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수륜(秀崙) - 윤수륜(尹秀崙)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영천군(鈴川君) 윤반(尹磻)의 둘째 아들이며,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의 외손자.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수릉(首陵) - 수로왕(首露王)
금관가야(金官伽倻)의 시조. 재위 42~199. 관직을 정비하고 도읍을 정하여 국가의 기틀을 확립함. 《삼국유사(三國遺事)》〈가락국기(駕洛國記)〉에 탄생과 치적에 관한 기사가 전함. 김해김씨(金海金氏)의 시조.
?~199 한국>가야 , 경상도>김해 , 인명>왕실>국왕
-
수린(壽藺) - 수린(秀藺)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 때의 승려. 1465년(세조 11) 조선에 와서 세조(世祖)에게 받은 서계(書契)ㆍ예폐(禮幣)를 가지고 돌아가 왜왕(倭王)에게 전달함.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종교인>승려
-
수린(壽麟)@신수린 - 신수린(申壽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중종(中宗) 때 영의정을 지낸 성희안(成希顔)의 매제(妹弟).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77~154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수린(壽麟) - 이수린(李壽麟)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수림(壽林)@고려 - 이수림(李壽林)@고려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전법총랑(典法摠郞) 이달존(李達尊)의 아들. 군부 판서(軍簿判書)ㆍ이부 판서(吏部判書) 등을 지냄. 공민왕을 적극 지지하였으나, 배원정책(排元政策)의 와중에 노은(盧訔)의 일파로 몰려 죽음을 당함.
?~136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수림(壽林)@조선 - 이수림(李壽林)@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장수(長水)로, 생원(生員) 이상경(李商卿)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문사>유학
-
수림(秀林) - 박수림(朴秀林)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읍취헌(挹翠軒) 박은(朴誾)의 조부(祖父)로, 교하 현감(交河縣監) 등을 역임함.
1419~14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수만(壽曼) - 여공(厲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경공(景公)의 아들로, 정(鄭) 나라와 초(楚) 나라를 격퇴하여 위세를 떨쳤으나, 교만하고 포악하여 무도한 짓을 자행하다가 대부 난서(欒書)와 순언(荀偃) 등에게 붙잡혀 죽임을 당함.
?~B.C.57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수만(壽萬) - 조수만(趙壽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 중 한 사람인 조려(趙旅)의 손자로, 부친인 조금호(趙金虎)보다 먼저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유학
-
수명인복자예황태후(壽明仁福慈睿皇太后) - 공성인열양황후(恭聖仁烈楊皇后)
중국 송(宋) 나라의 제13대 영종(寧宗)의 비(妃). 의남매 사이인 양차산(楊次山)ㆍ예부 시랑(禮部侍郎) 사미원(史彌遠)과 결탁하여 권력을 잡아 이종(理宗)을 세우고 태후(太后)가 됨.
1162~123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수몽(守夢) - 정엽(鄭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 황주 판관(黃州判官)으로서 왜군을 격퇴한 공으로 중화 부사(中和府使)가 됨. 대사성(大司成)으로서 타직(他職)을 겸하는 예가 정엽으로부터 비롯됨.
1563~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수몽선생집(守夢先生集) - 수몽집(守夢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정엽(鄭曄)의 문집. 1661년(현종 2) 해주 목사(海州牧使)로 있던 외손 나성두(羅星斗)가 8권 2책 목판으로 간행함.
166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문헌>서명
-
수무(秀武) - 신수무(辛秀武)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중종(中宗) 때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신필주(辛弼周)의 아버지로, 황주 판관(黃州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수문(秀文) - 남수문(南秀文)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 집현전(集賢殿)ㆍ예문관(藝文館) 등에서 벼슬하며 세종의 여러 대군들에게 글을 가르침. 저서로 《경재유고(敬齋遺稿)》가 있음.
