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삼회처사(三悔處士) - 심세경(沈世經)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6대손.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삼훈당(三訓堂) - 양팽석(梁彭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우로, 기묘사화(己卯士禍) 후에 벼슬에 관심을 끊고 전리(田里)로 돌아가 은둔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삼휴(三休) - 사공도(司空圖)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당 나라 말에 환관이 발호하고 당쟁이 극심해지자 관직을 사임하고 중조산(中條山)의 왕관곡(王官谷)에 은거하며 시작(詩作)에 전력함.
837~908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삼휴당(三休堂) - 윤관(尹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학문으로 이름이 높아 당대(當代)의 신진사류들과 교유하였으며, 군자감 판관(軍資監判官) 등을 역임함.
1490~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삼휴자(三休子)@경섬 - 경섬(慶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통신부사(通信副使)가 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첫 번째 사절로 일본에 건너가 국교를 다시 열게 하고 임진왜란 때의 포로 1,340명을 데리고 돌아옴.
1562~162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삼휴자(三休子) - 윤관(尹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학문으로 이름이 높아 당대(當代)의 신진사류들과 교유하였으며, 군자감 판관(軍資監判官) 등을 역임함.
1490~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삼흉(三凶) - 정유삼흉(丁酉三凶)
조선 중종(中宗) 32년 정유년(1537)에 사사(賜死)된 김안로(金安老)ㆍ허항(許沆)ㆍ채무택(蔡無擇) 세 사람을 가리키는 말. 이들은 권력을 전횡하여 여러 번 옥사를 일으켰으며,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꾀하다가 사사됨.
1537 한국>조선전기 , 사상>술어>관용어
-
삽량(揷良) - 양산(梁山)
경상도 남동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양산 , 지명>행정지명
-
삽량주(揷良州) - 양산(梁山)
경상도 남동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양산 , 지명>행정지명
-
상(商)@양상 - 양상(梁商)
중국 후한(後漢) 순제(順帝) 때의 무신. 순제의 국구(國舅)이며, 양기(梁冀)의 아버지. 대장군(大將軍)을 지내고, 맏딸과 둘째딸이 순제의 황후(皇后)와 귀인(貴人)이 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상(商) - 복상(卜商)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魏)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문학(文學)에 뛰어났으며,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전하여 《공양전(公羊傳)》과 《곡량전(穀梁傳)》의 원류(源流)를 이루었고, 예(禮)의 객관적인 형식을 존중함.
B.C.507?~B.C.42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상(商)@은 - 은(殷)
중국 고대의 왕조(王朝). 시조는 탕왕(湯王)이며 주왕(紂王)의 폭정으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수도의 이름을 따라 상(商)이라고도 하며, 은허(殷墟)의 발굴로 인해 중국 최초의 역사적 왕조로 인정됨.
B.C.1600~B.C.1046 중국>은 , 중국 , 시간>국명
-
상(尙) - 김상(金尙)
고려시대의 호장(戶長). 본관은 예안(禮安). 예안김씨(禮安金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아전
-
상(常)@홍상 - 홍상(洪常)
조선 추존왕인 덕종(德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남양(南陽). 좌의정 홍응(洪應)의 아들로, 덕종의 딸 명숙공주(明淑公主)와 혼인하였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난 뒤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57~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상(常)@조선 - 이상(李常)@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셋째 아들인 익안대군(益安大君) 이방의(李芳毅)의 손자이며, 익평부원군(益平府院君) 이석근(李石根)의 일곱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상(常)@송 - 이상(李常)@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젊었을 때 여산(廬山)의 백석승사(白石僧舍)에서 공부하였으며, 과거에 급제한 뒤 장서(藏書) 9천여 권을 공부하던 집에 기증하고 ‘이씨산방(李氏山房)’이라 명명했는데, 이에 대해 소식(蘇軾)이 〈이군산방기(李君山房記)〉를 지음.
1027~109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常)@권상 - 권상(權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 권진(權振)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선공감 정(繕工監正)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후에 영의정(領議政) 동흥부원군(東興府院君)에 추증됨.
1508~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庠) - 원상(元庠)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장단(長湍)에 은거함. 조선 개국 후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장단 , 인명>관인>문신
-
상(湘)@김상 - 김상(金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군수(郡守) 김경언(金慶言)의 아버지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상(湘) - 이상(李湘)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며, 남천군(南川君) 이쟁(李崝)의 아들로, 효성이 지극하였음.
1486~152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상(祥)@노상 - 노상(盧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노진(盧禛)의 사촌 형으로 노진에게 학문을 가르침.
