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서계(西溪) - 남추(南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몰려 남곤(南袞)에 의해 추방된 뒤 영광(靈光)으로 내려가 시작(詩作)으로 여생을 마침.
1499~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ㅣ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문신
-
서계(西溪)@김담수 - 김담수(金聃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이조 정랑(吏曹正郞) 김정룡(金廷龍)의 아버지.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했으나 건강으로 과거를 포기하고 경전공부에 정진함. 저서로 《서계일고(西溪逸稿)》가 있음.
1535~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
-
서계(西溪)@박세당 - 박세당(朴世堂)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이조 참판 박정(朴炡)의 아들. 실학자로서 농촌생활에 토대를 둔 박물학(博物學)의 학풍을 이룩하였으며, 《사변록(思辨錄)》을 저술하여 주자학(朱子學)을 비판함.
1629~1703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전라도>남원ㅣ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계(西溪)@유식 - 유식(柳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참판(參判)을 지낸 유윤덕(柳潤德)의 아버지로,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인천 부사(仁川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서계(西谿) - 방곡(坊谷)
경상도 함양(咸陽)에 있는 계곡 이름. 전라도 운봉(雲峯)의 팔량현(八良峴)에서 발원(發源)하며, 김종직(金宗直)이 서계(西谿)로 이름을 고침.
경상도>함양 , 지명>자연지명
-
서계선생집(西溪先生集) - 서계집(西溪集)@박세당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세당(朴世堂)의 문집. 16권 8책. 목판본. 문인 이탄(李坦)ㆍ이덕수(李德壽)와 손자 박필기(朴弼基) 등이 편찬 간행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서계자(西溪子) - 선우추(鮮于樞)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서예가. 태상시 전부(太常寺典簿) 등을 지냈으며, 시문(詩文)과 서화(書畫)에 뛰어났는데, 특히 초서(草書)에 능하였음.
1246~1302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서계초수(西溪樵叟) - 박세당(朴世堂)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이조 참판 박정(朴炡)의 아들. 실학자로서 농촌생활에 토대를 둔 박물학(博物學)의 학풍을 이룩하였으며, 《사변록(思辨錄)》을 저술하여 주자학(朱子學)을 비판함.
1629~1703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전라도>남원ㅣ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고(徐誥) - 열조(烈祖)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남당(南唐)의 초대 황제. 재위 937~943. 오(吳) 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실권자였던 서온(徐溫)의 양자로, 예제(睿帝)를 몰아내고 양위 받아 황제로 즉위함. 화북(華北)의 오대(五代) 왕조에 대해서도 대등함을 주장함.
888~943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서고(西皐) - 유언술(兪彦述)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유복기(兪復基)의 아들. 직간(直諫)을 잘하여 영조에게 인정받았으며,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703~17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서고(誓誥)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서고청(徐孤靑) - 서기(徐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이천(利川).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 이지함(李之菡)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 이소재(履素齋)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1523~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서관(墅觀) - 봉석주(奉石柱)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하음(河陰). 계유정난 때의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를 지냈으나, 탐욕스럽고 포악한 성품으로 여러 차례 탄핵을 받음.
?~14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서교(西郊) - 송찬(宋贊)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 《중종실록(中宗實錄)》ㆍ《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진위사(陳慰使)와 진하사(進賀使)로 두 차례에 걸쳐 명(明) 나라에 다녀옴.
1510~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서국(瑞國) - 안정(安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낸 안처선(安處善)의 아들.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곤양(昆陽)으로 유배되었다가 사면되었으며, 특히 그림에 뛰어나 매화와 대나무를 잘 그렸음.
149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서국왕(西國王)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서궁(西宮) - 인목왕후(仁穆王后)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계비(繼妃). 1602년(선조 35)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1617년(광해군 9)에 삭호(削號)당하고 서궁(西宮)에 유폐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복호(復號)됨.
