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사겸(思謙) - 정오(鄭䫨)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원(元) 나라에서 왕을 수종한 공으로 1등 공신이 되었으며,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올라 서원군(西原君)에 봉해졌으며,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됨.
?~135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사겸당(思謙堂) - 이승효(李承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김안로(金安老)의 문인.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지냈으며, 김안로가 사사(賜死)된 뒤 진우(陳宇) 등을 모함하였다 하여 관직을 삭탈당하고 경외(京外)로 추방됨.
151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사경(士冏) - 한윤명(韓胤明)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일재(一齋) 이항(李恒)과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이(李珥)ㆍ박광전(朴光前)과 교유하고, 선조(宣祖)가 세자로 있을 때 사부(師傅)를 지냄.
1526~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경(士敬)@심종직 - 심종직(沈宗直)
조선 선조~인조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심금(沈錦)의 아들이며, 송익필(宋翼弼)의 문인(門人)으로, 음서(蔭敍)로 벼슬하여 제용감 정(濟用監正)ㆍ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사경(士敬) - 조목(趙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횡성(橫城). 조대춘(趙大春)의 아들이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大科)를 포기하고 경전(經傳)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24~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사경(士經) - 임권(任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공조 판서 임유겸(任由謙)의 아들. 김안로(金安老)의 폐정(弊政)을 논박하다가 파직되고, 김안로가 실각한 후 등용되어 좌참찬(左參贊)을 지냄.
1486~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경(思敬) - 이사경(李思敬)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광익(李光翊)의 아들로, 판사재감사(判司宰監事) 등을 지냄. 나라의 변란이 예상되자 가솔을 거느리고 개령(開寧)에 은거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개령 , 인명>관인>문신
-
사경(社卿) - 안사경(安社卿)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죽성군(竹城君) 안극인(安克仁)의 아버지. 벽상공신(壁上功臣) 및 삼한삼중대광(三韓三重大匡)에 책록되고, 판호조사(判戶曹事)ㆍ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사계(思溪) - 김개물(金開物)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훤(金咺)의 아들로, 성품이 강직하였으며,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능하였음.
1272~132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사계(沙溪)@김우용 - 김우용(金宇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척 부사(三陟府使) 김희삼(金希參)의 아들로, 감찰(監察)ㆍ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냄.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김우옹(金宇顒)의 형.
1538~16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사계(沙溪) - 김장생(金長生)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서인(西人)의 영수 역할을 하였고, 예학(禮學)을 깊이 연구함.
1548~163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계(沙溪)@방응현 - 방응현(房應賢)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조식(曺植)ㆍ이항(李恒)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나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임란의병장 변사정(邊士貞)과 친교가 두터웠음.
1524~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문인
-
사계서당(泗溪書堂) - 사계서원(泗溪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영천(榮川)에 세워진 서원. 황효공(黃孝恭)ㆍ나이준(羅以俊)을 배향함.
17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사계선생유고(沙溪先生遺稿) - 사계유고(沙溪遺稿)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장생(金長生)의 문집. 목판본. 6책. 숙종(肅宗) 때 왕명에 의해 김만기(金萬基)ㆍ김만중(金萬重)이 교정하고 송시열(宋時烈)ㆍ김수항(金壽恒)의 서문을 실어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함.
16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사계정사(泗溪精舍) - 사계서원(泗溪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영천(榮川)에 세워진 서원. 황효공(黃孝恭)ㆍ나이준(羅以俊)을 배향함.
17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사고(士高)@탁지상 - 탁지상(卓志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낸 탁광수(卓光守)의 셋째 아들로, 숙부인 탁지수(卓持守)의 양자로 들어갔으며, 첨지(僉知)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사고(士高)@이기 - 이기(李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수장(李壽長)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명종 때 진헌사(進獻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93~154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사고(士高) - 이극돈(李克墩)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성종(成宗)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훈구파(勳舊派)의 거물로서 무오사화(戊午士禍)를 일으켜 사림파(士林派)의 많은 학자들을 제거함.
