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서적(西賊) - 홍경래(洪景來)
조선 순조(純祖) 때의 농민군 지도자. 본관은 남양(南陽). 1811년(순조 11)에 삼정(三政)의 문란 등 사회적 모순에 저항하여 평안도 가산(嘉山)에서 농민반란을 일으켰으나, 4개월 만에 실패하고 정주성(定州城)에서 전사함.
1771~1812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용강 , 인명>기술인>지관ㅣ인명>기타인명>역적
-
서적(西赤) - 공서적(公西赤)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사람. 공자(孔子)의 제자 중의 한 사람으로 제사(祭祀)와 빈객(賓客)의 예에 뛰어남.
B.C.50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서전찬소(書傳纂疏) - 상서집전찬소(尙書集傳纂疏)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인 진력(陳櫟)의 저서.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서절(瑞節) - 황서절(黃瑞節)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길안부(吉安府) 안복현(安福縣) 사람으로 벼슬에 나가지 않고 성리학에 매진하여 《주자성서(朱子成書)》를 편찬함.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서조대(徐措大) - 서우(徐祐)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 우리 나라에 표류해 왔는데 김인후(金麟厚)가 그에 관해 지은 시가 《하서집(河西集)》에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서종(瑞種) - 이서종(李瑞種)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아들이자,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이보림(李寶林)의 아버지. 봉상대부(奉常大夫)로 종부시 부령(宗簿寺副令)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서주(敍疇) - 홍서주(洪敍疇)
조선 중중(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좌찬성(左贊成) 홍숙(洪淑)의 아들로, 복성군(福城君)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나 김안로(金安老)가 사사된 뒤 풀려나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냄.
149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서주(瑞州) - 서산(瑞山)
충청남도 서북단에 있는 고을 이름. 지금의 서산시(瑞山市) 대산읍(大山邑) 일원에 해당함.
충청도>서산 , 지명>행정지명
-
서주(舒州)@중국 - 안경(安慶)
중국 안휘성(安徽省) 남서부에 있는 도시 이름. 양자강(揚子江) 연안에 위치하여 예로부터 상업이 발달하였으며, 차(茶)와 임산물(林産物)의 집산지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서주(舒州) - 서천(舒川)
충청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지금의 서천군(舒川郡)은 조선시대의 서천ㆍ한산(韓山)ㆍ비인(庇仁)의 세 고을이 합하여 이루어짐.
충청도>서천 , 지명>행정지명
-
서주(西州)@서천 - 서천(舒川)
충청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지금의 서천군(舒川郡)은 조선시대의 서천ㆍ한산(韓山)ㆍ비인(庇仁)의 세 고을이 합하여 이루어짐.
충청도>서천 , 지명>행정지명
-
서주(西州)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서주자기(徐州子期) - 전기(田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장수. 월(越)ㆍ한(韓) 나라에 정벌하러 온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위 나라 태자를 사로잡아 공을 세움. 재상 추기(鄒忌)와의 불화로 초(楚) 나라로 달아났다가 선왕(宣王)이 즉위하자 제 나라로 돌아와 복직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서주정씨(瑞州鄭氏) - 서산정씨(瑞山鄭氏)
중국 송(宋) 나라 때 형부 원외랑(刑部員外郞)을 지내다가 송 나라가 망하자 고려(高麗)로 망명한 정신보(鄭臣保)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집단>성씨
-
서중(瑞仲) - 채응상(蔡應祥)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인천(仁川). 채인손(蔡仁孫)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김준(金濬)ㆍ박승임(朴承任)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서중(舒仲) - 이대신(李大伸)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기성(杞城).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청주 목사(淸州牧使)ㆍ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를 지냄. 이제신(李濟臣)의 《청강집(淸江集)》에 묘지명이 전함.
1510~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서중(西仲) - 뇌사(雷思)
중국 금(金) 나라의 문신ㆍ학자. 대리시 경(大理寺卿)ㆍ동지북경전운사사(同知北京轉運使事)를 지내고, 저술로 《역해(易解)》가 있음.
중국>금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지(敍之) - 권오륜(權五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예천(醴泉).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처형된 권오복(權五福)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서지고(徐知誥) - 열조(烈祖)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남당(南唐)의 초대 황제. 재위 937~943. 오(吳) 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실권자였던 서온(徐溫)의 양자로, 예제(睿帝)를 몰아내고 양위 받아 황제로 즉위함. 화북(華北)의 오대(五代) 왕조에 대해서도 대등함을 주장함.
