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상우도(慶尙右道)
조선 1407년(태종 7) 편의상 경상도를 양분하여 오른쪽 지역을 통칭한 행정구역. 낙동강 서쪽 지역에 속하는 성주ㆍ선산ㆍ합천ㆍ함양ㆍ의령ㆍ남해ㆍ거창ㆍ사천ㆍ하동ㆍ고성ㆍ창원 등 28개의 군현이 해당됨.
지명>행정지명
-
경상좌도(慶尙左道)
조선 1407년(태종 7) 편의상 경상도를 양분하여 왼쪽 지역을 통칭한 행정구역. 낙동강 동쪽 지역에 속하는 울산ㆍ양산ㆍ연일ㆍ동래ㆍ청송ㆍ예천ㆍ풍기ㆍ밀양ㆍ칠곡ㆍ경산ㆍ청도ㆍ영양 등 37개의 군현이 해당됨.
지명>행정지명
-
경상진주도(慶尙晉州道)
고려 때 불리던 경상도의 옛 지명. 1106년(예종 1) 영남도(嶺南道), 영동도(嶺東道), 산남도(山南道) 3개 도를 합하여 통칭한 행정구역. 경주ㆍ상주ㆍ진주의 머릿글자를 합하여 붙인 이름.
지명>행정지명
-
경서변의(經書辨疑)
조선 후기의 학자인 김장생(金長生)이 경서 가운데 의문나는 조목에 대해 변론한 책. 7권 3책. 목판본. 내용은 《소학》ㆍ《대학》ㆍ《논어》ㆍ《맹자》ㆍ《중용》ㆍ《서전》ㆍ《주역》ㆍ《예기》의 순으로 엮어져 있으며, 저자의 서문과 장유(張維)ㆍ송시열(宋時烈)의 발문이 있음.
166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경서석의(經書釋義)
조선 전기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삼경(三經)과 사서(四書)를 주석(註釋)한 책. 임진왜란 때 일실(逸失)되었으나, 광해군(光海君) 때 전사본(傳寫本)을 수집하여 간행함. 8권 2책. 목판본(木版本).
160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경선공주(慶善公主)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둘째 딸.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소생으로, 좌의정 심덕부(沈德符)의 아들인 심종(沈淙)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경섬(慶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통신부사(通信副使)가 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첫 번째 사절로 일본에 건너가 국교를 다시 열게 하고 임진왜란 때의 포로 1,340명을 데리고 돌아옴.
1562~162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경세대전(經世大典)
중국 원(元) 나라의 법률제도에 관한 공문서를 수집 편찬한 책. 편목(篇目)은 대체로 군사(君事)와 신사(臣事)의 2군(群) 10편(篇)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본문 880권, 목록 12권, 보편(補篇) 2권의 총 894권으로 이루어짐.
1331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경세보유(經世補遺)
중국 송말(宋末)~원초(元初)의 문신ㆍ학자인 구부국(丘富國)의 저서. 3권이라는 기록만 있을 뿐 아직 세상에 발견되지 않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경세인(慶世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군수(郡守)를 지낸 경상(慶祥)의 아들로,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야인으로 생을 마침.
14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경세창(慶世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이세좌(李世佐)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나, 중종 때에 관직이 회복되어 홍문관 부제학ㆍ대사간ㆍ도승지 등을 두루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경세청(慶世淸)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진산 군수(珍山郡守) 경면(慶綿)의 아들이며, 홍문관 부제학(副提學) 경혼(慶渾)의 아버지. 지평(持平)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경수(涇水)
중국 섬서성(陝西省)에 있는 강 이름. 위수(渭水)가 맑은 데 비해 탁한 물의 대명사로 곧잘 쓰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경숙옹주(敬淑翁主)@조선성종의딸
조선 제6대 성종(成宗)의 다섯째 딸. 어머니는 숙의(淑儀) 김씨. 현령(縣令) 민종원(閔宗元)의 아들인 여천위(驪川尉) 민자방(閔子芳)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경숙옹주(敬淑翁主)@조선문종의딸
조선 제5대 문종(文宗)의 딸. 어머니는 사칙(司則) 양씨(楊氏). 상호군(上護軍) 강휘(姜徽)의 아들인 반성위(班城尉) 강자순(姜子順)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경순왕(敬順王)
신라 제56대 왕. 재위 927~935. 927년 후백제 견훤(甄萱)에 의해 옹립되었으며, 935년 고려 태조(太祖)에게 항복함. 낙랑공주(樂浪公主)를 아내로 맞고 정승공(政承公)에 봉해졌으며, 경주(慶州)의 사심관(事審官)에 임명됨으로써 고려시대 사심관제도의 시초가 됨.
