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상신(商辛) - 주(紂)
중국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 제을(帝乙)의 아들로, 달기(妲己) 등의 미인과 음란 방탕한 생활을 즐기고, 비간(比干) 등의 충신을 내치는 등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인심을 잃어 주(周) 나라의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상신(尙信) - 이상신(李尙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우인(李友仁)의 아들이자 이상의(李尙毅)의 동생으로,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허엽(許曄)ㆍ윤근수(尹根壽) 등과 교유하고, 1593년(선조 26) 시폐(時弊)를 고칠 것을 상주(上奏)하였으며, 1605년(선조 38) 명(明) 나라에 가서 염초(焰硝)의 수입을 허락받음.
1564~161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신(尙新) - 이상신(李尙新)
조선 후기의 유학. 조종도(趙宗道)의 아들인 조영한(趙英漢)의 사위. 《대소헌일고(大笑軒逸稿)》에 그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상심(象心) - 이귀서(李龜書)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교리(校理)를 지낸 이가순(李家淳)의 아버지로,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을 지냄.
1727~179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상심헌(賞心軒) - 송남수(宋柟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임천 군수(林川郡守) 등을 지냈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도주하여 탄핵을 받았으나 곧 사면되었고, 이후 낙향하여 쌍청당(雙淸堂)을 중수함.
1537~162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상아(孀娥) - 항아(姮娥)
중국 고대 유궁후(有窮后) 예(羿)의 아내. 예가 서왕모(西王母)에게 얻은 선약(仙藥)을 몰래 훔쳐 먹고 신선이 되어 혼자 월궁(月宮)으로 달아났으나, 두꺼비로 변해 달에서 외롭게 살고 있다고 전함. 달에 사는 신선(神仙)이나, 달 자체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임.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상아(湘娥)@여영 - 여영(女英)
중국 고대 전설상의 왕비. 요(堯) 임금의 딸로, 언니 아황(娥皇)과 더불어 순(舜) 임금의 비(妃)가 되었는데, 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자 아황과 함께 소상강(瀟湘江)에 빠져 죽었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상아(湘娥) - 아황(娥皇)
중국 고대 전설상의 왕비. 요(堯) 임금의 딸로, 아우 여영(女英)과 더불어 순(舜) 임금의 비(妃)가 되었는데, 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자 여영과 함께 소상강(瀟湘江)에 빠져 죽었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상아재(尙雅齋) - 홍성민(洪聖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홍춘경(洪春卿)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 1590년(선조 23)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듬해 건저문제(建儲問題)로 인해 파직당함.
1536~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안(商顔)@상산사호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상안(商顔)@상주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상안(商顔) - 상산(商山)
중국 섬서성(陝西省) 상현(商縣) 동쪽에 있는 산. 상산사호(商山四皓)가 진(秦) 나라 말기 세상의 어지러움을 피하여 숨은 곳.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상안(尙安) - 이상안(李尙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강계 부사(江界府使) 등을 지내고,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병마절도사 남이흥(南以興)의 별장(別將)이 되어 안주(安州)에서 적과 싸우다가 전사함.
1575~162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
-
상안(尙顔) - 고상안(高尙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개성(開城). 강제(姜霽)의 문인으로, 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으며, 이덕형(李德馨)ㆍ이순신(李舜臣) 등과의 서사 기록(書事記錄)을 남김. 저서로 《태촌집(泰村集)》 등이 있음.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안(祥安) - 민상안(閔祥安)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북경(北京)에 다녀왔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를 비호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상안수(商顔叟)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상암(商巖) - 부열(傅說)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명재상. 부암(傅巖)에서 노역을 하다가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룸.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앙(商鞅) - 공손앙(公孫鞅)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공자(公子). 법가(法家)의 대표적인 인물로, 진(秦) 효공(孝公)을 도와 법령을 제정하는 등 진제국(秦帝國) 성립의 기반을 세웠으나, 가혹한 법 집행으로 인해 미움을 받아 처형됨.
B.C.390~B.C.33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상약(尙藥) - 영산(靈山)
경상도 북부 중앙에 위치한 지명. 본래 독립된 군(郡)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창녕(昌寧)에 속하게 됨. 진산(鎭山)으로 영취산(靈鷲山)이 있음.