1435~15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사고(師古)@한종유 - 한종유(韓宗愈)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밀직부사(密直副使) 한영(韓英)의 아들. 이조년(李兆年)과 더불어 충숙왕(忠肅王)ㆍ충혜왕(忠惠王) 등에게 충절을 다하고, 조적(曺頔)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됨.
1287~1354 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고(師古) - 안주(顔籒)
중국 당(唐) 고조(高祖)~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비서감(秘書監) 등을 역임하고 정치에도 능통하여 조령(詔令)의 기초를 맡았으며, 훈고학(訓詁學)에 정통하여 《오경정의(五經正義)》 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한서(漢書)》에 주석을 가함.
581~64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고(師古)@김사고 - 김사고(金師古)
조선 전기의 문신. 강원도 원주(原州)에 있는 빙허루(憑虛樓)의 주인으로 그 내용이 홍귀달(洪貴達)의 《허백정집(虛白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사고(師古)@정복주 - 정복주(鄭復周)
고려 말~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의 조부. 연안 도호부사(廷安都護府使)ㆍ전농시 판사(典農寺判事)를 지내고, 효행으로 정려(旌閭)를 하사받음.
136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사곡(沙谷) - 정장(鄭樟)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아들로, 중부(仲父)인 정곤수(鄭崑壽)의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출사(出仕)한 이후 과거에 급제하여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 등을 지냄.
1569~161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사곡(社谷) - 조말생(趙末生)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로, 태종(太宗)의 부마인 조선(趙璿)의 아버지. 조용(趙庸)의 문인으로, 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 등을 지냄.
1370~14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사공(士拱) - 어응진(魚應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함종(咸從). 장악원 정(掌樂院正)을 지낸 어영준(魚泳濬)의 둘째 아들로, 1528년(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10~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사공(師䢼) - 조사공(趙師䢼)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가흥 통판(嘉興通判)을 지냄. 절강성(浙江省) 태주(台州) 천태인(天台人).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역(易)과 시(詩)를 배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공(思公) - 박순(朴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충주(忠州).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내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교유하였으나, 서인(西人)으로 지목되어 탄핵을 받고 영평(永平) 백운산(白雲山)에 은거함.
1523~158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영평 , 인명>관인>문신
-
사공(思公)@전유연 - 전유연(錢惟演)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오월(吳越) 충의왕(忠懿王) 전숙(錢俶)의 둘째 아들로, 한림학사(翰林學士)ㆍ공부 시랑(工部侍郞) 등을 지내고, 시(詩)와 사(詞)에 능했음.
962~103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공(思恭)@박사공 - 박사공(朴思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이조 참의(吏曹參議) 박경선(朴慶先)의 아버지로, 군수(郡守)를 지냄.
?~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사공(思恭)@유사공 - 유사공(柳思恭)
조선 전기의 문신. 영의정(領議政) 유순(柳洵)의 아버지. 세자익위사 좌세마(世子翊衛司左洗馬)를 지내고, 추충적덕보조공신(推忠積德補祚功臣)ㆍ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사공(思恭)@심사공 - 심사공(沈思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산(豊山). 화천군(花川君) 심정(沈貞)의 아들로, 1513년(중종 8년)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사공(思恭) - 유양식(柳陽植)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도지휘사(都指揮使)를 지낸 유의(柳依)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사공산인(謝公山人) - 곽상정(郭祥正)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단주 지사(端州知事)가 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현청산(縣靑山)에 은거함. 시(詩)에 뛰어나 매요신(梅堯臣)에 의해 이백(李白)의 후신(後身)으로 비견(比肩)되고, 저서에 《청산집(靑山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관(士寬)@이사관 - 이사관(李士寬)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효정공(孝靖公) 이정간(李貞幹)의 아들로, 한성 판윤(漢城判尹) 등을 지냄. 아들인 이의장(李義長)ㆍ이예장(李禮長)ㆍ이지장(李智長)ㆍ이함장(李諴長)ㆍ이효장(李孝長)ㆍ이서장(李恕長)이 모두 과거에 급제함.
