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사로(思老) - 유숙(柳淑)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기철(奇轍) 일당을 제거한 공으로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고, 홍건적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충근절의찬화공신(忠勤節義贊化功臣)이 된 뒤 서령군(瑞寧君)에 봉해짐.
1324~136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덕산ㅣ전라도>영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사로(斯盧) - 신라(新羅)
B.C. 1세기경에 영남(嶺南) 지방에서 일어나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고대국가의 하나. 혁거세(赫居世)부터 경순왕(敬順王)까지 56대 992년간 존속.
B.C.57~A.D.935 한국>신라 , 시간>국명
-
사룡(士龍) - 송능상(宋能相)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송시열(宋時烈)의 현손이며, 한원진(韓元震)의 문인(門人)으로, 윤봉구(尹鳳九) 등 노론 학자들과 교유하였으며, 여러 관직을 지내다가 묘향산(妙香山)에 들어가 《대학(大學)》을 강론함.
1709~175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룡(士龍)@정사룡 - 정사룡(鄭士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명종 때 이량(李樑)의 일당으로 지목되어 삭직(削職)당함. 시문(詩文)ㆍ음률(音律)에 뛰어나고, 당시 문단에서 신광한(申光漢)과 쌍벽을 이룸.
149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룡(士龍)@이반 - 이반(李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견(李克堅)의 아들로, 장단 부사(長湍府使) 등을 지냄. 정사룡(鄭士龍)의 《호음잡고(湖陰雜稿)》에 그의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460~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사룡(士龍)@육운 - 육운(陸雲)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문인. 육기(陸機)의 아우로,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지내고, 시문(詩文)에 뛰어나 형과 함께 ‘이륙(二陸)’으로 일컬어짐. 혜제(惠帝) 때 팔왕(八王)의 난(亂)에 휘말려 형과 함께 죽임을 당함.
262~30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류집요(事類集要) - 백씨육첩사류집(白氏六帖事類集)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백거이(白居易)의 어휘집. 고금(古今)의 문학(文學)에 나타난 어휘를 천지(天地)ㆍ산천(山川)ㆍ인사(人事)ㆍ조수(鳥獸)ㆍ초목(草木)에 이르기까지 1870개 부문으로 분류하여 수록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사륜(舍輪) - 진지왕(眞智王)
신라 제25대 왕. 재위 576~579. 진흥왕(眞興王)의 둘째 아들로, 왕위에 올라 무열왕계(武烈王系)의 시조가 됨. 내리서성(內利西城)을 쌓아 백제의 잦은 침공을 방비했으며, 중국 남조(南朝)의 진(陳) 나라와 수교하여 화친을 도모하였으나, 4년 만에 화백회의에 의해 폐위됨.
?~579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사륭(士隆) - 박신형(朴信亨)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유호인(兪好仁) 등과 함께 낙동강(洛東江)에서 물놀이했던 내용이 《뇌계집(㵢谿集)》의 〈낙강범주시발(洛江泛舟詩跋)〉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사릉(士陵) - 탁계현(卓繼賢)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빈(卓斌)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사릉(蛇陵) - 오릉(五陵)
경상북도 경주(慶州)에 있는 신라의 고분(古墳). 박혁거세(朴赫居世)ㆍ알영부인(閼英夫人)ㆍ남해왕(南解王)ㆍ유리왕(儒理王)ㆍ파사왕(婆娑王) 등 5명의 분묘라 전해지며, 박혁거세 사후에 큰 뱀의 방해로 인해 다섯 개로 분리된 유체(遺體)를 그대로 각각 매장한 분묘라는 설도 있음.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능묘
-
사림원(詞林院) - 예문관(藝文館)
고려~조선시대 왕의 칙령(勅令)과 교명(敎命)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청.
한국>고려전기 , 법제>관청
-
사립(士立) - 권기(權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권호문(權好文)의 문인(門人)으로, 김성일(金誠一)ㆍ유성룡(柳成龍)에게서도 배웠음. 육경(六經)에 통달하고, 예문(禮文)ㆍ법률ㆍ지리 등에도 박식했음.
