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개자추(介子推)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은사(隱士). 어려운 시기에 모셨던 진(晉) 문공(文公)이 뒤늦게 깨닫고 불렀으나 끝내 산속에서 불에 타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개장공주(蓋長公主)
중국 전한(前漢) 제7대 황제인 무제(武帝)의 딸. 어린 나이에 황제가 된 소제(昭帝)의 누나로, 좌장군(左將軍) 상관걸(上官桀)과 함께 모반을 꾸미다 실패하고 자결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공주
-
개정전시과(改定田柴科)
고려시대의 토지 제도. 경종(景宗) 때 제정한 시정전시과(始定田柴科)를 998년(목종 원년)에 개정한 것으로, 관품(官品)과 인품(人品)으로 구분하였던 분급 기준을 관품으로 단일화함.
998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개주(蓋州)
중국 요녕성(遼寧省) 동북쪽에 위치한 주(州) 이름. 고구려(高句麗)와 당(唐) 나라의 전쟁 때 당 나라의 장수 이세적(李世勣)이 고구려의 개갈모성(蓋葛牟城)을 함락시키고 개주(蓋州)로 만듦.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개주(開州)
중국 동북부 봉황성(鳳凰城) 부근에 있었던 고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개주위(蓋州衛)
중국 심양(瀋陽) 동남쪽에 있는 고을 이름. 안시성이 동북쪽에 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개천(价川)
평안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시대에 조양진(朝陽鎭)으로 불렸으며, 1413년(태종 13)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침.
평안도>개천 , 지명>행정지명
-
거(莒)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고을 이름. 전단(田單)이 거(莒)와 즉묵(卽墨) 두 성을 근거로 잃어버린 70여 성을 모두 회복하여, 이후 나라를 회복시키는 근거지를 의미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거^공(距^蛩)
중국 전설상의 동물인 거허(距虛)와 공공(蛩蛩)을 함께 부르는 말. 두 짐승은 항상 붙어 다니며 궐(蟨)이라는 짐승의 부양을 받다가 궐에게 위험한 일이 생기면 궐을 등에 업고 달아난다고 하여 서로 의지함을 의미함.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거^묵(莒^墨)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고을인 거(莒)와 즉묵(卽墨)을 함께 부르는 말. 나라를 회복시키는 근거지가 된 곳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거가잡의(居家雜儀)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사마광(司馬光)의 저서. 사례(四禮)에 의거하여 조상의 신주를 모시는 사당(祠堂) 제도와 예복(禮服)인 심의(深衣) 제도 등 집에서 지켜야 할 규범에 대해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거거질(莒去疾)
중국 춘추전국시대 거(莒) 나라의 공자(公子). 제(齊) 나라의 힘을 빌려 거 나라로 돌아와 전여(展輿)를 토벌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거경지신(巨卿之信)
거경(巨卿)의 신의. 거경은 중국 후한(後漢) 범식(范式)의 자(字)로, 절친했던 벗 장소(張劭)와의 오래된 약속을 잊지 않고 끝까지 지켰던 데서 유래한 말로, 굳은 약속과 성실한 인품을 뜻함.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거문도(巨文島)
전라도 순천(順天)에 속하는 다도해(多島海) 최남단의 섬. 1885년(고종 22)에 영국이 러시아의 남하를 막는다는 구실로 이곳을 불법 점령한 거문도 사건이 있었음. 현재 전라남도 여수시(麗水市)에 속함.
전라도>순천 , 지명>자연지명
-
거안제미(擧案齊眉)
밥상을 눈썹 높이까지 들어 올려 바침. 중국 후한(後漢) 때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남편을 지성으로 받들었던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남편을 깍듯이 공경함을 뜻함. 《후한서(後漢書)》 〈양홍전(梁鴻傳)〉에 보임.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거업록(居業錄)
중국 명(明) 나라 학자인 호거인(胡居仁)의 강학 어록(講學語錄). 8권. 역사 인물에 대한 평가도 다수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거원(蘧瑗)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大夫). 50세가 되도록 항상 과거의 잘못을 반성하면서 언행을 고쳐 나갔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거제(巨濟)
경상남도 남단(南端)에 섬으로 이루어진 고을 이름. 제주도(濟州島)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대마도(對馬島)와 가까워 왜구(倭寇)의 출몰이 잦았음.
