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송정(松亭)@김반 - 김반(金泮)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강서(江西). 권근(權近)의 문인으로 경서에 정통하여 김구(金鉤)ㆍ김말(金末)과 함께 경학삼김(經學三金)으로 불림.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강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송정(松亭)@노수성 - 노수성(盧守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송정(松亭) - 김광재(金光載)
고려 충선왕(忠宣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효성이 지극해 공민왕(恭愍王)이 그가 사는 마을을 영창방 효자리(靈昌坊孝子里)로 정표(旌表)함.
1294~136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송정(松亭)@월송정 - 월송정(越松亭)
강원도 평해(平海) 동쪽 7리 지점에 있는 정자.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로,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 관찰사 박원종(朴元宗)이 세웠으며, 전설에 신라 때 화랑들이 선유(仙遊)하던 곳이라 함. 현재 경상북도 울진(蔚珍)의 평해읍(平海邑)에 속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유적>건물>누정
-
송정(松亭)@최응룡 - 최응룡(崔應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최이한(崔以漢)의 아들로, 박영(朴英)ㆍ이황(李滉)에게 수학하고,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514~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송정(松亭)@김개 - 김개(金鎧)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조광조(趙光祖) 등을 현자로 추대할 때 조광조 일파를 비방한 이유로 삭탈관직됨.
1504~156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송정(松亭)@하수일 - 하수일(河受一)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진주(晉州).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내고, 문장(文章)과 사장(詞章)이 뛰어났으며 권제(權濟)ㆍ손천우(孫天祐) 등과 교유함.
1553~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송정(松亭)@권벌 - 권벌(權橃)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판서(禮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내고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올랐으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삭주(朔州)로 유배된 뒤 죽음.
147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봉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송정(松亭)@탁신 - 탁신(卓愼)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예의 판서(禮儀判書) 탁광무(卓光茂)의 아들. 경학(經學)에 밝고 무예(武藝)ㆍ음률(音律)에도 능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36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송정(松亭)@한충 - 한충(韓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주부(主簿) 한창유(韓昌愈)의 아들. 종계변무(宗系辨誣) 주청사(奏請使) 남곤(南袞)의 서장관(書狀官)이었으나 남곤의 미움을 받게 됨.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죽음.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송정(松汀)@김경추 - 김경추(金景秋)
조선 후기의 유학ㆍ문인. 본관은 김해(金海)로, 교수(敎授) 김아(金雅)의 아들. 양응정(梁應鼎)의 문인으로, 백광훈(白光勳)ㆍ임제(林悌)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하였고, 문장가로 유명함.
1520~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ㅣ인명>문사>유학
-
송정(松汀) - 홍경소(洪敬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철원 도호부사(鐵原都護府使) 홍기영(洪耆英)의 아들이며 손우재(遜愚齋) 홍석(洪錫)의 아버지로, 익산 군수(益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송정거사(松亭居士) - 김수(金銖)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고려말 과거에 급제하여 개성윤(開城尹)을 지냈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냄.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과 교유하고, 천곡(川谷)에 녹봉서당(鹿峯書堂)을 짓고 유학에 정진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송정순(宋廷筍) - 송정순(宋庭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유희춘(柳希春)과 경사(經史)를 강론(講論)하고 송징(宋徵) 등의 문하생을 배출하였으며, 동복(同福)에 물염정(勿染亭)을 짓고 그곳에서 여생을 마침.
1521~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ㅣ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송정처사(松汀處士) - 김경추(金景秋)
조선 후기의 유학ㆍ문인. 본관은 김해(金海)로, 교수(敎授) 김아(金雅)의 아들. 양응정(梁應鼎)의 문인으로, 백광훈(白光勳)ㆍ임제(林悌)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하였고, 문장가로 유명함.
1520~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ㅣ인명>문사>유학
-
송정황(宋廷篁) - 송정황(宋庭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홍주(洪州). 동복 현감(同福縣監) 송구(宋駒)의 아들이고 구례 현감(求禮縣監) 송정순(宋庭筍)의 동생으로, 교서관 정자(校書館正字)를 지냄.
153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송제(宋帝) - 신종(神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6대 황제. 재위 1067~1085. 영종(英宗)의 장자로, 왕안석(王安石)을 등용하여 부국강병책을 시행하였으나, 서하(西夏) 원정 등 외정(外征)에 실패하여 실의에 빠져 죽음.