1546~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사립(斯立) - 탁사립(卓斯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전의감 정(典醫監正)을 지낸 탁념(卓恬)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영암 군수(靈巖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사마^제갈(司馬^諸葛) - 제갈^사마(諸葛^司馬)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장군인 사마의(司馬懿)와 촉(蜀) 나라의 문신인 제갈량(諸葛亮)을 함께 부르는 말. 통일전쟁에 공을 세운 두 공신을 일컫는 말.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사마견자(司馬犬子) - 사마상여(司馬相如)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랑장(中郞將)ㆍ효문원령(孝文園令) 등을 지내고, 〈자허부(子虛賦)〉ㆍ〈상림부(上林賦)〉 등 유명한 작품을 남김.
B.C.179~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마경(司馬鏡) - 사마휘(司馬徽)
중국 후한(後漢)의 은자. 유현덕(劉玄德)이 사마휘에게 인재를 추천하여 주기를 청하였는데, 제갈량(諸葛亮)ㆍ방통(龐統)을 추천함. 제갈량(諸葛亮)ㆍ서서(徐庶) 등과 종유하며 은거생활을 하였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사마덕문(司馬德文) - 공제(恭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11대 황제. 재위 418~420. 효무제(孝武帝)의 아들로, 형인 안제(安帝)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오름. 420년 송(宋) 무제(武帝) 유유(劉裕)에게 선위(禪位)하고 영릉왕(零陵王)이 되었다가 다음해 살해당함.
386~42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사마덕조(司馬德操) - 사마휘(司馬徽)
중국 후한(後漢)의 은자. 유현덕(劉玄德)이 사마휘에게 인재를 추천하여 주기를 청하였는데, 제갈량(諸葛亮)ㆍ방통(龐統)을 추천함. 제갈량(諸葛亮)ㆍ서서(徐庶) 등과 종유하며 은거생활을 하였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사마덕종(史馬德宗) - 안제(安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10대 황제. 재위 396~418. 효무제(孝武帝)의 아들로, 404년 환현(桓玄)이 난을 일으키자 제위(帝位)를 선위(禪位)함. 환현을 토벌한 유유(劉裕)에 의해 복위(復位)되었으나 살해됨.
382~41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사마도권(飼馬圖卷) - 추교음마도권(秋郊飮馬圖卷)
중국 원(元) 나라의 문인이자 서화가인 조맹부(趙孟頫)의 말 그림이 그려진 두루마리 작품. 가을 들판에 한 관원이 말에게 물을 먹이는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열 필(匹)의 말이 생동감 있게 표현됨.
1312 중국>원 , 중국 , 문헌>작품명
-
사마비(司馬丕) - 애제(哀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제10대 황제. 재위 362~365. 성제(成帝) 사마연(司馬衍)의 아들로 25세의 젊은 나이로 병사함.
340~3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사마사(司馬師) - 경제(景帝)@남북조(晉)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대장군. 조카인 무제(武帝) 사마염(司馬炎)이 왕위를 찬탈하여 진(晉)을 세운 뒤 경제(景帝)로 추존함.
208~25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사마선왕(司馬宣王) - 선제(宣帝)@남북조(晉)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장군이며, 서진(西晉)의 추존 황제. 조조(曹操)에게 등용된 후 촉(蜀) 나라 제갈량(諸葛亮)의 북벌을 막고 공손연(公孫淵)을 요동(遼東)에서 토벌하는 등 공을 세웠으며, 진(晉) 나라 건국 후 황제로 추존됨.
179~25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사마소(司馬昭) - 문제(文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추존 황제. 사마의(司馬懿)의 둘째 아들로 위(魏) 나라에서 대장군(大將軍) 등을 지내면서 촉한(蜀漢)을 멸망시켜 진왕(晉王)이 됨. 아들 사마염(司馬炎)이 원제(元帝)의 선양을 받아 진 나라를 세우고 황제로 추존함.
215~26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사마소(司馬紹) - 명제(明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2대 황제. 재위 323~325.
