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석복(碩福)@홍석복 - 홍석복(洪碩福)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군수 홍사원(洪士源)의 아들이며 기묘명유(己卯名儒) 홍순복(洪順福)의 아우로, 1534년(중종 2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
-
석복(碩福) - 오석복(吳碩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 오언의(吳彦毅)의 아버지로, 의령 현감(宜寧縣監)을 지냄.
1455~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석봉(石峯) - 한호(韓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삼화(三和). 글씨를 잘 써서 외교문서 등을 맡아 썼으며, 중국에 사절이 갈 때도 서사관으로 파견되어 정묘한 필치로 명성을 떨침. 김정희(金正喜)와 쌍벽을 이루는 서예가로서, 사자관체(寫字官體)라는 서체가 그로부터 형성됨.
1543~160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석부광(釋溥光) - 이부광(李溥光)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ㆍ서예가. 조맹부(趙孟頫)가 주방(酒坊)에 쓴 그의 글씨를 보고 추천하여 세조(世祖) 때 소문관 태학사(昭文館太學士)에 봉해짐. 한때 궁성(宮城) 전각의 편액(扁額)에 그의 작품이 많았다고 함.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예술인>서화가
-
석북(石北) - 신광수(申光洙)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고령(高靈). 1746년(영조 22)에 관산융마(關山戎馬)란 시(詩)로 급제했는데, 이 시는 당시 과시(科詩)의 모범이 됨. 1774년(영조 50)에 관서지방의 풍속ㆍ고적ㆍ고사 등을 소재로 한 관서악부(關西樂府)를 지었으며, 《석북집(石北集)》을 남김.
1712~177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석사(石寺) - 응석사(凝石寺)
경상도 영천(榮川)에 있는 사찰. 박승임(朴承任)과 문하생들이 응석사(凝石寺)를 유람하면서 지은 시를 〈응석사창수록(凝石寺唱酬錄)〉이라 하는데 《소고집(嘯皐集)》에 실려 있음.
경상도>영천(榮川) , 유적>건물>사찰
-
석상서(石尙書) - 석성(石星)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로서 임진왜란 때 신점(申點)의 간청으로 원군을 조선에 파병하였고, 심유경(沈惟敬)과 화의를 적극 지지했다가 화의의 실패로 체포되어 옥사함.
?~159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석선재(石仙齋) - 신광한(申光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고, 우찬성(右贊成)으로 양관(兩館) 대제학을 겸했으며, 좌찬성(左贊成)을 지냄.
1484~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석성부(石城府) - 박다(博多)
일본 서해도(西海道) 구주(九州) 가운데 축전주(築前州)에 속한 거진(巨鎭) 이름. 대외교통의 요충지로, 신라의 충신 박제상(朴堤上)이 순국한 곳으로 전해짐.
일본 , 지명>행정지명
-
석성부원군(碩城府院君) - 인당(印璫)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교동인씨(喬桐印氏)의 시조. 원(元) 나라가 국경침입을 구실로 위협하자 공민왕(恭愍王)에 의해 죄를 뒤집어쓰고 사형당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관인>무신
-
석소(釋疏) - 논어석소(論語釋疏)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희춘(柳希春)의 저서. 현전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석소(釋疏)@대학석소 - 대학석소(大學釋疏)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희춘(柳希春)이 지은 《대학(大學)》의 주석서(註釋書).
157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석손(錫孫) - 이석손(李錫孫)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 때에 아들 신창령(新昌令) 이흔(李訢)과 함께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고변당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석수(碩壽) - 이석수(李碩壽)
조선 후기의 종친. 무산군(茂山君)의 여섯째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호종하고, 동생인 영원군(永原君)과 함께 선릉(宣陵)과 정릉(靖陵)을 봉심(奉審)함. 부안군(扶安君)으로 봉해짐.
