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사북량(絲北良) - 손비장(孫比長)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수찬(藝文館修撰)) 등을 역임하였고,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세조실록(世祖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분(士昐) - 윤사분(尹士昐)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파평부원군(坡平府院君) 윤번(尹璠)의 아들이며, 세조비(世祖妃)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오빠. 문음(門蔭)으로 벼슬하여 우의정 등을 지냈으며,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됨.
1401~147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사비(思卑) - 이강(李岡)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아들로, 죽은 후 관례를 깨고 특별히 시호를 받았으며, 이색(李穡)의 《목은집(牧隱集)》에 그의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333~136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사비(泗沘) - 부여(扶餘)
충청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백제의 마지막 수도로서 소부리(所夫里) 혹은 사자(泗泚)ㆍ사비(泗沘)라고도 불림.
충청도>부여 , 지명>행정지명
-
사비수(泗沘水) - 백마강(白馬江)
충청남도 부여(夫餘) 부근을 흐르는 금강(錦江)의 하류(下流). 강의 왼쪽과 부소산(扶蘇山)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는 낙화암(落花巖)ㆍ조룡대(釣龍臺)ㆍ고란사(皐蘭寺) 등 백제(百濟)의 유적이 있음.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사비하(泗沘河) - 사자하(泗泚河)
충청남도 부여(扶餘)를 지나는 백마강의 이름.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사빈(士彬) - 김문행(金文行)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화음동주(華陰洞主) 김수증(金壽增)의 증손이며, 밀양 부사(密陽府使)를 지낸 김이탁(金履鐸)의 아버지. 좌승지(左承旨)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701~175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빈(士彬)@권사빈 - 권사빈(權士彬)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충재(冲齋) 권벌(權橃)의 아버지로,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49~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사빈(士斌) - 강자순(姜子順)
조선 제5대 문종(文宗)의 부마. 본관은 진주(晉州)로, 상호군(上護軍) 강휘(姜徽)의 아들. 문종의 딸 경숙옹주(敬淑翁主)와 혼인했으며, 성종(成宗) 때 황주 선위사(黃州宣慰使) 등을 지냄.
14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사빈(士濱) - 윤득관(尹得觀)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 윤근수(尹根壽)의 6대손. 어유봉(魚有鳳)의 문인(門人)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1773년(영조 49) 주육논란(朱陸論難) 등을 합편하여 《월정집(月汀集)》 별집(別集)을 간행함.
171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빈(泗濱) - 사천(泗川)
경상남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한려수도(閑麗水道)의 중심 기항지이며, 서부경남(西部慶南)의 관문(關門)임.
경상도>사천 , 지명>행정지명
-
사빈(泗濱)@이정 - 이정(李楨)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어려서는 규암(圭菴) 송인수(宋麟壽)로부터 배우고 성장한 뒤에는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홍문관 부제학에 제수되었으나 사천(泗川)에 구암정사(龜巖精舍)를 짓고 후진양성에 힘씀.
1512~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빈사(泗濱祠) - 사빈서원(泗濱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김진(金璡)ㆍ김극일(金克一)ㆍ김명일(金明一)ㆍ김성일(金誠一)ㆍ김복일(金復一)을 배향함.
168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사사(士思) - 고헌지(顧憲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양(梁) 나라의 문신. 진남장군(鎭南將軍) 고개지(顧愷之)의 손자. 건강령(建康令)으로 있을 때 소도둑이 있었는데, 소를 풀어 가는 대로 두게 하니 다시 주인에게 돌아가서 도둑에게 벌을 주었다고 함.
436~50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사후(泗水候) - 공리(孔鯉)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아들이며, 공급(孔伋)의 아버지. 송(宋) 나라 때 문묘(文廟)에 종사됨.
B.C.532~B.C.48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사산(斜山) - 직산(稷山)
충청도 천안(天安) 직산면(稷山面) 일대 지역의 옛 이름.
충청도>직산 , 지명>행정지명
-
사산(蛇山) - 직산(稷山)
충청도 천안(天安) 직산면(稷山面) 일대 지역의 옛 이름.
충청도>직산 , 지명>행정지명
-
사산군(蛇山君) - 이호(李灝)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손자이며, 의창군(義昌君) 이강(李玒)의 아들. 효행이 지극하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문집이 있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고 있음.