?~979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경순왕후(敬順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조부인 도조(度祖) 이춘(李椿)의 비(妃).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문천 , 인명>왕실>왕비
-
경시제(更始帝)
중국 후한(後漢)의 황제. 재위 23~25. 광무제(光武帝)의 족형(族兄). 평림병중(平林兵中)에 있으면서 경시 장군(更始將軍)이라 불렸으며, 그 후 추대되어 황제(皇帝)의 자리에 올랐으나 군중의 여망(輿望)을 잃고 적미군(赤眉軍)에게 살해됨.
?~2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신공주(慶愼公主)
조선 태조(太祖)의 첫째 딸.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의 소생으로,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이거이(李居易)의 아들인 상당후(上黨侯) 이애(李薆)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경신환국(庚申換局)
조선 숙종(肅宗) 6년 남인(南人) 일파가 정치적으로 서인(西人)에 의해 대거 축출된 사건. 남인은 1674년(현종 15)의 갑인예송(甲寅禮訟)에서 승리하여 정권을 잡았으나, 숙종이 즉위하여 남인을 견제하는 와중에 역모의 혐의를 받아 죽음을 당하거나 유배됨.
1680 한국>조선후기 , 사건>사화
-
경안공주(慶安公主)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셋째 딸. 원경왕후(元敬王后)의 소생으로, 길창군(吉昌君) 권규(權跬)와 혼인함.
1393~14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경안궁주(慶安宮主)
고려 제24대 원종(元宗)의 첫째 딸. 경창궁주(慶昌宮主) 유씨(柳氏) 소생으로, 제안공(齊安公) 왕숙(王淑)과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공주
-
경암유사(敬菴遺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인 노희(盧禧)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경암집(絅庵集)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신완(申琓)의 시문집. 8권 4책. 1766년(영조 42)에 손자 신경(申暻)이 발문(跋文)을 붙이고 편집 간행함. 문사(文詞) 내용이 주를 이루고, 시무(時務)에 관한 것이 많음.
176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경애왕(敬哀王)
신라 제55대 왕. 재위 924~927. 포석정(鮑石亭)에서 견훤(甄萱)의 공격을 받아 견훤의 강요에 의해 자살함.
?~92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경양왕(頃襄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諸侯). 재위 B.C.298~B.C.263. 간신들을 중용하고 주색(酒色)에 빠져 국정을 돌보지 않음.
?~B.C.26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경연(慶延)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효행으로 천거되어 이산 현감(尼山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경옥(冏玉)
조선 전기의 승려. 《소재집(穌齋集)》에 노수신(盧守愼)이 차운한 시(詩)가 여러 편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경왕(敬王)
중국 주(周) 나라 제25대 천자. 재위 B.C.519~B.C.476. 아들 조(朝)에게 공격을 받아 낙양을 버리고 성주(成周)로 달아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왕(景王)
중국 주(周) 나라의 제24대 왕. 재위 B.C.544~B.C.521. 성은 희(姬)씨이고, 이름은 귀(貴). 왕자조(王子朝)의 아버지.
?~B.C.521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운(景雲)
조선 전기의 승려. 김정(金淨)과 함께 산수를 유람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경원(慶源)
함경도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발해가 멸망한 뒤 여진(女眞)이 거주하였는데 고려 예종(睿宗) 때 윤관(尹瓘)이 이들을 몰아내고 성을 쌓아 공험진내 방어소(公險鎭內防禦所)를 만듦.