1524~15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석순(碩淳) - 권석순(權碩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1474년(성종 5)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했으며, 정수강(丁壽崗)의 《월헌집(月軒集)》에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석식영암(釋息影菴) - 식영(息影)
고려 후기의 승려. 선원사(禪源寺)에서 보각국사(普覺國師) 혼수(混脩)에게 능엄경(楞嚴經)을 가르침. 시문(詩文)에 조예가 깊고, 사대부들과 교류가 많았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석실(石室) - 김상헌(金尙憲)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서인 청서파(淸西派)의 영수이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끝까지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함. 효종이 즉위해 북벌을 추진할 때 그 이념적 상징으로 ‘대로(大老)’라고 존경을 받음.
1570~165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경기도>양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석실사(石室祠) - 석실서원(石室書院)
조선 효종(孝宗) 때 경기도 양주(楊州)에 건립한 서원. 1663년(현종 4)에 사액되었으며, 김상용(金尙容)ㆍ김상헌(金尙憲)ㆍ김수항(金壽恒)ㆍ민정중(閔鼎重)ㆍ이단상(李端相)ㆍ김창협(金昌協) 등을 배향함. 현재 경기도 남양주에 속함.
165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석실산인(石室山人) - 김상헌(金尙憲)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서인 청서파(淸西派)의 영수이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끝까지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함. 효종이 즉위해 북벌을 추진할 때 그 이념적 상징으로 ‘대로(大老)’라고 존경을 받음.
1570~165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경기도>양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석실서재(石室書齋) - 석실서원(石室書院)
조선 효종(孝宗) 때 경기도 양주(楊州)에 건립한 서원. 1663년(현종 4)에 사액되었으며, 김상용(金尙容)ㆍ김상헌(金尙憲)ㆍ김수항(金壽恒)ㆍ민정중(閔鼎重)ㆍ이단상(李端相)ㆍ김창협(金昌協) 등을 배향함. 현재 경기도 남양주에 속함.
165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석실선생(石室先生) - 문동(文同)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화가. 시문과 글씨, 특히 죽화(竹畵)에 뛰어나 후세에 묵죽(墨竹)의 개조(開祖)로 추앙받음.
1018~1079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석실선생(石室先生)@육유지 - 육유지(陸維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 속세를 초월한 뜻을 가지고 대조동천(大滌洞天)의 석실(石室)에 은거하여 시와 술을 즐기며 유유자적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석양군(石陽君) - 이정(李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ㆍ화가. 세종(世宗)의 현손이자, 익주군(益州君) 이지(李枝)의 아들로, 석양군(石陽君)에 봉해짐. 시ㆍ서ㆍ화에 능하고, 특히 묵죽화(墨竹畫)에 뛰어나 명성을 떨침.
1541~162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산욱(山旭) - 양산욱(梁山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사(義士)ㆍ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언림(彦霖) 양응필(梁應畢)의 아들. 임진왜란 때에 의거하였으며, 예빈시 봉사(禮賓寺奉事)을 지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산은(散隱) - 정희량(鄭希良)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부사(府使) 정연경(鄭延慶)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 승문원(承文院)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 등을 지내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됨.
146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산음정(山陰亭) - 난정(蘭亭)
중국 절강성(浙江省) 소흥(紹興)의 난저산(蘭渚山) 위에 있는 정자 이름. 동진(東晉) 때 이곳에서 열린 연회를 배경으로 지은 왕희지(王羲之)의 〈난정집서(蘭亭集序)〉가 유명함.
중국 , 유적>건물>누정
-
산인(山人) - 산당(山黨)
조선 인조(仁祖) 말에 청서(淸西)에서 갈린 서인(西人)의 한 분파. 김집(金集)ㆍ송준길(宋浚吉)ㆍ송시열(宋時列) 등이 연산(連山)ㆍ회덕(懷德)에 머물며 정계에 나가지 않아 산인(山人)이라고 부른 데서 붙인 이름.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조직
-
산자관원(山字官員) - 정석견(鄭錫堅)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올랐으나 김종직(金宗直)의 문집을 간행한 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파직됨. 성종 때 천거된 유도인(有道人) 13인 중의 한 사람.