1408~14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수문(秀文)@조수문 - 조수문(曺秀文)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함양 군수(咸陽郡守) 조호(曺浩)의 아버지로, 벼슬하지 않고 은거(隱居)하며 김종직(金宗直)과 함께 호남(湖南)의 유학 발전에 기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문사>유학
-
수문(秀文)@김수문 - 김수문(金秀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진사 김임(金銋)의 아들.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제주 목사(濟州牧使)로서 왜구(倭寇)를 대파하는 공을 세웠고, 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때는 여러 차례 호인(胡人)의 침략을 격퇴하고 전사함.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무신
-
수문(隋文) - 문제(文帝)@수
중국 수(隋)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581~604. 북주(北周) 정제(靜帝)에게서 왕위를 선양(禪讓) 받아 수 나라를 세우고 남조(南朝)의 진(陳)을 평정하여 남북조를 통일함.
541~604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수민(壽民) - 백수민(白壽民)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수원(水原). 백유양(白惟讓)의 막내 아들로, 정여립(鄭汝立)의 형 정여흥(鄭汝興)의 사위.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사형됨.
?~158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유학
-
수민(秀民) - 정수민(鄭秀民)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 본관은 하동(河東). 정여창(鄭汝昌)의 증손이며,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일실된 정여창의 유고를 모아 《문헌공실기(文獻公實記)》를 간행하고, 저서에 《춘수당집(春睡堂集》등이 있음.
1577~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
-
수민(秀民)@노수민 - 노수민(盧秀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지만 벼슬은 하지 않음. 조식(曺植)의 《남명집(南冥集)》에 〈노군묘명(盧君墓銘)〉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유학
-
수반(輸班) - 공수반(公輸班)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명장(名匠). 고전(古典)과 고사성어(故事成語)에도 인용될 만큼 솜씨가 매우 뛰어났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수백(守伯) - 김이원(金履元)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대북(大北)에 속하여 임해군(臨海君)을 사사(賜死)하게 하고 소북(小北)을 제거하기 위한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잘 다스려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훈됨.
1553~161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수백(守伯)@박대립 - 박대립(朴大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으로, 돈녕부 정(敦寧府正) 박세영(朴世榮)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이며,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수십 년 묵은 송사(訟事)를 판서(判書)에게 항변하여 종결지어 명성을 얻음.
1512~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북정일기(北征日記) - 북정록(北征錄)@신유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무신인 신유(申瀏)가 저술한 책. 1책 26장. 필사본. 1658년(효종 9) 청(淸) 나라의 요청으로 나선정벌(羅禪征伐)에 나섰던 저자가 흑룡강(黑龍江)까지 출병(出兵)한 141일간의 일을 기록함.
165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북조제(北朝齊) - 북제(北齊)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동위(東魏)의 실권자 고양(高洋)이 효정제(孝靜帝)를 밀어내고 세운 왕조. 6대 28년간 존속.
550~5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북지왕(北地王) - 유심(劉諶)
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 후주(後主)의 아들. 후주 유선(劉禪)이 위(魏) 나라에 패하여 항복하려 할 때 끝까지 싸울 것을 요청하였으나 후주가 듣지 않자 먼저 처자(妻子)를 죽이고 자살함.
238~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북창(北窓)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북창(北窓)@정렴 - 정렴(鄭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유의(儒醫). 천문ㆍ지리ㆍ의서ㆍ복서(卜筮) 등에 두루 능통했고, 특히 약의 이치와 음률에 밝았음. 포천 현감(抱川縣監)을 지냄.
1505~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북창거사(北窓居士) - 정렴(鄭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유의(儒醫). 천문ㆍ지리ㆍ의서ㆍ복서(卜筮) 등에 두루 능통했고, 특히 약의 이치와 음률에 밝았음. 포천 현감(抱川縣監)을 지냄.
1505~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북천(北川) - 유영순(柳永詢)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배천 군수(白川郡守) 유연(柳埏)의 아들.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ㆍ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와중에 아버지와 형을 잃고 정유재란 때 복수군(復讐軍)을 조직하기도 함.