1048~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송제(宋帝)@진종 - 진종(眞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3대 황제. 재위 997~1022. 당말(唐末)과 오대(五代)의 혼란을 수습하고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여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동북 요(遼) 나라의 침입을 받음.
968~1022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송제민(宋濟民) - 송제민(宋齊民)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의병장. 본관은 홍주(洪州). 교서관 정자(校書館正字) 송정황(宋庭篁)의 아들이고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고, 저서로 《와신기사(臥薪記事)》ㆍ《해광집(海狂集)》이 있음.
1549~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
-
송조(宋祖) - 태조(太祖)@송
중국 송(宋)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960~976. 중국 대륙의 대부분을 통일하였으며, 문치주의(文治主義)에 의한 중앙집권적 관료제를 확립함으로써 송(宋) 나라 발전의 기반을 다짐.
927~976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송조명신언행록(宋朝名臣言行錄) -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대유(大儒)인 주희(朱熹)가 송 나라의 대표적 명신(名臣) 97명의 언행을 뽑아 기록한 책. 치세(治世)의 요령과 처세술이 풍부하게 담겨 있음.
117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송조명현록(宋朝名賢錄) - 송조속명신언행록(宋朝續名臣言行錄)
조선 전기의 문신 정유일(鄭惟一)이 주자(朱子)의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에 누락된 기타 영웅호걸(英雄豪傑)과 절의문장(節義文章)을 모아 엮은 책.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송주(宋朱)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송주(松洲) - 이거(李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1536년(중종 3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광주 목사(光州牧使)ㆍ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송주(頌酒) - 주덕송(酒德頌)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이자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유령(劉伶)이 지은 시. 술을 찬미하고 세속을 혐오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송죽헌(松竹軒)@이휘 - 이휘(李徽)@이사검의아들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으로, 이사검(李思儉)의 아들. 세조 즉위에 협력하여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정되나, 단종(端宗) 복위에 가담한 사실이 발각되어 거열형을 당하고 가산을 몰수당함.
?~145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송죽헌(松竹軒) - 권눌(權訥)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권호문(權好文)ㆍ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와룡산 아래 원광정사(遠光精舍)를 짓고 후진을 양성함.
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송진(宋眞) - 진종(眞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3대 황제. 재위 997~1022. 당말(唐末)과 오대(五代)의 혼란을 수습하고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여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동북 요(遼) 나라의 침입을 받음.
968~1022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송진부수(松津副守) - 이근(李瑾)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이(李珥)의 문인.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송진수(松津守) - 이근(李瑾)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이(李珥)의 문인.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송창(松窓) - 인조(仁祖)
조선 제16대 왕. 재위 1623~1649.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왕위에 올라 친명배금정책(親明排金政策)을 실시하고, 정묘호란(丁卯胡亂)ㆍ병자호란(丙子胡亂)을 겪음.
1595~16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송창계(宋窓雞) - 송처종(宋處宗)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연주 자사(兗州刺史)를 지냄. 《유명록(幽冥錄)》에 장명계(長鳴鷄)를 사다가 서재 창가에서 길렀는데 얼마 후 닭과 담론(談論)하면서 깨달은 것이 많았다는 고사(故事)가 실려 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송천(松川)@김천일 - 김천일(金千鎰)@1622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중기(金重器)의 아들이고 정온(鄭蘊)의 문인으로, 춘추관(春秋官)ㆍ편수관(編修官) 등을 지냄. 저서에 《송천집(松川集)》이 있음.
1622~16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송천(松川) - 양응정(梁應鼎)
조선 중중(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 시문(詩文)에 뛰어나 선조 때 팔대문장가(八大文章家)의 한 사람으로 뽑힘.
1519~15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송천(松泉) - 최흥원(崔興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으로, 최수진(崔秀珍)의 아들. 임진왜란 때 도순찰사(都巡察使)로 군정 책임을 맡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천선생유집(松川先生遺集) - 송천유집(松川遺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양응정(梁應鼎)의 문집. 7권 3책. 목활자본. 1842년(헌종 8)에 9대손 양찬영(梁纘永)이 전라도 나주(羅州)에서 간행함.
184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문헌>서명
-
송천선생집(松川先生集) - 송천집(松川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김천일(金千鎰)의 문집. 1901년(광무 5) 후손들의 주선으로 4권 2책 고활자본(古活字本)으로 간행됨.
190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송천자(松川子) - 양응정(梁應鼎)
조선 중중(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 시문(詩文)에 뛰어나 선조 때 팔대문장가(八大文章家)의 한 사람으로 뽑힘.