함경도>경원 , 지명>행정지명
-
경은후(敬隱后)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의 후비 송 귀인(宋貴人). 안제(安帝)의 조모(祖母). 아들 청하효왕(淸河孝王) 경(慶)이 태자가 되자 두황후(竇皇后)가 참소하여 음독자살하였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경재유고(敬齋遺稿)@남수문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남수문(南秀文)의 시문집. 2권 1책. 활자본. 후손 남희석(南熙錫)과 남국환(南國煥)이 집에 보관하고 있던 시문(詩文)과 채록한 시문을 편집하여, 1804년(순조 4)에 활자로 간행함.
180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경재유고(敬齋遺稿)@경세인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경세인(慶世仁)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경재잠(敬齋箴)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장식(張栻)의 〈주일잠(主一箴)〉을 보고 만든 경(敬)에 대한 글. 이황(李滉)은 〈경재잠도(敬齋箴圖)〉를 그의 〈성학십도(聖學十圖)〉에 포함시켰으며, 이상정(李象靖)은 《경재잠집설(敬齋箴集說)을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경재잠집설(敬齋箴集說)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상정(李象靖)이 지은 책. 1745년(영조 21)에 주희(朱熹)의 〈경재잠(敬齋箴)〉에 관련된 선현들의 여러 학설을 모아서 자기 나름의 해석을 붙여 저술함.
174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경전의고(經傳義詁)
중국 후한(後漢) 때의 유학자 가규(賈逵)의 저서.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경정공주(慶貞公主)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딸. 원경왕후(元敬王后)의 소생으로,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 조준(趙浚)의 아들인 조대림(趙大臨)과 혼인함.
?~145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경정집(敬亭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이민성(李民宬)의 문집. 13권 4책. 목판본. 이민성의 동생인 이민환(李民寏)이 수집ㆍ정리한 것을, 아들인 서흥 부사(瑞興府使) 이정기(李廷機)가 간행함. 정두경(鄭斗卿)의 서문이 있음.
166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서흥 , 문헌>서명
-
경제(景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제3대 황제. 재위 258~264. 대제(大帝: 손권(孫權))의 여섯째 아들로, 아우 폐제(廢帝: 손량(孫亮))가 폐위된 뒤 손침(孫綝)의 옹립을 받아 등극함. 제도를 혁신하고 백성들에게 은혜를 베풀어 나라의 번영을 꾀함.
235~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제(景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6대 황제. 재위 B.C.157~B.C.141.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반란을 진압하고, 중앙집권제를 확립함.
B.C.188~B.C.14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제(景帝)@남북조(晉)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대장군. 조카인 무제(武帝) 사마염(司馬炎)이 왕위를 찬탈하여 진(晉)을 세운 뒤 경제(景帝)로 추존함.
208~25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제문감(經濟文鑑)
조선 전기의 문신인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조선 왕조의 정치 조직에 대한 초안(草案)을 적은 책. 2권 1책. 활자본(活字本).
1395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경제육전(經濟六典)
조선 태조(太祖) 때 편찬된 법전(法典). 검상조례사(檢詳條例司)에서 정도전(鄭道傳)ㆍ조준(趙浚) 등이 고려 우왕(禑王) 때부터 당시까지 발표된 조례(條例)를 육전(六典)의 형식을 갖추어 만듦.
139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경조(景照)
고려 후기의 승려. 유가파(瑜伽派)에 속한 인물로, 시문(詩文)에 능하여 이규보(李奎報)와 교유하였으며,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그와 관련된 몇 편의 시문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경조계회도(京兆契會圖)
조선 선조(宣祖) 21년에 전ㆍ후임(前後任)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들의 계(契) 모임을 그린 그림. 윤근수(尹根壽)가 발문(跋文)을 지음.
1588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경종(敬宗)
중국 당(唐) 나라 제13대 황제. 재위 824~826.
809~82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종(景宗)@조선
조선 제20대 왕. 재위 1720~1724. 숙종(肅宗)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희빈장씨(禧嬪張氏). 재위 기간 중 당쟁(黨爭)이 절정을 이룬 가운데 신변상으로나 정치상으로 많은 곤란을 겪음.