1552~16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북촌(北村) - 박진원(朴震元)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561~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북평(北平) - 북경(北京)
중국의 수도. 하북성(河北省) 중앙부에 있으며, 화북(華北)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 요(遼) 나라, 금(金) 나라, 원(元) 나라, 명(明) 나라, 청(淸) 나라의 도읍지였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북평왕(北平王) - 마수(馬燧)
중국 당(唐) 대종(代宗)~덕종(德宗) 때의 장수. 이영요(李靈耀)의 난을 평정하였음.
729~79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북평정후(北平亭侯) - 무제(武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1대 황제. 재위 265~290. 위(魏) 나라 원제(元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진 나라를 세운 뒤, 오(吳) 나라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함.
236~29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북한산(北漢山) - 삼각산(三角山)
서울 북부와 경기도 고양에 걸쳐 있는 북한산(北漢山)의 고려ㆍ조선시대의 이름. 최고봉 백운대(白雲臺)와 그 동쪽의 인수봉(仁壽峰), 남쪽 만경대(萬景臺)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명명됨.
경기도>고양ㅣ서울 , 지명>자연지명
-
북해(北海)@등계달 - 등계달(滕季達)
중국 명(明) 나라의 문인. 1572년(조선 선조 5) 명 나라 사신 한세능(韓世能)과 함께 조선에 와서, 정유일(鄭惟一)ㆍ유성룡(柳成龍)ㆍ한호(韓濩) 등과 교유함. 《옥봉집(玉峯集)》에 백광훈(白光勳)의 〈증북해처사등계달(贈北海處士鄧季達)〉이라는 시(詩)가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북해(北海) - 공융(孔融)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ㆍ학자. 건안칠자(建安七子)의 한 사람으로, 헌제(獻帝) 때 북해(北海)의 재상(宰相)이 되어 학교를 세우고 유학(儒學)을 가르침. 한조(漢朝)의 세력 회복에 힘썼으나 조조(曹操) 등의 미움을 받아 일족과 함께 피살됨.
153~20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북해거사(北海居士) - 최수성(崔壽峸)
조선 중종(中宗) 때의 화가. 유학 최세효(崔世孝)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 등과 교유함. 벼슬을 단념하고 시(詩)ㆍ서(書)ㆍ화(畵)ㆍ음악으로 일생을 보냈으나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처형됨.
1487~152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예술인>서화가
-
북해공(北海公) - 조종영(趙鍾永)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문과에 급제하여 안주 목사(安州牧使)로 홍경래(洪景來)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가 되고, 우참찬(右參贊)에 이름.
1771~182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북해상(北海相) - 공융(孔融)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ㆍ학자. 건안칠자(建安七子)의 한 사람으로, 헌제(獻帝) 때 북해(北海)의 재상(宰相)이 되어 학교를 세우고 유학(儒學)을 가르침. 한조(漢朝)의 세력 회복에 힘썼으나 조조(曹操) 등의 미움을 받아 일족과 함께 피살됨.
153~20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북해처사(北海處士) - 등계달(滕季達)
중국 명(明) 나라의 문인. 1572년(조선 선조 5) 명 나라 사신 한세능(韓世能)과 함께 조선에 와서, 정유일(鄭惟一)ㆍ유성룡(柳成龍)ㆍ한호(韓濩) 등과 교유함. 《옥봉집(玉峯集)》에 백광훈(白光勳)의 〈증북해처사등계달(贈北海處士鄧季達)〉이라는 시(詩)가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북향화(北向花) - 목련(木蓮)
목련과(木蓮科)의 낙엽교목(落葉喬木). 꽃눈이 붓을 닮아서 목필(木筆)이라고도 하고, 꽃봉오리가 피려고 할 때 끝이 북녘을 향한다고 해서 북향화라고 함. 꽃이 아름다워 《양화소록(養花小錄)》의 〈화목구등품제(花木九等品第)〉에서는 7등에 속해 있음.