1382~14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사관(士寬) - 이용(李容)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굉(李肱)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후릉 참봉(厚陵參奉)을 지내다가 곧 낙향하여 유유자적하며 특히 국문가시(國文歌詩)를 잘 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사관(思寬) - 박사관(朴思寬)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죽산(竹山). 장흥 부사(長興府使)를 지낸 박겸무(朴兼武)의 손자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모친을 지키다 왜병에게 살해됨.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박감역소전(朴監役小傳)〉이 실려 있음.
1520~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죽산ㅣ경기도>교하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사관례(士冠禮)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사광(思曠) - 완유(阮裕)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문신. 호방함과 덕행으로 이름난 사람으로, 왕돈(王敦)의 주부(主簿)로 있다 반란을 눈치채고 파면당한 뒤 은거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굉(士宏) - 심종주(沈宗周)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 감찰(監察)을 지낸 심금(沈錦)의 아들로, 학문에 뜻을 두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문사>유학
-
사굉(士訇) - 범선자(范宣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도공(悼公) 때의 대부. 법률제도를 개혁하여 도공이 패업(霸業)을 이루는 데 크게 기여함.
?~B.C.54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사교(四敎) - 진사교(陳四敎)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부여(扶餘).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진식(陳植)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 , 인명>문사>유학
-
사구(士久) - 윤언성(尹彦誠)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임형(尹任衡)의 아들이며, 수심당(水心堂) 윤동로(尹東老)의 아버지로,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사구(士久)@임길수 - 임길수(林吉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임형수(林亨秀)의 동생으로 송강(松江) 정철(鄭澈)과 교유했으며, 고흥 현감(高興縣監)을 지냄.
152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사굴산(闍崛山) - 도굴산(闍崛山)
경상북도 의령(宜寧) 일대에 걸쳐 있는 산 이름.
경상도>의령 , 지명>자연지명
-
사규(思規) - 유사규(柳思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된 유순익(柳舜翼)의 아버지로, 1562년(명종 17)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병조 참지(兵曹參知)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534~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균(士均) - 임추(任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공조 판서(工曹判書) 임유겸(任由謙)의 아들.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내고,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파견되었다가 순직함.
1482~153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사균(士鈞) - 신말평(申末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세종(世宗)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槩)의 손자로, 《악학궤범(樂學軌範)》 편찬사업에 공헌함.
1452~150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사균(思鈞) - 이사균(李思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폐비(廢妃) 윤씨(尹氏) 복위의 부당성을 주장하다가 보은(報恩)으로 유배되고, 기묘사화(己卯士禍) 후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몰려 좌천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71~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사근(士謹) - 이희원(李希愿)
조선 후기의 문신. 우계(牛溪) 성혼(成渾) 등과 교유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황해도 토산 현감(兔山縣監)을 지내면서 관민들을 모아 협심단결하여 고을을 지키는 데 치력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토산 , 인명>관인>문신
-
사근(思謹) - 이사근(李思謹)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이옥(李沃)의 아들이고 이온(李蒕)의 아버지이며 이승주(李承周)ㆍ이승소(李承召)ㆍ이승려(李承呂)의 할아버지. 해주 목사(海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사기(士奇)@양사기 - 양사기(楊士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양희수(楊希洙)의 아들로, 원주(原州) 등 7개 읍의 수령(守令)을 역임하였으며, 형 양사준(楊士俊)ㆍ양사언(楊士彦)과 함께 시(詩)에 뛰어났음.
1531~15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기(士奇) - 양우(楊寓)
중국 명(明) 나라 혜제(惠帝)~영종(英宗) 때의 문신. 화개전 대학사(華盖殿大學士) 등을 지내며 양부(楊溥)ㆍ양영(楊榮)과 함께 정사를 잘 보살펴 ‘삼양(三楊)’으로 일컬어짐.