경상도>영산 , 지명>행정지명
-
상양(尙養) - 김상양(金尙養)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용담 현령(龍潭縣令) 김호수(金虎秀)의 아들로, 1613년(광해군 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8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상양(桑羊) - 상홍양(桑弘羊)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 평준법(平準法) 등을 만들어 국가의 재정수입을 증가시켰으나, 곽광(霍光)과 반목이 격화되자 상관걸(上官桀) 등과 함께 모반을 꾀하다가 처형됨.
B.C.152~B.C.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어(湘魚)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상여(相如)@인상여 - 인상여(藺相如)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 혜문왕(惠文王) 때의 정치가. 염파(廉頗)와 교유했으며, 외교술이 뛰어나 진(秦) 나라 소양왕(昭襄王)에게서 화씨벽(和氏璧)을 되찾아 온 고사가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여(相如) - 사마상여(司馬相如)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랑장(中郞將)ㆍ효문원령(孝文園令) 등을 지내고, 〈자허부(子虛賦)〉ㆍ〈상림부(上林賦)〉 등 유명한 작품을 남김.
B.C.179~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상연(尙堧) - 이상연(李尙堧)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의 후손으로, 이진영(李震英)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상오(向悟) - 상오(向浯)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호안국(胡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주희(朱熹)와 교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상옹(商翁)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상옹(祥翁) - 황서절(黃瑞節)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길안부(吉安府) 안복현(安福縣) 사람으로 벼슬에 나가지 않고 성리학에 매진하여 《주자성서(朱子成書)》를 편찬함.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상왕(上王) - 단종(端宗)
조선 제6대 왕. 재위 1452~1455. 문종(文宗)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폐위되어 상왕(上王)ㆍ노산군(魯山君)ㆍ서인(庶人)으로까지 강등되었다가, 1457년(세조 3) 영월(寧越)에서 죽음을 당함. 1698년(숙종 24) 복위됨.
1441~145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상왕(商王)@탕 - 탕(湯)
중국 은(殷) 나라 제1대 왕. 하(夏) 나라의 걸(桀)이 학정을 하자 이윤(伊尹) 등의 도움을 받아 걸을 격파하고 은 나라를 세웠는데, 유교에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 주(紂)를 토벌한 일과 함께 정당한 혁명의 전형(典型)으로 평가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상왕(商王)@태갑 - 태갑(太甲)
중국 은(殷) 나라의 제왕. 탕(湯)의 손자이며, 태정(太丁)의 아들로, 중임(中壬)을 이어 즉위하여 3년 동안 포학하고 방탕하였으므로 이윤(伊尹)에게 추방되었다가, 3년 뒤 개과천선하고 다시 복귀하여 선정을 베풀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상왕(商王) - 주(紂)
중국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 제을(帝乙)의 아들로, 달기(妲己) 등의 미인과 음란 방탕한 생활을 즐기고, 비간(比干) 등의 충신을 내치는 등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인심을 잃어 주(周) 나라의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상왕산(象王山) - 가야산(伽倻山)
경상도 성주(星州)와 합천(陜川) 사이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상용(尙容) - 김상용(金尙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돈녕부 도정 김극효(金克孝)의 아들이며,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족을 호종하고 강화(江華)로 갔다가 강화성(江華城)이 함락되자 자결함.
1561~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우(尙友) - 이여점(李與點)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아우 이사점(李思點)과 함께 두 형제의 명자(名字)에 대한 설이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상우(相禹) - 조상우(趙相禹)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인. 본관은 양주(楊州). 김장생(金長生)의 문인(門人)으로 참판(參判)에 증직되고, 온양(溫陽)에 있는 정퇴서원(靜退書院)에 배향됨.
1582~165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문인
-
상우당(尙友堂)@허종 - 허종(許琮)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손(許蓀)의 아들이며 허침(許琛)의 형.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국방과 문예에 큰 공을 남기고, 의학(醫學)에도 조예가 깊었음. 우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34~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우당(尙友堂) - 이종준(李宗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서화(詩書畵)에 능하고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무고를 받아 국문을 받던 중에 죽음.
?~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우재(尙友齋) - 박경준(朴慶俊)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장사랑(將仕郞) 박이(朴頤)의 넷째 아들이며, 박경전(朴慶傳)ㆍ박경윤(朴慶胤)ㆍ박경선(朴慶宣)의 동생. 저서에 《고경연의(古經衍義)》가 있음.
