아 고금 서화의 판별에 뛰어나다는 평가를 들음.
1536~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송암(松巖)@양대박 - 양대박(梁大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남원(南原).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아들 양경우(梁慶遇)와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담양(潭陽)에서 의병을 일으킨 고경명(高敬命)을 맹주로 추대한 뒤 종사관(從事官)으로 활동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송암(松巖)@이노 - 이노(李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종도(趙宗道)와 함께 창의(倡義)하고 김성일(金誠一)의 종사관(從事官)으로도 활약함. 정언(正言) 등을 지냄.
1544~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송암(松巖) - 권호문(權好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무민재(無悶齋)를 짓고 은거하면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함.
1532~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송암(松巖)@김연광 - 김연광(金鍊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로, 심적당(心適堂) 김이상(金履祥)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회양 부사(淮陽府使)로서 왜적의 침범을 당하게 되자, 절개를 지켜 도망하지 않고 적에게 참살당함.
1524~15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송암(松巖)@김사효 - 김사효(金思孝)
조선 전기의 유학. 율곡(栗谷) 이이(李珥), 등암(鐙巖) 이덕익(李德益)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송암(松庵)@유해 - 유해(兪瀣)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 때 종묘(宗廟)의 신주를 평양(平壤)의 행재소(行在所)에 피난시킨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41~162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송암(松庵)@강익 - 강익(姜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1566년(명종 21) 영남 유생 33인의 소두(疏頭)로 정여창(鄭汝昌)을 제향한 함양의 남계서원(灆溪書院)에 사액을 청하여 성사시킴, 학행으로 추천되어 소격서 참봉(昭格署參奉)을 지냄.
1523~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
-
송암(松庵)@김면 - 김면(金沔)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의병장ㆍ학자. 경원 부사(慶源府使) 김세문(金世文)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공조 좌랑(工曹佐郞)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규합하여 많은 전공(戰功)을 세움.
1541~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송암(松庵) - 유관(柳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좌의정(左議政)을 역임하였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 삼흉(三凶)으로 몰려 사사됨.
1484~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송암(松菴)@성세준 - 성세준(成世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성세정(成世貞)의 형이며 성운(成運)의 아버지.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선공감 부정(繕工監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송암(松菴)@권징 - 권징(權徵)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사직(司直) 권굉(權硡)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율(權慄) 등과 함께 의병을 규합하여 왜병과 싸우고, 명(明) 나라 이여송(李如松)이 추진하는 화의(和議)를 반대함.
1538~159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송암(松菴) - 노수함(盧守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송암(松菴)@최심 - 최심(崔深)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로, 감사(監司)를 지낸 최현(崔晛)의 아버지.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
1512~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송암(松菴)@탁순창 - 탁순창(卓順昌)
조선 선조(宣祖)~숙종(肅宗) 때의 무신. 성균관 진사(成均館進士) 탁문상(卓文尙)의 맏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수직(壽職)으로 훈련대장(訓鍊大將)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송암문집(松巖文集) - 송암집(松巖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인 권호문(權好文)의 시문집. 6권 2책. 목판본. 1680년(숙종 6) 청성서원(靑城書院)의 산장(山長) 유원진(柳元振)과 김억기(金億基)ㆍ이보(李簠) 등이 편집ㆍ간행함.
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송암선생문집(松巖先生文集) - 송암집(松巖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인 권호문(權好文)의 시문집. 6권 2책. 목판본. 1680년(숙종 6) 청성서원(靑城書院)의 산장(山長) 유원진(柳元振)과 김억기(金億基)ㆍ이보(李簠) 등이 편집ㆍ간행함.
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송암일사(松巖逸士) - 권호문(權好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무민재(無悶齋)를 짓고 은거하면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함.
1532~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송암자(松巖子) - 권호문(權好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무민재(無悶齋)를 짓고 은거하면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함.
1532~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송암정자(松庵靜者) - 권호문(權好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무민재(無悶齋)를 짓고 은거하면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함.