자연물>식물
-
북헌(北軒) - 김춘택(金春澤)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종조부 김만중(金萬重)에게 수학하고, 노론(老論) 집안의 자손으로 상대 당파의 공격을 자주 받음. 시문(詩文)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구운몽(九雲夢)》 등을 한문으로 번역함.
1670~17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분(坋) - 이분(李坋)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인. 시학(詩學)에 정통하고 사려가 깊었으며, 김굉필(金宏弼)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
-
분(奮) - 안분(安奮)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정도전(鄭道傳)의 아버지인 정운경(鄭云敬)의 외삼촌으로,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분(昐) - 노분(盧昐)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이며,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노숙동(盧叔仝)의 아들. 손자 노진(盧禛)의 문집인 《옥계집(玉溪集)》에 묘갈기(墓碣記)가 실려 있음.
1437~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분(濆) - 신분(申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전의감 부정(典醫監副正)을 지냈으며, 전서(篆書)를 잘 썼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관인>문신
-
분(玢) - 송분(宋玢)
고려 원종(元宗)~충숙왕(忠肅王) 때의 행신(倖臣). 임유무(林惟茂)를 제거하고 충렬왕(忠烈王)이 세자 시절 원(元) 나라에 인질이 되었을 때 공을 세웠으나, 충선왕(忠宣王)과 충숙왕(忠肅王) 부자 사이를 이간시키는 등 모략을 일삼다가 유배됨.
?~131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분(糞) - 인성대군(仁城大君)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맏아들. 장순왕후(章順王后) 한씨(韓氏)의 소생으로, 어린 나이에 요절함.
1461~14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왕자
-
분(芬) - 조분(趙芬)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조공탁(趙公卓)의 아들이자 환관인 백안불화(伯顔不花)의 형.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분(苯) - 정분(鄭苯)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토목에 조예가 깊어 궁궐 조성과 축성, 현릉(顯陵) 조성 등을 감독함. 우의정에 재직 중 계유정난(癸酉靖難)이 일어나 낙안(樂安)에 안치되어 관노(官奴)가 되었다가 사사(賜死)됨.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분(蚡) - 전분(田蚡)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외척. 효경제(孝景帝)의 황후(皇后) 전씨(田氏)의 동생으로 무제 때 승상(丞相)에까지 올랐는데, 자신이 황제의 외숙임을 믿고 권력을 남용하여 온갖 불의를 자행함.
?~B.C.13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분(賁) - 신분(申賁)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영천 군수(永川郡守)를 지낸 신명지(申命之)와 의흥 현감(義興縣監)을 지낸 신응지(申應之)의 아버지로,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분(賁)@이분 - 이분(李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중(李中)의 아버지로, 한성 판관(漢城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분갱(焚坑) - 분서갱유(焚書坑儒)
중국 진(秦) 나라 때 시황제(始皇帝)가 천하의 서적을 불태우고 유생들을 생매장하여 죽인 사건. 가혹한 법과 혹독한 정치를 상징함.
B.C.213~B.C.212 중국>진 , 중국 , 사건>기타사건
-
분령(分嶺) - 낙안(樂安)
전라도 순천(順天)에 속하였던 옛 고을 이름.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시(順天市) 낙안면(樂安面)ㆍ외서면(外西面)과 보성군(寶城郡) 벌교읍(筏橋邑) 일대에 해당함.
전라도>낙안 , 지명>행정지명
-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 - 두시언해(杜詩諺解)
조선 성종(成宗) 때 유윤겸(柳允謙) 등의 문신들과 승려 의침(義砧)이 당(唐) 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한시를 내용별로 분류하여 본문과 주석을 언해한 책. 1481년(성종 12)에 을해자(乙亥字)로 간행함.