1365~144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기(士騏) - 왕사기(王士騏)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왕세정(王世貞)의 아들로, 이부 원외랑(吏部員外郞) 등을 지내고, 《제갈량집(諸葛亮集)》ㆍ《무후전서(武侯全書)》등을 편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기(謝奇) - 한사기(韓謝奇)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한강(韓康)의 아들이며 한영(韓永)과 한악(韓渥)의 아버지. 1279년(충렬왕 5) 독로화(禿魯花)로 선발되어 원(元) 나라에서 숙위(宿衛)하고 돌아옴. 과거에 급제하여 간의대부(諫議大夫)ㆍ보문각 제학(寶文閣提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사길(士吉)@박사길 - 박사길(朴士吉)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무안(務安).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 적이 호남을 침범하자, 박광전(朴光前)ㆍ송홍렬(宋弘烈) 등과 의병을 일으켜 동복(同福)에서 적을 크게 무찔렀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사길(士吉) - 심언경(沈彦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예조 좌랑 심준(沈濬)의 아들로, 1529년(중종 24) 동생 심언광(沈彦光)과 함께 김안로(金安老)의 용서를 주청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사길(思吉) - 장사길(張思吉)
고려 말~조선 초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의주(義州) 지방의 토호(土豪)로 이성계(李成桂)에게 인정받아 회군공신(回軍功臣)ㆍ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됨.
?~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사낙정(四樂亭) - 권질(權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장인. 신사무옥(辛巳誣獄)으로 사림파가 쫓겨날 때 아우 권전(權磌)이 장살(杖殺)되면서 그도 예안(禮安)으로 유배되었음.
1483~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사내(四耐) - 안경창(安慶昌)
조선 후기의 처사(處士). 천민 출신으로 어렸을 때 화장사(花庄寺)에서 공부하며 기이한 행적을 남기고, 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ㆍ이이(李珥) 및 조식(曺植)ㆍ노사신(盧思愼) 등 당시 명유들과 교유하였다고 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사내거사(四耐居士) - 안경창(安慶昌)
조선 후기의 처사(處士). 천민 출신으로 어렸을 때 화장사(花庄寺)에서 공부하며 기이한 행적을 남기고, 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ㆍ이이(李珥) 및 조식(曺植)ㆍ노사신(盧思愼) 등 당시 명유들과 교유하였다고 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사내옹(四耐翁) - 안경창(安慶昌)
조선 후기의 처사(處士). 천민 출신으로 어렸을 때 화장사(花庄寺)에서 공부하며 기이한 행적을 남기고, 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ㆍ이이(李珥) 및 조식(曺植)ㆍ노사신(盧思愼) 등 당시 명유들과 교유하였다고 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사눌(士訥) - 심종민(沈宗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명(明) 나라 제독 이승훈(李承勛)의 휘하에 종군하여 그 공으로 군자감 주부(軍資監主簿)가 됨.
1554~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눌(思訥) - 박사눌(朴思訥)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박성(朴惺)의 아버지로,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문사>유학
-
사단칠정논쟁(四端七情論爭) - 사칠논변(四七論辯)
조선 성리학(性理學)에서 이황(李滉)과 기대승(奇大升) 간에 전개되었던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에 관한 논변. 이황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기대승의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 사이에서 시작된 논쟁으로, 1559년(명종 14)부터 8년에 걸쳐 전개됨.
1559 한국>조선전기 , 사상>이론>학설
-
사달(士達) - 성사달(成士達)
고려 충렬왕(忠烈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민왕(恭愍王)을 호종하여 추충협익공신(推忠協翊功臣)에 책록되고, 김용(金鏞)의 반란을 평정하여 일등공신이 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사달(斯達) - 아사달(阿斯達)
고조선(古朝鮮) 때 단군(檀君) 왕검(王儉)이 도읍으로 삼았다는 지명.
