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상지(相之) - 신숙서(申淑胥)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단종(端宗)이 폐위된 후 충절을 지켰으며, 계룡산(鷄龍山) 동학사(東鶴寺)의 초혼각(招魂閣) 동무(東撫)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상지(祥之)@봉천상 - 봉천상(奉天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음(河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희릉 참봉(禧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기묘사화에 조광조의 일당으로 연좌되어 삭탈관직되고 안당(安瑭)과 함께 변란을 모의했다는 죄로 처형됨.
?~152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상지(祥之) - 목치상(睦致祥)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사천(泗川). 생원(生員) 목승평(睦昇平)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상지(祥之)@오상 - 오상(吳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예조 좌랑을 지낸 오예손(吳禮孫)의 아들.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이조ㆍ예조ㆍ형조의 판서(判書)를 지내고, 문장에 뛰어나 8문장(八文章)의 한 사람으로 불림.
1512~15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직(尙直) - 홍상직(洪尙直)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마천(麻川) 홍일동(洪逸童)의 아버지로, 경성 절제사(鏡城節制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적성 , 인명>관인>무신
-
상진(尙晉) - 심상진(沈尙晉)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8대손이며, 음직(蔭職)으로 감찰(監察)을 지냈음.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상진(尙進) - 선상진(宣尙進)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보성(寶城). 중종(中宗) 때의 생원 선우윤(宣遇贇)의 아버지로, 통례문 통찬(通禮門通贊)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상질(尙質) - 한상질(韓尙質)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청성군(淸城君) 한수(韓脩)의 아들이며, 한명회(韓明澮)의 조부. 예문춘추관 대학사(藝文春秋館大學士) 등을 지냈으며, 조선 개국 후에 주문사(奏聞使)로 명(明) 나라에 파견되어 조선(朝鮮)이란 국호를 승인받음.
?~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상집(商楫) - 부열(傅說)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명재상. 부암(傅巖)에서 노역을 하다가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룸.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채(上蔡) - 사양좌(謝良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제자로, 정좌(靜坐)와 거경(居敬)의 수양을 강조함. 북송(北宋) 말 구법당(舊法黨)에 대한 탄압 사건에 연좌되어 평민으로 폐해짐.
1050~110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채사씨(上蔡謝氏) - 사양좌(謝良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제자로, 정좌(靜坐)와 거경(居敬)의 수양을 강조함. 북송(北宋) 말 구법당(舊法黨)에 대한 탄압 사건에 연좌되어 평민으로 폐해짐.
1050~110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철(尙喆) - 김상철(金尙喆)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김시혁(金始爀)의 아들로, 영의정 등을 지냄. 1770년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를 편찬하게 하고, 《신묘중광록(辛卯重光錄)》을 편집, 간행함.
1712~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초(尙初) - 박숭원(朴崇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여 선조로부터 보검(寶劍)을 하사받고 도승지를 거쳐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에 올랐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2~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초(湘楚)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상초리(霜草里) - 서초리(瑞草里)
서울 서초(瑞草)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태조(太祖) 때 왕씨(王氏)들의 집단 거주지로 삼았던 지역으로, 조선 말까지 경기도 과천(果川)에 속하였음.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상촌(桑村)@김자수 - 김자수(金自粹)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대사성(大司成)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지내다가 고려가 망하자 안동에 은거하던 중 자결함. 문하에 박흥생(朴興生)ㆍ박흥거(朴興居) 등이 있음.
1350~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상촌(桑村) - 노숭(盧嵩)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고,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를 거쳐 검교우의정(檢校右議政)에 이르렀음.
1337~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촌(象村) - 신흠(申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선조의 유교칠신(遺敎七臣)이라는 이유로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삼정승을 지냄. 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학의 정종(正宗)으로 일컬어짐.