경상도>거제 , 지명>행정지명
-
거창(居昌)
경상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경상도>거창 , 지명>행정지명
-
거창유씨(居昌劉氏)
중국 송(宋) 나라 때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낸 유전(劉筌)을 시조로 하는 성씨. 유전의 맏아들이 거창(居昌)에 정착하면서 그곳을 관향으로 삼음. 강릉유씨(江陵劉氏)ㆍ배천유씨(白川劉氏)와 혈족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집단>성씨
-
거허(距虛)
중국 전설상의 동물. 궐(蹶)이라는 동물에게 음식을 봉양 받고, 대신 궐에게 다급한 일이 생기면 궐을 업고 달린다고 함.
중국 , 자연물>동물
-
건^백(虔^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인 정건(鄭虔)과 이백(李白)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건부(乾符)
중국 당(唐) 나라 희종(僖宗) 때의 연호(年號) 가운데 하나. 해당 연한 874~879. 이때에 당 나라 전국에 기근이 들어 사회적 불안이 절정에 달하였으며, 황소(黃巢)의 난(亂)이 일어남.
874~879 중국>당 , 시간>연호
-
건안칠자(建安七子)
중국 후한(後漢) 헌제(獻帝) 때인 건안(建安) 연간에 시문(詩文)으로 이름을 떨친 일곱 명의 문학자. 조조(曹操)ㆍ조비(曹丕)ㆍ조식(曹植) 삼부자를 중심으로 모인 공융(孔融)ㆍ진림(陳琳)ㆍ왕찬(王粲)ㆍ서간(徐幹)ㆍ완우(阮瑀)ㆍ응창(鷹瑒)ㆍ유정(劉楨)을 이름.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건암서원(建巖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충청도 서천(舒川) 문산면(文山面)에 건립한 서원. 숙종(肅宗) 때 사액(賜額)되었으며, 이산보(李山甫)ㆍ조헌(趙憲)ㆍ조수륜(趙守倫)ㆍ조속(趙涑) 등을 배향함.
166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건의(蹇義)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 오랫동안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내면서 다섯 명의 황제를 보좌하고, 명초(明初)에 전장제도(典章制度)의 수립과 확립에 기여함.
1363~143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건재집(健齋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천일(金千鎰)의 시문집(詩文集). 목활자본. 11권 2책. 초간본(初刊本)은 1893년(고종 30)에 김문상(金玟相) 등이 유실되고 남은 유문(遺文)을 수집하여 활자로 인간(印刊)함.
1893 한국>근대 , 문헌>서명
-
건천집(巾川集)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ㆍ학자인 정광(程廣)의 문집. 정광은 정주학(程朱學)에 전념한 인물로, 조선 개국 후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걸(桀)
중국 하(夏) 나라의 마지막 왕. 은(殷) 왕조 최후의 왕인 주(紂)와 함께 포악한 임금의 상징으로 거론됨.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걸^주(桀^紂)
중국 하(夏) 나라의 마지막 왕인 걸(桀)과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인 주(紂)를 함께 부르는 말. 폭군(暴君)을 가리킴.
중국>은ㅣ중국>하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걸^척(桀^跖)
중국 하(夏) 나라의 마지막 왕으로 폭군(暴君)인 걸(桀)과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도둑인 도척(盜跖)을 함께 부르는 말. 바르지 못한 사람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ㅣ중국>하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걸닉(桀溺)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은자. 공자(孔子)가 초 나라의 속국(屬國) 중 하나였던 섭(葉)을 방문했을 때 길가에서 만난 인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검각산(劒閣山)
중국 익주(益州)에 있는 산 이름. 중국의 북쪽에서 익주로 올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으로, 지세가 험하여 군사 요충지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검계서원(儉溪書院)
1976년에 천안전씨(天安全氏) 문중에서 충청남도 천원군(天原郡) 풍세면(豐歲面)에 세운 서원. 전신(全信)을 배향함.