1504~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상(祥)@이전의아들 - 이상(李祥)@이전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두 번째 서자인 영산군(寧山君) 이전(李恮)의 아들이며. 안민학(安敏學)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상(祥)@이문환의아들 - 이상(李祥)@이문환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문환(李文煥)의 아들. 1496년(연산군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김극성(金克成)의 《우정집(憂亭集)》에 그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상(祥)@양숙의사위 - 이상(李祥)@양숙의사위
조선 전기의 유학. 양숙(梁淑)의 넷째 사위로, 적순부위(迪順副尉)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상(祥)@윤상 - 윤상(尹祥)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인 조용(趙庸)에게 수학하였으며, 세종(世宗) 때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으로 세손(世孫)이던 단종을 가르침. 경학(經學)에 밝고 문장에도 매우 능하였으며 후진양성에 힘씀.
1373~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祥)@오상 - 오상(吳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예조 좌랑을 지낸 오예손(吳禮孫)의 아들.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이조ㆍ예조ㆍ형조의 판서(判書)를 지내고, 문장에 뛰어나 8문장(八文章)의 한 사람으로 불림.
1512~15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祥)@선상 - 선상(宣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보성(寶城). 선조(宣祖) 때의 무신 선거이(宣居怡)의 아버지로, 도사(都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상(祥) - 박상(朴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지흥(朴智興)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된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복위를 주장함.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74~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상(裳)@고려 - 황상(黃裳)@고려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의창(義昌)으로, 회산군(檜山君) 황석기(黃石奇)의 아들. 장사성(張士誠) 토벌과 기철(奇轍) 일파 숙청에 참여했으며, 개경 등지에 침입한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을 격파하는 데 수훈을 세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상(裳)@송 - 황상(黃裳)@송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 때의 문신. 좌승상(左丞相) 유정(留正)에 의해 발탁되어 익선(翊善)을 지내며 황자(皇子)였던 영종(寧宗)을 보필함. 저서에 《왕부춘추강의(王府春秋講義)》ㆍ《겸산집(兼山集)》 등이 있음.
1146~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賞) - 김상(金賞)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 때의 무신. 김일제(金日磾)의 아들로, 아우인 김건(金建)과 함께 어려서부터 비슷한 또래인 소제와 친하게 지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상(鏛)@우상 - 우상(禹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우인손(禹仁孫)의 아들. 춘추관 편수관(春秋館編修官)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07~156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상(鏛) - 신상(申鏛)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연산군일기》 편찬에 참여함. 사림파 학자들의 등용에 힘썼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그들의 구명에 노력하였음.
1480~153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상^문(商^文) - 탕^문(湯^文)
중국 은(殷) 나라를 세운 탕(湯)과 주(周) 나라의 기틀을 마련한 문왕(文王)을 함께 부르는 말. 유교에서 성군(聖君)을 가리킴.
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상^삼(商^參) - 삼^상(參^商)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서남방 신(申)의 위치에 있는 삼성(參星)과 동방 묘(卯)의 위치에 있는 상성(商星)을 함께 부르는 말. 친한 사람과 이별하여 만나지 못함을 비유함.
사상>술어>관용어
-
상^팽(殤^彭) - 팽^상(彭^殤)
중국 고대의 선인(仙人)으로 칠팔백 세를 살았다는 팽조(彭祖)와 일찍 죽은 미성년을 가리키는 상자(殤子)를 함께 부르는 말. 《장자(莊子)》의 〈제물론(齊物論)〉에 나오는 말로, 장수(長壽)와 단명(短命)을 극단적으로 비유함.
중국>은ㅣ중국>하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상가(商家) - 은(殷)
중국 고대의 왕조(王朝). 시조는 탕왕(湯王)이며 주왕(紂王)의 폭정으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수도의 이름을 따라 상(商)이라고도 하며, 은허(殷墟)의 발굴로 인해 중국 최초의 역사적 왕조로 인정됨.
B.C.1600~B.C.1046 중국>은 , 중국 , 시간>국명
-
상가(尙加) - 이포(李褒)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조년(李兆年)의 아들로,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 등을 지냄. 여섯 아들이 모두 과거(科擧)에 올라 가문이 크게 중흥함.
