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대현(大峴)
황해도 서흥(瑞興)에 있는 산 이름.
황해도>서흥 , 지명>자연지명
-
대현산성(大峴山城)
고구려 광개토왕(廣開土王) 때 황해도 서흥군(瑞興郡) 고성리(古城里)에 쌓은 산성 이름. 현재의 성벽은 1597년(선조 30)에 수축한 것이며, 군사 요충지인 서흥 지방의 방어에 중심적 구실을 하였음.
한국>고구려 , 황해도>서흥 , 유적>시설>성,진,책
-
대호(大濩)
중국 은(殷) 나라의 제왕인 탕왕(湯王)이 이윤(伊尹)에게 명해서 지었다는 음악 이름. 탕왕이 천하를 구제한 후 만민(萬民)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불렀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기타>가무
-
대흥사(大興寺)
경기도 개성(開城) 대흥동(大興洞)에 있던 사찰.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사찰
-
덕계리(德溪里)
경상도 산음(山陰)에 있던 마을 이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인 덕계(德溪) 오건(吳健)이 낙향하여 여생을 지낸 곳임.
경상도>산음 , 지명>행정지명
-
덕계일기(德溪日記)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ㆍ문신인 오건(吳健)이 조정(朝廷)에서 일어난 일에 대해 기록한 일기.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덕계집(德溪集)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ㆍ문신인 오건(吳健)의 문집. 1729년(영조 5) 이전의 18세기 초엽에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8권 4책.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덕녕공주(德寧公主)
고려 제28대 충혜왕(忠惠王)의 비. 중국 원(元) 나라 진서 무정왕(鎭西武靖王) 초팔(焦八)의 딸이며, 제29대 충목왕(忠穆王)의 어머니임. 충혜왕이 죽고 충목왕이 8세에 즉위하자 국정을 맡음.
?~1375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덕변록(德辨錄)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정온(鄭蘊)이 지은 책. 중국 은(殷) 나라 말기에서 남송(南宋)에 이르기까지, 어려운 환경에서도 올바른 삶을 잃지 않은 옛 성현(聖賢) 59명의 명언을 수록함. 유배지인 제주(濟州)에서 지었으며, 이것으로 자신을 반성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제주 , 문헌>서명
-
덕수(德水)
경기도 개풍(開豊)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덕수이씨(德水李氏)ㆍ덕수장씨(德水張氏)의 관향(貫鄕)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고려 문종(文宗) 때 12년에 걸쳐 지은 국립사찰인 흥왕사(興王寺) 터가 남아 있음.
경기도>풍덕 , 지명>행정지명
-
덕수이씨(德水李氏)
고려 때 신호위중랑장(神虎衛中郞將)을 지낸 이돈수(李敦守)를 시조로 하는 성씨. 율곡(栗谷) 이이(李珥)와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 등 뛰어난 인물을 배출함.
경기도>풍덕 , 인명>집단>성씨
-
덕숙옹주(德淑翁主)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후궁. 이씨(李氏)이며 궁인으로 입궁하여 1407년(태종 7) 옹주에 봉해짐. 후령군(厚寧君) 이간(李𥘏)의 어머니.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덕암서원(德巖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함안(咸安)에 건립한 서원. 1617년(광해군 9)에 창건되고, 조순(趙純)ㆍ박한주(朴漢柱)ㆍ조종도(趙宗道)를 배향함.
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덕양군(德陽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 숙의이씨(淑儀李氏)의 소생으로, 음률(音律)에 밝았음.
1524~15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왕자
-
덕양유고(德陽遺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기준(奇遵)의 문집. 아들 기대항(奇大恒)이 영월 군수(寧越郡守)로 부임한 저자의 문생(門生) 박충원(朴忠元)에게 부탁하여 1544년(중종 39) 서문을 짓고 유포시킴.
1544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문헌>서명
-
덕연서원(德淵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칠원(漆原)에 건립한 서원. 1641년(인조 19)에 창건되고 1676년(숙종 2)에 사액되었으며, 주세붕(周世鵬)ㆍ배세적(裵世績)ㆍ배석지(裵錫祉)ㆍ황협(黃悏)ㆍ주박(周博) 등을 배향함.
