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비전(秘典) - 대명회전(大明會典)
중국 명(明) 나라 때 서박(徐薄)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명 나라의 법제(法制)를 집대성한 행정법전(行政法典). 전 180권.
1509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비중(棐仲)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비처(毘處) - 소지마립간(炤知麻立干)
신라 제21대 왕. 재위 479~499. 각 지방에 우역(郵驛)을 두고 경주(慶州)에 시장을 설치함. 고구려ㆍ말갈ㆍ왜적의 침입을 자주 받자, 백제와 연합하여 고구려에 대항함.
?~499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비처마립간(毘處麻立干) - 소지마립간(炤知麻立干)
신라 제21대 왕. 재위 479~499. 각 지방에 우역(郵驛)을 두고 경주(慶州)에 시장을 설치함. 고구려ㆍ말갈ㆍ왜적의 침입을 자주 받자, 백제와 연합하여 고구려에 대항함.
?~499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비탄수(飛彈守) - 소서비탄수(小西飛彈守)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 임진왜란 때 왜장 소서행장(小西行長)의 부장으로, 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김경서(金景瑞)와 의기(義妓) 계월향(桂月香)이 함께 도모한 유인책으로 인해 죽임을 당했다고 전함.
1550~1626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비파인(琵琶引) - 비파행(琵琶行)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문신ㆍ시인인 백거이(白居易)의 시. 가을 저녁 들려오는 비파소리를 듣고 자신의 마음을 7언(言) 88행(行)으로 나타냈는데, 음악을 문자로 시각화(視覺化)했다는 평가를 받음.
816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비해(匪懈) - 안평대군(安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셋째 아들. 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세력에 맞서다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역모 혐의로 유배된 후 사사됨.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렸고, 당대 제일의 명필(名筆)로 꼽힘.
1418~14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왕자
-
비해당(匪懈堂) - 안평대군(安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셋째 아들. 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세력에 맞서다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역모 혐의로 유배된 후 사사됨.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렸고, 당대 제일의 명필(名筆)로 꼽힘.
1418~14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왕자
-
비현합(丕顯閤) - 비현각(丕顯閣)
경복궁(景福宮)의 사정전(思政殿) 동쪽에 있는 전각. 세자가 스승을 모시고 학문을 연마하던 곳으로,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없어진 것을 1867년(고종 4)에 이르러 재건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건물>궁궐
-
빈(份) - 이빈(李份)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원천군(原川君) 이의(李宜)의 세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빈(彬)@홍빈 - 홍빈(洪彬)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참소로 인해 충숙왕과 충혜왕(忠惠王)이 원(元) 나라에 압송되었을 때 그 억울함을 변호하여 귀국 후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우정승(右政丞) 등을 지냄.
1288~135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빈(彬) - 문빈(文彬)
조선 정종(定宗)~태종(太宗) 때의 무신.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고 이방원(李芳遠)이 왕위에 오르는데 협력한 공으로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에 책록됨.
?~141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빈(彬)@나빈 - 나빈(羅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금성(錦城). 장성 현감(長城縣監) 나은제(羅殷制)의 아들이며,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나세집(羅世緝)ㆍ나세찬(羅世纘)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빈(斌) - 탁빈(卓斌)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성주(卓成宙)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빈(濱)@심빈 - 심빈(沈濱)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우참찬 심광언(沈光彦)과 안악 군수(安岳郡守) 심광문(沈光門)의 아버지로, 안성 군수(安城郡守) 등을 지냄.
1455~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빈(濱)@유빈 - 유빈(柳濱)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호남으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뒤에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ㆍ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를 역임했음.