1976 한국>근대 , 충청도>천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검남시고(劍南詩稿)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육유(陸游)의 시집(詩集). 85권. 육유가 촉(蜀) 땅에 십 년 동안 살면서 그곳의 풍광을 매우 좋아한 까닭에 ‘검남시고’라 명명(命名)했다고 하며, 그의 아들 육자거(陸子虡)가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검단산(黔丹山)
경기도 광주(廣州) 지역에 속해 있던 산 이름. 광주의 진산(鎭山)으로 일컬어짐.
경기도>광주 , 지명>자연지명
-
검동도(黔同島)
평안도 의주(義州)의 압록강(鴨綠江)에 있는 섬의 하나. 어적도(於赤島)ㆍ위화도(威化島)와 더불어 의주의 삼도(三島)로 일컬어짐.
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검루(黔婁)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은사(隱士). 지절(志節)을 숭상하여 노(魯) 나라의 공공(恭公)이 곡식 3천 종(鐘)을 하사하였으나 받지 않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검수관(劒水館)
조선시대 금교도(金郊道)의 속역(屬驛) 중 하나였던 역관(驛館). 황해도 봉산(鳳山)에 있었음.
한국>조선시대 , 황해도>봉산 , 유적>건물>관사
-
게문안공집(揭文安公集)
중국 원(元) 나라 때의 문인 게혜사(揭傒斯)의 시문집(詩文集). 50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게혜사(揭傒斯)
중국 원(元) 나라의 문인. 양재(楊載)ㆍ범곽(范椁)ㆍ우집(虞集)과 함께 원시사대가(元詩四大家), 또는 유관(柳貫)ㆍ황진(黃溍)ㆍ우집과 함께 유림사걸(儒林四傑)로 불림.
1274~134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격몽요결(擊蒙要訣)
조선 선조(宣祖) 때의 성리학자인 이이(李珥)가 편찬한 유학 입문서. 《동몽선습(童蒙先習)》ㆍ《훈몽자회(訓蒙字會)》와 함께 초학자들을 위한 교재로 쓰임.
157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격물통(格物通)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인 담약수(湛若水)가 편찬한 책. 구준(丘濬)의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본떠 지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격재집(格齋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손조서(孫肇瑞)의 시문집(詩文集). 4권 1책. 목판본.
147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격황소서(檄黃巢書)
통일신라의 대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이 중국 당(唐) 나라에서 벼슬할 때 황소(黃巢)를 치기 위하여 지은 격문(檄文). 고변(高騈)의 종사관이 되어 황소를 토벌하러 나갔을 때 지어 보낸 글임.
880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견^위(汧^渭)
중국 섬서성(陝西省)에 있는 견수(汧水)와 위수(渭水)를 함께 부르는 말. 견수는 위수의 지류(支流)로 이 일대가 모두 목축하기에 적당함.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견거절함(牽裾折檻)
소매를 끌어당기고 난간을 부러뜨림. 삼국시대에 위 문제(魏文帝)의 옷자락을 끌어당기며 간언한 신비(辛毗)와, 한 성제(漢成帝) 때 끌려 나가면서 붙잡은 난간이 부러질 때까지 간언한 주운(朱雲)의 고사에서 온 말로, 임금의 위세에 굴하지 않고 직간(直諫)함을 뜻함.
중국>삼국시대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견문산(犬門山)
충청북도 충주(忠州) 남한강(南漢江)과 달천(達川)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산 이름.
충청도>충주 , 지명>자연지명
-
견성군(甄城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여섯 번째 서자. 숙용홍씨(淑容洪氏)의 소생으로, 중종(中宗) 때 이과(李顆)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간성(杆城)에 유배된 뒤 사사(賜死)되었으며, 이듬해 억울함이 인정되어 신원됨.