?~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개령 , 인명>관인>문신
-
산전(山前) - 허성(許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일본에 통신사로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을 직고하고, 임진왜란 때는 군병모집에 진력함.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48~161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산정(山亭) - 열운정(閱雲亭)
평안도 평양(平壤) 기자성(箕子城) 안에 있는 누정 이름. 양사언(楊士彥)이 지은 〈열운정기(閱雲亭記)〉가 전함.
평안도>평양 , 유적>건물>누정
-
산죽(山竹) - 석죽화(石竹花)
패랭이꽃.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 어떤 장사(壯士)가 석령(石靈)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 6~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음. 《동문선(東文選)》에 실린 정습명(鄭襲明)의 시가 유명함.
자연물>식물
-
산준(山浚) - 양산준(梁山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병절교위(秉節校尉) 양응기(梁應箕)의 아들로, 예빈시 봉사(禮賓寺奉事)를 지냈으나 일찍 죽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산중(山重) - 양산중(梁山重)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양응태(梁應台)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산중재상(山中宰相)@신계성 - 신계성(申季誠)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학자. 성리학(性理學)에 뜻을 두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박영(朴英)에게 수학(受學)하고, 김대유(金大有)ㆍ조식(曺植) 등과 종유(從遊)하여 삼고(三高)라 불림.
1499~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
-
산중재상(山中宰相) - 도홍경(陶弘景)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학자. 유명한 도교 사상가로 수많은 도교 서적을 저술함.
456~53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산천(山泉) - 박주종(朴周鍾)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학자. 본관은 함양(咸陽). 학문이 깊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많은 저술을 남김.
1813~188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
-
산천재(山泉齋) - 윤선거(尹宣擧)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학자. 김집(金集)의 문인으로, 유계(兪棨)ㆍ송시열(宋時烈)ㆍ윤휴(尹鑴)ㆍ윤선도(尹善道)ㆍ이유태(李惟泰) 등과 교유함. 성리학(性理學)의 대가이고 예론(禮論)에도 정통함.
1610~166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금산 , 인명>문사>학자
-
산청(山淸) - 산음(山陰)
경상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는 단성(丹城), 서쪽으로는 함양(咸陽), 북쪽으로는 거창(居昌)과 접해 있음. 지리산(智異山)과 서계서원(西溪書院) 등이 있으며, 지금은 경상남도 산청(山淸)에 속함.
경상도>산음 , 지명>행정지명
-
산축(山軸) - 양산축(梁山軸)
조선 선조(宣祖) 때의 효자. 본관은 제주(濟州).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넷째 아들.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진주 남쪽 삼향포(三鄕浦)에서 왜적을 만나 일가가 모두 순절함.
1571~15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효자
-
산택재(山澤齋) - 홍여하(洪汝河)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로, 홍호(洪鎬)의 아들. 이후원(李厚源)을 논박한 상소로 인해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고향에서 학문에 전념하였으며, 남인(南人) 집권 후에 사간(司諫) 등을 지냄. 특히 주자학(朱子學)에 밝았음.
1621~167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산한(山翰) - 양산한(梁山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병절교위(秉節校尉) 양응기(梁應箕)의 아들로, 정릉 참봉(貞陵參奉)을 지냈으나 일찍 죽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산항(山杭) - 양산항(梁山杭)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인 양응덕(梁應德)의 넷째 아들. 영해 부사(寧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산해(山海) - 권산해(權山海)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 등이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가 참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자결함.
?~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산해(山海)@이산해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산해(山海)@양산해 - 양산해(梁山海)
조선 후기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아들로,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문인(門人). 학행(學行)으로 호조 참판(戶曺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산해정(山海亭)@조식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산형(山逈) - 양산형(梁山逈)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병절교위(秉節校尉) 양응기(梁應箕)의 아들.