888~943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서진산(棲鎭山) - 선석산(禪石山)
경상북도 성주(星州)에 있는 서진산(棲鎭山)의 옛 이름. 세종대왕(世宗大王)의 아들인 수양(首陽)ㆍ안평(安平)ㆍ금성(錦城)대군 등 18명 왕자들의 태실(胎室)과 단종(端宗)의 태실이 있음.
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서집전(書集傳) - 서경집전(書經集傳)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채침(蔡沈)이 편찬한 《상서(尙書)》의 주해서(註解書). 6권. 저자가 스승인 주희(朱熹)의 명을 받아 편찬하였으며, 1313년에 과거(科擧)의 기본서로 정해져 세상에 널리 유통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창곡(徐昌縠) - 서정경(徐禎卿)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인. 한위(漢魏)와 성당(盛唐)의 시풍을 이어 고아(古雅)한 풍격의 시를 지음. 명 나라 전칠자(前七子) 중의 한 사람.
1479~151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서창수(西昌守) - 이용(李墉)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성종(成宗)의 아들인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증손이며, 의성부정(義城副正) 이강(李鋼)의 셋째 아들.
157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서천(舒川)@서익 - 서익(徐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문장과 도덕 등이 뛰어나 이이(李珥)ㆍ정철(鄭澈)로부터 지우(志友)로 인정받았으며, 의주 목사(義州牧使)를 지낼 때 탄핵당한 이이를 변호하다가 파직됨.
1542~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서천(西川) - 어세겸(魚世謙)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만종(萬從) 어효첨(魚孝瞻)의 아들로, 예종(睿宗)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봉해지고 좌의정 등을 지냄. 학식이 뛰어나고 문무를 겸비하였다 함.
1430~150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천(西川)@이양중 - 이양중(李養中)@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금천부수(錦泉副守) 이감(李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동부승지(同副承旨)ㆍ의주 목사(義州牧使) 등을 지냄.
1549~159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서천군(西川君)@한사문 - 한사문(韓斯文)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계희(韓繼禧)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등을 지냄.
1446~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천군(西川君)@한상경 - 한상경(韓尙敬)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청성군(淸城君) 한수(韓脩)의 셋째 아들. 이성계(李成桂)를 추대하는 모의에 가담하고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함.
1360~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천군(西川君)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서천부원군(西川府院君)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서천상공(西川相公)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서천수(西川守) - 이금(李錦)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다섯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서청군(西淸君) - 한삼덕(韓參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송재(松齋) 한충(韓忠)의 아들로, 우찬성(右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서청자(西淸子) - 김숭조(金崇祖)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충손(金衷孫)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연산군이 폐위된 후 연산군 아래에서 벼슬한 것을 부끄럽게 여김.
146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서초(恕初)@민충원 - 민충원(閔忠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1562년(명종 1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허봉(許篈)ㆍ최경창(崔慶昌) 등과 독서당(讀書堂)에 간택되었으며,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ㆍ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154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서초(恕初) - 김충갑(金忠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헌납(獻納) 등을 역임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벽서(壁書)사건에 연루되어 삭직됨. 선조 초에 해배된 뒤 사후(死後) 보조공신(輔祚功臣)에 추증됨.
1515~15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초패왕(西楚覇王) - 항우(項羽)
중국 진(秦) 나라의 무장. 진승(陳勝)ㆍ오광(吳廣)의 난으로 진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봉기하여 진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제후를 통솔하지 못하여 해하(垓下)에서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어 자살함.
B.C.232~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서촌(西村)@최기 - 최기(崔沂)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낼 때 박희일(朴希一) 등을 무고죄로 처형함으로써 이이첨(李爾瞻)의 미움을 받아 옥사(獄死)함. 뒤에 다시 대역죄로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가 인조(仁祖) 때 신원됨.
1553~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서촌(西村) - 김진(金鎭)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을 지낸 김순정(金順貞)의 아들이며, 우참찬을 지낸 김수현(金壽賢)의 아버지.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서촌(西村)@장운익 - 장운익(張雲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우의정(右議政) 장유(張維)의 아버지.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扈從)하고, 정유재란 때 접반사(接伴使)가 되어 명(明) 나라 제독 마귀(麻貴)를 영접한 공이 있어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좌찬성(左贊成)에 증직됨.
1561~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추(西醜) - 홍경래(洪景來)
조선 순조(純祖) 때의 농민군 지도자. 본관은 남양(南陽). 1811년(순조 11)에 삼정(三政)의 문란 등 사회적 모순에 저항하여 평안도 가산(嘉山)에서 농민반란을 일으켰으나, 4개월 만에 실패하고 정주성(定州城)에서 전사함.