1482~150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견수(汧水)
중국 감숙성(甘肅省)에서 발원해 섬서성(陝西省) 위수(渭水)로 흘러들어가는 강 이름.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주영토가 견수(汧水)와 위수가 합류하는 지점에서 서쪽으로 삼각지대를 이루는 지역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견우(牽牛)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의 남자 주인공. 견우성(牽牛星)을 의인화한 것으로, 매년 칠월 칠석(七夕)에 은하수를 건너 직녀와 만난다고 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견우성(牽牛星)
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하나. 북방(北方) 현무칠수(玄武七宿)의 두 번째 별자리로, 은하(銀河)의 동쪽에 있으며, 은하 서쪽의 직녀성(織女星)과 마주 대함.
자연물>천체
-
견풍(甄豊)
중국 전한(前漢)~신(新) 때의 문신. 유흠(劉歆)ㆍ왕순(王舜)과 함께 왕망(王莽)의 심복으로 왕망의 왕위 찬탈을 도움.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견훤(甄萱)
후백제(後百濟)의 시조. 재위 892~935. 본래 성은 이씨(李氏)였으나 뒤에 견씨(甄氏)라 함.
867~936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ㅣ전라도>광산 , 인명>왕실>국왕
-
결성(結城)
현재 충청남도 홍성(洪城) 광천읍(廣川邑)과 결성면(結城面)ㆍ서부면(西部面)ㆍ구항면(龜項面)ㆍ은하면(銀河面)까지 포함했던 옛 고을 이름.
충청도>결성 , 지명>행정지명
-
겸암집(謙庵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운룡(柳雲龍)의 시문집(詩文集). 목판본. 8권 4책. 초간본(初刊本)은 1742년(영조 18)에 후손 유손영(柳孫永)이 유문(遺文)을 수집하여 간행함.
174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겸재집(謙齋集)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인 하홍도(河弘度)의 시문집(詩文集). 정론(正論)을 비판하고 악인(惡人)을 장려하는 내용이 많이 들어 있다는 이유로 수난을 겪음.
175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경^뇌(瓊^雷)
중국 광동성(廣東省)의 경주(瓊州)와 뇌주(雷州)를 함께 부르는 말. 지금의 해남도(海南島)와 뇌주반도(雷州半島)를 가리키며, 소식이 유배생활을 한 곳을 말함.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경^등(耿^鄧)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장군인 경감(耿弇)과 등우(鄧禹)를 함께 부르는 말. 후한의 대표적인 장군을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경^위(涇^渭)
중국 섬서성(陝西省)에 있는 경수(涇水)와 위수(渭水)를 함께 부르는 말. 경수는 탁하고 위수는 맑기 때문에 옳고 그름과 청탁(淸濁)에 대한 분별이 엄격함을 뜻함.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경감(耿弇)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장군. 장보(張步)와 소무(蘇茂)를 평정하고, 3백 개의 성을 도륙(屠戮)함. 건위대장(建威大將)을 지내고, 호치후(好畤侯)에 봉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경공(景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병이 들었을 때 두 아이[二豎子]가 고황(膏肓)으로 들어가는 꿈을 꾸었는데, 의원이 병이 고황에 들어 고칠 수 없다고 하였으며, 그 후에 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경공(景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송(宋) 나라의 제후(諸侯). 재위 B.C.51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경공(景公)@춘추전국(채)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채(蔡) 나라의 제후(諸侯). 재위 B.C.591~B.C.543.
?~B.C.54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경공(景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諸侯). 재위 B.C.547~B.C.490.
?~B.C.49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경공(景公)@춘추전국(秦)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제후. 재위 B.C.577~B.C.537. 환공(桓公)의 아들로, 환공의 장례를 천자의 예로 행함.
?~B.C.53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경광서원(鏡光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북도 안동(安東) 서후면(西後面)에 건립한 서원. 배상지(裵尙志)ㆍ이종준(李宗準)ㆍ장흥효(張興孝) 등을 배향함.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구기구전(京口耆舊傳)
중국 남송(南宋) 말기의 저작으로 추정되는 전기류(傳記類) 서책. 9권. 송(宋) 나라 초부터 남송 이종(理宗) 가희(嘉熙) 연간에 이르기까지 경구(京口) 지역의 명현(名賢)들의 사적을 수집하여 기록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경구주(耿九疇)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문신. 진사(進士)에 급제하여 남경(南京) 형부 상서(刑部尙書)를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 세조(世祖) 때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成宗) 때 완성된 조선시대 통치의 기본 법전. 조선 건국 전후부터 1484년(성종 15)에 이르기까지 약 100년간의 왕명ㆍ교지(敎旨)ㆍ조례(條例) 중 영구히 준수할 것을 모아 엮음. 6권 4책. 인본(印本).