1442~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사산노포(梭山老圃) - 육구소(陸九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육구연(陸九淵)의 형으로, 사산(梭山)에 거처를 마련하여 강학(講學)에 전념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사산동(沙山洞) - 사기곡(沙己谷)
경상북도 상주(尙州)에 속했던 마을 이름. 성종(成宗) 때의 문신 표연말(表沿沫)의 묘(墓)가 있음.
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사상(士尙) - 강사상(姜士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강온(姜溫)의 아들. 1568년(선조 1) 조광조(趙光祖)의 신원과 추숭을 건의했으며, 이조 판서ㆍ한성부 판윤ㆍ우의정 등을 지냄.
1519~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상(沙相)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사상(泗上) - 사천(泗川)
경상남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한려수도(閑麗水道)의 중심 기항지이며, 서부경남(西部慶南)의 관문(關門)임.
경상도>사천 , 지명>행정지명
-
상평(向平) - 상장(向長)
중국 후한(後漢) 때의 은자.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면서 《노자(老子)》와 《역경(易經)》에 정통하였고, 늙어서는 북해(北海)의 금경(禽慶)과 함께 오악(五嶽)의 명산을 두루 유람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상평(尙平) - 상장(向長)
중국 후한(後漢) 때의 은자.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면서 《노자(老子)》와 《역경(易經)》에 정통하였고, 늙어서는 북해(北海)의 금경(禽慶)과 함께 오악(五嶽)의 명산을 두루 유람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상평부원군(商平府院君) - 황사간(黃士幹)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상산군(商山君) 황효원(黃孝源)의 아버지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상하(尙夏) - 권상하(權尙夏)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ㆍ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이이(李珥)를 조종(祖宗)으로 하여 송시열에게 계승된 기호학파(畿湖學派)를 이끎.
1641~17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상해(象解)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상헌(尙憲) - 김상헌(金尙憲)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서인 청서파(淸西派)의 영수이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끝까지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함. 효종이 즉위해 북벌을 추진할 때 그 이념적 상징으로 ‘대로(大老)’라고 존경을 받음.
1570~165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경기도>양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헌(常軒) - 안진(安震)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이제현(李齊賢) 등과 더불어 충렬왕(忠烈王)ㆍ충선왕(忠善王)ㆍ충숙왕 3조(朝)의 실록을 찬수하고, 공민왕 즉위 후 조일신(趙日新)의 일파가 되어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냄.
?~136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상헌(橡軒) - 안정복(安鼎福)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익(李瀷)의 문인으로, 실학(實學)을 연구하여 역사지리학(歷史地理學)을 세밀히 고증한 《동사강목(東史綱目)》을 저술함.
1712~179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현(尙顯) - 심상현(沈尙顯)
조선 영조(英祖) 때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8대조 심언광(沈彦光)의 시호(諡號)를 청함.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상현(象賢) - 송상현(宋象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화 현감(松禾縣監) 송복흥(宋復興)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동래 부사(東萊府使)로서 항전하다가 순직함.
1551~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무신
-
상현사(象賢祠) - 상현서원(象賢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충청도 보은(報恩)에 건립한 서원. 1555년(명종 10) 성제원(成悌元)이 충암(沖庵) 김정(金淨)을 향사하기 위해 건립했으며, 1610년(광해군 2) 사액(賜額)됨. 성운(成運)ㆍ송시열(宋時烈)ㆍ조헌(趙憲) 등을 추배함.
155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유적>건물>서원,향교
-
상형(相衡) - 이상형(李相衡)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대제학(大提學) 이돈우(李敦宇)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상호(商浩)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상호(商皓)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상화(尙和) - 박숭원(朴崇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여 선조로부터 보검(寶劍)을 하사받고 도승지를 거쳐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에 올랐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2~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환(尙桓) - 한상환(韓尙桓)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수(韓脩)의 맏아들로, 상의의정부사(商議議政府事) 등을 역임함. 간관(諫官)으로 있을 때 군대를 강하게 하고 식량을 풍족하게 하는 내용을 주장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새(璽) - 김새(金璽)
조선 전기의 유학. 《성암집(省菴集)》에 김효원(金孝元)과 주고받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색(穡) - 유색(柳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유영립(柳永立)의 아들. 근친인 소북(小北)의 영수 유영경(柳永慶)이 전랑(銓郞)에 추천하였으나 사양하였으며,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재임 시절 권신 한계남(韓繼男)을 탄핵함.