1771~1812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용강 , 인명>기술인>지관ㅣ인명>기타인명>역적
-
서파(西坡)@신의경 - 신의경(申義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1620년(광해군 12)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함.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과 함께 예학(禮學)을 강론하고 상례(喪禮)를 깊이 연구하여 《상례비요(喪禮備要)》 1책을 지음.
155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학자
-
서파(西坡) - 윤개(尹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대윤(大尹) 일파를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左議政)에까지 올랐으나, 권세에 아부하였다는 사림(士林)의 비판을 받고 선조(宣祖) 초에 모든 훈작(勳爵)이 삭탈됨.
1494~15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ㅣ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서파(西坡)@이안유 - 이안유(李安柔)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냈으나, 태종의 잘못을 간하다가 경산(京山)에 유배됨, 세종 때 낙향하여 유방선(柳方善)ㆍ조상치(曺尙治) 등과 교유하며 후진 양성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서파(西坡)@이준 - 이준(李準)@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이첨(李爾瞻)ㆍ정인홍(鄭仁弘)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유폐하는 등 정사를 어지럽히자 벼슬을 버리고 은퇴함.
1545~162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파(西坡)@황호 - 황호(黃灝)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주자가 그의 강론(講論)이 정밀하다고 칭찬하였고 이 칭찬으로 인해 명망(名望)이 높아짐. 관직은 광동 제형(廣東提刑)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파(西坡)@오도일 - 오도일(吳道一)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1673년(현종 14)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청풍 부사(淸風府使)ㆍ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저서로 《서파집(西坡集)》이 있음.
1645~17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파(西坡)@정한룡 - 정한룡(鄭漢龍)
조선 전기의 문신. 창원 부사(昌原府使)를 지낸 정광보(鄭光輔)의 아들이고 정사룡(鄭士龍)의 형. 수원 판관(水原判官)ㆍ강서 현령(江西縣令) 등을 역임함.
1487~15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서파거사(西坡居士) - 정한룡(鄭漢龍)
조선 전기의 문신. 창원 부사(昌原府使)를 지낸 정광보(鄭光輔)의 아들이고 정사룡(鄭士龍)의 형. 수원 판관(水原判官)ㆍ강서 현령(江西縣令) 등을 역임함.
1487~15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서파삼우(西坡三友) - 이안유(李安柔)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냈으나, 태종의 잘못을 간하다가 경산(京山)에 유배됨, 세종 때 낙향하여 유방선(柳方善)ㆍ조상치(曺尙治) 등과 교유하며 후진 양성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서평(西平) - 사령(沙嶺)
중국 요동(遼東)에 있는 지명. 이곳에 관문(關門)이 있어 조선의 사신들이 청(淸) 나라에 갈 때는 반드시 이곳을 거쳐감.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서평군(西平君)@한숙창 - 한숙창(韓叔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성군(西城君) 한익(韓翊)의 아들로, 외삼촌 박원종(朴元宗)을 따라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 등을 지냄.
1478~153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평군(西平君) - 한계희(韓繼禧)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혜(韓惠)의 아들로, 남이(南怡)의 옥사와 성종의 즉위 때 공을 세워 두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경국대전(經國大典)》과 《의방유취(醫方類聚)》의 편찬에 참여함.
1423~148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한준겸 - 한준겸(韓浚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경성 판관(鏡城判官)을 지낸 한효윤(韓孝胤)의 아들이며, 인조의 장인. 예학(禮學)과 국가의 고사(故事)에 밝고,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편찬에 참여함.
1557~16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한상경 - 한상경(韓尙敬)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청성군(淸城君) 한수(韓脩)의 셋째 아들. 이성계(李成桂)를 추대하는 모의에 가담하고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함.
1360~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 한계희(韓繼禧)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혜(韓惠)의 아들로, 남이(南怡)의 옥사와 성종의 즉위 때 공을 세워 두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경국대전(經國大典)》과 《의방유취(醫方類聚)》의 편찬에 참여함.
1423~148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평수(西平守) - 이훈(李壎)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의성부정(義城副正) 이강(李鋼)의 아들.
1571~16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서평왕(西平王) - 경종(景宗)@서하
중국 서하(西夏)의 제1대 왕. 재위 1032~1048. 서부 지역에서 일어나 송과의 항쟁을 주도하였음.