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유적>건물>서원,향교
-
덕원(德源)
함경도 문천(文川)ㆍ원산(元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태조(太祖)의 4대 선조인 목조(穆祖)ㆍ익조(翼祖)ㆍ도조(度祖)ㆍ환조(桓祖)의 고향이라 하여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켜 부사(府使)를 두고 다스림.
함경도>덕원 , 지명>행정지명
-
덕원군(德源君)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 근빈박씨(謹嬪朴氏)의 소생으로, 남이(南怡)의 옥사(獄事)를 다스린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소전 제조(文昭殿提調) 등을 지냄. 김종직(金宗直)을 벗삼아 이학(理學)에 종사함.
1449~14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덕원서원(德源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순천(順天)에 건립한 서원. 차운혁(車云革)ㆍ차원부(車原頫)ㆍ차포온(車蒲溫)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으며, 1806년(순조 11)에 경상도 합천(陜川)으로 옮기고 덕원서원이라고 함.
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덕유산(德裕山)
전라북도 무주(茂朱)ㆍ장수(長水)와 경상남도 거창(居昌)ㆍ함양(咸陽)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전라도>무주ㅣ경상도>거창 , 지명>자연지명
-
덕이(德異)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僧侶). 완산 정응(脘山正凝) 선사의 법을 이었으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고려의 고승들과 주고받은 서함이 많음.
1231~1308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덕종(德宗)@고려
고려 제9대 왕. 재위 1031~1034. 천리장성(千里長城)을 쌓았고, 현종(顯宗) 때 시작한 국사편찬사업을 완성함.
1016~1034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덕종(德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9대 황제. 재위 779~805. 대종(代宗)의 장자로 조용조제(租庸調制)를 폐지하고 양세법(兩稅法)을 시행하여 재정충실을 꾀함.
742~8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덕종(德宗)@조선
조선 세조(世祖)의 아들. 1455년(세종 27) 도원군(桃源君)에 봉해지고 1455년(세조 1)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에 병사함. 1471년(성종 2) 덕종으로 추존(追尊)됨.
1438~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덕천가강(德川家康)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초대 장군(將軍). 풍신수길(豊臣秀吉) 아래에서 빼어난 전략가로 있었으나 풍신수길 사후 그의 일족을 멸하고 전국(戰國)을 제패하여 강호 막부(江戶幕府)를 세움.
1543~1616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덕천군(德泉君)
조선 정종(定宗)의 열 번째 아들. 가난한 백성을 돕고, 왕자의 신분에도 공주(公州)에 전장(田莊)을 두고 몸소 농사를 지음.
1397~146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왕실>왕자
-
덕천서원(德川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진주(晉州)에 건립한 서원. 조식(曺植)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그가 강학하던 곳에 건립함. 1609년(광해군 1)에 사액되었으며, 조식ㆍ최영경(崔永慶)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남도 산청군(山淸郡)에 속함.
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조선 전기의 왕자. 조선 제11대 왕인 중종(中宗)의 아들이자, 제14대 왕인 선조(宣祖)의 아버지로, 명종(明宗)이 후사 없이 죽자 그의 셋째 아들 하성군(河城君) 이균(李鈞)이 즉위하여 선조가 되었고, 대원군에 추존됨.
1530~15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덕흥서원(德興書院)
조선시대 경상도 대구(大丘)에 건립한 서원. 1527년(중종 23) 이현보(李賢輔)가 대구 부사(大丘府使)로 있을 때 강례(講禮)했던 덕흥서숙(德興書塾)이 있던 곳에 후학들이 덕흥서원(德興書院)을 건립하여 정경세(鄭經世)ㆍ이현보를 배향함.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두(陶^杜)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시인 도잠(陶潛)과 당(唐) 나라의 시인 두보(杜甫)를 함께 부르는 말. 시(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도^목(陶^牧)
고려 말의 문신ㆍ학자인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과 목은(牧隱) 이색(李穡)을 함께 부르는 말. 문장(文章)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ㅣ경상도>성주 , 사상>술어>관용어
-
도^사(陶^謝)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인 도잠(陶潛)과 사영운(謝靈運)을 함께 부르는 말. 각각 전원시(田園詩)와 산수시(山水詩)의 대표적인 인물로, 시(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도^소(陶^蘇)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시인 도잠(陶潛)과 송(宋) 나라의 시인 소식(蘇軾)을 함께 부르는 말. 시문(詩文)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도^약(韜^略)
중국 주(周) 나라의 신하인 여상(呂尙)이 지었다는 《육도(六韜)》와, 진(秦) 나라 말의 병법가(兵法家) 황석공(黃石公)이 지었다는 《삼략(三略)》을 함께 부르는 말. 병법(兵法) 또는 병서(兵書)를 가리킴.