1688~17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경종(景宗)@고려
고려 제5대 왕. 재위 975~981. 전시과(田柴科)를 제정하였음.
955~98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경종(景宗)@서하
중국 서하(西夏)의 제1대 왕. 재위 1032~1048. 서부 지역에서 일어나 송과의 항쟁을 주도하였음.
1003~1048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종(景宗)@오대십국(민)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민(閩) 나라의 제5대 왕. 재위 939~944.
?~944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주(慶州)
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진한(辰韓)의 중심지이자 신라(新羅) 천년의 고도(古都).
경상도>경주 , 지명>행정지명
-
경주(瓊州)
중국 광동성(廣東省)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송(宋) 나라 때 소식(蘇軾)이 유배생활을 했던 곳으로 유명하며,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지이자 농산물 집산지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경주김씨(慶州金氏)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를 시조로 하는 성씨. 신라 김씨의 대종(大宗)으로, 김해김씨(金海金氏)와 더불어 우리나라 김씨 계통의 양대 산맥을 이룸.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
-
경주손씨(慶州孫氏)
신라 흥덕왕(興德王) 때의 효자 손순(孫順)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
-
경주이씨(慶州李氏)
초기 신라의 육촌(六村) 중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의 촌장인 표암공(瓢巖公) 이알평(李謁平)을 시조로 삼고,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
-
경주최씨(慶州崔氏)
신라 초기의 육촌(六村) 가운데 돌산고허촌(突山高墟村)의 촌장인 소벌도리(蘇伐都利)를 시조로 삼고, 석학(碩學) 최치원(崔致遠)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
-
경준(慶俊)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1466년(세조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지냄. 관기 확립에 힘쓰고, 목민관(牧民官)으로서 선정도 많이 베풂.
?~148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경지(鏡智)
고려 후기의 승려. 고려 희종(熙宗)의 넷째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경진(敬眞)
조선 전기의 승려.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경진축차금약봉운(敬眞軸次金藥峯韻)〉이라는 칠언절구(七言絶句)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경창궁주(慶昌宮主)
고려 제24대 원종(元宗))의 비(妃). 신안공(新安公) 왕전(王佺)의 딸로, 외가의 성을 따라 유씨(柳氏)라 함. 시양후(始陽侯) 왕이(王珆)ㆍ순안공(順安公) 왕종(王琮)ㆍ경안궁주(慶安宮主)ㆍ함녕궁주(咸寧宮主) 등 2남 2녀를 낳음. 충렬왕(忠烈王) 때 왕을 저주(詛呪)했다는 혐의로 폐위(廢位)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경철(景轍)
일본 전국시대의 승려. 1470년(조선 성종 1)에 일본 대마도주 뇌충(賴忠)이 사천수좌(師川首座)를 보내 이륙(李陸)에게 경철(景轍)의 자설(字說)을 부탁함.
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종교인>승려
-
경춘당(景春堂)
통일신라 선덕왕(宣德王) 때 경상도 경주(慶州)에 건립된 사찰건물. 당(唐) 나라 첨의사(僉議使) 백우경(白宇經)이 망명하여 경주에 와서 건물을 짓고 영월당(迎月堂)이라고 하였는데, 선덕왕(宣德王)이 경춘당(景春堂)으로 고침.
780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건물>사찰
-
경침(慶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낸 경세청(慶世淸)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85~152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경포(鏡浦)
강원도 강릉(江陵)에 있는 고을 이름. 관동(關東)의 명승지로, 경포호(鏡浦湖)에는 송시열(宋時烈)이 쓴 조암(鳥岩)이라는 글씨가 남아 있음.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경포(黥布)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장군. 항우(項羽)의 휘하에 있다가 유방(劉邦)에게 귀부하였으나 후에 모반함.
?~B.C.195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경포대(鏡浦臺)
강원도 강릉 저동(苧洞)에 있는 누각. 1326년(충숙왕 13) 강원도 안렴사(按廉使) 박숙(朴淑)에 의해 방해정(放海亭) 뒷산 인월사(印月寺) 터에 창건된 것을 1508년(중종 3) 강릉 부사(江陵府使) 한급(韓汲)이 지금의 자리로 옮김.
