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불과벽암파관격절(佛果碧嚴破關擊節) - 벽암록(碧巖錄)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임제종(臨濟宗) 승려 원오(圜悟)가 지은 선종(禪宗)의 공안집(公案集). 10권. 중현(重顯)이 지은 《설두송고(雪竇頌古)》를 모체로 하여, 각칙(各則)마다 수시(垂示)ㆍ착어(著語)ㆍ평창(評唱)을 달아 완성함.
112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불과선사(佛果禪師) - 원오(圜悟)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임제종(臨濟宗)의 승려. 종고(宗杲)에게 법을 전수함. 저서에 《벽암록(碧巖錄)》이 있음.
1063~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불과원오선사벽암록(佛果圓悟禪師碧巖錄) - 벽암록(碧巖錄)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임제종(臨濟宗) 승려 원오(圜悟)가 지은 선종(禪宗)의 공안집(公案集). 10권. 중현(重顯)이 지은 《설두송고(雪竇頌古)》를 모체로 하여, 각칙(各則)마다 수시(垂示)ㆍ착어(著語)ㆍ평창(評唱)을 달아 완성함.
112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불과원오선사벽암록(佛果圜悟禪師碧嚴錄) - 벽암록(碧巖錄)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임제종(臨濟宗) 승려 원오(圜悟)가 지은 선종(禪宗)의 공안집(公案集). 10권. 중현(重顯)이 지은 《설두송고(雪竇頌古)》를 모체로 하여, 각칙(各則)마다 수시(垂示)ㆍ착어(著語)ㆍ평창(評唱)을 달아 완성함.
112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불광(佛光) - 여만(如滿)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마조 도일(馬祖道一)의 제자로 백거이(白居易)와 교유하였으며, 그와 함께 향산(香山)에서 향화사(香火寺)를 지음.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불기(不器)@김련 - 김련(金璉)@조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안국(金安國)의 아버지.
1452~149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불기(不器)@김태현 - 김태현(金台鉉)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수(金須)의 아들. 《동국문감(東國文鑑)》을 편찬함.
1261~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불기(不器) - 권호(權瑚)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득(權得)의 아들로, 1438년(세종 20)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고 성균관에 들어가 서거정(徐居正) 등과 교유하였으며, 병조 정랑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불기당(不欺堂) - 노기(盧麒)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강(安康). 권문해(權文海)ㆍ구봉령(具鳳齡)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불도등(佛圖磴) - 불도징(佛圖澄)
중국 남북조시대 후조(後趙)의 고조(高祖) 때 활동한 서역(西域)의 승려. 한인(漢人)의 출가를 허락하도록 하였고, 북방 민족을 불교문화로 교화하는 등 중국 초기 불교 발전에 공헌함.
232~34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불류강(沸流江) - 용흥강(龍興江)
함경도 동부를 거쳐 동해 송전만(松田灣)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함경도>영흥 , 지명>자연지명
-
불리(佛狸) - 태무제(太武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3대 황제. 명원제(明元帝)의 맏아들로, 화북(華北)을 통일하고, 송(宋) 나라를 공격하여 큰 타격을 입혔으며, 도교(道敎)를 숭상하고 불교(佛敎)를 억압함. 말년에 환관 종애(宗愛)에게 피살됨.
408~45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불린(不磷) - 이예견(李禮堅)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중종 때의 문신 이운(李耘)ㆍ이자(李耔)의 생부로, 대사간(大司諫)을 지냄. 연산군(燕山君) 때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난 후 귀향하여 학업에 정진함.
143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천 , 인명>관인>문신
-
불린(不磷) - 정자견(丁自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지사(僉知事)를 지냈으며, 80세 이후 노직(老職)으로 당상(堂上)에 오름. 《모재집(慕齋集)》에 김안국(金安國)이 차운(次韻)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불미(不迷) - 허벽(許璧)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허윤관(許允寬)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홍섬(洪暹)의 《인재집(忍齋集》에 그에 대한 만사(輓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불민(不敏) - 김세우(金世愚)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암행어사(暗行御史) 김규(金虯)의 아버지로,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냄.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적성현(赤城縣)의 명관으로 기록됨.