1532~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송암주(松巖主) - 권호문(權好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무민재(無悶齋)를 짓고 은거하면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함.
1532~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송암처사(松巖處士) - 권호문(權好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무민재(無悶齋)를 짓고 은거하면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함.
1532~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송애(松厓)@안담 - 안담(安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로, 안민학(安敏學)의 아버지.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성수침(成守琛)과 교류하고, 성현도 찰방(省峴道察訪)을 지냄.
?~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송애(松厓)@이여 - 이여(李畬)@1503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인로(李仁老)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문학(文學) 등을 지내고 학문연구에 힘써 역학(易學)에 정통함. 형 이치(李菑)와 함께 진천(鎭川)에 거주하면서 풍속 교화에 힘씀.
1503~154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송애(松厓) - 반석평(潘碩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천얼(賤孽) 출신으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좌찬성(左贊成)까지 지냈으며,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 등과 교유함.
?~154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송애(松崖) - 박여룡(朴汝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면천(沔川)으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 때 행재소(行在所)를 호위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1605년(선조 38) 선무 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41~161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송야(宋爺) - 송응창(宋應昌)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장군. 병부 우시랑(兵部右侍郞)ㆍ대사마(大司馬)를 지내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경략 군문(經略軍門)으로 임명되어 제독 군무(提督軍務) 이여송(李如松) 등과 명군(明軍) 4만여 명을 이끌고 참전함.
1536~160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송야(松爺)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송양(宋襄) - 양공(襄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제후. 재위 B.C.651~B.C.637. 패자(覇者)가 되기 위해 초(楚) 나라의 군대와 홍수(泓水)에서 싸울 때 인정을 베풀다가 패함.
?~B.C.63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송양(松壤)@강동 - 강동(江東)
평안도 중남부의 대동강(大同江)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태조(太祖)의 북진정책의 거점이었으며, 조선시대 조공의 영송(迎送) 및 교역을 담당함.
평안도>강동 , 지명>행정지명
-
송양(松壤) - 개성(開城)
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고려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고려의 수도.
경기도>개성 , 지명>행정지명
-
송양(松壤)@성천 - 성천(成川)
평안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선조(宣祖)의 후궁과 여러 왕자가 난을 피해 3년 동안 머물렀던 곳.
평안도>성천 , 지명>행정지명
-
송양(松讓) - 성천(成川)
평안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선조(宣祖)의 후궁과 여러 왕자가 난을 피해 3년 동안 머물렀던 곳.
평안도>성천 , 지명>행정지명
-
송양(松讓)@비류왕 - 비류왕(沸流王)
고대 비류국(沸流國)의 왕. 고주몽(高朱蒙)에게 부용국(附庸國)이 될 것을 요구하였다가 활쏘기 시합에 패한 뒤 나라를 들어 항복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송양강(松讓江) - 대동강(大同江)
평안남도 낭림산맥(狼林山脈) 서쪽에서 발원, 남서류(南西流)하여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평안도>평양 , 지명>자연지명
-
송양공(宋襄公) - 양공(襄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제후. 재위 B.C.651~B.C.637. 패자(覇者)가 되기 위해 초(楚) 나라의 군대와 홍수(泓水)에서 싸울 때 인정을 베풀다가 패함.
?~B.C.63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송여성(宋礪城)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송연(松淵) - 김기손(金驥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며, 김일손(金馹孫)의 중형(仲兄).
1455~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송영(宋英) - 영종(英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5대 황제. 재위 1064~1067. 재위 초기에 허약하여 조태후(曹太后)가 수렴청정을 하였고, 서하(西夏)와 군사적 대립을 화친으로 해결함.
1032~1067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송오(松塢) - 여응구(呂應龜)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성산(星山). 주세붕(周世鵬)의 문인. 성균관 유생 시절 보우(普雨)와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불교진흥책을 강력히 비판하였으며, 학유(學諭)에 제수되었으나 출사하지 않고 향리에서 후학을 양성함.