1485 한국>조선전기 , 법제>법률ㅣ문헌>서명
-
경기(京畿)
한반도 중앙의 서쪽에 위치한,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도(道) 이름.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경기도 , 지명>행정지명
-
경기우도(京畿右道)
고려 후기~조선 전기에 경기도를 분할하여 동쪽에 설치하였던 여러 고을의 통칭. 1390년(공양왕 2)에 경기좌우도(京畿左右道)로 나눔.
139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지명>행정지명
-
경기전(慶基殿)
조선 태종(太宗) 때 태조(太祖)의 어진(御眞)을 봉안하기 위해 전라도 전주에 건립한 묘사(廟祠). 1410년(태종 10)에 어용전(御容殿)을 세우고 1442년(세종 2)에 이름을 경기전으로 고침. 1771년(영조 47)에는 조경묘(肇慶廟)를 세워 이한(李翰) 부부의 신위를 봉안함.
141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유적>건물>사당
-
경기좌도(京畿左道)
고려 후기~조선 전기에 경기도를 분할하여 서쪽에 설치하였던 여러 고을의 통칭. 1390년(공양왕 2)에 경기좌우도(京畿左右道)로 나눔.
1390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 , 지명>행정지명
-
경녕군(敬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 효빈김씨(孝嬪金氏)의 소생으로, 천성이 어질고 학문에 밝았으며, 태종부터 세조(世祖) 때에 이르기까지 충성을 다하여 국정과 왕실을 위해 헌신함.
1395~14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경녕옹주(慶寧翁主)
고려 26대 충선왕(忠宣王)에게 재가(再嫁)한 순비허씨(順妃許氏)가 전 남편 평양공(平陽公) 왕현(王眩)과의 사이에서 낳은 넷째 딸. 경양군(慶陽君) 노책(盧頙)과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공주
-
경눌(敬訥)
조선 전기의 승려. 김정(金淨)이 그에게 써 준 시(詩)가 《충암집(冲庵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경대승(慶大升)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1179년(명종 9) 무신정권기의 집권 무신인 정중부(鄭仲夫)․송유인(宋有仁) 등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했으며, 사적 무력집단인 도방(都房)을 두어 정권유지의 바탕을 마련함.
1154~118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경덕사(景德祠)
조선 후기에 강원도 통천(通川)에 세운 사우(祠宇). 정구(鄭逑)를 배향함.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통천 , 유적>건물>사당
-
경덕왕(景德王)
신라 제35대 왕. 재위 742~765년. 성덕왕(聖德王)의 아들이며 효성왕(孝成王)의 동생. 왕권강화를 위해 제도와 관직을 중국식으로 고치고 유학교육에 힘썼으며, 석굴암(石窟庵)ㆍ불국사(佛國寺) 등을 창건하여 불교 중흥에 이바지함.
?~76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경락사(景洛祠)
경상도 선산(善山)에 있는 사우(祠宇). 한벽재(寒碧齋) 정석견(鄭錫堅)을 배향함.
경상도>선산 , 유적>건물>사당
-
경력당의(慶曆黨議)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경력(慶曆) 연간에 곽황후(郭皇后)의 폐립(廢立) 문제로 인하여 벌어진 당쟁(黨爭). 찬성파인 여이간(呂夷簡)과 반대파인 범중엄(范仲淹) 등이 10여 년에 걸쳐 대립함.
중국>송 , 중국 , 사건>기타사건
-
경렬사(景烈祠)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광산(光山)에 건립된 사우(祠宇). 정지(鄭地)ㆍ정충신(鄭忠信)ㆍ김상의(金尙義) 등을 배향함.