1484~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불붕(不崩) - 해안군(海安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 숙의홍씨(淑儀洪氏) 소생.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과 사옹원(司饔院)ㆍ문소전(文昭殿)의 도제조(都提調)를 지냄.
1511~15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불붕(不崩) - 정수강(丁壽崗)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중종반정 때 다시 등용되어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동지중추부사 등을 지내고, 저서로 《월헌집(月軒集)》이 있음.
1454~152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불비(不非) - 연사종(延嗣宗)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곡산(谷山). 1388년(우왕 14) 요동정벌 때 이성계(李成桂)의 장군 진무(掌軍鎭撫)로 종군하고, 조선 개국 후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 등을 지냄. 개국공신(開國功臣)ㆍ원종공신(元從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0~143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 -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부모의 은혜에 대한 고마움을 담고 있는 불교 경전. 낳아준 은혜ㆍ길러준 은혜 등 부모의 은혜를 크게 10가지로 나누어 설명함. 현존 최고 판본은 1381년(고려 우왕 7) 간행된 고려본으로, 이에 관하여 권근(權近)과 정조(正祖)의 글이 있음.
문헌>서명
-
불씨(佛氏)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불암(佛巖) - 선암(仙巖)
충청북도 단양(端陽)에 있는 암벽 이름. 단양팔경(丹陽八景)의 하나.
충청도>단양 , 지명>자연지명
-
불우헌(不憂軒) - 정극인(丁克仁)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광(靈光). 최초의 가사(歌辭) 작품인 〈상춘곡(賞春曲)〉을 지음. 단종(端宗)이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후진을 가르침.
1401~14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불위(不韋) - 여불위(呂不韋)
중국 춘추전국시대 말기 진(秦) 나라 장양왕(莊襄王)과 시황제(始皇帝) 때의 재상. 노애(嫪毐)의 난을 계기로 시황제(始皇帝)에 의해 제거됨. 저서로 《여씨춘추(呂氏春秋)》가 있음.
?~B.C.235 중국>진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불이(不貳) - 장식(張栻)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재상을 지낸 아버지 장준(張浚)의 음보(蔭補)로 관리가 되었음. 호굉(胡宏)에게 사사하고 성학(聖學)을 공부했으며,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 등과 함께 동남(東南)의 3현(三賢)이라 일컬어졌음.
1133~118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불이영당(不二影堂) - 청풍사(淸風祠)
조선 영조(英祖) 때 전라도 금산(錦山)에 건립된 사당. 1757년(영조 33)에 창건되었으며, 길재(吉再)를 배향함. 지금은 충청남도 금산군(錦山郡)에 속함.
175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금산 , 유적>건물>사당
-
불인(佛印) - 요원(了元)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 소식(蘇軾)과 함께 금산사(金山寺)에서 선문답을 나눈 일이 널리 알려짐.
1032~1098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불일보조(佛日普照) - 지눌(知訥)
고려 의종(毅宗)~희종(熙宗) 때의 승려. 조계종(曹溪宗)의 개조(開祖).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정혜쌍수(定慧雙修)를 주장하여 선(禪)으로써 체(體)를 삼고, 교(敎)로써 용(用)을 삼아 선종(禪宗)과 교종(敎宗)의 합일점을 추구함. 저서에 《진심직설(眞心直說)》ㆍ《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등이 있음.
1158~1210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서흥 , 인명>종교인>승려
-
불일보조정혜묘원진감대선사(佛日普照靜慧妙圓眞鑑大禪師) - 무외(無畏)
고려 후기 천태종(天台宗)의 승려. 1302년(충렬왕 28) 묘련사(妙蓮社)의 제3세 법주(法主)가 되고, 1313년(충선왕 5) 국통(國統)으로 책봉됨. 원혜 경의(圓慧景宜)ㆍ순암 의선(順菴義璇)과 함께 묘련사파 승려로 불림. .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불자원조광혜선사(佛慈圓照廣惠禪師) - 명본(明本)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 일본유학승 용산(龍山)의 스승. 인종(仁宗)이 불렀으나 가지 않아 인종이 금문(金紋)가사를 보내고 불자원조광혜선사(佛慈圓照廣惠禪師)라 사호함. 저서에 《광록(廣錄)》이 있음.