중국>진ㅣ중국>주 , 중국 , 문헌>기타문헌
-
도^완(陶^阮)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시인 도잠(陶潛)과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 완적(阮籍)을 함께 부르는 말. 시속(時俗)을 벗어나 은둔한 사람을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도^유(陶^柳)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시인 도잠(陶潛)과 당(唐) 나라의 시인 유종원(柳宗元)을 함께 부르는 말. 산수시(山水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도^육(陶^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인 도잠(陶潛)과 도사인 육수정(陸修靜)을 함께 부르는 말. 승려 혜원(慧遠)과 함께 ‘호계삼소(虎溪三笑)’의 고사로 유명하며, 종교와 신분을 초월하여 교유하는 사람을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도^환(度^桓)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조부인 도조(度祖) 이춘(李椿)과 아버지인 환조(桓祖) 이자춘(李子春)을 함께 부르는 말.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영흥ㅣ함경도>덕원 , 사상>술어>관용어
-
도간(陶侃)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혜제(惠帝)~성제(成帝) 때의 장군. 도잠(陶潛)의 증조부. 명제(明帝) 때 정남대장군(征南大將軍)으로 왕돈(王敦)의 반란ㆍ소준(蘇峻)의 변란을 평정해 많은 공을 세우고, 벼슬이 시중태위(侍中太尉)에 이름.
257~33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도겸(道謙)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僧侶). 주희(朱熹)가 초년(初年)에 선학(禪學)을 배운 고승(高僧).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도곡서원(道谷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함양(咸陽)에 건립한 서원. 1701년(숙종 27)에 창건되어, 조승숙(趙承肅)ㆍ정복주(鄭復周)ㆍ노숙동(盧叔仝)ㆍ노우명(盧友明)ㆍ노사예(盧士豫)ㆍ정수민(鄭秀民) 등을 배향함.
170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공(悼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488~B.C.485. 경공(景公)의 아들로 노(魯) 나라로 망명해 있다가 안유자(晏孺子)의 뒤를 이어 즉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도공(悼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재위 B.C.572~B.C.558. 14세에 즉위한 뒤 국가 대정(大政)을 총괄하고 인재(人才)를 등용하여 초(楚) 나라를 꺾고 천하의 패자(覇者)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도공(悼公)@춘추전국(허)
중국 춘추전국시대 허(許) 나라의 제후. 학질에 걸렸다가 태자인 지(止)가 올린 약을 마시고 세상을 떠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도교(道敎)
황제(黃帝)와 노자(老子)를 교조로 삼은 중국의 토착종교. 진한(秦漢) 때의 신선방술(神仙方術)과 황로지학(黃老之學)을 이어받은 후한(後漢) 순제(順帝) 때 장도릉(張道陵)이 오두미도(五斗米道)로 알려진 천사도(天師道)를 창시한 것이 도교의 시발임.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도국흥(陶國興)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문신. 태학사(太學士)를 지냄. 통신사(通信使)로 일본에 갔던 김성일(金誠一)에 관한 기록을 보고, 김성일의 신의(信義)에 감복해 그의 후손에게 흠모(欽慕)의 정을 표하는 편지를 보냄.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도굴산(闍崛山)
경상북도 의령(宜寧) 일대에 걸쳐 있는 산 이름.
경상도>의령 , 지명>자연지명
-
도기(道綦)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우두선(牛頭禪)의 개조(開祖)인 법융(法融)의 제자로, 도빙(道憑)과 함께 우두산(牛頭山)에서 스승을 따라 수행함.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도기서원(道基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경기도 안성(安城)에 건립한 서원. 1669년(현종 10)에 사액을 받고, 1712년(숙종 38)에 다시 사액을 받음. 김장생(金長生)을 배향함.