148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분릉군(盆陵君) - 김서(金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효자로 이름 높은 김극일(金克一)의 아버지로, 의흥 현감(義興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분봉(盆峰) - 이주(李澍)@1534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명종 때 성균관(成均館)의 유생(儒生)으로서 보우(普雨)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림. 아들 이광정(李光庭)의 공으로 영의정에 추증됨.
1534~158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분사(分沙) - 낙안(樂安)
전라도 순천(順天)에 속하였던 옛 고을 이름.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시(順天市) 낙안면(樂安面)ㆍ외서면(外西面)과 보성군(寶城郡) 벌교읍(筏橋邑) 일대에 해당함.
전라도>낙안 , 지명>행정지명
-
분사(汾社)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분생(忿生) - 소분생(蘇忿生)
중국 주(周) 나라 무왕(武王)~성왕(成王) 때의 문신. 사구(司寇) 등을 지냈으며, 형옥(刑獄)을 잘 다스림.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분서(汾西) - 박미(朴瀰)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정안옹주(貞安翁主)와 혼인하여 금양위(錦陽尉)에 봉해짐. 장유(張維)ㆍ정홍명(鄭弘溟)과 교유하였고 서도에 일가를 이룸.
1592~16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분서갱유(焚書阬儒) - 분서갱유(焚書坑儒)
중국 진(秦) 나라 때 시황제(始皇帝)가 천하의 서적을 불태우고 유생들을 생매장하여 죽인 사건. 가혹한 법과 혹독한 정치를 상징함.
B.C.213~B.C.212 중국>진 , 중국 , 사건>기타사건
-
분성(盆城)@김희년 - 김희년(金禧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자용(金自鎔)의 아들이고, 조식(曺植)의 문인(門人).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복권되어 통례(通禮)를 지냄.
1534~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분성(盆城) - 김해(金海)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대에 가락국(駕洛國)의 도읍지였음.
경상도>김해 , 지명>행정지명
-
분성군(盆城君) - 김영정(金永貞)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김영견(金永堅)의 동생. 여러 번 명(明) 나라로 사신갔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음.
1437~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분성군(盆城君)@배원룡 - 배원룡(裵元龍)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배사혁(裵斯革)의 아들로 염흥방(廉興邦)의 양자가 되었으며,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분성군(盆城君)에 봉해짐. 김해배씨(金海裵氏)의 시조.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분성배씨(盆城裵氏) - 김해배씨(金海裵氏)
신라 초기의 육촌(六村) 중 금산가리촌(金山加利村)의 촌장인 지타(祗沱)를 도시조로 삼고, 고려 개국공신(開國功臣) 배현경(裵玄慶)의 현손인 배원룡(裵元龍)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상도>김해 , 인명>집단>성씨
-
분성자(盆城子) - 김희년(金禧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자용(金自鎔)의 아들이고, 조식(曺植)의 문인(門人).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복권되어 통례(通禮)를 지냄.
1534~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분성허씨(盆城許氏) - 김해허씨(金海許氏)
가야 수로왕(首露王)의 비(妃)인 보주태후(普州太后) 허황옥(許黃玉)의 35세손으로, 고려 때 가락군(駕洛君)에 봉해진 허염(許琰)을 시조로 하는 성씨. 허씨 중에 종통(宗統).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집단>성씨
-
분양(汾陽) - 곽자의(郭子儀)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무신. 현종 때 삭방절도사(朔方節度使)가 되어 이광필(李光弼)과 함께 안사(安史)의 난을 평정하고, 회흘(回紇:위구르)과 손잡고 토번(吐蕃:티베트)을 정벌함.
697~78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분양(汾陽)@분천 - 분천(汾川)
경상도 예안(禮安)에 있는 하천 이름. 농암(聾岩) 이현보(李賢輔)가 이곳에 애일당(愛日堂)을 짓고 만년을 보냄.