1584~163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서귀(瑞龜)@한서귀 - 한서귀(韓瑞龜)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한승순(韓承舜)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협력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서귀(瑞龜) - 박서귀(朴瑞龜)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창도(朴昌道)의 아들로, 교수(敎授)를 역임함.
1546~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서균(徐勻) - 서균(徐鈞)
고려 성종(成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서희(徐熙)의 증손(曾孫)으로, 판장작감사(判將作監事) 등을 역임함.
1060~113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서김해(徐金海) - 서예원(徐禮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이천(利川).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내고 진주 목사(晉州牧使)로 있다가 왜적(倭敵)이 침입(侵入)하여 성(城)이 함락되면서 순절(殉節)함.
?~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무신
-
서나(徐那) - 신라(新羅)
B.C. 1세기경에 영남(嶺南) 지방에서 일어나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고대국가의 하나. 혁거세(赫居世)부터 경순왕(敬順王)까지 56대 992년간 존속.
B.C.57~A.D.935 한국>신라 , 시간>국명
-
서나벌(徐那伐) - 신라(新羅)
B.C. 1세기경에 영남(嶺南) 지방에서 일어나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고대국가의 하나. 혁거세(赫居世)부터 경순왕(敬順王)까지 56대 992년간 존속.
B.C.57~A.D.935 한국>신라 , 시간>국명
-
서다산(西多山) - 마이산(馬耳山)
전라도 진안(鎭安) 남쪽에 있는 산 이름. 두 개의 암봉(岩峰)으로 이루어진 산으로, 동봉(東峰)과 서봉(西峰)의 모양이 말의 귀처럼 생겼다 하여 마이산(馬耳山)이라는 이름이 붙음.
전라도>진안 , 지명>자연지명
-
서담(西潭)@황진 - 황진(黃璡)@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주 목사(義州牧使)로 선조를 잘 공궤(供饋)하여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승계되고, 주청사(奏請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진병(進兵)ㆍ철병(撤兵) 등을 요청함.
1542~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서담(西潭) - 이달(李達)@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시인. 본관은 신평(新平). 최경창(崔慶昌)ㆍ백광훈(白光勳)과 어울리며 시사(詩社)를 결성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 일컬어짐. 제자 허균(許筠)이 그의 전기(傳記)인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을 지음.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문인
-
서담자(西潭子) - 이달(李達)@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시인. 본관은 신평(新平). 최경창(崔慶昌)ㆍ백광훈(白光勳)과 어울리며 시사(詩社)를 결성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 일컬어짐. 제자 허균(許筠)이 그의 전기(傳記)인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을 지음.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문인
-
서당(書堂) - 독서당(讀書堂)
조선 성종(成宗) 때 국가의 중요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세운 전문 독서연구 기구. 1426년(세종 8) 문장이 뛰어난 집현전(集賢殿) 관리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하게 한 사가독서제(賜暇讀書制)로부터 비롯되어, 1492년(성종 23) 서거정(徐居正)의 주청으로 상설국가기구로 설치됨.
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청
-
서당(西堂) - 지장(智藏)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도일(道一)의 문하에 들어가 중국 선불교(禪佛敎)의 법맥(法脈)을 이음.
735~814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서당노인(西塘老人) - 정협(鄭俠)
중국 송(宋) 나라 영종(英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가뭄이 들어 유민(流民)들이 도로에 가득하게 되자, 이 참상(慘狀)을 유민도(流民圖)에 그려 올림으로써 신종(神宗)으로 하여금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을 혁파하고 유민을 구제하게 함.
1041~111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대(西臺) - 김충(金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산(商山). 호조 정랑(戶曹正郞)ㆍ교감(校勘)ㆍ선공감 정(繕工監正) 등을 지내고, 《서대이문록(西臺異聞錄)》을 지음.