1003~1048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서평왕(西平王)@이성 - 이성(李晟)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장군. 주자(朱泚)의 난을 평정하여 그 공으로 사도(司徒)가 되고, 봉천(奉天)의 포위를 푼 공으로 서평왕(西平王)에 봉해짐.
727~79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서평후(西平侯) - 목영(沐英)
중국 명(明) 나라의 무신. 홍무제(洪武帝:明 太祖)의 양자가 되어 무공(武功)을 세움. 1377년에 토번(吐審)을 정벌하고, 1381년에는 운남(雲南) 토벌에 공을 세웠으며 만족(蠻族)을 평정시킴.
1345~139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서평후(西平侯)@주모 - 주모(周謨)@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 주의(周顗)ㆍ주숭(周嵩)의 아우로, 소부(少府)ㆍ중호군(中護軍)을 지내고 서평후(西平侯)에 봉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평후(西平侯)@우정국 - 우정국(于定國)
중국 한(漢) 나라 선제(宣帝)~원제(元帝) 때의 문신. 우공(于公)의 아들로, 승상(丞相)을 지냄. 아버지 우공이 옥사(獄史)로 있을 때 판결로 선행을 쌓아 자신의 자손 중에 가문을 일으킬 자가 나오리라고 예측하고 집 대문을 크게 만들었다는 고사가 전함.
?~B.C.4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포(西浦)@박동선 - 박동선(朴東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사재감 정(司宰監正) 박응천(朴應川)의 아들.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왕손을 호종하여 좌참찬(左參贊)에 오름.
1562~164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서포(西浦) - 김만중(金萬重)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소설가. 예학의 대가인 김장생(金長生)의 증손(曾孫)으로, 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을 지냄. 한글 소설 문학의 선구자로 《구운몽(九雲夢)》ㆍ《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등을 저술함.
1637~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서포선생집(西浦先生集) - 서포집(西浦集)@김만중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김만중(金萬重)의 문집. 1702년(숙종 28) 의성 현령(義城縣令)으로 있던 아들 김진화(金鎭華)가 10권 2책 목판으로 간행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문헌>서명
-
서포옹(西浦翁) - 김만중(金萬重)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소설가. 예학의 대가인 김장생(金長生)의 증손(曾孫)으로, 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을 지냄. 한글 소설 문학의 선구자로 《구운몽(九雲夢)》ㆍ《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등을 저술함.
1637~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서포일인(西浦逸人) - 윤광계(尹光啓)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으로, 윤화중(尹和中)의 아들이고, 조헌(趙憲)의 문인(門人). 공조 좌랑(工曹佐郞) 등을 지내고, 저서로 《귤옥집(橘屋集)》이 있음.
155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낙안 , 인명>관인>문신
-
서하(捿霞) - 심운(沈雲)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역임한 심언광(沈彥光)의 아들로 선교랑(宣敎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서하(棲霞) - 김성원(金成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의 문인(門人).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縣民)을 잘 보호하였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
152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서하(西河)@이민서 - 이민서(李敏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의정(領議政) 이경여(李敬輿)의 아들로, 이후여(李厚輿)에게 출계함.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서하집(西河集)》등이 있음.
1633~168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서하(西河) - 임춘(林椿)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인. 예천임씨(醴泉林氏)의 시조. 무신정변(武臣政變) 때 온 집안이 화를 당해 시와 술로 세월을 보냄.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시문에 뛰어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문인
-
서하거사(棲霞居士) - 김성원(金成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의 문인(門人).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縣民)을 잘 보호하였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
152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서하군(西河君)@임자송 - 임자송(任子松)
고려 충숙왕(忠肅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어사(御史) 임주(任澍)의 아들로, 1342년(충혜왕 복위 3)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호종(扈從)한 공으로 1등공신의 호를 받음.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서하군(西河君) - 임원준(任元濬)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문장이 뛰어났고 경사(經史)와 의학(醫學)에도 정통했음. 성종(成宗)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서하군(西河君)에 봉해졌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아들 임사홍(任士洪)의 죄로 관직이 삭탈된 후 추살됨.