고대 , 지명>기타지명
-
사담(沙潭) - 김홍민(金弘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낸 김범(金範)의 아들. 삼사(三司)를 거쳐 전한(典翰) 등을 역임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모아 상주(尙州)에서 적의 통로를 막아 적군이 통행로를 우회하게 하는 공을 세움.
1540~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사담(沙潭)@나덕원 - 나덕원(羅德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금성(錦城).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義兵)을 모집하여 명(明) 나라 제독(提督) 마귀(麻貴)를 도와 왜적을 격퇴함. 벼슬은 함안 현감(咸安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사담(蛇潭) - 강위룡(姜渭龍)
조선 전기의 유학. 유희춘(柳希春)에게 배우고 임운(林芸)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사담로(蛇潭老) - 강위룡(姜渭龍)
조선 전기의 유학. 유희춘(柳希春)에게 배우고 임운(林芸)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사대가(四大家) - 월상계택(月象谿澤)
조선 후기의 문신ㆍ문장가인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ㆍ상촌(象村) 신흠(申欽)ㆍ계곡(谿谷) 장유(張維)ㆍ택당(澤堂) 이식(李植)을 아울러 이르는 말.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사덕(師德) - 누사덕(婁師德)
중국 당(唐) 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 때의 문신. 재상(宰相)으로 있으면서 30여 년 동안 정사를 돌보고 변방의 요지(要地)를 총괄함. 인덕(仁德)을 지녀 칭송을 받음.
630~69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덕(師德)@이사덕 - 이사덕(李師德)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수안(遂安). 진명국사(眞明國師) 혼원(混元)의 아버지로, 경시서 승(京市署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 , 인명>관인>문신
-
사도(似道) - 가사도(賈似道)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 이종의 비(妃)인 귀비(貴妃)의 아우로, 우승상(右丞相)을 지내고 조정 정사를 농단함. 원병(元兵)에게 대패하여 귀양 가는 도중 정호신(鄭虎臣)에게 살해됨.
1213~127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도(嗣道) - 설직(薛稷)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 태자소보(太子少保) 등을 역임하였으며, 두회정(竇懷貞)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됨.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모두 능하여 명성을 떨침.
649~713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도(師道) - 진사도(陳師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시로 인해서 증공(曾鞏)과 소식(蘇軾)을 알게 되었으며, 소식의 문인 가운데에서 황정견(黃庭堅)과 함께 황진(黃陳)이라 병칭됨.
1053~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사도(思悼) - 장헌세자(莊獻世子)
조선 제21대 영조(英祖)의 둘째 아들이자 22대 정조(正祖)의 아버지. 이복형 효장세자(孝章世子)가 요절하자 세자에 책봉되어 1749년(영조 25) 영조의 명을 받고 15세에 대리기무(代理機務)를 봄. 김한구(金漢耉) 일파의 모함을 받아 뒤주에 갇혀 죽음.
1735~176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사도(思道) - 민사도(閔思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성수침(成守琛)의 사위로, 1542년(중종 37) 정시(庭試)에 합격하여 강령 현감(康翎縣監)ㆍ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사도(思道)@정사도 - 정사도(鄭思道)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공민왕(恭愍王) 때 모친상에 3년간 시묘(侍墓)한 효성으로 일성군(日城君)에 봉해짐. 최영(崔瑩)을 제거하려는 신돈(辛旽)을 반대하여 파직되었다가 복직된 뒤 오천군(烏川君)에 개봉(改封)됨.
1318~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사도세자(思悼世子) - 장헌세자(莊獻世子)
조선 제21대 영조(英祖)의 둘째 아들이자 22대 정조(正祖)의 아버지. 이복형 효장세자(孝章世子)가 요절하자 세자에 책봉되어 1749년(영조 25) 영조의 명을 받고 15세에 대리기무(代理機務)를 봄. 김한구(金漢耉) 일파의 모함을 받아 뒤주에 갇혀 죽음.