1263~1321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불정(佛頂) - 홍지성(洪至誠)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여경(餘慶) 홍유손(洪裕孫)의 아들. 사화로 고초를 겪은 아버지의 영향으로 관직에 나가지 않고 향리에 은거하여 학문에 매진하고 후진교육에 힘썼으며, 특히 고문에 정통했음.
1528~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학자
-
불정산인(佛頂山人) - 홍지성(洪至誠)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여경(餘慶) 홍유손(洪裕孫)의 아들. 사화로 고초를 겪은 아버지의 영향으로 관직에 나가지 않고 향리에 은거하여 학문에 매진하고 후진교육에 힘썼으며, 특히 고문에 정통했음.
1528~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학자
-
불치(不緇) - 배한휘(裵澣輝)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배수장(裵粹章)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불타(佛陀)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불타야사(佛陀耶舍) - 각명(覺明)
고대 인도의 승려. 407년 중국 장안(長安)에 들어왔으며, 얼굴의 윗수염이 붉어지고 〈비파사론(毗婆沙論)〉을 좋아하였으므로 ‘적자비파사(赤髭毗婆沙)’라고 불림.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ㅣ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불타야존자(佛陀耶尊者) - 각명(覺明)
고대 인도의 승려. 407년 중국 장안(長安)에 들어왔으며, 얼굴의 윗수염이 붉어지고 〈비파사론(毗婆沙論)〉을 좋아하였으므로 ‘적자비파사(赤髭毗婆沙)’라고 불림.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ㅣ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불파(不坡) - 희종(熙宗)
고려 제21대 왕. 재위 1204~1211. 신종(神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정화태후 김씨(靖和太后金氏).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폐위되고, 최우(崔瑀)에 의해 강화로 유배됨.
1181~123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불표(佛表) - 논불골표(論佛骨表)
중국 당(唐) 나라의 대학자인 한유(韓愈)가 부처의 사리(舍利)를 궁중으로 들여오려는 헌종(憲宗)에게 이의 부당함을 극간(極諫)하며 지어 올린 글.
819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불피(不陂) - 희종(熙宗)
고려 제21대 왕. 재위 1204~1211. 신종(神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정화태후 김씨(靖和太后金氏).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폐위되고, 최우(崔瑀)에 의해 강화로 유배됨.
1181~123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불함산(不咸山) - 백두산(白頭山)
함경도와 중국 길림성(吉林省)에 걸쳐 있는 산. 백두산에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은 한국의 기본 산줄기로서,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성산(聖山)으로 숭배함.
함경도>경성ㅣ함경도>갑산 , 지명>자연지명
-
불해(不害) - 신불해(申不害)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 소후(昭侯) 때의 학자ㆍ재상. 황제(黃帝)와 노자(老子)에 기본하여 형명(刑名)을 주로 연구하였는데, 법가(法家)의 조종(祖宗)이 됨.
?~B.C.33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경대부
-
불혜장로(佛慧長老) - 불혜(佛慧)
조선 전기의 승려. 백광훈(白光勳)의 《옥봉집(玉峯集)》에 〈연화암증불혜장로(蓮花菴贈佛慧長老)〉라는 시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불호사(佛護寺) - 불회사(佛會寺)
백제 침류왕(384년) 때 전라도 남평(南平) 덕룡산(德龍山)에 마라난타(摩羅難陀)가 세운 사찰. 367년(근초고왕 22)에 희연(熙延)이 창건했다는 설도 있음. 조선 초기에 원진국사(圓眞國師) 승형(承逈)에 의해 중창됨. 현재 전라남도 나주시에 속함.