1561~16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색(穡)@이색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색암(嗇庵) - 이세옥(李世玉)
조선 전기의 유학. 자신의 저서인 《색암유고(嗇庵遺稿)》에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당한 이자(李耔)의 행적을 수록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색암(嗇菴) - 고손지(高遜志)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문신ㆍ문인. 《원사(元史)》를 편수함.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생(生) - 김생(金生)
통일신라의 서예가. 일생을 서예에 바쳤으며, 예서(隸書)ㆍ행서(行書)ㆍ초서(草書)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서성(書聖)’이라 불림.
711~?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충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생간(甥榦) - 황간(黃榦)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이자 사위. 지안경부(知安慶府) 등을 지냈으며 양담계(陽潭溪)에서 담계정사(潭溪精舍)를 세워 저술활동과 후진교육에 힘씀.
1152~122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생량(省良) - 곤양(昆陽)
경상남도 사천(泗川)ㆍ하동(河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상도>곤양 , 지명>행정지명
-
생명(生溟) - 김생명(金生溟)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을사사화(乙巳士禍) 후 사직하고 학문연구에만 몰두함.
1504~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문신
-
생옹(眚翁) - 소상(蘇庠)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학자. 소식(蘇軾)이 그를 이백(李白)에 비유할 만큼 시(詩)로 명성을 떨침. 고종(高宗) 때 여러 차례 부름을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여산(廬山)에 은거함.
1065~114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생천군(狌川郡) - 낭천(狼川)
강원도 화천(華川)에 있는 옛 고을 이름.
강원도>낭천 , 지명>행정지명
-
생해(生海) - 김생해(金生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평양부 서윤(庶尹)을 지낸 김번(金璠)의 아들. 1537년(중종 32) 진사시에 입격하여 신천 군수(信川郡守)를 역임하였고,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추증됨.
1512~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서(㥠) - 임서(林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으로, 임복(林復)의 아들. 이괄(李适)의 난 때 공을 세워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르고,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1570~162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서(徐) - 이서(李徐)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일곱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서(恕) - 홍서(洪恕)
고려 말~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사범(洪師範)의 아들로, 고려 말에 대호군(大護軍)을 지냄. 조선 태종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전라도 병마도절제사(全羅道兵馬都節制使)로 파견되어 왜구를 소탕함.
?~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서(恕)@왕서 - 왕서(王恕)
고려 제20대 신종(神宗)의 아들. 제21대 희종(熙宗)의 아우이며, 공양왕(恭讓王)의 6대조. 희종이 폐위될 때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교동현(喬洞縣)으로 쫒겨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동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서(敍) - 정서(鄭敍)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정항(鄭沆)의 아들이며, 인종의 비(妃)인 공예태후(恭睿太后)의 동생의 남편. 의종(毅宗) 때 참소를 받아 동래(東萊)ㆍ거제(巨濟)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서(曙) - 이서(李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사공신(靖社功臣)에 봉해지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종하여 남한산성에서 죽음.
1580~163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서(曙)@엄서 - 엄서(嚴曙)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의 아우로, 1543년(중종 38년)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11~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서(曙)@이서 - 덕원군(德源君)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 근빈박씨(謹嬪朴氏)의 소생으로, 남이(南怡)의 옥사(獄事)를 다스린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소전 제조(文昭殿提調) 등을 지냄. 김종직(金宗直)을 벗삼아 이학(理學)에 종사함.
1449~14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서(湑)@최서 - 최서(崔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로, 위원 군수(渭原郡守)를 지낸 최여우(崔汝雨)의 아들. 양포(楊浦) 최전(崔澱)의 형으로, 함께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나 요절(夭折)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서(湑) - 김서(金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효자로 이름 높은 김극일(金克一)의 아버지로, 의흥 현감(義興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서(湑)@조서 - 조서(曺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의릉 참봉(義陵參奉)을 지낸 조은손(曺銀孫)의 아들로, 문신인 송사침(宋士琛)ㆍ노수신(盧守愼)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서(瑞)@황서 - 황서(黃瑞)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로,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백문보(白文寶)의 장인. 첨의평리(僉議評理)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서(瑞)@조서 - 조서(趙瑞)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조인규(趙仁規)의 아들.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파견되었을 때 안길왕(安吉王) 야아길니(也兒吉尼)에게 딸을 혼인시킴.