15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산후(山厚) - 양산후(梁山厚)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양응태(梁應台)의 아들.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살리타(撒禮塔) - 살례탑(撒禮塔)
중국 원(元) 나라의 장군. 1231년(고종 18) 몽고의 1차 침입과 1232년(고종 19) 2차 침입 때 활약하였으며, 처인성(處仁城 : 龍仁)에서 승려 김윤후(金允侯)에게 피살됨.
?~1232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살리타이(撒禮塔) - 살례탑(撒禮塔)
중국 원(元) 나라의 장군. 1231년(고종 18) 몽고의 1차 침입과 1232년(고종 19) 2차 침입 때 활약하였으며, 처인성(處仁城 : 龍仁)에서 승려 김윤후(金允侯)에게 피살됨.
?~1232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살보(薩保) - 우문호(宇文護)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의 문신ㆍ종친. 서위(西魏)의 공제(恭帝)ㆍ북주의 민제(閔帝)와 명제(明帝)를 죽이면서 조정의 대권을 계속 장악하다가, 무제(武帝)에 의해 살해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삼(參) - 노삼(魯參)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판관(判官)을 역임했고 《홍무정운(洪武正韻)》을 수정하는데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삼(參) - 강삼(姜參)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암 군수(靈岩郡守)ㆍ승정원 우승지(承政院右承旨) 등을 지냈음.
1452~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삼^급(參^伋) - 증^사(曾^思)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증삼(曾參)과 공급(孔伋)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삼가(三加) - 곽지견(郭之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곽간(郭趕)의 아버지로, 통선랑(通善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삼가(三可) - 박수량(朴遂良)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되어 강릉(江陵)으로 돌아가 시와 술로 여생을 보냄.
1475~154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삼가(三嘉)@박맹지 - 박맹지(朴孟智)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세조(世祖)의 부름을 사양하고 함양(咸陽)에 은거하면서 성리학을 연구하였으며, 성종 때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삼가(三家) - 삼한(三韓)
삼국시대 이전 우리나라 중남부에 자리잡고 있던 정치집단에 대한 통칭. 마한(馬韓)ㆍ진한(辰韓)ㆍ변한(弁韓)을 이름.
고대 , 시간>기타시간
-
삼가(三家)@삼환 - 삼환(三桓)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정치의 중심세력을 형성한, 환공(桓公)의 자손인 맹손씨(孟孫氏)ㆍ숙손씨(叔孫氏)ㆍ계손씨(季孫氏)의 삼가(三家)를 가리키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삼가정(三可亭) - 박수량(朴遂良)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되어 강릉(江陵)으로 돌아가 시와 술로 여생을 보냄.
1475~154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삼강(三江)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삼강록(三綱錄)@삼강행실도 -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조선 세종(世宗) 때 설순(薛循) 등이 왕명을 받아 삼강(三綱)의 모범이 될 만한 사람 105명의 행적을 모아 간행한 책. 조선시대의 도덕서(道德書).
14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삼강록(三綱錄)@속삼강행실도 - 속삼강행실도(續三綱行實圖)
조선 중종(中宗) 때 신용개(申用漑)가 왕명을 받아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보유(補遺)하여 편찬한 책.
151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삼강속록(三綱續錄) - 속삼강행실도(續三綱行實圖)
조선 중종(中宗) 때 신용개(申用漑)가 왕명을 받아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보유(補遺)하여 편찬한 책.
151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삼강팔목(三綱八條)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삼강행실(三綱行實) -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조선 세종(世宗) 때 설순(薛循) 등이 왕명을 받아 삼강(三綱)의 모범이 될 만한 사람 105명의 행적을 모아 간행한 책. 조선시대의 도덕서(道德書).
14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삼강행실속록(三綱行實續錄) - 속삼강행실도(續三綱行實圖)
조선 중종(中宗) 때 신용개(申用漑)가 왕명을 받아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보유(補遺)하여 편찬한 책.