1523~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문사>학자
-
송오선생유집(松塢先生遺集) - 송오유집(松塢遺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여응구(呂應龜)의 시문집. 1책. 목판본. 1845년(헌종 11) 10대손 여학조(呂學祖)와 여무성(呂武聖)이 편집ㆍ간행함. 권두에 유치명(柳致明)의 서문과 권말에 여무성의 발문이 있음.
184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옹(松翁)@양응정 - 양응정(梁應鼎)
조선 중중(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 시문(詩文)에 뛰어나 선조 때 팔대문장가(八大文章家)의 한 사람으로 뽑힘.
1519~15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송옹(松翁)@정철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송옹(松翁) - 성수침(成守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아버지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벼슬을 단념하고 경서 공부에 전념함. 그 문하에서 많은 석학들이 배출됨.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
-
송와(松窩)@나문규 - 나문규(羅文奎)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금성(錦城). 판밀직부사(判密直副使) 나영걸(羅英傑)의 아들로, 서해도 안렴사(西海道按廉使)를 역임함.
1312~137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송와(松窩) - 이기(李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지란(李之蘭)의 아들로,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2~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송용생(宋龍生) - 송진생(宋辰生)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서운관 정(書雲觀正)을 지낸 송지(宋祉)의 아들로, 내자시 소윤(內資寺少尹)을 지냄.
1371~144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운(松雲) - 유정(惟政)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승려ㆍ의병장. 본관은 풍천(豐川).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스승 휴정(休靜)과 함께 승병(僧兵)을 모아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네 차례에 걸쳐 왜장 가등청정(加藤淸正)과 회담을 가짐.
1544~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ㅣ인명>종교인>승려
-
송운장(宋雲長) - 송익필(宋翼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킨 판관(判官) 송사련(宋祀連)의 아들.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교제하며 성리학과 예학(禮學)에 통달하였고, 문장에 뛰어나 선조대(宣祖代)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렸으며, 김장생(金長生)ㆍ김집(金集) 등 많은 문하생을 배출함.
1534~15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송원부원군(松原府院君) - 윤경연(尹景淵)
조선 전기의 유학. 무송군(茂松君) 윤자운(尹子雲)의 아버지이며, 신숙주(申叔舟)의 장인으로, 송원부원군(松原府院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문사>유학
-
송원이학록(宋元理學錄) - 송계원명이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
조선 전기의 학자 이황(李滉)이 여러 서책에서 남송(南宋) 이래 명대(明代)에 이르는 성리학자(性理學者)들의 언행(言行)과 사적(事跡)을 뽑아 정리한 책.
155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송원자치통감(宋元資治通鑑) - 송원통감(宋元通鑑)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설응기(薛應旂)가 지은 송ㆍ원(宋元)에 대한 편년체 사서(史書). 157권. 상노(商輅) 등의 《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을 저본으로 하여, 송 나라 태조(太祖)부터 원 나라 순제(順帝)까지 480년간의 역사를 다룸. 《자치통감(資治通鑑)》의 속편으로 지음.
162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송월(松月) - 조수(趙須)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찬성사(贊成事) 조호(趙瑚)의 아들. 학문에 정진하여 명성이 높고, 세종 때 성균관 사예(司藝)로 서용되어 집현전 학사를 지도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송월당(松月堂)@강섬 - 강섬(姜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강공망(姜公望)의 아들. 1546년(명종 1)에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16~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월당(松月堂) - 윤풍형(尹豊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윤석보(尹碩輔)의 아들로,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을 지낼 때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도모한 김안로(金安老)를 탄핵하였으며,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
-
송월당(松月堂)@박호원 - 박호원(朴好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남평 현감(南平縣監)을 지낸 박이(朴苡)의 아들로, 명종 때 토포사(討捕使)의 종사관(從事官)에 임명되어 임꺽정(林巨正) 등 도적을 진압함. 대사헌(大司憲)ㆍ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냄.