?~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빈(濱)@김빈 - 김빈(金濱)
조선 전기의 학자. 남효온(南孝溫)과 죽마고우(竹馬故友)로 담양 교관(潭陽敎官)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학자
-
빈(濱) - 신빈(申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의주 판관(義州判官)을 지냄. 진하사(進賀使)로 중국에 가는 소세양(蘇世讓)을 배웅할 때 받은 시가 《양곡집(陽谷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의주 , 인명>관인>문신
-
빈(玭) - 오빈(吳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경명(高敬命) 휘하에서 의병활동을 함. 진주성(晉州城)에서 싸우던 도중 성이 함락되려 하자 남강(南江)에 투신하여 자결함.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증직됨.
1547~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빈(璸) - 권빈(權璸)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조 정랑(吏曹正郞)ㆍ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냄.
1446~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빈(贇)@유빈 - 유빈(柳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풍산(豐山). 유지승(柳智承)의 아들이며,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재종숙으로, 평생 학문에만 정진하여 역학(易學) 등에 일가를 이루었으며, 저서로《권옹집(倦翁集)》이 있음.
1520~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빈(贇) - 표빈(表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표정명(表貞命)의 아들로, 1520년(중종 1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김해 부사(金海府使) 등을 지냄.
14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빈(鑌) - 조빈(趙鑌)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배천(白川). 조양선(趙揚善)의 아들. 통훈대부(通訓大夫)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로, 시(詩)를 잘하여 조정에서 유명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빈가(彬可) - 박중검(朴仲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인. 본관은 함양(咸陽). 이의무(李宜茂)의 《연헌잡고(蓮軒雜稿)》에 그에게 보낸 여러 편의 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문인
-
빈국공(邠國公) - 두황상(杜黃裳)
중국 당(唐) 숙종(肅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태상경(太常卿)ㆍ문하시랑(門下侍郎)ㆍ중서문하평장사(中書門下平章事) 등을 지냈으며, 배도(裵度)와 함께 어질고 강직한 신하로서 군주를 충직하게 보좌한 인물로 비유됨.
739~808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빈빈(彬彬) - 혜문(惠文)
고려 후기의 승려. 가지산문(迦智山門)의 선승(禪僧)으로, 대선사(大禪師)에 이르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여 이인로(李仁老)ㆍ이규보(李奎報) 등과 교유함.
?~123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종교인>승려
-
빈선관(賓仙館) - 영빈관(迎賓館)
경기도 여주(驪州)의 객관(客館) 동쪽에 있었던 관소(館所)의 이름. 조선 세종(世宗) 때 세워졌으며, 중종(中宗) 때 장한공(張漢公)이 ‘빈선관(賓仙館)’이라 편액하였으나 중종의 명으로 개명함.
143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유적>건물>관사
-
빈세(貧世) - 안빈세(安貧世)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聃)의 아들이며, 세종(世宗)의 외손.
1445~147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빈양(濱陽) - 양근(楊根)
경기도 중부 동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는 경기도 양평군(楊平郡)에 속함.
경기도>양근 , 지명>행정지명
-
빈연(彬然) - 백문절(白文節)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포(藍浦). 이부 시랑(吏部侍郞) 등을 지내고, 문사(文詞)와 글씨에 뛰어남.
?~12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관인>문신
-
빈옥(賓玉) - 유응규(庾應圭)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음보(蔭補)로 내시가 되었으나 무신의 난 이후 세운 여러 공으로 관직이 공부 시랑(工部侍郞)에 이름.
1131~117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빈왕(賓王) - 낙빈왕(駱賓王)
중국 당(唐) 나라 초기의 문신ㆍ시인. 시문(詩文)이 뛰어나 왕발(王勃)ㆍ양형(楊炯)ㆍ노조린(盧照鄰)과 함께 ‘초당사걸(初唐四傑)’로 불림.
640~68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빈주(彬周) - 안보문(安普文)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동궁 시직(東宮侍直)을 지낸 안숙량(安叔良)의 아들로, 현량(賢良)으로 천거되어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 등을 지냄.