?~1313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서(瑞)@신서 - 신서(申瑞)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그가 문경(聞慶)에 부임할 때 신응시(辛應時)가 지은 이별의 시가 《백록유고(白麓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서(瑞) - 송서(宋瑞)
고려 공민왕(恭愍王)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분(宋玢)의 아들로, 조일신(趙日新)이 인사를 천단할 때 우정승(右政丞)을 지냄.
?~135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서(瑞)@강서 - 강서(姜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수의부위(修義副尉)를 지낸 강세응(姜世應)의 아들. 효행으로 정려각(旌閭閣)이 세워짐.
1510~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서(緖) - 강서(姜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지감(知鑑)이 있어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와 임진왜란이 일어날 것을 예고함.
1538~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서(緖)@김서 - 김서(金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대흥 현감(大興縣監)을 지낸 김계문(金季文)의 아들. 자암(自庵) 김구(金絿)의 동생으로, 영평 현령(永平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서(舒) - 이서(李舒)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홍주(洪州). 고려 우왕(禑王) 때 6년간의 여묘살이로 정문(旌門)을 받았으며,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332~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사(徐^謝) - 사^서(謝^徐)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사용재(謝用梓)와 무신 서일관(徐一貫)을 함께 부르는 말. 임진왜란 때 소서행장(小西行長)을 회유하기 위해 함께 왜군에 파견됨.
중국>명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서가(恕可) - 송세충(宋世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심원(李深源)의 문인(門人)으로,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를 거쳐 경상도 도사(慶尙道都事) 등을 역임함.
1468~152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서가구(徐可久) - 서경덕(徐敬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독자적인 기철학(氣哲學)의 체계를 완성하여,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
148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서가시자(西家施子) - 서시(西施)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越) 나라의 미인.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오왕(吳王) 부차(夫差)를 현혹하기 위해 바친 두 미인 중의 하나로, 부차는 그의 미모에 사로잡혀 정사를 게을리하다가 마침내 월 나라에 패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서간(西澗) - 이제민(李齊閔)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신군(永新君) 이이(李怡)의 손자로,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며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오름.
1528~16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서간거사(西磵居士) - 유환(劉渙)
중국 송(宋) 인종(仁宗) 때의 문신. 영상령(潁上令)을 지냈으나 강직한 성품으로 인해 상관을 섬기지 못하고 물러나 여산(廬山)에 은거함. 구양수(歐陽脩)가 〈여산고(廬山高)〉를 지어 그의 절개를 찬미함.
1000~108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간노인(西澗老人) - 이제민(李齊閔)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신군(永新君) 이이(李怡)의 손자로,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며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오름.
1528~16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서간노인(西磵老人) - 김상헌(金尙憲)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서인 청서파(淸西派)의 영수이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끝까지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함. 효종이 즉위해 북벌을 추진할 때 그 이념적 상징으로 ‘대로(大老)’라고 존경을 받음.
1570~165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경기도>양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간병수(西澗病叟)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간옹(西澗翁)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강(瑞康) - 조서강(趙瑞康)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배천(白川).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조반(趙胖)의 아들. 《태종실록(太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고,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44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서객전(書客傳) - 산당서객전(山堂書客傳)
조선 전기 학자 최충성(崔忠成)의 《산당집(山堂集)》에 실려 있는 전기(傳記). 최충성이 성종(成宗) 때 과거에 낙방한 후 지은 자전적(自傳的)인 글.
1488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서격사한(書檄詞翰) - 차천로(車天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낸 차식(車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한시(漢詩)에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최립(崔岦)의 문장과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이라 불림.
1556~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서경(恕卿) - 한충(韓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주부(主簿) 한창유(韓昌愈)의 아들. 종계변무(宗系辨誣) 주청사(奏請使) 남곤(南袞)의 서장관(書狀官)이었으나 남곤의 미움을 받게 됨.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죽음.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서경(瑞卿)@안수 - 안수(安璲)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처명(安處明)의 아들로, 1549(명종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등을 지냄.