152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월당(松月堂)@조수 - 조수(趙須)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찬성사(贊成事) 조호(趙瑚)의 아들. 학문에 정진하여 명성이 높고, 세종 때 성균관 사예(司藝)로 서용되어 집현전 학사를 지도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송월당(送月堂) - 이사경(李思敬)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광익(李光翊)의 아들로, 판사재감사(判司宰監事) 등을 지냄. 나라의 변란이 예상되자 가솔을 거느리고 개령(開寧)에 은거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개령 , 인명>관인>문신
-
송월당거사(松月堂居士) - 조수(趙須)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찬성사(贊成事) 조호(趙瑚)의 아들. 학문에 정진하여 명성이 높고, 세종 때 성균관 사예(司藝)로 서용되어 집현전 학사를 지도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송월헌(松月軒)@해초 - 해초(海超)
조선 세조(世祖) 때의 승려. 《월인석보(月印釋譜)》를 편찬하고 《선종영가집언해(禪宗永嘉集諺解)》을 교정하였으며, 신숙주(申叔舟)ㆍ김시습(金時習) 등이 그를 읊은 시를 남김.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송월헌(松月軒)@찬영 - 찬영(粲英)
고려 충정왕(忠定王)~공양왕(恭讓王) 때의 승려.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 한적(韓績)의 아들이고, 보우(普愚)의 제자. 공민왕(恭愍王) 때 양가도승록(兩街都僧錄)이 되고, 우왕(禑王)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사후에 국사(國師)의 시호를 받음.
1328~139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송월헌(松月軒) - 이희안(李希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고 조식(曺植)과 교우하며 학문을 연마함.
1504~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송은(松隱) - 박익(朴翊)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고려 때 예부 시랑(禮部侍郞) 등을 지내고 왜구(倭寇)와 여진(女眞) 토벌에 전공을 세웠으나, 조선 개국 후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갔다가 밀양(密陽)의 송계(松溪)에 은거하여 저술에 전념함.
133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송은선생문집(松隱先生文集) - 송은집(松隱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익(朴翊)의 시문집. 4권 1책. 목판본. 1839년(헌종 5)경 후손 박세신(朴世臣)에 의해 간행됨. 권두에 홍명주(洪命周)와 조두순(趙斗淳)의 서문, 권말에 이가순(李家淳)의 초간서가 있음.
183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음(松陰)@금복고 - 금복고(琴復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금인(琴軔)의 아들이며,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문인. 유림의 추천으로 강릉 참봉(康陵參奉)에 제수되었고, 임진왜란 때 원종훈(原從勳)으로 호군(護軍)에 오름.
1549~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송음(松陰) - 이경증(李景曾)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권필(權韠)의 문인(門人)으로,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어사(御史)로서 식량조달을 담당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에는 병방승지(兵房承旨)로서 인조를 호종함.
1595~164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송이암(宋頤庵)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송이암(宋頤菴)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송인수(宋仁叟) - 송영구(宋英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으로, 성혼(成渾)의 문인. 광해군 때 《선조실록(宣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으로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 파직됨.
1556~162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송일(松日) - 강섬(姜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강공망(姜公望)의 아들. 1546년(명종 1)에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16~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자(宋子) - 송옥(宋玉)@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시인ㆍ대부. 굴원(屈原)의 제자로, 스승이 추방당하자 〈구변(九辨)〉과 〈초혼(招魂)〉을 지어 스승의 뜻을 나타냈으며, 중국 비추문학(悲秋文學)의 개조(開祖)로 알려짐.
B.C.290?~B.C.2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송자후(松滋侯) - 역현광(易玄光)
먹의 의인화된 명칭. 보통 소나무 재로 먹을 만들기 때문에 송자후(松滋侯)라 칭함. 종이의 저지백(楮知白), 붓의 모원예(毛元銳), 벼루의 석허중(石虛中)과 함께 문방사우(文房四友)로 일컬어짐.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송재(悚齋) - 박영(朴英)@조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무과(武科)에 급제했으나 학문에 전념함. 성리학(性理學)뿐만 아니라 역학(易學)ㆍ천문(天文)ㆍ의술(醫術)에도 조예가 깊었음.