384 한국>백제 , 전라도>남평 , 유적>건물>사찰
-
불훤(不諼) - 신현(申贒)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학자. 우탁(禹倬)의 문인으로, 원(元) 나라의 주공천(朱公遷)ㆍ허겸(許謙)ㆍ전당(錢唐) 등 학자들과 교유하고, 당시 대학자로 추앙받음. 명(明) 나라 황제로부터 스승의 대우를 받고 불훤재(不諼齋)라는 호를 하사받음.
1298~1377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학자
-
불훤재(不諼齋) - 신현(申贒)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학자. 우탁(禹倬)의 문인으로, 원(元) 나라의 주공천(朱公遷)ㆍ허겸(許謙)ㆍ전당(錢唐) 등 학자들과 교유하고, 당시 대학자로 추앙받음. 명(明) 나라 황제로부터 스승의 대우를 받고 불훤재(不諼齋)라는 호를 하사받음.
1298~1377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학자
-
불휴(不虧) - 정수곤(丁壽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소격서 영(昭格署令)을 지낸 정자급(丁子伋)의 아들로, 월헌(月軒) 정수강(丁壽崗)의 형. 1472년(성종 3)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공조 좌랑(工曹佐郞)ㆍ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 등을 지냄.
1452~148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붕(鵬)@홍붕 - 홍붕(洪鵬)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주부(主簿)를 지낸 홍거방(洪巨舫)의 아들로, 제용감 첨정(濟用監僉正) 등을 지냄.
1539~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붕(鵬)@정붕 - 정붕(鄭鵬)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정철견(鄭鐵堅)의 아들이며, 박영(朴英)의 스승. 김굉필(金宏弼)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고, 성희안(成希顔)과 친교를 맺음. 청송 부사(靑松府使) 등을 지냄.
1467~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붕(鵬)@원붕 - 원붕(元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유학 원맹현(元孟賢)의 아들이며, 1569년(선조 2) 알성시(謁聖試)에 급제한 원사용(元士容)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붕(鵬)@임붕 - 임붕(林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를 구원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좌승지ㆍ경주 부윤ㆍ광주 목사 등을 지냈음.
1486~15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붕(鵬) - 이붕(李鵬)
조선 전기의 문신.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과 교유하여 옥봉이 이붕에게 준 전별시가 《옥봉집(玉峯集)》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붕거(鵬擧)@탁원익 - 탁원익(卓元翼)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낸 탁도민(卓道敏)의 셋째 아들로, 중랑장(中郞將)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붕거(鵬擧) - 악비(岳飛)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무신ㆍ학자. 남송(南宋) 초에 금군(金軍)의 침략을 저지하는 전공(戰功)을 세웠으나, 주화파(主和派)인 진회(秦檜)와의 불화로 무고한 누명을 쓰고 살해됨. 후에 신원되어 구국의 영웅으로 추앙됨.
1103~114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붕남(鵬南) - 상붕남(尙鵬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범허정(泛虛亭) 상진(尙震)의 아들로, 강계 부사(江界府使)를 지낸 이제신(李濟臣)의 장인.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열중하였지만 32세의 나이로 죽음. 시서(詩書)에 능했음.
1511~154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목천 , 인명>관인>문신
-
붕린(鵬鱗) - 박붕린(朴鵬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눌(朴訥)의 아들로, 1533년(중종 28)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한림(翰林)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붕상(鵬祥) - 이붕상(李鵬祥)
조선 후기의 문신. 수암(守庵) 박지화(朴枝華)와 교유하여 수암이 이붕상에게 준 시가 《수암유고(守庵遺稿)》에 보임. 학관(學官)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붕서(鵬瑞) - 심붕서(沈鵬瑞)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붕섭(鵬燮) - 김붕섭(金鵬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임진왜란 때 의병인 김덕홍(金德弘)ㆍ김덕령(金德齡)ㆍ김덕보(金德普)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붕정(鵬程) - 박붕정(朴鵬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박산두(朴山斗)의 아버지로, 훈도(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비(備) - 이비(李備)
조선 후기의 종친.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청(淸) 나라에서 왕자를 인질로 요구하자, 어린 왕자 대신 자신의 아들인 원창군(原昌君) 이구(李玖)를 보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비(埤) - 김비(金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냄. 조선 세종(世宗) 때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하연(河演)의 모부인(母夫人) 진주정씨(晉州鄭氏)의 외조부.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비(扉) - 허비(許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를 지낸 허기(許愭)의 아들이며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 허손(許蓀)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비(棐) - 김비(金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증좌승지(贈左承旨) 김덕수(金德秀)의 아들로, 군자 판관(軍資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비(棐)@윤비 - 윤비(尹棐)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비(棐)@이비 - 이비(李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지활(李智活)의 아버지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4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비(濞) - 오왕(吳王)
중국 한(漢) 나라 때의 제후.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조카로, 경제(景帝) 때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난을 일으켰다가 주아부(周亞夫)에 의해 평정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비(裶) - 경녕군(敬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 효빈김씨(孝嬪金氏)의 소생으로, 천성이 어질고 학문에 밝았으며, 태종부터 세조(世祖) 때에 이르기까지 충성을 다하여 국정과 왕실을 위해 헌신함.