1423~150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하노씨(西河盧氏) - 풍천노씨(豊川盧氏)
중국 당(唐) 나라 때의 한림학사(翰林學士) 노수(盧穗)를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고려 초에 풍천백(豐川伯)에 봉해진 그의 셋째 아들 노지(盧址)를 득관조(得貫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집단>성씨
-
서하당(棲霞堂)@김성원 - 김성원(金成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의 문인(門人).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縣民)을 잘 보호하였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
152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서하부원군(西河府院君) - 임자송(任子松)
고려 충숙왕(忠肅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어사(御史) 임주(任澍)의 아들로, 1342년(충혜왕 복위 3)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호종(扈從)한 공으로 1등공신의 호를 받음.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서하선생집(西河先生集) - 서하집(西河集)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인인 임춘(林椿)의 문집. 1222년(고종 9) 최우(崔瑀)가 서경(西京)의 제학원(諸學院)에서 목판(木板)으로 간행함.
1222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문헌>서명
-
서하옹(棲霞翁) - 조운흘(趙云仡)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인복(李仁復)의 문인으로,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2등공신이 되고, 조선 개국 후 강릉 부사(江陵府使)로 제수됨.
1332~140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하임씨(西河任氏) - 풍천임씨(豐川任氏)
중국 소흥부(紹興府) 자계현(慈溪縣) 사람으로,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은자광록대부(銀紫光祿大夫)에 추증된 임온(任溫)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황해도>풍천 , 인명>집단>성씨
-
서하주인(棲霞主人) - 김성원(金成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의 문인(門人).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縣民)을 잘 보호하였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
152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서하후(西河侯) - 도간(陶侃)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혜제(惠帝)~성제(成帝) 때의 장군. 도잠(陶潛)의 증조부. 명제(明帝) 때 정남대장군(征南大將軍)으로 왕돈(王敦)의 반란ㆍ소준(蘇峻)의 변란을 평정해 많은 공을 세우고, 벼슬이 시중태위(侍中太尉)에 이름.
257~33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서학장(徐學長) - 서기(徐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이천(利川).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 이지함(李之菡)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 이소재(履素齋)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1523~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서한서(西漢書) - 한서(漢書)
중국 후한(後漢)의 반고(班固)가 기전체(紀傳體)로 엮은 전한(前漢)의 정사(正史). 120권. 고조(高祖)부터 왕망(王莽)까지 230년간의 역사 기록.
82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서함양(徐咸陽) - 서극일(徐克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으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판사(判事) 등을 지냄.
?~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서해(西海)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서행록(西行錄) - 서정록(西征錄)@김기종
조선 후기의 문신인 김기종(金起宗)이 인조(仁祖) 때 일어난 이괄(李适)의 난(亂)의 평정(平定) 과정을 기록한 책.
162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서현(舒玄) - 김서현(金舒玄)
신라 진평왕(眞平王) 때의 귀족ㆍ장군. 김유신(金庾信)의 아버지. 629년(진평왕 51) 고구려의 낭비성(娘臂城:충청북도 청원)을 함락시킴.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서형(西兄) - 서악(西岳)
경상도 경주(慶州)의 서쪽에 있는 산의 신라(新羅) 때 명칭.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지명>자연지명
-
서호(西湖)@석담 - 석담(石潭)
황해도 해주(海州) 중앙부에 있는 명승지. 경치가 매우 뛰어나며, 이이(李珥)가 이곳을 배경으로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를 지은 이후로 더욱 유명해짐. 지금의 황해남도 벽성군(碧城郡)에 속함.
황해도>해주 , 지명>자연지명
-
서호(西湖) - 상진(尙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오랫동안 왕을 보좌한 명상(名相)으로서 조야(朝野)의 신망이 두터웠음.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서호(西湖)@임포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서호(西湖)@충청도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서호산인(西湖山人) - 유기창(兪起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기계(杞溪).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나, 좌의정 성준(成俊)이 연산군의 난정을 극간(極諫)하다 교살될 때 그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석방되어 비인현(庇仁縣)에 은거함.
1437~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천 , 인명>관인>무신
-
서호주인(西湖主人) - 이총(李摠)
조선 전기의 종친. 우산군(牛山君) 이종(李踵)의 아들이며, 남효온(南孝溫)의 사위.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됨.
?~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서호처사(西湖處士)@허강 - 허강(許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허자(許磁)의 아들로, 정작(鄭碏)ㆍ이지함(李之菡)ㆍ양사언(楊士彦) 등과 교계(交契)가 깊었음.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조부.
1520~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학자
-
서호처사(西湖處士)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서호포선(西湖逋仙)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서홍(瑞鴻)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화(西火) - 영산(靈山)
경상도 북부 중앙에 위치한 지명. 본래 독립된 군(郡)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창녕(昌寧)에 속하게 됨. 진산(鎭山)으로 영취산(靈鷲山)이 있음.
경상도>영산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