1471~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송재(松齋)@노숙동 - 노숙동(盧叔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노언(盧焉)의 아들.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ㆍ《치평요람(治平要覽)》편찬에 참여하고,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냄.
1403~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송재(松齋)@한충 - 한충(韓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주부(主簿) 한창유(韓昌愈)의 아들. 종계변무(宗系辨誣) 주청사(奏請使) 남곤(南袞)의 서장관(書狀官)이었으나 남곤의 미움을 받게 됨.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죽음.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송재(松齋)@이우 - 이우(李堣)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숙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협력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안동 부사(安東府使) 등을 지냄. 시에 뛰어났고, 최숙생(崔淑生) 등의 사류와 교유함.
1469~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송재(松齋) - 권준(權準)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1280~135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송재(松齋)@나세찬 - 나세찬(羅世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두 차례 장원급제로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권신(權臣)을 서슴지 않고 탄핵하는 기개가 있었음.
1498~155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송재(松齋)@신자건 - 신자건(愼自健)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신후갑(愼後甲)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냈으나, 파직당한 뒤에는 교하(交河)로 내려가 서예에 전념함.
1443~15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송재(松齋)@남연록 - 남연록(南延祿)
조선 후기의 유학.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생으로, 풍악서당(豐岳書堂)을 병산(屛山)으로 이건(移建)할 때 일을 담당함. 유성룡의 《서애집(西厓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송재부군(松齋府君) - 이우(李堣)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숙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협력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안동 부사(安東府使) 등을 지냄. 시에 뛰어났고, 최숙생(崔淑生) 등의 사류와 교유함.
1469~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송재사우(松齋祠宇) - 송재서원(松齋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나주(羅州)에 건립한 서원. 1702년(숙종 28)에 건립되었으며, 나세찬(羅世纘)ㆍ임형수(林亨秀)를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송재선생유고(松齋先生遺稿) - 송재유고(松齋遺稿)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나세찬(羅世纘)의 시문집(詩文集). 16세기 문인(文人)의 정치관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음.
177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재시집(松齋詩集) - 송재유고(松齋遺稿)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나세찬(羅世纘)의 시문집(詩文集). 16세기 문인(文人)의 정치관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음.
177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재시집(松齋詩集)@이우 - 송재집(松齋集)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이우(李堣)의 시문집. 원집 3권, 속집 3권, 별집 3권, 총 9권 3책. 목판본. 원집은 1584년(선조 17) 저자의 외종손(外從孫) 오운(吳澐), 속집은 1900년 12대손 이원로(李元魯), 별집은 1937년 후손 이종수(李鍾洙)에 의해 간행됨.
158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문헌>서명
-
송재유집(松齋遺集) - 송재유고(松齋遺稿)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나세찬(羅世纘)의 시문집(詩文集). 16세기 문인(文人)의 정치관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음.
177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재집(松齋集)@나세찬 - 송재유고(松齋遺稿)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나세찬(羅世纘)의 시문집(詩文集). 16세기 문인(文人)의 정치관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음.
177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정(松亭)@김수 - 김수(金銖)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고려말 과거에 급제하여 개성윤(開城尹)을 지냈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냄.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과 교유하고, 천곡(川谷)에 녹봉서당(鹿峯書堂)을 짓고 유학에 정진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송정(松亭)@신명인 - 신명인(申命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 사림파의 구명을 위해 상소함. 정광필(鄭光弼)ㆍ안당(安瑭)ㆍ이장곤(李長坤)ㆍ김정(金淨)ㆍ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ㆍ기준(奇遵) 등과 함께 팔현(八賢)이라 불림.
149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