164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당
-
경렴서원(景濂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금산(金山)의 감천면(甘川面)에 건립된 서원. 김종직(金宗直)․최선문(崔善門)․이약동(李約東)․조위(曺偉)․김시창(金始昌) 등을 배향함.
16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금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렴정(景濂亭)
조선 중종(中宗) 때 주세붕(周世鵬)이 경상도 순흥(順興)의 소수서원(紹修書院) 정문 밖에 지은 정자. 원생(院生)들이 시를 짓고 학문을 토론하던 곳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정자라고 함.
15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누정
-
경렴정집(景濂亭集)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인 탁광무(卓光茂)의 시문집(詩文集). 5권 2책. 활자본. 1827년(순조 27)에 후손 탁유문(卓有文)이 처음 간행하였고, 1850년(철종 1)에 탁운한(卓雲翰)이 개간(改刊)함.
182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경례의의(經禮疑義)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의 저서. 24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경명군(景明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열 번째 아들. 숙의홍씨(淑儀洪氏)의 소생. 중종(中宗) 때 안처겸(安處謙)의 옥사에 휩싸여 고초를 겪음.
1489~152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경명왕(景明王)
신라 제54대 왕. 재위 917~924. 신덕왕(神德王)의 아들로, 후삼국(後三國)이 정립(鼎立)하여 패권을 다투던 때에 즉위해 기울어져 가는 국운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실패함.
?~924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경문왕(景文王)
신라 제48대 왕. 재위 861~875. 재위 중에 천재지변(天災地變)이 많아 백성들이 곤궁함을 겪음.
?~87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경방(京房)
중국 전한(前漢) 때의 사상가. 양(梁) 나라 사람 초연수(焦延壽)에게서 역학(易學)을 배웠고, 재이사상(災異思想)에 밝았으며, 음률(音律)을 연구하여 현(絃)에 의한 음률측정기인 준(準)을 발명함으로써 60률을 산정함.
B.C.77~B.C.3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백(敬伯)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두무(杜橅)와 함께 설한(薛漢)에게서 《시경(詩經)》을 배움.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보(慶父)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이복형인 장공(莊公)이 죽자 제후의 자리를 노리고 장공의 아들인 민공(閔公)을 시해하였으나, 민공의 외삼촌인 제(齊) 환공(桓公)에 의해 궁지에 몰리다가 자살함.
?~B.C.66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경복궁(景福宮)
조선 태조(太祖) 때 북악산(北岳山) 아래에 세운 궁궐 이름. 조선시대 5대 궁궐 중 정궁(正宮)에 해당하며, 현재 서울 종로구(鍾路區) 세종로(世宗路)에 속함.
13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건물>궁궐
-
경복흥(慶復興)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기철(奇轍)을 숙청하여 1등 공신에 책록되고, 홍건적을 물리친 공으로 진충동덕협보공신(盡忠同德協輔功臣)의 호를 받음. 신돈(辛旽)을 제거하려다 유배되었으나, 신돈이 주살된 후 다시 좌시중(左侍中)이 됨.
?~1380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빈박씨(敬嬪朴氏)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후궁.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가 아버지 김안로(金安老)의 사주를 받아 왕세자를 저주하는 작서(灼鼠)의 변(變)을 일으키자, 이에 연루되어 아들인 복성군(福城君)과 함께 폐출된 후 사사됨.
?~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경사(京師)
중국의 수도를 지칭하는 말. 경(京)은 크고 사(師)는 많다는 뜻으로, 주(周) 나라의 수도를 경사(京師)라고 한 데서 후대에 천자(天子)가 기거하는 곳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경사(鏡師)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이 경사(鏡師)의 시권(詩卷)에 써준 시(詩)가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경산(慶山)
경상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변진(弁辰)의 압량소국(押梁小國)을 102년(신라 파사왕 23)에 압량(押梁)이라 하였다가, 940년(태조 23)에 장산군(獐山郡)으로 고치고 충선왕(忠宣王) 때 경산(慶山)으로 개칭함.
경상도>경산 , 지명>행정지명
-
경상도(慶尙道)
경상남도와 경상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고려 때 경주(慶州)와 상주(尙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지명.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경상도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