1287~137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상강(湘江) - 상수(湘水)
중국 남령(南寧)에서 발원하여 북으로 흘러 호남성(湖南省) 동정호(洞庭湖)에 이르는 강. 요(堯) 임금의 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이 함께 순(舜) 임금에게 시집갔다가 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자 상수에 빠져 죽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상강구객(湘江久客)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상강죽(湘江竹) - 상죽(湘竹)
상수(湘水)의 대나무로,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뜻함.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었을 때 두 비(妃)인 아황과 여영이 상수에서 흘린 눈물이 대줄기를 얼룩지게 하였다 해서 남편을 따라 죽은 두 비의 절개를 상징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상개(桑蓋)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상건(尙建) - 김상건(金尙建)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함창(咸昌). 물암(勿巖) 김륭(金隆)의 5대손으로, 1774년(영조 50) 《물암집(勿巖集)》을 편집ㆍ간행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문사>유학
-
상검(尙儉) - 조상검(曺尙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동래 부사(東萊府使) 조희(曺禧)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상검(常儉) - 설공검(薛公儉)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정승(政丞)을 지낸 설지충(薛之沖)의 아버지로, 첨의 중찬(僉議中贊) 등을 역임함.
1224~130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상경(商卿)@강휘정 - 강휘정(姜徽鼎)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로, 한사(寒沙) 강대수(姜大遂)의 문인. 오건(吳健)의 위패를 봉안한 서계서원(西溪書院)의 사액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려 사액을 받음.
1634~167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상경(商卿) - 김희열(金希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김약평(金若枰)의 아들로, 병조ㆍ예조ㆍ호조의 참판(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상경(商卿)@윤탕로 - 윤탕로(尹湯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윤호(尹壕)의 아들이며, 성종의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오빠. 중종 때 정국공신(靖國功臣)과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상경(商卿)@양희부 - 양희부(梁希傅)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돈용교위(敦勇校尉) 양충(梁沖)의 아들.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상경(商卿)@이상경 - 이상경(李商卿)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장수(長水). 이수림(李壽林)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문사>유학
-
상경(商卿)@안몽윤 - 안몽윤(安夢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임진왜란 때 왜군을 토벌하였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군량보급에 힘쓰고 서울 안현(鞍峴) 전투에서 공을 세워 순양군(順陽君)에 봉해짐.
1571~165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상경(商卿)@최여우 - 최여우(崔汝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이이(李珥)의 문인인 최준(崔濬)ㆍ최서(崔湑)ㆍ최전(崔澱)의 아버지로, 위원 군수(渭原郡守) 등을 지냄.
1535~157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상경(商卿)@윤은보 - 윤은보(尹殷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성종실록(成宗實錄)》ㆍ《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ㆍ《대전후속록(大典後續錄)》ㆍ《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68~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상경(尙敬) - 한상경(韓尙敬)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청성군(淸城君) 한수(韓脩)의 셋째 아들. 이성계(李成桂)를 추대하는 모의에 가담하고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함.
1360~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경(尙褧) - 문상경(文尙褧)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유학 문명필(文命弼)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문사>유학
-
상경(祥卿) - 홍경창(洪慶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계강(洪係江)의 아들로, 안동 부사(安東府使)ㆍ봉상시 부정(奉常寺副正)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곡(桑穀)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상곡(桑谷) - 성석인(成石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성여완(成汝完)의 아들이며, 성석린(成石璘)ㆍ성석용(成石瑢)의 아우로, 고려 때 경연강독관(經筵講讀官) 등을 지내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상골(象骨) - 가야산(伽倻山)
경상도 성주(星州)와 합천(陜川) 사이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상공(桑公) - 상린(桑麟)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고려(高麗) 우왕(禑王) 때에 사신으로 와서 중국의 유민(流民)들을 찾아 돌아갔으며, 이때 지어준 정몽주(鄭夢周)ㆍ이숭인(李崇仁)ㆍ권근(權近)ㆍ정총(鄭摠) 등의 송별시가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공자(桑公子) - 상린(桑麟)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고려(高麗) 우왕(禑王) 때에 사신으로 와서 중국의 유민(流民)들을 찾아 돌아갔으며, 이때 지어준 정몽주(鄭夢周)ㆍ이숭인(李崇仁)ㆍ권근(權近)ㆍ정총(鄭摠) 등의 송별시가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공정(相公亭) - 압구정(狎鷗亭)
서울 한강(漢江)의 두모포(豆毛浦) 남쪽 언덕에 세워진 정자. 세조(世祖) 때 한명회(韓明澮)가 세운 정자로, ‘압구정’이란 이름은 그가 명(明) 나라에 사신 가서 한림학사(翰林學士) 예겸(倪謙)에게서 얻어 온 것으로 당시에는 그 정자가 중국에까지 이름이 났었다고 함.