1566~162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촌고(象村稿) - 상촌집(象村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신흠(申欽)의 시문집. 63권 22책. 활자본. 1629년(인조 7) 아들 신익성(申翊聖)이 간행하고, 1636년에 중간함. 권두에 이정구(李廷龜)ㆍ장유(張維)ㆍ김상헌(金尙憲)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최명길(崔鳴吉)ㆍ이민구(李敏求)의 발문이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상촌문집(象村文集) - 상촌집(象村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신흠(申欽)의 시문집. 63권 22책. 활자본. 1629년(인조 7) 아들 신익성(申翊聖)이 간행하고, 1636년에 중간함. 권두에 이정구(李廷龜)ㆍ장유(張維)ㆍ김상헌(金尙憲)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최명길(崔鳴吉)ㆍ이민구(李敏求)의 발문이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상촌선생문집(象村先生文集) - 상촌집(象村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신흠(申欽)의 시문집. 63권 22책. 활자본. 1629년(인조 7) 아들 신익성(申翊聖)이 간행하고, 1636년에 중간함. 권두에 이정구(李廷龜)ㆍ장유(張維)ㆍ김상헌(金尙憲)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최명길(崔鳴吉)ㆍ이민구(李敏求)의 발문이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상충(尙衷) - 박상충(朴尙衷)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친명책(親明策)을 주장하여 북원(北元)과 통하는 것을 반대하고, 친원파인 이인임(李仁任)ㆍ지윤(池奫)의 주살을 주장하여 귀양가다 죽음. 경사에 해박하고 글을 잘 지음.
1332~137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치(尙治) - 조상치(曺尙治)
조선 중종(中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학자 조한보(曺漢輔)의 할아버지로, 길재(吉再)ㆍ이안유(李安柔)의 문인. 집현전 부제학(集賢殿副提學) 등을 지냈으며, 세조(世祖)가 왕위를 찬탈하자 사직하고 은거하면서 후학을 양성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남(星南) - 장문보(張文輔)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풍기 군수(豊基郡守)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진주 목사(晉州牧使)가 되었을 때 혜정(惠政)을 베풀어 칭송이 높았음.
1516~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성녕군(誠寧君) - 성녕대군(誠寧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넷째 아들. 어머니는 원경왕후(元敬王后)로,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용모가 단정하여 태종의 특별한 총애를 받아 대광보국(大匡輔國)의 위계까지 올랐으나 14살 때 홍역으로 요절함.
1405~141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성능(聖能) - 정치화(鄭致和)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효종(孝宗)의 부마인 정재륜(鄭載崙)의 아버지. 세자시강원보덕(世子侍講院輔德)으로 심양(瀋陽)에서 소현세자(昭顯世子)를 보필함. 좌의정(左議政)을 지내고, 서인과 남인의 대결에서 중도를 지킴.
1609~167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성달(成達) - 이성달(李成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명효(李明孝)의 아버지로, 정주 목사(定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성담(性潭) - 송환기(宋煥箕)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의 5대손이며 송능상(宋能相)의 문인으로,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학덕을 겸비하여 조야의 존경을 받았으며, 시문집으로 《성담집(性潭集)》이 있음.
1728~180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담선생집(性潭先生集) - 성담집(性潭集)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환기(宋煥箕)의 시문집. 32권 16책. 목활자본. 고종(高宗) 재위 기간 내, 즉 1891~1907년 사이에 간행됨.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성대(成大) - 범성대(范成大)
중국 송(宋) 고종(高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시인. 시에 능하여 육유(陸游)ㆍ양만리(楊萬里)ㆍ우무(尤袤) 등과 더불어 중흥사대시인(中興四大詩人)으로 일컬어짐.
1126~119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성대동(成大同) - 성수익(成壽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장흥고 영(長興庫令)을 지낸 성예원(成禮元)의 아들.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원종공신(光國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비를 호종함.
1528~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대임(成大任) - 성식(成軾)
조선 전기의 유학. 백광훈(白光勳)의 《옥봉집(玉峯集)》에 〈성대임가유별(成大任家留別)〉이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성대효(成大孝) - 성세운(成世雲)
조선 전기의 인물. 노수신(盧守愼)의 《소재집(穌齋集)》에 집으로 돌아가는 그에게 가서(家書)를 전하며 지은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성덕구(成德久) - 성수익(成壽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장흥고 영(長興庫令)을 지낸 성예원(成禮元)의 아들.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원종공신(光國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비를 호종함.
1528~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덕신공(聖德神功) - 태종(太宗)@조선
조선 제3대 왕. 재위 1400~1418.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소생으로, 태조의 즉위에 크게 기여함.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정종(定宗)의 양위를 받아 즉위한 후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함.
1367~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성덕신공공정(聖德神功恭定) - 태종(太宗)@조선
조선 제3대 왕. 재위 1400~1418.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소생으로, 태조의 즉위에 크게 기여함.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정종(定宗)의 양위를 받아 즉위한 후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함.
1367~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성덕신공문무광효(聖德神功文武光孝) - 태종(太宗)@조선
조선 제3대 왕. 재위 1400~1418.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소생으로, 태조의 즉위에 크게 기여함.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정종(定宗)의 양위를 받아 즉위한 후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함.