299~32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사마시(司馬試)@국자감시 - 국자감시(國子監試)
고려시대 국자감에서 실시한 예부시(禮部試)의 예비시험. 제술과(製述科)ㆍ명경과(明經科)로 이루어지며, 급제하면 진사(進士)가 되어 예부시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짐.
1031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사마악(司馬岳) - 강제(康帝)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4대 황제. 재위 342~344. 명제(明帝)의 아들이자, 성제(成帝)의 아우로, 성제가 죽은 후 권신 유빙(庾冰)ㆍ유익(庾翼)의 도움으로 즉위함.
322~34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사마안(司馬晏) - 효왕(孝王)@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의 아들. 289년(무제 10)에 오왕(吳王)에 봉해지고, 셋째 아들 민제(愍帝)가 즉위하여 태보(太保)에 추증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사마업(司馬鄴) - 민제(愍帝)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313~316. 효왕(孝王) 사마안(司馬晏)의 아들. 전조(前趙)의 무제(武帝)에게 끌려간 회제(懷帝)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지만, 즉위 4년 만에 진왕(秦王) 유요(劉曜)의 군대에 항복하여 서진(西晉)의 마지막 황제가 됨.
300~31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사마연(司馬衍) - 성제(成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3대 황제. 재위 325~342. 명제(明帝)의 아들이자, 강제(康帝)의 형.
?~34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사마염(司馬炎) - 무제(武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1대 황제. 재위 265~290. 위(魏) 나라 원제(元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진 나라를 세운 뒤, 오(吳) 나라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함.
236~29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사마예(司馬睿) - 원제(元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초대 황제. 재위 317~322. 선제(宣帝) 사마의(司馬懿)의 증손자로 낭야왕(琅邪王)으로 봉해짐. 화북지방의 혼란이 격화되자 건업(建業)으로 옮겨 세력을 굳히고, 서진(西晉)이 망하자 317년 동진(東晉) 왕조를 열었음.
276~3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사마요(司馬曜) - 효무제(孝武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9대 황제. 재위 372~396. 간문제(簡文帝)의 셋째 아들로 안제(安帝)와 공제(恭帝)의 아버지. 재임 중에 수세(收稅)를 개혁하고 왕권의 강화를 위한 조치를 취했으나, 탐주(貪酒)로 인한 실언으로 후궁에게 살해당함.
361~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사마우(司馬牛) - 사마리(司馬犁)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송(宋)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문인으로, 말이 많고 조급한 성격이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사마의(司馬儀) - 사마씨서의(司馬氏書儀)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사마광(司馬光)이 찬술한 서적. 총1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마의(司馬懿) - 선제(宣帝)@남북조(晉)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장군이며, 서진(西晉)의 추존 황제. 조조(曹操)에게 등용된 후 촉(蜀) 나라 제갈량(諸葛亮)의 북벌을 막고 공손연(公孫淵)을 요동(遼東)에서 토벌하는 등 공을 세웠으며, 진(晉) 나라 건국 후 황제로 추존됨.
179~25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사마자(司馬子) - 사마상여(司馬相如)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랑장(中郞將)ㆍ효문원령(孝文園令) 등을 지내고, 〈자허부(子虛賦)〉ㆍ〈상림부(上林賦)〉 등 유명한 작품을 남김.
B.C.179~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마자미(司馬子微) - 사마승정(司馬承禎)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ㆍ학자. 반사정(潘師正)에게 벽곡도인술(辟穀導引術)을 전수받았으며, 《도덕경(道德經)》의 정본(定本)을 만듦.
647~735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사마충(司馬衷) - 혜제(惠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290~306. 무제(武帝)의 아들. 성품이 어리석어 통치력을 상실한 탓에 팔왕(八王)의 난(亂)과 오호(五胡)의 발호를 야기하여, 서진(西晉)의 멸망 원인을 제공함.
259~30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사막(思邈) - 황언원(黃彦遠)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 근계(金溪) 사람으로 길수령(吉水令)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맹(思孟) - 구사맹(具思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아버지로, 좌찬성(左贊成)ㆍ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ㆍ정유재란(丁酉再亂)을 거치며 공을 세워 사후(死後)에 호성(扈聖)ㆍ선무(宣武)ㆍ정난(靖難) 등의 원종공신에 책록됨.