1513~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서대로(徐大老) - 서태수(徐台壽)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문인으로,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증서대로(贈徐大老)〉라는 시가 《하서전집(河西全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서대문(西大門) - 돈의문(敦義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서울 성곽의 사대문(四大門) 가운데 서쪽 성문. 지금의 서울 종로구 신문로에 있었으나 1915년 일제의 도시 계획에 따른 도로 확장으로 철거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서대상공(犀帶相公)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서도(西都)@호경 - 호경(鎬京)
중국 섬서성(陝西省) 장안현(長安縣) 서북쪽에 있던 고대 도시 이름. 주(周) 무왕(武王)이 즉위한 후 풍(豐) 땅에서 이곳으로 천도하였으며, 낙읍(洛邑)과 함께 서주(西周)시대의 양대 도성(兩大都城)으로 일컬어짐.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서도(西都) - 장안(長安)
중국 섬서성(陝西省) 서안(西安) 서북부에 위치한 옛 도읍 이름. 중국 서주(西周)ㆍ진(秦)ㆍ전한(前漢)ㆍ수(隋)ㆍ당(唐) 나라 등 11개 왕조가 도읍했던 중국 제1의 고도(古都).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서돈(西墩) - 심대(沈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호종하여 의주로 수행하였으며, 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가 되어 남하하다가 삭녕(朔寧)에서 왜적의 기습을 받아 전사함.
1546~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서동(暑童) - 무왕(武王)@백제
백제 제30대 왕. 재위 600~641. 법왕(法王)의 아들이며, 의자왕(義慈王)의 아버지. 즉위 후 신라를 자주 공격하는 한편 고구려의 남진(南進)을 견제하였으며, 정복전쟁을 통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대규모 토목공사를 일으킴.
?~641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서동년(徐同年) - 서응회(徐應會)
조선 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이 지은 〈차기서동년(次寄徐同年)〉이라는 시가 《송암집(松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서라(徐羅) - 신라(新羅)
B.C. 1세기경에 영남(嶺南) 지방에서 일어나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고대국가의 하나. 혁거세(赫居世)부터 경순왕(敬順王)까지 56대 992년간 존속.
B.C.57~A.D.935 한국>신라 , 시간>국명
-
서라벌(徐伐羅) - 신라(新羅)
B.C. 1세기경에 영남(嶺南) 지방에서 일어나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고대국가의 하나. 혁거세(赫居世)부터 경순왕(敬順王)까지 56대 992년간 존속.
B.C.57~A.D.935 한국>신라 , 시간>국명
-
서락(西洛) - 낙양(洛陽)
중국 하남성(河南省) 서부의 낙수(洛水) 유역에 위치한 도시 이름. 주(周)ㆍ후한(後漢)ㆍ삼국(三國) 등의 고도(古都)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서랑(徐郞) - 서정경(徐禎卿)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인. 한위(漢魏)와 성당(盛唐)의 시풍을 이어 고아(古雅)한 풍격의 시를 지음. 명 나라 전칠자(前七子) 중의 한 사람.
1479~151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서령(瑞寧) - 서산(瑞山)
충청남도 서북단에 있는 고을 이름. 지금의 서산시(瑞山市) 대산읍(大山邑) 일원에 해당함.
충청도>서산 , 지명>행정지명
-
서령군(瑞寧君)@유숙 - 유숙(柳淑)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기철(奇轍) 일당을 제거한 공으로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고, 홍건적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충근절의찬화공신(忠勤節義贊化功臣)이 된 뒤 서령군(瑞寧君)에 봉해짐.
1324~136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덕산ㅣ전라도>영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령군(瑞寧君) - 유기(柳沂)@유후의아들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이방원(李芳遠)이 방간(芳幹)의 난을 평정하고 왕위에 오르는 데 협력하여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민무구(閔無垢)ㆍ민무질(閔無疾)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ㆍ처형됨.