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서경(瑞卿)@신수린 - 신수린(申壽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중종(中宗) 때 영의정을 지낸 성희안(成希顔)의 매제(妹弟).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77~154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서경(瑞卿) - 민귀손(閔龜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민제인(閔齊仁)의 아버지. 이정은(李貞恩)ㆍ심정(沈貞) 등과 종유(從遊)하였고, 김굉필(金宏弼)에게 사사(師事)하였음.
1464~152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서경(筮卿) - 민시원(閔蓍元)
조선 전기의 유학. 온계(溫溪) 이해(李瀣)와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큰 형인 충순위(忠順衛) 이잠(李潛)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서경(西京) - 장안(長安)
중국 섬서성(陝西省) 서안(西安) 서북부에 위치한 옛 도읍 이름. 중국 서주(西周)ㆍ진(秦)ㆍ전한(前漢)ㆍ수(隋)ㆍ당(唐) 나라 등 11개 왕조가 도읍했던 중국 제1의 고도(古都).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서경(西京)@낙양 - 낙양(洛陽)
중국 하남성(河南省) 서부의 낙수(洛水) 유역에 위치한 도시 이름. 주(周)ㆍ후한(後漢)ㆍ삼국(三國) 등의 고도(古都)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서경(西坰) - 유근(柳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시문에 뛰어남.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하고,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와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됨.
1549~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경거사(西坰居士) - 유근(柳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시문에 뛰어남.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하고,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와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됨.
1549~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경대동부(西京大同府) - 운주(雲州)
중국 산서성(山西省) 대동시(大同市)의 옛 이름. 서한(西漢) 때 처음 설치되고 북위(北魏) 때의 도읍지이며, 오대(五代) 때에는 연운십육주(燕雲十六州)에 포함되어 요(遼) 나라에 할양됨. 예로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서경주소(書經註疏) - 상서주소(尙書註疏)
중국 남송(南宋) 때 간행한 《상서(尙書)》의 주석서. 20권. 십삼경주소(十三經註疏)의 하나로, 전한(前漢) 공안국(孔安國)의 전(傳)을 주(註)로 삼고, 당(唐) 나라 공영달(孔穎達)의 《상서정의(尙書正義)》를 소(疏)로 삼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경집주(書經集注) - 서경집전(書經集傳)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채침(蔡沈)이 편찬한 《상서(尙書)》의 주해서(註解書). 6권. 저자가 스승인 주희(朱熹)의 명을 받아 편찬하였으며, 1313년에 과거(科擧)의 기본서로 정해져 세상에 널리 유통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경집주(書經集註) - 서경집전(書經集傳)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채침(蔡沈)이 편찬한 《상서(尙書)》의 주해서(註解書). 6권. 저자가 스승인 주희(朱熹)의 명을 받아 편찬하였으며, 1313년에 과거(科擧)의 기본서로 정해져 세상에 널리 유통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계(西溪)@박태무 - 박태무(朴泰茂)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태안(泰安). 박창윤(朴昌潤)의 아들로, 하정(河瀞)의 문인.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군량을 지원하고 가정(家丁)을 동원하여 창의(倡義)에 힘씀. 남명(南冥) 학문의 계승과 선양에 공헌함.
1677~17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서계(西溪)@선우추 - 선우추(鮮于樞)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서예가. 태상시 전부(太常寺典簿) 등을 지냈으며, 시문(詩文)과 서화(書畫)에 뛰어났는데, 특히 초서(草書)에 능하였음.
1246~1302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서계(西溪)@정세호 - 정세호(鄭世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정상조(鄭尙祖)의 아들이며, 선조(宣祖)의 외할아버지. 국고물(國庫物)의 도절범으로부터 뇌물을 받고 죄과를 눈감아주는 등 비루한 행동이 많아 양사로부터 탄핵을 받았으나,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오름.
1486~15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서계(西溪)@이득윤 - 이득윤(李得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ㆍ음악가. 본관은 경주(慶州). 괴산 군수(槐山郡守) 등을 지내고, 김장생(金長生) 등과 서신으로 역학과 음악을 토론함. 거문고 악보인 《현금동문유기(玄琴東文類記)》를 지음.
1553~163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