1531~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사명(四明) - 하지장(賀知章)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시인ㆍ문신. 비서감(秘書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문사(文辭)에 능하고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썼음. 성격이 호탕하고 음주를 좋아하여 이백(李白)과 친하게 지냈으며, 만년에 도사(道士)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감.
659~74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명(四明)@사명존요집 - 사명존요집(四明尊堯集)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인 진관(陳瓘)이 지은 역사서. 왕안석(王安石)의 《일록(日錄)》에만 근거하여 개수(改修)한 《신종실록(神宗實錄)》에 대해 비판함.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명(士明) - 김사명(金士明)
조선 전기의 유학. 박승임(朴承任)의 《소고집(嘯皐集)》에 만사(挽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사명(士銘) - 손사명(孫士銘)
조선 선조(宣祖) 때의 어의(御醫). 의관(醫官) 손문서(孫文恕)의 아버지로 의술이 뛰어나 온 나라에 이름이 났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양예수(楊禮壽)와 함께 《의림촬요(醫林撮要)》를 저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술인>의원
-
사명(師命) - 이사명(李師命)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대사헌(大司憲) 이민적(李敏迪)의 큰아들.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에 가담한 공으로 보사공신(保社功臣)에 책록되었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사사됨.
1647~168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사명(思明) - 사사명(史思明)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신. 안녹산(安祿山)과 동향 출신으로, 그가 반란을 일으키자 가세함. 안녹산이 피살된 후 당에 투항하였으나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가 결국 아들인 사조의(史朝義)에게 피살됨.
?~76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사명광(四明狂) - 하지장(賀知章)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시인ㆍ문신. 비서감(秘書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문사(文辭)에 능하고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썼음. 성격이 호탕하고 음주를 좋아하여 이백(李白)과 친하게 지냈으며, 만년에 도사(道士)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감.
659~74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명광객(四明狂客) - 하지장(賀知章)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시인ㆍ문신. 비서감(秘書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문사(文辭)에 능하고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썼음. 성격이 호탕하고 음주를 좋아하여 이백(李白)과 친하게 지냈으며, 만년에 도사(道士)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감.
659~74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명당(四溟堂) - 유정(惟政)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승려ㆍ의병장. 본관은 풍천(豐川).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스승 휴정(休靜)과 함께 승병(僧兵)을 모아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네 차례에 걸쳐 왜장 가등청정(加藤淸正)과 회담을 가짐.
1544~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ㅣ인명>종교인>승려
-
사명산인(四溟山人) - 사진(謝榛)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인. 시가(詩歌)에 능했으며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여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ㆍ서중행(徐中行)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
1495~157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사무(士武) - 한사무(韓士武)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계희(韓繼禧)의 아들이고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한승정(韓承貞)의 아버지로, 한성부 판관(漢城府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사묵(士黙) - 안용(安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안승명(安承命)의 아들로, 1558년(명종 3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냄.
152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사문(士文)@이중호 - 이중호(李仲虎)@이공인의아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이공인(李公仁)의 아들이며, 동암(東巖) 이발(李潑)의 아버지로, 담양 부사(潭陽府使) 등을 지냄.
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사문(士文)@김사문 - 김사문(金士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김우(金佑)의 아들로, 1538년(중종 33) 별시(別試)에 급제한 후 원주 교수(原州敎授)가 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사문(士文) - 김예손(金禮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종묘서 봉사(宗廟署奉事)를 지낸 김세충(金世忠)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사문(士文)@이사문 - 이사문(李士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응교(應敎) 등을 지냈으며, 송응개(宋應漑)ㆍ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함.
1516~?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사문(思文) - 송응창(宋應昌)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장군. 병부 우시랑(兵部右侍郞)ㆍ대사마(大司馬)를 지내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경략 군문(經略軍門)으로 임명되어 제독 군무(提督軍務) 이여송(李如松) 등과 명군(明軍) 4만여 명을 이끌고 참전함.