?~18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건물>누정
-
상공제(相公堤) - 안국제(安國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김안국(金安國)이 경상도 의성(義城) 비안(比安)에 만든 저수지 이름. 경상 감사(慶尙監司)로 있을 때 비안의 시내와 못을 막고 둑을 쌓아 저수지를 만들어 상국제(相國堤)라 하였다가 뒤에 안국제(安國堤)로 고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비안 , 유적>시설>기타시설
-
상관(相觀) - 조상관(趙相觀)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1763년(영조 39)에 통신사(通信士)로 일본에 갔을 때 일본의 태학사(太學士) 도국흥(陶國興)이 김성일(金誠一)의 후손에게 보내는 편지를 받아옴.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상구(尙矩) - 동월(董越)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조선 성종(成宗) 때 우리나라에 사신으로 왔다가 돌아가서 조선의 풍토(風土)를 부(賦)로 읊은 《조선부(朝鮮賦)》를 지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국제(相國堤) - 안국제(安國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김안국(金安國)이 경상도 의성(義城) 비안(比安)에 만든 저수지 이름. 경상 감사(慶尙監司)로 있을 때 비안의 시내와 못을 막고 둑을 쌓아 저수지를 만들어 상국제(相國堤)라 하였다가 뒤에 안국제(安國堤)로 고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비안 , 유적>시설>기타시설
-
상군(商君) - 공손앙(公孫鞅)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공자(公子). 법가(法家)의 대표적인 인물로, 진(秦) 효공(孝公)을 도와 법령을 제정하는 등 진제국(秦帝國) 성립의 기반을 세웠으나, 가혹한 법 집행으로 인해 미움을 받아 처형됨.
B.C.390~B.C.33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상군(湘君)@여영 - 여영(女英)
중국 고대 전설상의 왕비. 요(堯) 임금의 딸로, 언니 아황(娥皇)과 더불어 순(舜) 임금의 비(妃)가 되었는데, 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자 아황과 함께 소상강(瀟湘江)에 빠져 죽었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상군(湘君) - 아황(娥皇)
중국 고대 전설상의 왕비. 요(堯) 임금의 딸로, 아우 여영(女英)과 더불어 순(舜) 임금의 비(妃)가 되었는데, 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자 여영과 함께 소상강(瀟湘江)에 빠져 죽었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상군(裳郡) - 거제(巨濟)
경상남도 남단(南端)에 섬으로 이루어진 고을 이름. 제주도(濟州島)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대마도(對馬島)와 가까워 왜구(倭寇)의 출몰이 잦았음.
경상도>거제 , 지명>행정지명
-
상기(上琦) - 김상기(金上琦)
고려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상서 좌복야(尙書左僕射) 김양(金陽)의 아들이며, 문성공(文成公) 김인존(金仁存)의 아버지. 1085년 송(宋) 나라에 다녀와서 국사를 편찬했으며, 태부(太傅) 등을 지냄.
1031~1112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상기(商綺) - 오실(吳實)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은자. 진 나라의 폭정을 피해 상현 동산(商縣東山)에 숨은 상산사호(商山四皓)의 한 사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상길(尙吉) - 이상길(李尙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1602년(선조 35) 정인홍(鄭仁弘)ㆍ최영경(崔永慶) 등을 정여립(鄭汝立)의 일당으로 몰아 추론한 죄로 유배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강화도에 들어갔다가 1637년(인조15)에 자결함. 이항복(李恒福) 등과 교유함.
1556~163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남(尙男) - 서상남(徐尙男)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이천(利川). 판사(判事) 서극일(徐克一)의 아들로, 시묘살이를 할 때 그의 제자의 꿈에서 서극일이 일러주었다는 시가 《창석집(蒼石集)》에 전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상니(象尼)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상당(上黨)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상당군(上黨君)@한수 - 한수(韓脩)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서예가. 이제현(李齊賢)에게 경사(經史)와 서법(書法)을 배우고,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하였으며, 찬화공신(贊化功臣)에 책록됨. 지행과 식견이 뛰어나고, 특히 글씨에 능하여 많은 필적을 남김.
1333~138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상당군(上黨君)@한명회 - 한명회(韓明澮)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종(睿宗)ㆍ성종의 국구(國舅). 세조를 도와 계유정난(癸酉靖難)과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되었다가 후에 신원됨.
141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상당군(上黨君) - 백이정(白頤正)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ㆍ학자. 충선왕(忠宣王)을 따라 연경(燕京)에 머물면서 중국 성리학을 연구하고 정주(程朱)의 서적을 가져오는 등 고려 성리학 발전에 크게 공헌함.