1568~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유학
-
상원(上院) - 상원사(上院寺)
강원도 평창(平昌) 진부면(珍富面)의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사찰. 신라 성덕왕(聖德王) 때 창건하였으며, 조선 예종(睿宗) 때 세조(世祖)의 원찰(願刹)이 됨.
705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평창 , 유적>건물>사찰
-
상원(尙原)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상원(狀原) - 안분(安奮)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정도전(鄭道傳)의 아버지인 정운경(鄭云敬)의 외삼촌으로,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상원(象元) - 유심춘(柳尋春)
조선 정조(正祖)~철종(哲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유광수(柳光洙)의 아들로, 유발(柳潑)에게 출계함. 평소 《주자대전(朱子大全)》을 탐독하여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시문(詩文)에도 능함.
1762~183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상원군(商原君) - 김사(金泗)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상산(商山).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김석진(金碩振)의 아버지로, 상원군(商原君)으로 추봉(追封)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상원범우(上院梵宇) - 상원사(上院寺)
강원도 평창(平昌) 진부면(珍富面)의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사찰. 신라 성덕왕(聖德王) 때 창건하였으며, 조선 예종(睿宗) 때 세조(世祖)의 원찰(願刹)이 됨.
705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평창 , 유적>건물>사찰
-
상원사(上願寺) - 동학사(東鶴寺)
충청남도 공주(公州)의 계룡산(鷄龍山)에 있는 사찰. 신라 성덕왕(聖德王) 때 회의화상(懷義和尙)이 상원사(上願寺)를 창건한 것이 시초로, 조선 세조(世祖) 때 사액(賜額)됨.
724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유적>건물>사찰
-
상유자(桑楡子) - 유사규(柳思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된 유순익(柳舜翼)의 아버지로, 1562년(명종 17)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병조 참지(兵曹參知)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534~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윤(商尹)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윤(祥胤) - 이상윤(李祥胤)
조선 후기의 종친.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손자이자, 원성군(原城君) 이탁(李倬)의 첫째 아들. 봉림수(鳳林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상은(商隱) - 이상은(李商隱)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ㆍ시인. 영호초(令狐楚)에게 변려문(騈儷文)을 배웠으며, 풍부한 전고(典故)와 화려한 자구(字句)를 구사하여 당대 수사주의문학(修辭主義文學)의 극치를 보여줌.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냄.
812~858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상은(尙殷) - 신상은(辛尙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이지(履之) 신복의(辛服義)의 아버지로, 수원 부사(水原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상은조(傷殷操) - 맥수가(麥秀歌)
중국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인 기자(箕子)가 멸망한 은 나라의 옛터를 지나며 읊은 노래. 옛 궁궐 터에 보리가 자라난 것을 보고 그 폐허를 슬퍼한 망국애가(亡國哀歌)임.
중국>주 , 중국 , 문헌>작품명
-
상읍(商邑)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상읍(尙邑)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상의(尙毅) - 이상의(李尙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임진왜란 때 광해군(光海君)을 호위한 위성공신(衛聖功臣)으로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에 봉해짐. 인조반정으로 훈공이 삭탈되고 품계도 강등되어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로 좌천됨.
1560~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의(尙義) - 백충언(白忠彦)
조선 후기의 무신ㆍ의병장. 임진왜란 때 영해(寧海)에서 의병을 모아 공을 세웠으며, 용양위 좌부장(龍驤衛左部將)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상의당(尙義堂) - 백충언(白忠彦)
조선 후기의 무신ㆍ의병장. 임진왜란 때 영해(寧海)에서 의병을 모아 공을 세웠으며, 용양위 좌부장(龍驤衛左部將)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상인(上人) - 진상인(珍上人)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승려. 오품(五品) 벼슬을 지냈으나 공민왕의 승하 후, 부도(浮圖)의 법에 입문하여 승려가 되었고, 권근(權近)이 〈보암기(寶巖記)〉를 지어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관인>문신
-
상일(相一) - 권상일(權相一)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했으며, 이황(李滉)을 사숙하여 〈사칠설(四七說)〉을 지음.
1679~17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임(相任) - 김상임(金相任)
조선 정조(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한성부 판관(漢城府判官) 김무택(金茂澤)의 아들로, 1789년(정조 1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남공철(南公轍)과 교유함.