1536~160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사문(斯文)@한사문 - 한사문(韓斯文)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계희(韓繼禧)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등을 지냄.
1446~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사문(斯文) - 진사문(陳斯文)
고려 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도첨의참리(都僉議參理)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사문명(姒文命)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사문백(士文伯) - 백하(伯瑕)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벼슬은 사공(司功)을 지냈고, 빈관(賓館)을 관장하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물(史勿) - 사천(泗川)
경상남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한려수도(閑麗水道)의 중심 기항지이며, 서부경남(西部慶南)의 관문(關門)임.
경상도>사천 , 지명>행정지명
-
사물(思勿) - 고상안(高尙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개성(開城). 강제(姜霽)의 문인으로, 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으며, 이덕형(李德馨)ㆍ이순신(李舜臣) 등과의 서사 기록(書事記錄)을 남김. 저서로 《태촌집(泰村集)》 등이 있음.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미(四美) - 이귀(李龜)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유학 이영우(李永祐)의 아버지. 무오(戊午)ㆍ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인 동생 이원(李黿)에게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재기용되어 장례원 판결사(掌隷院判決事) 등을 지냄.
1469~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사미(士美)@강사미 - 강사미(姜士美)
고려 정종(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양(晉陽). 추밀원사(樞密院使)ㆍ국자 좨주(國子祭酒)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사미(士美) - 김명언(金明彦)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윤원형(尹元衡)일파가 국정을 장악하자 외직으로 전전하면서 바른 정사와 청렴결백함으로 백성들에게 칭송을 받았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사미(士美)@박세호 - 박세호(朴世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 성암(省菴) 김효원(金孝元)과 종유(從遊)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사미(士美)@이수언 - 이수언(李粹彦)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손(李蓀)의 아들로, 성종 때 야인(野人)이 변경을 침범하자 허종(許琮)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전공을 세우고, 교리(校理) 등을 지냄.
1457~149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사미(士美)@윤홍언 - 윤홍언(尹弘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이조 참판(吏曹參判) 윤은필(尹殷弼)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예빈시 별좌(禮賓寺別坐)가 되고, 직장(直長)ㆍ전중(殿中) 등을 지냄.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사미(士美)@이휘 - 이휘(李徽)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은계군(銀溪君) 이말숙(李末叔)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으로서 서울을 수비함.
1533~159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사미당(四味堂) - 김극효(金克孝)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신천 군수(信川郡守)를 지낸 김생해(金生海)의 아들이며, 김상용(金尙容)과 김상헌(金尙憲)의 부친. 임당(林塘) 정유길(鄭惟吉)의 문하에서 수학했고,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지냄.
1542~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미옹(四味翁) - 김극효(金克孝)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신천 군수(信川郡守)를 지낸 김생해(金生海)의 아들이며, 김상용(金尙容)과 김상헌(金尙憲)의 부친. 임당(林塘) 정유길(鄭惟吉)의 문하에서 수학했고,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지냄.
1542~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미정(四美亭)@이귀 - 이귀(李龜)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유학 이영우(李永祐)의 아버지. 무오(戊午)ㆍ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인 동생 이원(李黿)에게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재기용되어 장례원 판결사(掌隷院判決事) 등을 지냄.
1469~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사미정(四美亭) - 박형달(朴亨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사미정(四美亭)@안함 - 안함(安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44년(중종 3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 때 파직되어 부친 안세형(安世亨)과 함께 유배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사민(士敏) - 권눌(權訥)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권호문(權好文)ㆍ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와룡산 아래 원광정사(遠光精舍)를 짓고 후진을 양성함.
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사민(士敏)@신희눌 - 신희눌(愼希訥)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된 후 명승지를 유람할 때, 서자적(徐自適)ㆍ박원량(朴元良)ㆍ최광한(崔光瀚)ㆍ공상린(孔祥麟)ㆍ박희량(朴希良)ㆍ박감(朴敢) 등과 함께 종유(從遊)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사민(士敏)@고손지 - 고손지(高遜志)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문신ㆍ문인. 《원사(元史)》를 편수함.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민(思閔) - 구사민(具思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통진 현감(行通津縣監)을 지낸 구순(具淳)의 아들. 1578년(선조 11)에 정구(鄭逑) 등과 함께 구현(九賢)의 한 사람으로 추천받아 현감(縣監)을 지내고, 이이(李珥)ㆍ홍가신(洪可臣)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하여 교유함.