경상도>예안 , 지명>자연지명
-
분양왕(汾陽王) - 곽자의(郭子儀)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무신. 현종 때 삭방절도사(朔方節度使)가 되어 이광필(李光弼)과 함께 안사(安史)의 난을 평정하고, 회흘(回紇:위구르)과 손잡고 토번(吐蕃:티베트)을 정벌함.
697~78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분옹(汾翁) - 이문량(李文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음직(蔭職)으로 평릉도 찰방(平陵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웃에 살던 이황(李滉)과 가깝게 지내며 시를 읊고 학문을 토론함.
1498~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분왕(汾王) - 여왕(厲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10대 황제. 재위 B.C.877~B.C.841. 포악한 정치를 하여 체(彘) 땅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나라를 멸망시킨 덕이 없는 임금으로 알려짐.
B.C.878~B.C.828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분원(汾院) - 분강서원(汾江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예안(禮安)에 건립한 서원. 1613년(광해군 5년)에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향현사(鄕賢祠)를 1700년(숙종 26)에 서원으로 개편함.
17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분음(汾陰) - 최천건(崔天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판서 등을 지냄. 유영경(柳永慶)과 결탁한 일로 정인홍(鄭仁弘) 등의 모함을 받아 삭직되었다가 복관되었으나, 후에 김제남(金悌男)의 일파로 몰려 온양에 안치되었다가 죽음.
1568~16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분전갱유(焚典坑儒) - 분서갱유(焚書坑儒)
중국 진(秦) 나라 때 시황제(始皇帝)가 천하의 서적을 불태우고 유생들을 생매장하여 죽인 사건. 가혹한 법과 혹독한 정치를 상징함.
B.C.213~B.C.212 중국>진 , 중국 , 사건>기타사건
-
분중(賁仲) - 문익성(文益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에게 《대학(大學)》의 요지를 배우고, 나주 목사(羅州牧使)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526~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분지(賁趾) - 남치리(南致利)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김언기(金彦璣)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이황(李滉) 문하의 안자(顔子)라고 불리며 1578년 정구(鄭逑)와 함께 유일(遺逸)에 천거됨.
1543~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분지선생문집(賁趾先生文集) - 분지문집(賁趾文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남치리(南致利)의 문집. 4권 2책. 목판본. 고종(高宗) 때 남두원(南斗源)과 정사신(丁思愼)이 편집ㆍ간행함.
1889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분차(分嵯) - 낙안(樂安)
전라도 순천(順天)에 속하였던 옛 고을 이름.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시(順天市) 낙안면(樂安面)ㆍ외서면(外西面)과 보성군(寶城郡) 벌교읍(筏橋邑) 일대에 해당함.
전라도>낙안 , 지명>행정지명
-
분천(汾川)@곽자의 - 곽자의(郭子儀)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무신. 현종 때 삭방절도사(朔方節度使)가 되어 이광필(李光弼)과 함께 안사(安史)의 난을 평정하고, 회흘(回紇:위구르)과 손잡고 토번(吐蕃:티베트)을 정벌함.
697~78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분천(湓川) - 분천(汾川)
경상도 예안(禮安)에 있는 하천 이름. 농암(聾岩) 이현보(李賢輔)가 이곳에 애일당(愛日堂)을 짓고 만년을 보냄.
경상도>예안 , 지명>자연지명
-
분충찬모입기명륜정사공신(奮忠贊謨立紀明倫靖社功臣) - 정사공신(靖社功臣)
조선 인조(仁祖) 1년에 광해군(光海君)을 폐출하고 인조를 옹립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김류(金瑬)ㆍ이귀(李貴) 등 총 53명에게 내렸으나, 논공행상(論功行賞)이 불공평하여 이괄(李适)의 난(亂)을 초래함.
1623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분충찬모입기정사공신(奮忠贊謨立紀靖社功臣) - 정사공신(靖社功臣)
조선 인조(仁祖) 1년에 광해군(光海君)을 폐출하고 인조를 옹립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김류(金瑬)ㆍ이귀(李貴) 등 총 53명에게 내렸으나, 논공행상(論功行賞)이 불공평하여 이괄(李适)의 난(亂)을 초래함.