1326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유적>건물>누정
-
경포호(鏡浦湖)
강원도 강릉 저동(苧洞)에 있는 호수. 호숫물이 거울과 같이 맑다고 하여 경호(鏡湖)로도 불리며, 예로부터 네 개의 달이 뜬다는 말이 전함.
강원도>강릉 , 지명>자연지명
-
경필(慶佖)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 춘추관 편수관(春秋館編修官)을 지낸 경준(慶俊)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경학대장(經學隊仗)
통일신라시대의 학자ㆍ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이 지었다는 책. 경학(經學)의 원리와 그 실용책(實用策)을 종목별로 열거함. 3권 1책. 활자본(活字本).
한국>근대 , 문헌>서명
-
경학이굴(經學理窟)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장재(張載)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경행서원(景行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강원도 삼척(三陟) 북정산(北亭山) 밑에 건립한 서원. 삼척 부사(三陟府使) 김효원(金孝元)과 허목(許穆)을 배향함. 여러 차례 이전되다가, 1868년(고종 5)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된 뒤 복원되지 못함.
1631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현공주(敬顯公主)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넷째 딸. 어머니는 문정왕후(文定王后). 좌승지(左承旨) 신수경(申秀涇)의 아들인 영천위(靈川尉) 신의(申檥)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경현록(景賢錄)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인 김하석(金夏錫)이 한훤당(寒喧堂) 김굉필(金宏弼)의 시와 사적을 중심으로 유학자들의 글을 모아 엮은 책. 6권 3책. 도동서원(道東書院)에서 간행함.
17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경현서원(景賢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나주(羅州) 금성산(錦城山) 아래에 건립한 서원.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ㆍ기대승(奇大升)ㆍ김성일(金誠一) 등을 배향함. 1868년(고종 5)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77년 복원됨.
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혜공주(敬惠公主)
조선 제5대 문종(文宗)의 딸. 현덕왕후(顯德王后)의 소생으로, 참판 정충경(鄭忠敬)의 아들인 정종(鄭悰)과 혼인함. 남편인 정종이 반역죄로 처형당하자 장흥(長興)의 관비가 됨.
?~14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경호(鏡湖)
중국 절강성(浙江省) 회계산(會稽山)에 있는 호수 이름. 물이 거울처럼 잔잔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경혼(慶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중종실록(中宗實錄)》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보우(普雨)를 중용하는 데 반대함.
1498~156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경화궁주(敬和宮主)
고려 제34대 공양왕(恭讓王)의 셋째 딸. 순비노씨(順妃盧氏)의 소생으로, 진원군(晉原君) 강회계(姜淮季)와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공주
-
경화옹주(敬和翁主)
고려 후기의 종친. 통의군(通儀君) 왕연(王𤦷)의 딸로, 당성부원군(唐城府院君) 홍빈(洪彬)과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왕실>종친
-
경후(景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의 제후. 재위 B.C.403~B.C.400. 위사(魏斯)ㆍ조적(趙籍)과 함께 진(晉) 나라의 대부(大夫)였다가 주(周) 위열왕(威烈王)으로부터 제후에 봉해지고, 이때부터 전국시대가 비롯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경흥(慶興)
함경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으나, 북방민족이 거주하다 고려 말기에 복속시켜 공주(孔州)가 됨. 목조(穆祖)가 처음으로 터전을 마련한 곳이며, 두만강에 인접한 국경 도시로서 예로부터 국방의 요충지임.
함경도>경흥 , 지명>행정지명
-
경희(慶喜)
조선 전기의 승려.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서경희축희왕풍악(書慶喜軸喜往楓岳)〉과 〈차경희축운(次慶喜軸韻)〉이라는 칠언절구(七言絶句) 두 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경희(景熙)
조선 전기의 승려. 송인(宋寅)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도화원석상증경희(桃花源石上贈景熙)〉라는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종교인>승려
-
계(啓)
중국 하(夏) 나라 제2대 왕. 9년간 재위함. 우왕(禹王)의 아들. 성은 사(姒)씨. 그로부터 선양(禪讓)이 사라지고 왕위세습제가 확립됨.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계(鷄)
닭. 가금(家禽)의 하나로, 민속(民俗)에서 새벽을 알리고 귀신을 쫓는 벽사(辟邪)의 동물로 일컬어짐.