151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삼검(三劒) - 신검(神劒)
후백제(後百濟)의 제2대 왕. 재위 935~936. 견훤(甄萱)의 장남. 견훤이 넷째 아들 금강(金剛)에게 왕위를 물려주려고 하자, 두 동생 양검(良劍)ㆍ용검(龍劍) 등과 공모하여 견훤을 금산사(金山寺)에 유폐시키는 한편, 금강을 죽이고 스스로 왕이라 칭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국왕
-
삼경(三卿) - 삼환(三桓)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정치의 중심세력을 형성한, 환공(桓公)의 자손인 맹손씨(孟孫氏)ㆍ숙손씨(叔孫氏)ㆍ계손씨(季孫氏)의 삼가(三家)를 가리키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삼경로(三逕老)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삼경사서석의(三經四書釋義) - 경서석의(經書釋義)
조선 전기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삼경(三經)과 사서(四書)를 주석(註釋)한 책. 임진왜란 때 일실(逸失)되었으나, 광해군(光海君) 때 전사본(傳寫本)을 수집하여 간행함. 8권 2책. 목판본(木版本).
160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삼경집람(三經輯覽) - 역시서집람(易詩書輯覽)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이지충(李之忠)이 편찬한 책.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삼계(三戒) - 김삼계(金三戒)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삼계(三桂) - 오삼계(吳三桂)
중국 명(明) 말~청(淸) 초의 무신. 명 나라 말에 산해관(山海關)을 지켰으나, 청 나라에 항복하고 이자성(李自成)을 격파함. 후에 다시 청 나라를 배반하여 주(周) 나라를 세우고 황제라 칭하였으나 곧 병사(病死)함.
1612~1678 중국>청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삼계(三溪) - 최경회(崔慶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크게 활약하다가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남강(南江)에 투신자살함. 진주 창렬사(彰烈祠) 등에 제향되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1532~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삼계원(三溪院) - 삼계서원(三溪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1588년(선조 21) 창건되어 권벌(權橃)의 위패를 봉안했으며, 1660년(현종 1) 사액됨. 현재 경상북도 봉화(奉化)에 속함.
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삼고제(三顧帝)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삼광(三光) - 문다성(文多省)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남평문씨(南平文氏)의 시조.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책록되고,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삼괴(三槐) - 신종호(申從濩)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문과에 세 차례 장원하여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등을 역임하였고,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ㆍ《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문장과 시ㆍ글씨에 뛰어났음.
1456~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삼괴(三魁) - 신종호(申從濩)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문과에 세 차례 장원하여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등을 역임하였고,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ㆍ《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문장과 시ㆍ글씨에 뛰어났음.
1456~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삼괴당(三槐堂) - 남지언(南知言)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고성(固城). 남인(南寅)의 아들이며, 남정(嵐亭) 김시창(金始昌)의 사위이자 문인. 김천도 찰방(金泉道察訪)을 지냈으며, 말년에 황간(黃澗)에 삼괴당(三槐堂)을 짓고 후학 교육에 전념함.
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황간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삼괴당(三魁堂) - 신종호(申從濩)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문과에 세 차례 장원하여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등을 역임하였고,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ㆍ《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문장과 시ㆍ글씨에 뛰어났음.
1456~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삼국본사(三國本史) - 삼국사기(三國史記)
고려 인종(仁宗) 때 김부식(金富軾)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기전체(紀傳體)의 역사서. 우리나라에 현전(現傳)하는 가장 오래된 역사서. 총 50권.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자료가 됨.
1145 한국>고려전기 , 문헌>서명
-
삼국사략(三國史略) - 동국사략(東國史略)
조선 태종(太宗) 때 권근(權近) 등이 왕명에 따라 단군조선(檀君朝鮮)에서 삼국시대(三國時代)까지의 역사를 강목체(綱目體)로 기술한 관찬사서(官撰史書). 8권. 활자본.
140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삼군(三君) - 진식(陳寔)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태구 현령(太丘縣令)을 지냄. 아들 진기(陳紀)ㆍ진심(陳諶)과 함께 세 군자란 명성이 있으며, 양상군자(梁上君子)란 고사로도 유명함.