1519~15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송천집(松川集)@양응정 - 송천유집(松川遺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양응정(梁應鼎)의 문집. 7권 3책. 목활자본. 1842년(헌종 8)에 9대손 양찬영(梁纘永)이 전라도 나주(羅州)에서 간행함.
184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문헌>서명
-
송청좌(宋淸坐) - 송이창(宋爾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은율 군수(殷栗郡守) 송응서(宋應瑞)의 아들로,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의 문인. 광해군 때 신녕 현감(新寧縣監)으로 재임 중에 칠서지옥(七庶之獄) 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시주(詩酒)로 여생을 보냄.
1561~162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송촌(松村)@월송촌 - 월송촌(越松村)
강원도 평해(平海) 동쪽 월송정(越松亭) 근처에 있던 마을 이름. 조선 선조(宣祖) 때 이산해(李山海)가 평해로 유배되었을 때 이곳에 우거(寓居)하면서 지은 시가 《아계유고(鵝溪遺稿)》에 전함.
강원도>평해 , 지명>자연지명
-
송촌(松村) - 박세훈(朴世勳)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군자감 부정(軍資監副正) 박사화(朴士華)의 아들로, ‘주동효아(鑄洞孝兒)’로 불림. 조광조(趙光祖) 등이 별과(別科)에 천거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낙향함.
1488~15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송탄(松灘) - 장응두(張應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지례(知禮)로, 울진 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장지효(張至孝)의 아들. 조욱(趙昱)ㆍ송순(宋純) 등과 교유하였으며 기묘명류(己卯名流)에 속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문사>유학
-
송파(松坡)@최성지 - 최성지(崔誠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 때 원(元) 나라의 도성(都省)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 수시력(授時曆)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5~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송파(松坡) - 양성지(梁誠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집현전(集賢殿)의 부수찬ㆍ교리를 거쳐 이조 판서(吏曹判書)ㆍ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고려사(高麗史)》ㆍ《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등을 편찬함.
1415~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송파(松坡)@박전 - 박전(朴全)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안(務安). 중종(中宗) 때의 유학 박원기(朴元基)의 아들이자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 도사(慶尙都事) 등을 지낸 박선장(朴善長)의 아버지로, 호조 정랑(戶曹正郞) 등을 지냄.
1514~155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송파(松坡)@임식 - 임식(林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홍문관 교리(弘文館敎理) 등을 지냈으나 모함을 받아 파직된 뒤에는 고향인 충청도 결성(結城)으로 낙향하여 부해정(浮海亭)이라는 정자에 은거하며 지냄.
1539~158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결성 , 인명>관인>문신
-
송파상군(松坡相君) - 최성지(崔誠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 때 원(元) 나라의 도성(都省)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 수시력(授時曆)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5~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송포(松圃) - 이진영(李震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상연(李尙堧)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송학(宋學) - 성리학(性理學)
중국 송(宋) 나라 때 유학(儒學)의 한 계통으로, 인간 본연의 성(性)을 발현하기 위해 물(物)에 대한 이(理)를 참고해야 한다는 것을 요지로 하는 철학.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송학(松壑) - 김극련(金克鍊)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영흥 부사(永興府使)를 지낸 성암(省菴) 김효원(金孝元)의 둘째 아들로, 부친의 문집인 《성암유고(省菴遺稿)》를 편찬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송학(松鶴)@권응시 - 권응시(權應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공조 좌랑(工曹佐郞)ㆍ호조 좌랑(戶曹佐郞)을 거쳐, 군위 현감(軍威縣監)ㆍ양구 현감(楊口縣監) 등을 지냄.
1541~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송학(松鶴) - 강삼(姜參)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암 군수(靈岩郡守)ㆍ승정원 우승지(承政院右承旨) 등을 지냈음.
1452~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송학헌(松鶴軒) - 권응시(權應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공조 좌랑(工曹佐郞)ㆍ호조 좌랑(戶曹佐郞)을 거쳐, 군위 현감(軍威縣監)ㆍ양구 현감(楊口縣監) 등을 지냄.
1541~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송헌(松軒)@하즙 - 하즙(河楫)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직의(河直漪)의 아들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지내고,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303~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송헌(松軒)@태조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송헌(松軒) - 이강(李綱)@이순언의아들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음사(蔭仕)로 음죽 현감(陰竹縣監) 등을 지내고, 벼슬에서 물러난 후 김안국(金安國)과 내왕하며 은사(隱士)로서 여생을 보냄.