1623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분충찬모정사공신(奮忠贊謨靖社功臣) - 정사공신(靖社功臣)
조선 인조(仁祖) 1년에 광해군(光海君)을 폐출하고 인조를 옹립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김류(金瑬)ㆍ이귀(李貴) 등 총 53명에게 내렸으나, 논공행상(論功行賞)이 불공평하여 이괄(李适)의 난(亂)을 초래함.
1623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분충출기공신(奮忠出氣功臣) - 청난공신(淸難功臣)
조선 선조(宣祖) 37년에,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홍가신(洪可臣) 등 5인에게 내림. 임진왜란 등 혼란한 상황 때문에 뒤늦게 책록됨.
1604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분충출기적의공신(奮忠出氣迪毅功臣) - 청난공신(淸難功臣)
조선 선조(宣祖) 37년에,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홍가신(洪可臣) 등 5인에게 내림. 임진왜란 등 혼란한 상황 때문에 뒤늦게 책록됨.
1604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분충출기합모적의공신(奮忠出氣合謀迪毅功臣) - 청난공신(淸難功臣)
조선 선조(宣祖) 37년에,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홍가신(洪可臣) 등 5인에게 내림. 임진왜란 등 혼란한 상황 때문에 뒤늦게 책록됨.
1604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분화(賁華) - 백비화(白賁華)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포(藍浦)로, 백광신(白光臣)의 아들. 1198년(신종 1)에 춘관시(春官試)에 급제하여, 내시(內侍)로 오래 재직하고 예부 원외랑(禮部員外郞)ㆍ경산 부사(京山府使) 등을 지냄. 저서로 《남양시집(南陽詩集)》이 있음.
1180~122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관인>문신
-
불감사(佛監司)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불갑사(佛甲寺) - 불갑사(佛岬寺)
백제 침류왕(384년) 때 인도의 승려 마라난타(摩羅難陀)가 전라도 영광(靈光) 모악산(母岳山)에 세운 사찰. 고려 후기에 복구(復邱)가 머무르면서 번창함.
384 한국>백제 , 전라도>영광 , 유적>건물>사찰
-
불건(不騫) - 정수곤(丁壽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소격서 영(昭格署令)을 지낸 정자급(丁子伋)의 아들로, 월헌(月軒) 정수강(丁壽崗)의 형. 1472년(성종 3)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공조 좌랑(工曹佐郞)ㆍ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 등을 지냄.
1452~148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불경왕자론(不敬王者論) - 사문불경왕자론(沙門不敬王者論)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승려인 혜원(慧遠)의 저서. 1권. 불교의 출가자인 사문은 세속을 떠난 자이므로 세속의 왕에게 경의를 표할 필요가 없다고 논한 것으로, 승려의 권리를 주장한 중요한 저작으로 꼽힘.
40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불고(不孤) - 신덕린(申德隣)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서화가. 본관은 고령(高靈). 해서(楷書)ㆍ초서(草書)ㆍ예서(隷書)에 능하며, 특히 예서의 한 종류인 팔분체(八分體)의 필체가 독특하여 당시 사람들이 덕린체(德隣體)라고 부름.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 등과 교유하고, 고려 멸망 후 광주(光州)에서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예술인>서화가
-
불곡(不曲) - 이양직(李養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峯). 감찰규정(監察糾正)을 역임하였으며, 이곡(李穀)의 《가정집(稼亭集)》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문신
-
불골표(佛骨表) - 논불골표(論佛骨表)
중국 당(唐) 나라의 대학자인 한유(韓愈)가 부처의 사리(舍利)를 궁중으로 들여오려는 헌종(憲宗)에게 이의 부당함을 극간(極諫)하며 지어 올린 글.
819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