17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상자(商子) - 상군서(商君書)
중국 전국시대 말기 위(衛) 나라 공손앙(公孫鞅)의 저서로 전해지는 이론서. 후대에 법가(法家)가 지었다는 설도 있음. 상앙변법(商鞅變法) 이론과 그 구체적인 시책이 기재되어 있음. 한대(漢代)에는 29편이 있었으나 현재 24편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상자(尙子) - 상장(向長)
중국 후한(後漢) 때의 은자.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면서 《노자(老子)》와 《역경(易經)》에 정통하였고, 늙어서는 북해(北海)의 금경(禽慶)과 함께 오악(五嶽)의 명산을 두루 유람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상자평(向子平) - 상장(向長)
중국 후한(後漢) 때의 은자.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면서 《노자(老子)》와 《역경(易經)》에 정통하였고, 늙어서는 북해(北海)의 금경(禽慶)과 함께 오악(五嶽)의 명산을 두루 유람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상장(尙長) - 상장(向長)
중국 후한(後漢) 때의 은자.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면서 《노자(老子)》와 《역경(易經)》에 정통하였고, 늙어서는 북해(北海)의 금경(禽慶)과 함께 오악(五嶽)의 명산을 두루 유람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상저옹(桑苧翁) - 육우(陸羽)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인. 고조시가(古調詩歌)에 뛰어났으며, 특히 다도(茶道)에 정통하여 차에 관한 전문서적인《다경(茶經)》을 저술하였고, 후세에 ‘다성(茶聖)’으로 일컬어짐.
733~80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상전(商傳)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상절(尙節) - 신상절(辛尙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영산(靈山)으로,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의 문인. 훈융 첨사(訓戎僉使)ㆍ갑산 부사(甲山府使)ㆍ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무신
-
상점(尙漸) - 심상점(沈尙漸)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8대손.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상정(橡亭) - 황필(黃㻶)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병조 참판에 증직된 황귀수(黃龜壽)의 아들로,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함. 1492년(성종 2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경주 부윤(慶州府尹) 등을 지냄.
1464~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상정(橡亭)@이사증 - 이사증(李思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명종 때 초곶(草串)에 사는 야인(野人) 토벌과 임꺽정(林巨正)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무신이면서도 시(詩)에 능하였음.
1493~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상정(相定) - 김상정(金相定)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군수 김영택(金令澤)의 아들. 승지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정조가 즉위하자 정조와 사이가 나빴던 홍인한(洪麟漢)과 가까웠던 이유로 파직됨. 저서로 《석당유고(石堂遺稿)》가 있음.
1722~178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상정(祥正) - 곽상정(郭祥正)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단주 지사(端州知事)가 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현청산(縣靑山)에 은거함. 시(詩)에 뛰어나 매요신(梅堯臣)에 의해 이백(李白)의 후신(後身)으로 비견(比肩)되고, 저서에 《청산집(靑山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정(祥正)@민상정 - 민상정(閔祥正)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여흥군(驪興君) 민지(閔漬)의 아들로, 찬성사(贊成事)에 올라 전주(銓注)를 총괄하고 관직을 개편하여 고제(古制)를 부활시킴. 청렴ㆍ공정하기로 이름이 남.
1281~135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상정(象靖) - 이상정(李象靖)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내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여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낙향 후 안동(安東)에서 학술을 강론하여 많은 제자를 양성함.
1711~17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 - 고금상정예문(古今詳定禮文)
고려 의종(毅宗) 때 평장사(平章事) 최윤의(崔允儀) 등 17명의 신하가 왕명으로 고금(古今)의 예문(禮文)을 모아 편찬한 예서(禮書). 50권. 1234년(고종 21)에 최초의 금속활자본으로 출판하였으나 현재는 전하지 않음.
1234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상정예문(詳定禮文) - 고금상정예문(古今詳定禮文)
고려 의종(毅宗) 때 평장사(平章事) 최윤의(崔允儀) 등 17명의 신하가 왕명으로 고금(古今)의 예문(禮文)을 모아 편찬한 예서(禮書). 50권. 1234년(고종 21)에 최초의 금속활자본으로 출판하였으나 현재는 전하지 않음.
1234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상정옹(橡亭翁) - 황필(黃㻶)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병조 참판에 증직된 황귀수(黃龜壽)의 아들로,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함. 1492년(성종 2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경주 부윤(慶州府尹) 등을 지냄.