?~14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령부원군(瑞寧府院君)@정인홍 - 정인홍(鄭仁弘)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산(瑞山). 조식(曺植)의 수제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광해군 때 영의정으로서 대북(大北)을 영도하여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야기시켰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참형됨.
1536~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령부원군(瑞寧府院君)@유숙 - 유숙(柳淑)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기철(奇轍) 일당을 제거한 공으로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고, 홍건적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충근절의찬화공신(忠勤節義贊化功臣)이 된 뒤 서령군(瑞寧君)에 봉해짐.
1324~136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덕산ㅣ전라도>영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령부원군(瑞寧府院君) - 유기(柳沂)@유후의아들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이방원(李芳遠)이 방간(芳幹)의 난을 평정하고 왕위에 오르는 데 협력하여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민무구(閔無垢)ㆍ민무질(閔無疾)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ㆍ처형됨.
?~14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령부원군(瑞寧府院君)@유성간 - 유성간(柳成澗)
고려 원종(元宗) 때의 문신. 한림학사(翰林學士) 유순(柳淳)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ㆍ영의정(領議政)을 지냄. 서산유씨(瑞山柳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서로(瑞老) - 이귀수(李龜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한 번째 서자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서룡(瑞龍) - 남서룡(南瑞龍)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양(英陽). 1522년(중종 1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주세붕(周世鵬)이 차운(次韻)한 시가 실려 있음.
1496~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서릉군(西陵君)@한치례 - 한치례(韓致禮)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ㆍ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한확(韓確)의 아들로, 성종(成宗)의 외숙. 무과(武科)에 급제했으나 문무를 겸비하여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된 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참찬(左參贊)ㆍ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등을 지냄.
1441~149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서릉군(西陵君) - 이섬(李銛)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첫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서릉부원군(西陵府院君) - 한치례(韓致禮)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ㆍ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한확(韓確)의 아들로, 성종(成宗)의 외숙. 무과(武科)에 급제했으나 문무를 겸비하여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된 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참찬(左參贊)ㆍ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등을 지냄.
1441~149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서릉수(西陵守) - 이섬(李銛)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첫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서린(瑞鱗) - 반서린(潘瑞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반강(潘岡)의 아들로,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6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서린(瑞麟)@박서린 - 박서린(朴瑞麟)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된 박창도(朴昌道)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서린(瑞麟) - 공서린(孔瑞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김굉필(金宏弼)의 문하생으로 조광조(趙光祖)와 친교를 맺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투옥되었다가 풀려남.
1483~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서림(瑞琳) - 최서림(崔瑞琳)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통덕랑(通德郞) 최윤성(崔胤聖)의 아들이며 김집(金集)의 문인. 1662년(현종 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공릉 참봉(恭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후진 교육에 힘씀.
1632~16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서림(西林) - 서천(舒川)
충청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지금의 서천군(舒川郡)은 조선시대의 서천ㆍ한산(韓山)ㆍ비인(庇仁)의 세 고을이 합하여 이루어짐.
충청도>서천 , 지명>행정지명
-
서림정(西林正) - 이제(李怟)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맏아들인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서만사(徐晩沙) - 서경우(徐景雨)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서성(徐渻)의 아들로, 형조 판서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573~16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명도(西銘圖)@서명사천도 - 서명사천도(西銘事天圖)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인후(金麟厚)의 저서. 1557년(명종 12)에 저술되었으나 화재로 소실되어 전하지 않음.
1557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서명산인(西溟散人) - 황윤석(黃胤錫)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으로, 종래의 이학(理學)과 서구 지식의 조화를 시도함. 《이재유고(頤齋遺藁)》에 실린 운학(韻學)에 대한 연구는 국어학사의 연구대상이 됨.