1542~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사방(士防) - 임건(任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豐川). 임유겸(任由謙)의 아들이며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백(師伯) - 이사백(李師伯)
고려 후기의 인물.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그가 차(茶)를 보내준 데 대해 사례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사백(斯百) - 김석주(金錫胄)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김좌명(金佐明)의 아들. 외척으로 남인(南人)을 배척하는 데 앞장섰으며 숙종의 묘정에 배향됨.
1634~168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풍 , 인명>왕실>인척ㅣ인명>관인>문신
-
사벌(沙伐)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사벌국(沙伐國)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사범(師範) - 홍사범(洪師範)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문하시중(門下侍中) 홍언박(洪彦博)의 아들로,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등을 지냄. 명(明) 나라에 사신 갔다 오던 도중 익사함.
?~137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사병(四屛) - 이민각(李民覺)@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약빙(李若氷)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전라도에 파견되어 군량미 조달에 공을 세웠으며, 호조 참의(戶曹參議) 등을 지냄.
15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보(士保)@형사보 - 형사보(邢士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형건(邢健)의 아들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합천 군수(陜川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사보(士保) - 김상철(金尙喆)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김시혁(金始爀)의 아들로, 영의정 등을 지냄. 1770년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를 편찬하게 하고, 《신묘중광록(辛卯重光錄)》을 편집, 간행함.
1712~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보(思補) - 김중시(金仲始)
고려 후기의 문신. 사보(思補)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사복(師復) - 진복(陳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승상(丞相) 진준경(陳俊卿)의 아들로, 어려서는 주희(朱熹)에게 배웠고, 커서는 황간(黃幹)에게 배움. 직비각(直秘閣)의 벼슬을 지냄. 저술에 《논어주의(論語註義)》가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복(師服) - 유사복(劉師服)
중국 당(唐) 나라 때의 진사(進士). 한유(韓愈)의 시 〈석정연구(石鼎聯句)〉에 보임.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사복(思復) - 권사복(權思復)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정당문학(政堂文學) 백문보(白文寶)의 문인으로, 김구용(金九容)ㆍ이숭인(李崇仁)ㆍ이무방(李茂芳) 등과 동문(同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사복홀(沙伏忽) - 양성(陽城)
경기도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지금의 안성(安城) 지역에 해당하며 천덕산(天德山)과 남쪽의 백운산(白雲山) 사이에 자리잡고 있음.
경기도>양성 , 지명>행정지명
-
사봉(沙峯) - 강첨(姜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선조 때 사간(司諫)으로 있으면서 최영경(崔永慶)ㆍ정철(鄭澈) 등을 탄핵함.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ㆍ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59~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사부(士尃) - 이전지(李全之)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이맹상(李孟常)의 아들이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이예(李芮)의 아버지로, 첨지충추원사(僉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부(沙阜) - 사원(沙苑)
중국 섬서성(陝西省) 대려(大荔) 남부에 있는 마을 이름. 서위(西魏)의 우문태(宇文泰)가 고관(高觀)을 대파하고 나무 한 그루를 심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사부(謝傅) - 사안(謝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재상. 회계(會稽)의 동산(東山)에서 은거할 때 왕희지(王羲之) 등과 교유하고, 뒤늦게 벼슬하여 환온(桓溫)의 휘하에서 활약함. 재상이 되었을 때 전진(前秦)의 부견(符堅)이 대군을 이끌고 침입하자 이를 격파함.
320~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부고(四部稿) - 엄주산인사부고(弇州山人四部稿)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인 왕세정(王世貞)의 최초의 시문집. 부부(賦部)ㆍ시부(詩部)ㆍ문부(文部)ㆍ설부(說部)로 구성되어 있으며, 1577년 세경당(世經堂)에서 판각함.
1577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