1367~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성덕신공문무황제(聖德神功文武皇帝) - 세조(世祖)@원
몽고 제국의 제5대 칸으로, 중국 원(元) 나라의 시조. 재위 1260~1294. 칭기즈 칸의 손자이며, 예종(睿宗)의 아들로, 일본ㆍ중앙아시아ㆍ유럽에까지 원정(遠征)하여 대제국을 건설함.
1215~1294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도(成度) - 조효문(曺孝門)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참판 조혼(曺渾)의 아들. 세조의 즉위 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냈으며, 창성군(昌城君)에 봉해짐. 악학도감 제조(樂學都監提調)를 겸하면서 악률(樂律)을 개정함.
?~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도(星道)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성도왕(成都王) - 사마영(司馬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의 열여섯째 아들. 교지명(喬智明)과 육기(陸機)를 발탁하여 장군으로 등용하고, 무제가 죽은 후 팔왕(八王)의 난(亂)에 참여하여 한때 권력을 가졌으나 곧 실각하여 목매어 자살함.
279~30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성돈로(成遯老) - 성세창(成世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났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다시 유배되어 죽음.
1481~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동(性仝) - 이성동(李性仝)
조선 전기의 종친. 김순고(金舜皐)의 장인으로, 상산령(象山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성동(成童) - 이성동(李成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이희안(李希顔)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曺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후 조광조(趙光祖)의 일파로 몰려 면직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성동(盛仝) - 이성동(李盛同)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이며, 송림군(松林君) 이효창(李孝昌)의 둘째 아들로, 중종반정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위훈삭제(僞勳削除)로 녹훈이 취소되었다가 뒤에 복작(復爵)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성동(盛同) - 이성동(李盛同)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이며, 송림군(松林君) 이효창(李孝昌)의 둘째 아들로, 중종반정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위훈삭제(僞勳削除)로 녹훈이 취소되었다가 뒤에 복작(復爵)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성동(聖東) - 탁산립(卓山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사헌 규정(司憲糾正)을 지낸 탁열(卓悅)의 아들로, 내시윤(內侍尹)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성동선생(省洞先生) - 김세필(金世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복직되었으나, 조광조(趙光祖)를 사사(賜死)한 중종의 과오를 규탄하다가 장배(杖配)됨. 경학(經學)에 밝았음.
1473~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동주(成東州) - 성제원(成悌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보은 현감(報恩縣監) 등을 지냈으며, 박응순(朴應順) 등 많은 인재를 육성함.
1506~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두문(成斗文) - 성담령(成耼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단종(端宗) 때의 충신인 성희(成熺)의 아들. 김안국(金安國)ㆍ엄용순(嚴用順) 등과 함께 경기도 이천(利川)의 육괴정(六槐亭)에 모여 시회를 열고 학문을 강론함.
?~152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성래(星來) - 조서(趙瑞)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조인규(趙仁規)의 아들.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파견되었을 때 안길왕(安吉王) 야아길니(也兒吉尼)에게 딸을 혼인시킴.
?~1313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성량(性良) - 정성량(鄭性良)
고려 후기의 유학. 원(元) 나라 조정(朝廷)에서 제조장알사사(提調掌謁司事)를 지낸 손자 정독만달(鄭禿滿達)의 공(功)으로 자선대부 중서성좌승 상호군(資善大夫中書省左丞上護軍)에 추증되고 영양군공(榮陽郡公)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성량(成亮) - 박성량(朴成亮)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냈으며, 공민왕이 죽자 벼슬하지 않고 불사(佛事)에 전념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성렬(成烈) - 박종우(朴從愚)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운봉(雲峰). 태종(太宗)의 딸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혼인하고,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됨.
?~146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성렬(成烈)@유순정 - 유순정(柳順汀)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해 정국공신(靖國功臣) 청천부원군(菁川府院君)에 봉해짐. 경오왜변(庚午倭變) 때 병사를 총괄하고 삼포(三浦)의 난을 평정함.
1459~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렬대비(聖烈大妃) - 문정왕후(文定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지임(尹之任)의 딸.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明宗)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禪敎) 양종(兩宗)을 부활시키고, 도첩제(度牒制)를 다시 실시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성렬인명(聖烈仁明) - 문정왕후(文定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지임(尹之任)의 딸.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明宗)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禪敎) 양종(兩宗)을 부활시키고, 도첩제(度牒制)를 다시 실시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성렬인명대왕대비(聖烈仁明大王大妃) - 문정왕후(文定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지임(尹之任)의 딸.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明宗)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禪敎) 양종(兩宗)을 부활시키고, 도첩제(度牒制)를 다시 실시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성령(星嶺) - 성마령(星磨嶺)
강원도 청옥산(靑玉山)에 있는 고개 이름. 강원도 정선(旌善)과 평창(平昌)을 연결하는 고개.