166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안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남서원(道南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상주(尙州)에 건립된 서원. 1605년(선조 38) 정경세(鄭經世) 등이 창건하였고, 1677년(숙종 3) 사액되었으며, 정몽주(鄭夢周)ㆍ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ㆍ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을 배향함.
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담(島潭)
충청도 단양(丹陽)의 북부에 있는 명승지. 못 가운데 세 바위가 솟아 있으며, 중앙봉에는 정도전(鄭道傳)이 지었다고 하는 정자가 있음.
충청도>단양 , 지명>자연지명
-
도덕경(道德經)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인 노자(老子)가 지었다는 도교 경전(道敎經典). 약 5000자, 상ㆍ하 2편으로 구성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도동곡(道東曲)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 형식의 한글가사. 유교의 내력과 학자 회헌(晦軒) 안향(安珦)의 덕을 찬양하며 읊었는데, 주세붕(周世鵬)의 시문집(詩文集)인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실려 전함.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문헌>작품명
-
도동명(陶東明)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문학(文學)과 효행(孝行)으로 남대 장령(南臺掌令)이 되었으나, 조선이 건국되자 두문동(杜門洞)으로 들어가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도동서원(道東書院)@목천
조선 인조(仁祖) 때 충청도 목천(木川)에 건립된 서원. 1676년(숙종 2)에 사액되고, 주자(朱子)ㆍ정구(鄭逑)ㆍ김일손(金馹孫)ㆍ황종해(黃宗海) 등을 배향함.
164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목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동서원(道東書院)@현풍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현풍(玄風)에 건립된 서원. 1605년(선조 38) 건립되어 배신(裵紳)ㆍ정구(鄭逑)ㆍ김굉필(金宏弼)ㆍ곽율(郭𧺝) 등을 배향함. 지금의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에 속함.
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동서원(道東書院)@송화
조선 선조(宣祖) 때 황해도 송화(松禾)에 건립된 서원. 1605년(선조 38) 건립되어 이이(李珥)ㆍ조광조(趙光祖)ㆍ이황(李滉) 등을 배향했으며, 1699년(숙종 25) 사액됨.
160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송화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동서원(道東書院)@부안
조선 중종(中宗) 때 전라도 부안(扶安)에 건립된 서원. 김구(金坵)ㆍ성중엄(成重淹)ㆍ김석홍(金錫弘) 등을 배향함.
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득린(都得麟)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산음 훈도(山陰訓導) 도흥좌(都興佐)의 아들이며 홍문관 저작(弘文館著作) 도희령(都希齡)의 아버지로, 1549년(명종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ㅣ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도라산(都羅山)
경기도 파주(坡州)에 있는 산 이름. 임진강 하구 넓은 들 가운데 있어 옛날부터 군사적 요충지로 꼽힘.
경기도>파주 , 지명>자연지명
-
도명(道明)
조선 전기의 승려. 바둑을 좋아하여 황준량(黃俊良)과 바둑을 둔 뒤에 시(詩)를 부탁해서 받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도무제(道武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초대 황제. 재위 386~409. 중국적 국가 체제를 채용하고 한인(漢人) 명사를 임용하는 등 북위(北魏)의 기초를 확립하였으나, 아들 탁발소(拓跋紹)에게 살해됨.
371~40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도방(都房)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무신인 경대승(慶大升)이 설치한 사병(私兵) 기관. 1179년(명종 9)에 정중부(鄭仲夫) 등을 제거한 후 신변보호를 위하여 설치한 것을, 최충헌(崔忠獻)은 6번(番)으로 확대하여 숙위(宿衛) 기관으로 삼음. 1270년(원종 11)에 왕정의 복구로 폐지됨.
117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법제>제도
-
도봉산(道峰山)
경기도 양주(楊州) 남쪽 30리 지점에 있는 산. 천축사(天竺寺)ㆍ망월사(望月寺)ㆍ쌍룡사(雙龍寺)ㆍ회룡사(回龍寺) 등의 명찰이 있음. 지금은 서울시 도봉구(道峰區), 경기도 양주시(楊州市)ㆍ의정부시(議政府市)에 속함.