1247~132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당백(上黨伯) - 양기(楊起)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귀화인. 본래 원(元) 나라의 대부로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을 지냈고,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를 따라 고려에 왔다가 귀화함. 청주양씨(淸州楊氏)의 시조.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한악 - 한악(韓渥)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사기(韓謝奇)의 아들로, 심양왕(瀋陽王) 왕고(王暠)가 충선왕을 참소하였을 때 위기를 모면하게 한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우정승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 한명회(韓明澮)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종(睿宗)ㆍ성종의 국구(國舅). 세조를 도와 계유정난(癸酉靖難)과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되었다가 후에 신원됨.
141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상당한씨(上黨韓氏) - 청주한씨(淸州韓氏)
기자(箕子)의 후예인 우량(友諒)의 원손(遠孫)으로, 고려 때 개국벽상공신(開國壁上功臣)에 녹훈된 한난(韓蘭)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집단>성씨
-
상당후(上黨侯) - 이애(李薆)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이거이(李居易)의 아들로, 태조의 맏딸인 경신공주(慶愼公主)와 혼인함. 태종을 도와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한 공으로 정사공신(定社功臣)과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3~14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상대(霜臺) - 사헌부(司憲府)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 풍속의 교정, 백관(百官)에 대한 규찰과 탄핵, 서경(署經) 등을 담당한 관청.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상덕(尙德)@한상덕 - 한상덕(韓尙德)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수(韓脩)의 넷째 아들로,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하였으며, 종손뻘인 한명회(韓明澮)를 양육함. 우리나라 최초의 양잠서인《양잠경험촬요(養蠶經驗撮要)》를 초록(抄錄)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상덕(尙德) - 신응시(辛應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와 교유하고, 주자학(朱子學)에 조예가 깊음.
1532~158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상덕(尙德)@진보 - 진보(陳普)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일찍이 주희(朱熹)의 〈무이도가(武夷櫂歌)〉에 주해(註解)를 붙여 이 시를 조도(造道)의 순서에 따라 무리하게 해석한 바 있음.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상덕(象德) - 임상덕(林象德)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강목체(綱目體)의 역사서인 《동사회강(東史會綱)》 등이 있음.
1683~17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덕사(尙德祠) - 덕암서원(德巖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함안(咸安)에 건립한 서원. 1617년(광해군 9)에 창건되고, 조순(趙純)ㆍ박한주(朴漢柱)ㆍ조종도(趙宗道)를 배향함.
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상덕재(尙德齋) - 정유길(鄭惟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영의정(領議政) 정광필(鄭光弼)의 손자. 우의정(右議政)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고, 시문(詩文)과 서예 등에 뛰어나 임당체(林塘體)라는 평을 받음.
1515~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도(上都) - 장안(長安)
중국 섬서성(陝西省) 서안(西安) 서북부에 위치한 옛 도읍 이름. 중국 서주(西周)ㆍ진(秦)ㆍ전한(前漢)ㆍ수(隋)ㆍ당(唐) 나라 등 11개 왕조가 도읍했던 중국 제1의 고도(古都).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상동왕(湘東王) - 원제(元帝)@남북조(양)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552~554. 아버지 무제(武帝)가 죽자 형제들을 물리치고 왕위에 오름. 본래 독서와 문학을 좋아하여 《금루자(金樓子)》 등의 저서를 편(編)하기도 함.
508~55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상동후(湘東侯) - 국성(麴聖)
술의 다른 이름. 고려 후기의 문인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가전(假傳) 〈국선생전(麴先生傳)〉의 주인공. 아버지 국차(麴醝)와 어머니 곡씨(穀氏) 사이에 태어나 임금의 총애를 받아 주객 낭중(主客郞中)을 지내고, 난을 평정한 공으로 상동후(湘東侯)에 봉해짐.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상두(相斗) - 이상두(李相斗)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대제학(大提學) 이돈우(李敦宇)의 생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사례계의(四禮稽疑)》ㆍ《거가십요(居家十要)》ㆍ《교아십요(敎兒十要)》등이 있음.
1769~18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락(上洛)@김귀영 - 김귀영(金貴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선조 때 평난공신(平難功臣)으로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봉해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임해군(臨海君)을 호종하고 피난 갔다가 왜군의 포로가 된 일로 희천(熙川)으로 유배되어 죽음.
1520~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락(上洛) - 김방경(金方慶)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효인(金孝印)의 아들로,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평정하고 원(元) 나라가 일본을 정벌할 때 참여함.
1212~130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상락(上洛)@상주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상락(商洛) - 상산(商山)
중국 섬서성(陝西省) 상현(商縣) 동쪽에 있는 산. 상산사호(商山四皓)가 진(秦) 나라 말기 세상의 어지러움을 피하여 숨은 곳.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상락(商洛)@상주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