1427~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빈중(彬中) - 박문간(朴文幹)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1480년(성종 1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교리(校理)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빈지(彬之) - 김취빈(金就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광좌(金匡佐)의 아들. 1555년(명종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후릉 참봉(厚陵參奉)을 지냄.
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빈지(賓之) - 이동양(李東陽)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문인. 40여 년 동안 조정의 요직을 두루 지내고, 성당(盛唐)의 시풍(詩風)을 추구하여 당시(唐詩) 부흥 운동에 선구적인 역할을 함.
1447~1516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빈학(贇鶴) - 박빈학(朴贇鶴)
조선 전기의 유학.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빈호(瀕湖) - 이시진(李時珍)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ㆍ의원. 《본초강목(本草綱目)》의 저자로, 의업(醫業)에 종사하는 한편, 약물의 기준서(基準書)를 집대성하는 일에 주력함.
1518~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
-
빙(憑)@표빙 - 표빙(表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으로, 직제학(直提學) 표연말(表沿沫)의 아들. 김안로(金安老)ㆍ김안국(金安國)과 함께 사유(師儒)에 선발되었으며,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ㆍ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 등을 역임함.
?~152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빙(憑) - 이빙(李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송재(松齋) 이우(李堣)의 손자로, 직장(直長)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빙감(氷鑑) - 김예몽(金禮蒙)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사람을 보는 안목이 매우 뛰어나 시관(試官)이 되어 많은 인재를 뽑음.
1406~146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빙리동순(氷鯉冬筍) - 설순빙리(雪筍冰鯉)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맹종(孟宗)이 눈 속에서 죽순(竹筍)을 구한 일과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왕상(王祥)이 얼음을 녹여 잉어를 얻은 일에서 나온 고사성어로, 지극한 효성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빙리설순(氷鯉雪筍) - 설순빙리(雪筍冰鯉)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맹종(孟宗)이 눈 속에서 죽순(竹筍)을 구한 일과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왕상(王祥)이 얼음을 녹여 잉어를 얻은 일에서 나온 고사성어로, 지극한 효성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빙보(憑甫) - 정식(鄭軾)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정자신(鄭自新)의 아들이며, 이극근(李克勤)의 문인. 세조 초에 좌익 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조선 초기의 군사제도와 군적정리에 공을 세움.
1407~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빙어(氷魚) - 백어(白魚)
뱅어. 몸의 길이는 10cm 정도이고 가늘며, 반투명한 흰색이고 배에는 작은 흰색 점이 있음.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地理志)〉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백어(白魚),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서는 빙어(氷魚)로 표기됨. 죽었을 때 몸 색깔이 하얗게 변한다 하여 한자어로 백어(白魚)라고 하였음.
자연물>동물
-
빙옥고(氷玉蒿) - 빙옥난고(氷玉亂藁)
조선 전기의 문신 김여석(金礪石)이 율재(栗齋) 진의귀(陳義貴)와 퇴촌(退村) 김열(金閱)의 유작(遺作)을 모아 엮은 책. 홍귀달(洪貴達)의 서문(序文)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문헌>서명
-
빙옥난고(氷玉亂稿) - 빙옥난고(氷玉亂藁)
조선 전기의 문신 김여석(金礪石)이 율재(栗齋) 진의귀(陳義貴)와 퇴촌(退村) 김열(金閱)의 유작(遺作)을 모아 엮은 책. 홍귀달(洪貴達)의 서문(序文)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문헌>서명
-
빙옥난고(氷玉亂蒿) - 빙옥난고(氷玉亂藁)
조선 전기의 문신 김여석(金礪石)이 율재(栗齋) 진의귀(陳義貴)와 퇴촌(退村) 김열(金閱)의 유작(遺作)을 모아 엮은 책. 홍귀달(洪貴達)의 서문(序文)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문헌>서명
-
빙옥재상(氷玉宰相) - 송기수(宋麒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정미사화(丁未士禍)로 사사(賜死)된 송인수(宋麟壽)의 종제(從弟). 명종(明宗) 때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07~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빙옥헌(氷玉軒) - 이신효(李愼孝)@1422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음직(蔭職)으로 출사하여,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지냄.