1395~14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비경(斐卿) - 신윤보(申潤輔)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해주 목사(海州牧使) 등을 역임하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순천(順天)에 오림정(五林亭)을 짓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비경(蜚卿) - 동백우(童伯羽)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스승과 주고받은 문답이 전함. 《효경연의(孝經衍義)》ㆍ《오경훈해(五經訓解)》 등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비경(飛卿) - 온정균(溫庭筠)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과거장에서 여덟 번 팔짱을 끼니 팔운시(八韻詩)가 완성되었기에 온팔차(溫八叉)라 불림. 염시(艶詩)를 많이 지었으며, 사(詞)와 악부(樂府)에도 뛰어남. 당시 이상은(李商隱)과 함께 온이(溫李)로 병칭됨.
812~8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비경(飛卿)@조익 - 조익(趙翼)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좌의정(左議政)을 역임함.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예학에 밝았으며 음률(音律)ㆍ병법(兵法)ㆍ복서(卜筮)에도 능했음.
1579~165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비공(費公) - 비장방(費長房)
중국 후한(後漢) 때의 도사. 여남인(汝南人)으로, 저자의 아전으로 있으면서 선인(仙人) 호공(壺公)을 사사(師事)하여 선도(仙道)를 터득하였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비궁(匪躬) - 김비궁(金匪躬)
고려 전기의 문신. 김희일(金希逸)의 아들.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냈고, 벽상공신(壁上功臣)이 되어, 상산부원군(商山府院君)에 봉해짐.
1040~?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비라(比羅) - 가비마라(迦毘摩羅)
2세기경 인도 마갈타국(摩竭陀國) 승려. 남인도에서 설법하였으며, 《무아론(無我論)》100게송을 지음. 대승불교를 일으킨 용수(龍樹)의 스승.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비로정(毗盧頂) - 비로봉(毗盧峯)
강원도 금강산(金剛山)의 주봉(主峯). 높이 1,638m. 일찍이 문인들의 시의 소재로 널리 쓰임.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비릉모용씨(毗陵慕容氏) - 모용언달(慕容彦達)
중국의 경서(經書) 주소가(註疏家). 《예기(禮記)》에 관한 주소(註疏)가 진호(陳澔)의 《예기집설(禮記集說)》에 인용되어 있음.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비마라힐(毘摩羅詰) - 유마힐(維摩詰)
석가(釋迦)의 속제자(俗弟子). 인도 비사리국(毗舍離國)의 장자(長者)로, 속가에 있으면서 보살(菩薩)의 행업을 닦았으며, 그 수행이 높아서 불자제로도 미칠 수 없었다고 함.
고대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비목당(卑牧堂) - 황집중(黃執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창원(昌原). 1576년(선조 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경력(經歷)을 지냄. 묵포도(墨葡萄)를 잘 그려 이정(李霆)의 묵죽(墨竹)과 어몽룡(魚夢龍)의 묵매(墨梅)와 함께 삼절(三絶)로 불림.