104~18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삼군진무소(三軍鎭撫所) -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조선시대의 중앙군인 오위(五衛)를 지휘 감독한 최고 군령기관(軍令機關). 군정(軍政)의 문란과 임진왜란(壬辰倭亂)을 계기로 문제점이 드러나자 훈련도감(訓練都監)ㆍ어영청(御營廳) 등으로 대체하고 1882년(고종 19)에 폐지됨.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삼근(三近) - 심삼근(沈三近)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심열(沈說)의 아들이자 심위(沈渭)의 아버지로, 통사랑(通仕郞)에 이름.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삼기(三岐) - 삼가(三嘉)
경상도 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명승지로 용암서원(龍巖書院)과 관수루(觀水樓)ㆍ유린서정(有麟西亭) 등이 있음. 후에 거창(居昌)과 합천(陜川) 등에 분속됨.
경상도>삼가 , 지명>행정지명
-
삼년산(三年山) - 보은(報恩)
충청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소백산맥(小白山脈)이 지나감.
충청도>보은 , 지명>행정지명
-
삼년산서원(三年山書院) - 상현서원(象賢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충청도 보은(報恩)에 건립한 서원. 1555년(명종 10) 성제원(成悌元)이 충암(沖庵) 김정(金淨)을 향사하기 위해 건립했으며, 1610년(광해군 2) 사액(賜額)됨. 성운(成運)ㆍ송시열(宋時烈)ㆍ조헌(趙憲) 등을 추배함.
155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유적>건물>서원,향교
-
삼년성서원(三年城書院) - 상현서원(象賢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충청도 보은(報恩)에 건립한 서원. 1555년(명종 10) 성제원(成悌元)이 충암(沖庵) 김정(金淨)을 향사하기 위해 건립했으며, 1610년(광해군 2) 사액(賜額)됨. 성운(成運)ㆍ송시열(宋時烈)ㆍ조헌(趙憲) 등을 추배함.
155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유적>건물>서원,향교
-
삼달(三達) - 심삼달(沈三達)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심열(沈說)의 아들이자 심징(沈澄)의 아버지로, 1630년(인조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85~?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삼당(三唐) - 당(唐)
수(隋) 나라에 이은 중국의 통일 왕조. 문화ㆍ예술의 황금시대를 이루었으며, 고조(高祖)에서 애제(哀帝)까지 20대 290년간 존속.
618~907 중국>당 , 중국 , 시간>국명
-
삼당(三塘)@강석기 - 강석기(姜碩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금천(衿川)으로, 소현세자빈(昭顯世子嬪)인 강빈(姜嬪)의 아버지. 강빈 사건으로 관작을 추탈당했다가 숙종(肅宗) 때 복관(復官)됨.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1580~164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금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삼당(三塘) - 김영(金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영수(金永銖)의 아들로, 무오사화(戊午士禍)의 피해자를 신원(伸寃)하도록 상소함.
1475~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삼덕(參德) - 한삼덕(韓參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송재(松齋) 한충(韓忠)의 아들로, 우찬성(右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삼도(三島)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삼도(三島)@거문도 - 거문도(巨文島)
전라도 순천(順天)에 속하는 다도해(多島海) 최남단의 섬. 1885년(고종 22)에 영국이 러시아의 남하를 막는다는 구실로 이곳을 불법 점령한 거문도 사건이 있었음. 현재 전라남도 여수시(麗水市)에 속함.
전라도>순천 , 지명>자연지명
-
삼도(三島)@임계영 - 임계영(任啓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 임진왜란 때 박광전(朴光前)ㆍ최경회(崔慶會) 등과 의병활동을 펼쳐 크게 활약함. 진보 현감(眞寶縣監) 등을 지냄.
1528~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삼도동혈(三道洞宂) - 선인사(仙人祠)
중국 사천성(四川省) 청성현(靑城縣)의 명학산(鳴鶴山)에 있던 포교 사당.
중국 , 유적>건물>사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