1729~17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모(西母) - 서왕모(西王母)
중국 고대 전설상의 선녀. 《산해경(山海經)》에서는 곤륜산(崑崙山)에 사는, 사람 얼굴에 표범 꼬리와 호랑이 이빨을 가진 신인(神人)이라고 하였으나, 일반적으로 불사약(不死藥)을 가지고 있는 선녀로 전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서목(徐牧) - 서예원(徐禮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이천(利川).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내고 진주 목사(晉州牧使)로 있다가 왜적(倭敵)이 침입(侵入)하여 성(城)이 함락되면서 순절(殉節)함.
?~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무신
-
서문(瑞文) - 백현룡(白見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이황(李滉)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적을 무찌름.
1543~16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학자
-
서문중(徐文仲) - 서기(徐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이천(利川).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 이지함(李之菡)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 이소재(履素齋)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1523~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서미옹(胥靡翁) - 부열(傅說)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명재상. 부암(傅巖)에서 노역을 하다가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룸.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반관계(西班官階) - 무산계(武散階)
고려와 조선시대 관원(官員)들의 위계 제도(位階制度)의 하나. 고려시대에는 탐라(耽羅)의 왕족, 여진(女眞)의 추장, 향리(鄕吏), 노병(老兵), 공장(工匠), 악인(樂人) 등에게, 조선시대에는 무반(武班)에게 각각 지급하던 관계(官階)임.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제도
-
서백(恕伯) - 구충연(具忠淵)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구징(具徵)의 아들로 도사(都事)ㆍ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서백(瑞伯) - 유몽사(柳夢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를 지낸 유탱(柳樘)의 아들로, 선공감 감역(繕工監監役)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선천(宣川)으로 양곡을 운송한 공로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38~161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백(西伯)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서벌(徐伐) - 신라(新羅)
B.C. 1세기경에 영남(嶺南) 지방에서 일어나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고대국가의 하나. 혁거세(赫居世)부터 경순왕(敬順王)까지 56대 992년간 존속.
B.C.57~A.D.935 한국>신라 , 시간>국명
-
서병(西屛) - 서취병산(西翠屛山)
경상북도 안동(安東)에 있는 산 이름. 도산(陶山)의 오른쪽에 있는 영지산(靈芝山)의 지류이며, 도산 왼쪽에는 청량산(淸涼山)의 지류인 동취병산(東翠屛山)이 있음.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서복재(徐復齋) - 서경덕(徐敬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독자적인 기철학(氣哲學)의 체계를 완성하여,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
148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서봉(西峯) - 유우(柳藕)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스승 김굉필(金宏弼)이 죽자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과 교육에 전심함. 《주역(周易)》에 정밀하고, 천문ㆍ복서(卜筮)ㆍ음률ㆍ서화에도 정통함.
1473~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서부(西阜) - 송귀수(宋龜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세량(宋世良)의 아들로, 효도와 우애가 깊었으며, 음서(蔭敍)로 종묘서 봉사(宗廟署奉事) 등을 역임함.
1497~153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서부부군(西阜府君) - 송귀수(宋龜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세량(宋世良)의 아들로, 효도와 우애가 깊었으며, 음서(蔭敍)로 종묘서 봉사(宗廟署奉事) 등을 역임함.
1497~153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서불(徐巿) - 서복(徐福)
중국 진(秦) 나라의 방사(方士). 진시황(秦始皇)의 명을 받고 삼신산(三神山)의 불사약(不死藥)을 구하러 떠나 일본으로 갔다고 함.
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서사원(徐斯遠) - 서문경(徐文卿)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인. 주희(朱熹)의 문하생으로, 조번(趙蕃)ㆍ한표(韓淲)와 명성을 나란히 하였고, 저서로 《소추시집(蕭秋詩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서산(西山)@수양산 - 수양산(首陽山)@중국
중국 산서성(山西省) 서남쪽에 있는 산 이름. 고죽국(孤竹國)의 백이(伯夷)ㆍ숙제(叔齊) 형제가 절의(節義)를 지키다가 굶어 죽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서산(西山)@이상의 - 이상의(李尙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임진왜란 때 광해군(光海君)을 호위한 위성공신(衛聖功臣)으로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에 봉해짐. 인조반정으로 훈공이 삭탈되고 품계도 강등되어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로 좌천됨.