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도봉서원(道峯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기도 양주(楊州)에 건립한 서원. 건립한 해인 1573년(선조 6)에 사액되고, 조광조(趙光祖)ㆍ송시열(宋時烈) 등을 배향함.
157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빙(道憑)
중국 당(唐) 나라 때의 승려. 우두선(牛頭禪)의 개조(開祖)인 법융(法融)의 제자로, 도기(道綦)와 함께 우두산(牛頭山)에서 스승을 따라 수행함.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도산(陶山)
경상도 안동(安東) 있는 산 이름.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도산구곡(陶山九曲)
도산(陶山)에서 낙동강(洛東江)을 따라 청량산(淸凉山)에 이르기까지 역로중(歷路中)에 있는 절경(絶景) 9개소. 이황(李滉)이 중국 송(宋) 나라의 주희(朱熹)가 무이산(武夷山)의 절경을 ‘무이구곡(武夷九曲)’으로 품제(品題)한 것을 표방(表倣)하여 ‘도산구곡(陶山九曲)’으로 품제함.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도산사(道山祠)
조선 효종(孝宗) 때 전라도 능성(綾城)에 건립된 사당. 안방준(安邦俊)을 배향함. 지금의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에 속함.
165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유적>건물>사당
-
도산서원(道山書院)@거창
조선 현종(顯宗) 때 경상도 거창(居昌)에 건립된 서원. 1662년(현종 3)에 사액되고, 정여창(鄭汝昌)ㆍ정온(鄭蘊)ㆍ김굉필(金宏弼) 등을 배향함.
166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창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산서원(道山書院)@우봉
조선 숙종(肅宗) 때 황해도 우봉(牛峯)에 건립된 서원. 이제현(李齊賢)ㆍ이종학(李種學)ㆍ조석윤(趙錫胤) 등을 배향함.
168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우봉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산서원(道山書院)@공주
조선 숙종(肅宗) 때 충청도 공주(公州)에 건립된 서원. 1711년(숙종 37)에 사액되고, 권득기(權得己)ㆍ권시(權諰) 등을 배향함. 지금의 대전광역시에 속함.
169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산서원(陶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창건한 서원. 1575년(선조 8)에 사액(賜額)되고, 이황(李滉)의 위패를 모셨으며, 영남 유림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함.
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산잡영(陶山雜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황(李滉)이 도산서원(陶山書院)에 거처하면서 지은 시. 40제(題) 92수(首)로 구성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도산집(陶山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육전(陸佃)의 시문집. 《직재서록해제(直齋書錄解題)》에는 20권으로 되어 있으나 산일(散逸)되었고, 지금은 청(淸) 나라 때 《영락대전(永樂大典)》에 의거하여 편집한 16권본이 전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도생(道生)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승려. 구마라습(鳩摩羅什) 문하 4철(四哲)의 한 사람으로, 선불수보설(善不受報說)ㆍ돈오성불설(頓悟成佛說) 등을 주창하여 다른 학승들의 배척을 받다가 《열반경(涅槃經)》의 번역으로 학설을 인정받음.
?~43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도선(道詵)
통일신라 문성왕(文聖王)~효공왕(孝恭王) 때의 승려. 15세에 출가하여 23세 때 천도사(穿道寺)에서 구족계를 받고, 전라도 백계산(白鷄山) 옥룡사(玉龍寺)에서 후학들을 가르치다 죽음.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의 대가로 더욱 유명함.
827~898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영암 , 인명>종교인>승려
-
도솔암(兜率庵)
강원도 고성(高城)의 금강산(金剛山)에 있는 암자. 발연(鉢淵)으로부터 30여 리 지점에 있음.
강원도>고성 , 유적>건물>사찰
-
도순(道淳)
조선 전기의 승려. 오대산(五臺山)에 거주하며, 봉은사(奉恩寺) 승려 희준(熙俊)을 통해 송인(宋寅)에게 시권(詩卷)의 제(題)를 부탁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종교인>승려
-
도신(道信)
중국 선종(禪宗)의 제4조. 좌선행(坐禪行)을 통해 불교 본래의 가치인 수행력을 회복하게 하였고, 선종이 중국화 되는 계기를 마련함.
580~65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도안(道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반야학(般若學) 본무종(本無宗)의 대표적 인물.