1422~1493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빙옹(聘翁) - 윤우(尹遇)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형(尹炯)의 아들로, 돈녕부 첨정(敦寧府僉正)과 정선(旌善)ㆍ옥천(沃川)ㆍ배천(白川)등의 군수를 역임함.
1435~150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빙월당(氷月堂) - 설총(薛聰)
통일신라 신문왕(神文王)~경덕왕(景德王) 때의 학자. 원효대사(元曉大師)의 아들. 신라십현(新羅十賢)의 한 사람이며, 강수(强首)ㆍ최치원(崔致遠)과 함께 신라삼문장(新羅三文章)의 한 사람으로 꼽힘. 이두(吏讀)를 집대성했으며, 〈화왕계(花王戒)〉를 지음.
65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빙지(聘之) - 윤효빙(尹孝聘)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계(尹繼)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수찬(修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빙허(憑虛) - 김사고(金師古)
조선 전기의 문신. 강원도 원주(原州)에 있는 빙허루(憑虛樓)의 주인으로 그 내용이 홍귀달(洪貴達)의 《허백정집(虛白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사(嗣) - 김사(金嗣)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수원(水原). 벼슬하지 않고 안빈수도(安貧守道)하며 후학을 양성함.
1447~153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학자
-
사(泗)@김사 - 김사(金泗)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상산(商山).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김석진(金碩振)의 아버지로, 상원군(商原君)으로 추봉(追封)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사(泗) - 유사(柳泗)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유희송(柳希松)의 아들로, 낙안 군수(樂安郡守)ㆍ종성 부사(鍾城府使) 등을 지냄.
1502~157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사^도(謝^陶) - 도^사(陶^謝)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인 도잠(陶潛)과 사영운(謝靈運)을 함께 부르는 말. 각각 전원시(田園詩)와 산수시(山水詩)의 대표적인 인물로, 시(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사^송(思^松) - 순^철(淳^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순(朴淳)과 정철(鄭澈)을 함께 부르는 말. 서인(西人)의 대표 인물들로, 절친하며 절개가 곧은 학자들로 유명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사^왕(謝^王) - 왕^사(王^謝)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재상인 왕도(王導)와 사안(謝安)을 함께 부르는 말. 명문거족(名門巨族)으로 이름을 날렸던 두 집안의 대표적인 인물 두 사람을 일컬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사^요(姒^姚) - 요^사(姚^姒)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인 순(舜) 임금과 하(夏) 나라의 우(禹) 임금을 함께 부르는 말. 성군(聖君)을 가리킴.
중국>하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사^임(姒^任) - 지^신(摯^莘)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어머니인 태임(太任)과 문왕의 부인이자 무왕(武王)의 어머니인 태사(太姒)를 함께 부르는 말. 지(摯)는 태임의 출신지이며 신(莘)은 태사의 출신지로, 현숙한 비(妃)를 가리킴.
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사^임(姒^姙) - 지^신(摯^莘)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어머니인 태임(太任)과 문왕의 부인이자 무왕(武王)의 어머니인 태사(太姒)를 함께 부르는 말. 지(摯)는 태임의 출신지이며 신(莘)은 태사의 출신지로, 현숙한 비(妃)를 가리킴.
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사가(四佳)@성석인 - 성석인(成石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성여완(成汝完)의 아들이며, 성석린(成石璘)ㆍ성석용(成石瑢)의 아우로, 고려 때 경연강독관(經筵講讀官) 등을 지내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사가(四佳) - 서거정(徐居正)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天文)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경국대전(經國大典)》ㆍ《동국통감(東國通鑑)》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동인시화(東人詩話)》ㆍ《동문선(東文選)》등을 저술함.