1560~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산(西山)@진덕수 - 진덕수(眞德秀)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주희(朱熹)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함. 저서에 《대학연의(大學衍義)》ㆍ《서산집(西山集)》이 있음.
1178~12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산(西山)@백이 - 백이(伯夷)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고죽군(孤竹君)의 아들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叔齊)와 더불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종친
-
서산(西山)@김취성 - 김취성(金就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김광좌(金匡佐)의 아들. 평생 학문탐구에 힘쓰며, 의학을 연구하여 병든 사람을 치료해 줌.
1492~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서산(西山)@섭미도 - 섭미도(葉味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저작 좌랑(著作佐郞) 등을 지내고, 주희의 어류(語類)를 모아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산(西山)@유자미 - 유자미(柳自湄)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종 때 감찰(監察) 등을 지냈으나 세조의 즉위 후 은거하여 평생 절의를 지킴. 글씨와 그림에 능하여 유작〈지곡송학도(芝谷松鶴圖)〉한 점이 전함. 양산(梁山)의 구산사(龜山祠)에 제향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서산(西山)@휴정 - 휴정(休靜)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일선(一禪)에게 구족계를 받고 영관(靈觀)의 법을 계승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승병(僧兵) 을 모아 명(明) 나라 군대와 합세하여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움.
1520~160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안주 , 인명>종교인>승려
-
서산(西山)@채원정 - 채원정(蔡元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어려서 아버지 채발(蔡發)에게 배우고, 후에 주희(朱熹)에게 배움. 의리(義理)ㆍ상수(象數)를 겸하고, 천문(天文)ㆍ지리(地理)ㆍ악률(樂律)ㆍ역수(曆數) 등에도 폭넓은 학식을 지님.
1135~119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서산경(西山經) - 심경(心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진덕수(眞德秀)가 선현(先賢)의 여러 책 가운데에서 심법(心法)에 관한 글들을 모아 엮은 책.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산노수(西山老叟) - 성현(成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副棺斬屍)를 당하였으나 뒤에 신원(伸寃)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시문(詩文)에 능하고 음률(音律)에 정통하여 많은 저술과 작품을 남김.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산로(西山老) - 진덕수(眞德秀)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주희(朱熹)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함. 저서에 《대학연의(大學衍義)》ㆍ《서산집(西山集)》이 있음.
1178~12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산문집(西山文集) - 서산집(西山集)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진덕수(眞德秀)의 문집.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산사(西山祠)@서산서원 - 서산서원(西山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함안(咸安)에 건립한 서원. 1706년(숙종 32) 창건되고 1713년(숙종 39) 사액(賜額)됨. 김시습(金時習)ㆍ이맹전(李孟專)ㆍ남효온(南孝溫) 등을 배향함.
17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서산선생(西山先生)@채원정 - 채원정(蔡元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어려서 아버지 채발(蔡發)에게 배우고, 후에 주희(朱熹)에게 배움. 의리(義理)ㆍ상수(象數)를 겸하고, 천문(天文)ㆍ지리(地理)ㆍ악률(樂律)ㆍ역수(曆數) 등에도 폭넓은 학식을 지님.
1135~119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서산선생(西山先生) - 섭미도(葉味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저작 좌랑(著作佐郞) 등을 지내고, 주희의 어류(語類)를 모아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산원(西山院) - 서산서원(西山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함안(咸安)에 건립한 서원. 1706년(숙종 32) 창건되고 1713년(숙종 39) 사액(賜額)됨. 김시습(金時習)ㆍ이맹전(李孟專)ㆍ남효온(南孝溫) 등을 배향함.
17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서산장(徐山長) - 서기(徐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이천(利川).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 이지함(李之菡)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 이소재(履素齋)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1523~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