1479~152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송현(松峴) - 상진(尙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오랫동안 왕을 보좌한 명상(名相)으로서 조야(朝野)의 신망이 두터웠음.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현옹(松峴翁) - 상진(尙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오랫동안 왕을 보좌한 명상(名相)으로서 조야(朝野)의 신망이 두터웠음.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호(松湖)@유언술 - 유언술(兪彦述)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유복기(兪復基)의 아들. 직간(直諫)을 잘하여 영조에게 인정받았으며,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703~17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호(松湖)@허강 - 허강(許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허자(許磁)의 아들로, 정작(鄭碏)ㆍ이지함(李之菡)ㆍ양사언(楊士彦) 등과 교계(交契)가 깊었음.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조부.
1520~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학자
-
송호(松湖) - 최해(崔海)
조선 명종(明宗) 때의 진사(進士). 본관은 전주(全州). 아우 최심(崔深)과 함께 박영(朴英)의 문인이며,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송호(松湖)@백진남 - 백진남(白振南)
조선 선조(宣祖) 때의 서예가ㆍ시인. 본관은 해미(海美)로,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의 아들. 시부(詩賦)가 뛰어나 이이(李珥)의 칭찬을 받았고, 명사(明使) 주지번(朱之蕃)을 영접할 때 주지번이 그의 필법과 문장을 보고 절찬함.
1564~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송환(宋桓) - 상퇴(尙魋)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대부. 공자(孔子)가 송 나라를 지나갈 때 해치려 하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송효(宋孝) - 효종(孝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11대 황제. 재위 1162~1189. 장준(張浚)에게 명하여 금(金)을 정벌하려 했지만 실패하자 금과 숙질(叔姪) 관계로 화의(和議)를 맺음. 내정(內政) 개혁을 실시해 강남(江南)의 개발이 진척되어 북송(北宋)을 능가하는 번영을 이룸.
1127~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송휘(宋徽) - 휘종(徽宗)
중국 송(宋) 나라 제8대 황제. 재위 1100~1125. 신종(神宗)의 아들. 호사(豪奢)와 도교(道敎)에 빠져 정치(政治)를 돌보지 않았음. 1125년 금(金) 나라가 침입하여 퇴위(退位)하였으나, 1127년 흠종(欽宗)과 함께 금의 포로가 되어 배소(配所)인 만주에서 병사함.
1082~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쇄금(碎錦) - 은행(銀杏)
한국ㆍ중국ㆍ일본에만 분포하는 나무로, 씨가 살구처럼 생기고 은빛이 난다 하여 붙여진 이름. 유학(儒學)의 전래와 관계가 깊으며 유학을 상징함.
자연물>식물
-
쇄록(瑣錄) - 소문쇄록(謏聞瑣錄)
조선 전기 역관(譯官)인 조신(曺伸)이 고려 말 조선 초에 활동한 문인(文人)들의 동향과 일화 등에 대한 내용을 기록한 잡록(雜錄). 현재 원본은 전해지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쇄사(曬史) - 박희립(朴希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돈녕부 부정(敦寧府副正) 박세영(朴世榮)의 아들로,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청주 목사(淸州牧使)ㆍ길주 목사(吉州牧使)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䇕) - 이수(李䇕)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달충(李達衷)의 셋째 아들로, 판강릉도호부사(判江陵都護府使)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수(修) - 홍수(洪修)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풍산(豐山). 대사헌(大司憲) 홍이상(洪履祥)의 아버지로, 부사직(副司直) 등을 지냈으며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수(倕) - 수(垂)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신하. 순 임금의 공공(共工)이 되어 활과 화살을 처음으로 만들었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수(受)@박수 - 박수(朴受)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휴암(休菴)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이며,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교유하였음. 역학(易學)에 정통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학자
-
수(受) - 주(紂)
중국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 제을(帝乙)의 아들로, 달기(妲己) 등의 미인과 음란 방탕한 생활을 즐기고, 비간(比干) 등의 충신을 내치는 등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인심을 잃어 주(周) 나라의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수(壽)@채수 - 채수(蔡壽)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어 인천군(仁川君)에 봉해지고, 패관소설인 《설공찬전(薛公贊傳)》을 지음.