1420~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가(思可) - 목첨(睦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으로, 목세칭(睦世秤)의 아들. 공조 참의(工曹參議)ㆍ청홍도 관찰사(淸洪道觀察使)ㆍ대사간(大司諫)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515~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사가(謝家) - 사안(謝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재상. 회계(會稽)의 동산(東山)에서 은거할 때 왕희지(王羲之) 등과 교유하고, 뒤늦게 벼슬하여 환온(桓溫)의 휘하에서 활약함. 재상이 되었을 때 전진(前秦)의 부견(符堅)이 대군을 이끌고 침입하자 이를 격파함.
320~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가녀(謝家女) - 사도온(謝道韞)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여류 시인. 사혁(謝奕)의 딸이자, 사안(謝安)의 조카딸이며, 왕희지(王羲之)의 며느리. 총명하고 재능이 뛰어났으며, 눈 내리는 풍경을 버들개지가 바람에 날리는 광경으로 표현한 일로 유명함.
349~40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사가시집(四佳詩集) - 사가집(四佳集)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서거정(徐居正)의 문집. 저자가 왕명에 의해 30권으로 편차한 것을, 1488년(성종 19)에 유고를 정리하여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함. 50여 권의 시집과 20여 권의 문집으로 구성됨.
14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사가일로(四佳逸老) - 서거정(徐居正)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天文)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경국대전(經國大典)》ㆍ《동국통감(東國通鑑)》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동인시화(東人詩話)》ㆍ《동문선(東文選)》등을 저술함.
1420~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가재(四佳齋) - 서거정(徐居正)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天文)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경국대전(經國大典)》ㆍ《동국통감(東國通鑑)》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동인시화(東人詩話)》ㆍ《동문선(東文選)》등을 저술함.
1420~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가재(四可齋) - 이규보(李奎報)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대표적 문인으로, 《백운소설(白雲小說)》ㆍ《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ㆍ〈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
1168~12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가정(四佳亭)@성석인 - 성석인(成石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성여완(成汝完)의 아들이며, 성석린(成石璘)ㆍ성석용(成石瑢)의 아우로, 고려 때 경연강독관(經筵講讀官) 등을 지내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사가정(四佳亭) - 서거정(徐居正)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天文)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경국대전(經國大典)》ㆍ《동국통감(東國通鑑)》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동인시화(東人詩話)》ㆍ《동문선(東文選)》등을 저술함.
1420~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가취로(四佳醉老) - 서거정(徐居正)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天文)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경국대전(經國大典)》ㆍ《동국통감(東國通鑑)》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동인시화(東人詩話)》ㆍ《동문선(東文選)》등을 저술함.
1420~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간(士幹) - 신여량(申汝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상호군(上護軍) 신한(申瀚)의 아들로, 한성 판관(漢城判官)ㆍ순천 군수(順川郡守)ㆍ내자시 첨정(內資寺僉正) 등을 지냄.
1505~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간(士幹)@황사간 - 황사간(黃士幹)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상산군(商山君) 황효원(黃孝源)의 아버지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사간(思簡) - 안성(安省)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문과에 급제하여 보문각 직학사(寶文閣直學士)ㆍ상주 판관(尙州判官)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참찬(參贊) 등을 지냄.
?~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사강(士剛)@김집 - 김집(金集)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김장생(金長生)의 아들로, 예학(禮學)을 대성시킴. 대사헌(大司憲)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내고, 효종과 북벌(北伐)을 계획함.
1574~16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강(士剛) - 박의장(朴毅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무안(務安). 박세렴(朴世廉)의 아들이며, 김언기(金彦璣)의 문인으로 경사(經史)에 밝음. 임진왜란 때 많은 공적을 세웠으며 경상수사(慶尙水使)에 이름. 정충사(貞忠祠)ㆍ구봉정사(九峯精舍)에 제향됨.