자연물>동물
-
계^맹(季^孟)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大夫)인 계손씨(季孫氏)와 맹손씨(孟孫氏)를 함께 부르는 말. 계손씨와 맹손씨의 중간이라는 말로, 높지도 낮지도 않은 예우(禮遇)를 뜻하기도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계갑록(癸甲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인 우성전(禹性傳)의 저서. 1583년(선조 16) 6월부터 1584년(선조 17) 8월까지 1년 2개월 간의 정치기사를 일기체로 엮음. 1책. 1911년에 《대동야승(大東野乘)》 제24권에 수록되어 간행됨.
191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계강자(季康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애공(哀公) 때의 정경(正卿). 공자(孔子)에게 정치에 대해 물은 것이 《논어(論語)》 〈안연(顔淵)〉편에 실려 있음.
?~B.C.46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고(階古)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의 음악가. 신라에 투항한 가야의 음악가인 우륵(于勒)에게 가야금을 배움. 만덕(萬德)ㆍ법지(法知)와 함께 만든 곡이 신라의 궁중음악인 대악(大樂)으로 채택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계곡집(谿谷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장유(張維)의 문집. 목판본. 36권 18책. 아들 장선징(張善澂)이 저자가 만들어 놓은 정고본(定稿本) 〈계곡초고(谿谷草稿)〉를 수습ㆍ보충하여 광주 목사(光州牧使) 이각(李恪)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
16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문헌>서명
-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
고려 제26대 충선왕(忠宣王)의 비(妃). 중국 원(元) 나라의 진왕(晉王) 감마랄(甘麻剌)의 딸. 충선왕이 세자로 원 나라에 있을 때 혼인하였으며, 투기가 심하여 조인규(趙仁規)의 딸 조비(趙妃)를 무고(誣告)한 사건을 일으킴.
?~1315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계녀서(戒女書)
조선 후기의 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이 출가하는 딸에게 교훈으로 삼도록 지어준 글. 한글 필사본. 1책. 조선시대 사대부가(士大夫家) 부녀자들의 행동에 관한 사회적 규범을 보여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계당(戒幢)
조선 전기의 승려.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관련된 칠언절구(七言絶句)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계당집(溪堂集)
조선 전기의 학자인 최흥림(崔興霖)의 시문집. 1권 1책. 1804년(순조 4)에 11대손 최학수(崔學洙) 등이 편집 간행함.
180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계룡산(鷄龍山)
충청남도 공주(公州)ㆍ논산(論山)ㆍ대전(大田)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신라시대 오악(五嶽) 중 하나.
충청도>연산ㅣ충청도>공주 , 지명>자연지명
-
계륵(鷄肋)
닭의 갈비뼈라는 뜻. 중국 삼국시대에 위(魏) 나라의 조조(曹操)가 촉(蜀) 나라와 항전 중이던 한중성(漢中城)을 쓸모는 없으나 버리기는 아까운 땅이라고 한 데서 나온 말로, 그다지 큰 소용은 없지만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을 나타낼 때 쓰는 말. 《후한서(後漢書)》 〈양수전(楊修傳)〉에 나옴.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림서사(鷄林書事)
중국 송(宋)~금(金) 나라의 문신ㆍ서화가인 오격(吳激)이 고려에 대해 지은 시. 금(金) 나라 원호문(元好問)의 시집인 《중주집(中州集)》에 실려 있음.
중국>금 , 중국 , 문헌>작품명
-
계명구도(鷄鳴狗盜)
닭의 울음소리를 잘 내는 사람과 개 흉내를 잘 내는 도둑.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맹상군(孟嘗君)의 고사에서 나온 말로, 고상한 학문은 없고 천박한 꾀를 써서 남을 속이는 사람을 비유함. 《사기(史記)》〈맹상군전〉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