1449~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수(壽)@윤수 - 윤수(尹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효조(尹孝祖)의 아들이며, 윤희성(尹希聖)의 생부(生父). 기묘명현(己卯名賢) 중 한 사람으로, 당대에 명성이 높았으나 시대가 불운하여 벼슬하지 않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수(壽) - 조수(曹壽)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외척. 전한의 개국공신(開國功臣) 조참(曹參)의 증손으로, 무제(武帝)의 누이 평양공주(平陽公主)와 결혼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수(樹) - 우수(禹樹)
조선 전기의 유학. 강희맹(姜希孟)의 조카사위로, 강희맹이 그에게 자(字)를 지어 주고 그 의미를 기록한 것이 《사숙재집(私淑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수(洙) - 손수(孫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문장(文章)과 기우(氣宇)가 뛰어났으며,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수(洙)@임수 - 임수(林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순창(淳昌). 문장에 뛰어나 오상(吳祥)ㆍ김주(金澍) 등과 함께 당대 팔문장(八文章) 중의 한 사람으로 꼽히며, 황해도 도사(黃海道都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수(洙)@유수 - 유수(柳洙)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 문성군(文城君)에 봉해지고, 성종(成宗)의 즉위를 보좌한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15~148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수(瀡) - 황수(黃瀡)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전라 감사(全羅監司) 황치경(黃致敬)의 아들로, 연천 현감(漣川縣監)ㆍ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냄.
15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燧) - 왕수(王燧)
고려 제11대 문종(文宗)의 아들. 어머니는 인경현비(仁敬賢妃) 이씨(李氏)로, 문종의 딸인 적경궁주(積慶宮主)와 혼인함. 1099년(숙종 4) 역모죄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111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수(琇)@정수 - 정수(鄭琇)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동래(東萊). 정유인(鄭有仁)의 아들이며, 목사(牧使) 정희홍(鄭希弘)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유학
-
수(琇) - 왕수(王琇)
고려 후기의 종친. 예성부원대군(蘂城府院大君) 왕온(王昷)의 셋째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수(琇)@안수 - 안수(安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울진 훈도(蔚珍訓導)를 지낸 안처정(安處貞)의 아들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ㆍ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등을 역임하였음.
1489~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수(璲) - 안수(安璲)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처명(安處明)의 아들로, 1549(명종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등을 지냄.
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수(睟)@김수 - 김수(金睟)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 때 《십구사략(十九史略)》을 개수(改修)하여 주를 붙임.
1547~161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睟) - 이수(李睟)
조선 후기의 종친. 덕양군(德陽君) 이기(李歧)의 손자이며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의 둘째 아들. 임진왜란 이후 《선원록(璿源錄)》의 보수에 참여하고, 1617년(광해군 9)에 종친을 모아 이이첨(李爾瞻)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仁祖)를 호종함.
1569~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수(秀) - 박수(朴秀)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박상충(朴尙衷)의 아버지로, 밀직부사(密直副使)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수(秀)@이수 - 이수(李秀)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김일손(金馹孫)과 금란계(金蘭契)를 결성하여 교유하였으며, 금천도 찰방(金泉道察訪)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수(穗)@이인민의아들 - 이수(李穗)@이인민의아들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 이인민(李仁敏)의 아들이자, 호조 판서(戶曹判書)를 지낸 이견기(李堅基)의 아버지. 동지총제(同知摠制)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수(穗)@구수복의장인 - 이수(李穗)@구수복의장인
조선 성종(成宗) 때의 종친. 병암(屛菴) 구수복(具壽福)의 장인으로, 무과(武科)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수(穗) - 노수(盧穗)
중국 당(唐) 나라 말기의 문신.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냈으며, 당 나라 말의 난리를 피해 아홉 아들 및 팔학사(八學士)와 함께 신라(新羅)에 귀화하였다 함. 우리나라 노씨(盧氏)의 도시조(都始祖).
중국>당ㅣ한국>통일신라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수(粹)@김수 - 김수(金粹)
조선 전기의 유학. 진사(進士) 김경운(金慶雲)의 아버지로,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수(粹) - 이수(李粹)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증손이며, 물거군(勿巨君) 이철(李徹)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수(綏) - 곡백(穀伯)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후의 한 사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수(綏)@김수 - 김수(金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25년(중종 2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무예에도 뛰어났음.
1491~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수(綏)@이수 - 이수(李綏)
조선 전기의 종친.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손자이고, 연창군(延昌君) 이학수(李鶴壽)의 장남. 음악을 좋아하여 훈(壎)과 저(箸)를 잘 연주함.
1527~158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수(脩)@김수 - 김수(金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세묵(金世黙)의 아들로, 김세정(金世靜)에게 출계(出系)함. 1572년(선조 5)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학유(學諭) 등을 지냈고,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