1464~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상제례문답(喪祭禮問答) - 계문상제례문답(溪門喪祭禮問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황(李滉)의 저서. 예(禮)에 관한 서신을 모아 엮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상제문답(喪祭問答) - 계문상제례문답(溪門喪祭禮問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황(李滉)의 저서. 예(禮)에 관한 서신을 모아 엮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상조(尙祖) - 정상조(鄭尙祖)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하동(河東).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 정인지(鄭麟趾)의 다섯째 아들이며,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정세호(鄭世虎)의 아버지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무신
-
상조(相祚) - 유상조(柳相祚)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도사(都事)를 지낸 유종춘(柳宗春)의 아들로, 1794년(정조 18)에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吏曹參判)ㆍ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냄.
1763~18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상종(商宗) - 고종(高宗)@은
중국 은(殷) 나라의 제23대 왕. 부열(傅說)과 감반(甘盤)을 등용하여 선정(善政)을 베풀었으며, 은 나라 최대 번영기를 누림.
B.C.1254~?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상종(相宗) - 법상종(法相宗)
중국 당(唐) 나라의 현장(玄奬)ㆍ규기(窺基)에 의해 성립한 유식사상(唯識思想) 계통의 불교종파. 존재의 공성(空性)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석해 설명함.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의 태현(太賢)을 초조로 삼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상종사(尙宗師) - 상주(尙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명종 때 과거에 입격하고 네 곳의 명산(名山)에서 주지(住持)를 지냈으며, 양사언(楊士彦)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회양 , 인명>종교인>승려
-
상주(上州)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상주(商周) - 은주(殷周)
중국 고대 왕조(王朝)인 은(殷) 나라와 주(周) 나라를 함께 부르는 말. 요순(堯舜)의 시대를 이어받은 이상적인 정치시대를 말함. 혹은 걸(桀)을 멸한 은 나라의 탕(湯)과 주(紂)를 멸한 주 나라의 무왕(武王)이 중국의 질서를 바로 잡았기 때문에 폭군ㆍ폭정을 제거한 사람을 말하기도 함.
B.C.1600~B.C.771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상주(商州)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상주(湘州)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상주(相周) - 송상주(宋相周)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신평(新平).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의 5대손.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상주김씨(尙州金氏) - 상산김씨(商山金氏)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후손으로 고려 때 보윤(甫尹)을 지낸 김수(金需)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상주 , 인명>집단>성씨
-
상준(尙俊) - 이상준(李尙俊)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의(李艤)의 아들로, 어모장군(禦侮將軍) 이인량(李寅亮)에게 출계함. 1609년(광해군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15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중(尙中) - 윤탁연(尹卓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윤이(尹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 때 공을 세워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시문에 능하여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8~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중(尙重) - 최상중(崔尙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최영(崔穎)의 아들이며, 유희춘(柳希春)의 문인. 임진왜란 때 도원수 권율(權慄)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보필하고,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등을 지냄.
1551~16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상지(尙之)@민선 - 민선(閔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좌승지(左承旨) 등을 지냈으며, 기축옥사(己丑獄事) 때 최영경(崔永慶)의 처벌을 주장하다 탄핵을 받아 좌천됨. 이이(李珥)와 교우가 깊었음.
1539~160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지(尙之)@강사상 - 강사상(姜士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강온(姜溫)의 아들. 1568년(선조 1) 조광조(趙光祖)의 신원과 추숭을 건의했으며, 이조 판서ㆍ한성부 판윤ㆍ우의정 등을 지냄.
1519~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지(尙之) - 정경(鄭褧)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아산 현감(牙山縣監)을 지낸 정순인(鄭純仁)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상지(尙之)@하상지 - 하상지(何尙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 때의 문신. 학식과 덕망이 높아 문제에게 총애를 받았으며, 상서령(尙書令) 등을 지냄.
382~46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지(尙志)@낙상지 - 낙상지(駱尙志)
중국 명(明) 나라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조선의 선봉장(先鋒將)으로 의주를 지켰으며, 용력(勇力)이 뛰어나 천 근(斤)을 들어 낙천근(駱千斤)이라 불렸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상지(尙志) - 이사점(李思點)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에 대한 명자설(名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상지(尙志)@배상지 - 배상지(裵尙志)
고려 후기의 문신. 고려 말에 정국(政局)이 혼란해지자 안동(安東)의 금계(金溪)에 은거하였으며, 조선 초에 여러 차례 불렀으나 응하지 않음.
1351~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