1555~16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무신
-
사강(士强) - 송대립(宋大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청홍도 우후(淸洪道虞候)를 지낸 송옥(宋玉)의 아들.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성혼(成渾)과 교유함. 공조 정랑(工曹正郞)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542~158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사개(士介) - 한사개(韓士介)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계희(韓繼禧)의 아들로, 영흥 부사(永興府使) 등을 지냄. 김안로(金安老)가 그의 신도비(神道碑)를 찬함.
1453~152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사개(士匃) - 범선자(范宣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도공(悼公) 때의 대부. 법률제도를 개혁하여 도공이 패업(霸業)을 이루는 데 크게 기여함.
?~B.C.54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사건(師騫) - 민사건(閔師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선조 때 대사성을 지낸 민기문(閔起文)의 조부. 1477년(성종 8)에 친시(親試)에 급제하여 충청도 관찰사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사걸(士傑) - 홍흥(洪興)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한성부윤(漢城府尹) 홍심(洪深)의 아들로, 호조 참판(戶曹參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성품이 강직하고 글씨에 능했으며, 인물과 풍채가 준수하여 자주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보내짐.
1424~150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사걸(士傑)@김사걸 - 김사걸(金士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김구손(金龜孫)의 아들이며, 형조 참의(刑曹參議) 김위(金偉)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사걸(士傑)@박사걸 - 박사걸(朴士傑)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이 자(字)를 지어 주면서 쓴 〈자사(字辭)〉가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사검(思儉) - 김희우(金希禹)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김광수(金光壽)의 아들로,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1549년(명종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사결(事結) - 김사결(金事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윤원(金胤源)의 아들로,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사결(士潔) - 신승조(申承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신숙주(申叔舟)의 형인 신중주(申仲舟)의 손자이며, 부사(府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사결(士潔)@정렴 - 정렴(鄭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유의(儒醫). 천문ㆍ지리ㆍ의서ㆍ복서(卜筮) 등에 두루 능통했고, 특히 약의 이치와 음률에 밝았음. 포천 현감(抱川縣監)을 지냄.
1505~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겸(四兼) - 황보인(皇甫仁)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세종실록(世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을 지냄. 1453년(단종 1) 계유정난 때 김종서(金宗瑞)ㆍ정분(鄭奔)ㆍ이양(李穰)ㆍ조극관(趙克寬) 등과 함께 단종을 보필하던 중 피살됨.
1387~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사겸(士兼) - 이선강(李善綱)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1561년(명종 1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하였으며, 《송암집(松巖集)》에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있음.
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사겸(士謙)@황대수 - 황대수(黃大受)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를 지낸 황원(黃瑗)의 아들로, 1564년(명종 1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냄.
1534~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사겸(士謙)@변사겸 - 변사겸(邊士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중종반정(中宗反正)의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고 원양군(原陽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사겸(士謙) - 안증(安嶒)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성리학의 이론을 깊이 터득하고 후일에는 실학사상에 심취함. 세자시강원 사서(世子侍講院司書)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이후 낙향하여 평생 학문에 전념함.
1494~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겸(思謙)@박사겸 - 박사겸(朴思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임진왜란 때 박사제(朴思齊)ㆍ노순(盧錞)ㆍ윤탁(尹鐸) 등과 함께 삼가(三嘉)에서 의병을 일으켜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많은 공을 세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유학
-
사겸(思謙)@이승효 - 이승효(李承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김안로(金安老)의 문인.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지냈으며, 김안로가 사사(賜死)된 뒤 진우(陳宇) 등을 모함하였다 하여 관직을 삭탈당하고 경외(京外)로 추방됨.
151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사겸(思謙)@조사겸 - 조사겸(趙思謙)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정사공신(定社功臣) 조박(趙璞)의 아버지로, 전의시 영(典儀寺令)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사겸(思謙)@이사겸 - 이사겸(李思謙)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석동(李碩童)의 아들로,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을 지냄.
1452~153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