312~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도암(道庵)
조선 전기의 승려(僧侶). 판선종사(判禪宗事) 송은몽대사(松隱蒙大師)의 고제(高弟)로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과 교유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도암집(陶菴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재(李縡)의 시문집. 1803년(순조 3) 용인(龍仁)의 한천서원(寒泉書院)에서 손자 이채(李采)가 활자로 간행함.
180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용인 , 문헌>서명
-
도양성(陶良性)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감생(監生)으로 경략(經略) 송응창(宋應昌)을 수행하고, 이어 영평부 통판(永平府通判)으로 군문(軍門) 형개(邢玠)를 수행하여 두 차례 조선에 건너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도양필(都良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팔거(八莒). 증산 훈도(甑山訓導) 도영강(都永康)의 아들이며, 오건(吳健)의 외숙부.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오건에게 《역(易)》을 가르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도연명전(陶淵明傳)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태자ㆍ문인인 소통(蕭統)의 저서. 도연명(陶淵明)의 작품과 일화 그리고 은둔생활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도연명집(陶淵明集)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의 시문집(詩文集). 귀거래사(歸去來辭)ㆍ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ㆍ음주이십수(飮酒二十首) 등 많은 명작이 실려 있음. 8권
중국 , 문헌>서명
-
도연서원(道淵書院)@고성
경상남도 고성(固城) 마암면(馬岩面)에 있는 서원. 조선 숙종(肅宗) 때 창건되었으며, 허기(許麒)ㆍ허천수(許千壽)를 배향함.
168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연서원(道淵書院)@합천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합천(陜川)에 건립된 서원. 1871년(고종 8)에 훼철된 뒤 복원되지 못함. 문익성(文益成) 등을 배향함.
17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연수(陶延壽)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때의 무신. 진 태위(晉太尉)를 지낸 장사공(長沙公) 도간(陶侃)의 5세손으로 작위를 세습 받음. 4세손인 도잠(陶潛)과 동시대에 살면서 교유하고, 자의참군(咨議參軍)을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도영(道英)
고려 후기의 승려. 수선사(修禪社) 십육국사(十六國師) 중 제12세 국사(國師)로, 각진국사(覺眞國師) 복구(復邱)에게 학문을 전수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도영강(都永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팔거(八莒). 오건(吳健)의 외할아버지로, 증산 훈도(甑山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도왕(悼王)
중국 주(周) 나라의 천자. 재위 B.C.520~B.C.519. 세경(世卿) 윤어(尹圉)와 왕자조(王子朝)의 반란(反亂)으로 인해 시해(弑害)됨.
?~B.C.381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도웅(道雄)
조선 전기의 승려. 구봉령(具鳳齡)이 미담 하구(迷潭河口)를 건너다가 만난 고향의 승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종교인>승려
-
도원(道圓)
조선 전기의 비구니. 안림역리(安林驛吏)의 아내였으나 남편이 죽은 후 재가하지 않다가 만년에 가야산(伽倻山)의 도엄(道嚴) 승려에게 선(禪)을 배우고 정각암(淨覺庵)을 짓고 기거함. 김종직(金宗直)이 그에게 보낸 시가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도원서원(道源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전라도 동복(同福)에 건립한 서원. 1670년(현종 11) 창건되고 1687년(숙종 13)에 사액되었으며, 최산두(崔山斗)ㆍ임억령(林億齡)ㆍ정구(鄭逑)ㆍ안방준(安邦俊)을 배향함. 현재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에 속함.
167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동복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원유고(道園遺稿)
중국 원(元) 나라의 시인이자 학자인 우집(虞集)의 시문집. 모두 6권 741수로 이루어져 있고, 당시(唐詩)를 계승함.
1354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도원학고록(道園學古錄)
중국 원(元) 나라의 시인이자 학자인 우집(虞集)의 저서. 모두 50권으로 이루어져 있음.
1341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도융(道融)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승려. 구마라습(鳩摩羅什) 문하 4철(四哲)의 한 사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도은집(陶隱集)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이숭인(李崇仁)의 시문집. 변계량(卞季良)ㆍ권근(權近)이 왕명을 받아 편집하고 1406년(태종 6)에 간행함.
14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