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비봉(飛鳳) - 가야산(伽倻山)
경상도 성주(星州)와 합천(陜川) 사이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비사나(毗舍那) - 율(律)
불교 용어로 불가(佛家)의 제자들이 지켜야 할 계율(戒律). 부처에게 기도(祈禱)하여 불력(佛力)으로 원적(怨敵)과 악마(惡魔)를 제어하는 것.
사상>이론>교리
-
비서감(秘書監) - 승정원(承政院)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 국왕과 밀착되어 중추적인 정치기구의 역할을 하였으며, 승선원(承宣院)ㆍ비서감(秘書監)ㆍ비서원(秘書院)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07년에 폐지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법제>관청
-
비서감일기(秘書監日記)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조선시대에 승정원(承政院)에서 매일 취급한 문서(文書)와 사건을 기록한 일기. 원래 조선 개국 초부터 일기가 있었으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소실되어 1623년(인조 1)부터 1894년(고종 31)까지 270여 년간의 일기만이 현존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문헌>서명
-
비서원(秘書院) - 승정원(承政院)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 국왕과 밀착되어 중추적인 정치기구의 역할을 하였으며, 승선원(承宣院)ㆍ비서감(秘書監)ㆍ비서원(秘書院)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07년에 폐지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법제>관청
-
비서원일기(秘書院日記)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조선시대에 승정원(承政院)에서 매일 취급한 문서(文書)와 사건을 기록한 일기. 원래 조선 개국 초부터 일기가 있었으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소실되어 1623년(인조 1)부터 1894년(고종 31)까지 270여 년간의 일기만이 현존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문헌>서명
-
비승(丕承) - 나세찬(羅世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두 차례 장원급제로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권신(權臣)을 서슴지 않고 탄핵하는 기개가 있었음.
1498~155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비시(匪兕)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비언(棐彦) - 이국필(李國弼)
조선 전기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물암(勿巖) 김륭(金隆)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비열홀(比列忽) - 안변(安邊)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현종(顯宗) 때 도호부를 설치했으나 조선 태종(太宗) 때 조사의(趙思義)가 반란을 일으켜 감무(監務)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도호부로 환원됨. 경원선(京元線)과 동해 북부선(北部線)의 분기점(分岐點).
함경도>안변 , 지명>행정지명
-
비옥(比屋) - 비안(比安)
경상도 의성(義城)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비안 , 지명>행정지명
-
비웅(匪熊)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비웅(非熊)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비웅(非熊)@주개 - 주개(周愷)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수의부정(修義副正) 주세곤(周世鵾)의 아들이며,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의 조카.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비웅수(非熊叟)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비원(庇遠) - 이국량(李國樑)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준(李賢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이자 조카사위로,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17~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비응(丕應) - 이경우(李慶祐)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목사(牧使) 이경희(李慶禧)의 형으로, 장령(掌令) 등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비일(毗一) - 최비일(崔毗一)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최성지(崔誠之)의 아버지로, 첨의 찬성사(僉議贊成事) 등을 지냄.
?~131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비자(妃子) - 양귀비(楊貴妃)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李瑁)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 오빠인 양국충(楊國忠)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安史)의 난(亂)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
719~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비장(比長) - 손비장(孫比長)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수찬(藝文館修撰)) 등을 역임하였고,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세조실록(世祖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비장(飛將) - 이광(李廣)
중국 전한(前漢) 때의 장군. 문제(文帝)ㆍ경제(景帝)ㆍ무제(武帝)를 차례로 섬기면서 70여 차례에 걸쳐 변방의 흉노(匈奴)를 평정한 공이 컸으나, 위청(衛靑)을 따라 흉노를 공격하다가 길을 잃어 견책을 받자 목을 베어 자살함.
?~B.C.11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비장군(飛將軍) - 이광(李廣)
중국 전한(前漢) 때의 장군. 문제(文帝)ㆍ경제(景帝)ㆍ무제(武帝)를 차례로 섬기면서 70여 차례에 걸쳐 변방의 흉노(匈奴)를 평정한 공이 컸으나, 위청(衛靑)을 따라 흉노를 공격하다가 길을 잃어 견책을 받자 목을 베어 자살함.
?~B.C.11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