1735~176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사돈(士惇) - 나사돈(羅士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나주(羅州). 벼슬이 충순위(忠順衛)에 이르렀으며,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함.
1513~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사동도사(沙銅道士) - 윤원성(尹元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훈도(訓導)를 지내고,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해월(海月) 황여일(黃汝一)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사동화(斯同火) - 인동(仁同)
경상도 남서부에 있던 고을 이름. 성주(星州)ㆍ개령(開寧)과 접해 있음. 적개공신(敵愾功臣) 장말손(張末孫) 등을 배출하였으며, 길재(吉再)를 배향한 오산서원(吳山書院)과 장현광(張顯光)을 배향한 동락서원(東洛書院)이 있음. 현재는 경상북도 구미시(龜尾市)에 속함.
경상도>인동 , 지명>행정지명
-
사라(斯羅) - 신라(新羅)
B.C. 1세기경에 영남(嶺南) 지방에서 일어나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고대국가의 하나. 혁거세(赫居世)부터 경순왕(敬順王)까지 56대 992년간 존속.
B.C.57~A.D.935 한국>신라 , 시간>국명
-
사란(思襴) - 박사란(朴思襴)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박처륜(朴處綸)의 아버지. 1438년(세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成均館典藉)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사량(士良) - 구람(仇覽)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백성들을 형벌이 아닌 덕(德)으로 다스려 교화시킨 일로 유명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량(師亮) - 장제현(張齊賢)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태종(太宗)의 총신(寵臣)이었으며,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역임하였고, 저서에는 《낙양진신구문기(洛陽縉紳舊聞記)》 등이 있음.
943~101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량(沙梁)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사량국(沙梁國)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사련(祀連) - 송사련(宋祀連)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익필(宋翼弼)ㆍ송부필(宋富弼)ㆍ송한필(宋翰弼)의 아버지.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켜 안처겸(安處謙) 등의 가문에 화를 입히고, 종신토록 세력을 잡았으나, 죽은 뒤 관작(官爵)을 삭탈당함.
1496~157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사렴(士廉)@김극검 - 김극검(金克儉)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성품이 청렴결백하고, 《세조실록(世祖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ㆍ《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호조 참판(戶曹參判)ㆍ동중추부사(同中樞府事) 등을 지냄.
1439~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사렴(士廉)@김사렴 - 김사렴(金士廉)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천(金蕆)의 아들.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과 교유하고, 신돈(辛旽)이 권력을 갖자 왕에게 직간(直諫)함. 조선이 건국되자 관직에 나가지 않고, 청주의 도산(陶山)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사렴(士廉) - 권렴(權廉)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손자이며,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1302~134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사렴(士廉)@고사렴 - 고사렴(高士廉)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제주(濟州). 훈련 판관(訓鍊判官)ㆍ현감(縣監) 등을 지냈으며, 《사암집(思菴集)》에 만사(輓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무신
-
사렴(士廉)@허사렴 - 허사렴(許士廉)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허찬(許瓚)의 아들이며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처남으로,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사렴(思廉) - 요간(姚簡)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요찰(姚察)의 아들로, 위징(魏徵)과 함께 《양서(梁書)》ㆍ《진서(陳書)》를 편찬하였으며, 산기상시(散騎常侍) 등을 지냄.
557~637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사렴(思廉)@유사렴 - 유사렴(兪思廉)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藁)》에 〈수원부차유선생운(水原府次兪先生韻)〉의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사로(四老)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사로(師路) - 윤사로(尹師路)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세종의 부마로, 세조의 즉위를 도와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충훈부 당상(忠勳府堂上) 등을 지냄.
1423~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사로(師魯) - 김희삼(金希參)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우옹(金宇顒)의 아버지. 이황(李滉)ㆍ조식(曺植)ㆍ김인후(金麟厚) 등과 교유함.
1497~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