강원도>평창ㅣ강원도>정선 , 지명>자연지명
-
성로(成老)@구성로 - 구성로(具成老)
고려 말~조선 초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 위화도 회군 이래 태조(太祖)를 보좌하여 조선 개국 후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오르고 판안동부사(判安東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성로(成老) - 이집(李集)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이숭인(李崇仁)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사직하고 여주(驪州)에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침.
1314~138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성룡(成龍) - 유성룡(柳成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권율(權慄)ㆍ이순신(李舜臣)을 천거하여 왜란에 대비하고 군대 양성과 군비 확충에 노력함. 도학(道學)ㆍ문장(文章)ㆍ덕행(德行)ㆍ글씨로 이름을 떨쳐 영남 유생들의 추앙을 받음.
1542~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리(盛李) - 당(唐)
수(隋) 나라에 이은 중국의 통일 왕조. 문화ㆍ예술의 황금시대를 이루었으며, 고조(高祖)에서 애제(哀帝)까지 20대 290년간 존속.
618~907 중국>당 , 중국 , 시간>국명
-
성리군서(性理群書) - 성리군서구해(性理群書句解)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웅절(熊節)의 저서. 23권. 송 나라 유학자들이 남긴 글과 학파의 계통, 유명 문인들의 글을 분류하여 편집한 책으로, 현재는 3권 1책만 남아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성리대전서절요(性理大全書節要) - 성리대전절요(性理大全節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정국(金正國)의 저서. 4권 4책. 금성목활자판(錦城木活字板). 명(明) 나라 호광(胡廣) 등이 쓴 《성리대전(性理大全)》에서 중요한 부분만 간추려 중종 때 편집ㆍ간행함.
153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성리자의(性理字義) - 자의상강(字義詳講)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진순(陳淳)의 저서. 성리학의 개념과 범주를 해설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성리전서(性理全書) - 성리대전(性理大全)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 때 왕명으로 호광(胡廣) 등이 성리학설을 집대성하여 편집한 책. 총 70권. 25권까지는 송대 학자의 중요한 저술을 수록하였고, 26권 이하는 주제별로 여러 학자의 학설을 분류ㆍ편집함.
141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성림(成林) - 이성림(李成林)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등을 역임하였으며, 우왕 때 권신인 이인임(李仁任)을 해치려 하였다는 혐의로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유배되었으며, 임견미(林堅味) 등과 함께 최영(崔瑩)에게 죽임을 당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성립(誠立) - 이성립(李誠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응천(李應千)의 아들로,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함.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냈으며, 어머니의 죽음을 슬퍼하다가 병을 얻어 38세에 죽음.
1573~1611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문천 , 인명>관인>문신
-
성명숙(成明肅) - 성준(成俊)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순조(成順祖)의 아들로, 좌의정ㆍ영의정 등을 지냄. 1495년(연산군 1) 시폐십조(時弊十條)를 주청하는 등 난정(亂政)을 바로잡으려 했으나 이루지 못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교살(絞殺)당함.
1436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명왕(聖明王) - 성왕(聖王)
백제 제26대 왕. 재위 523~554. 무녕왕(武寧王)의 아들이며, 위덕왕(威德王)의 아버지. 538년(성왕 16)에 사비(泗沘)로 천도(遷都)하는 등 왕권강화 정책을 계속함.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로부터 한강유역의 탈취에 성공하였으나, 신라의 배신으로 전사(戰死)함.
?~554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성명원효황제(聖明元孝皇帝) - 문종(文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13대 황제. 재위 1329~1332. 북방 영주파(領主派)가 추대한 태정제(泰定帝)가 죽자 연철목아(燕鐵木兒) 등 궁정관료파의 옹립으로 황제에 오름.
1304~1332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명학(性命學) - 성리학(性理學)
중국 송(宋) 나라 때 유학(儒學)의 한 계통으로, 인간 본연의 성(性)을 발현하기 위해 물(物)에 대한 이(理)를 참고해야 한다는 것을 요지로 하는 철학.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성모소성자수황태후(聖母昭聖慈壽皇太后) - 효강장황후(孝康張皇后)
중국 명(明) 나라의 제9대 황제인 효종(孝宗)의 비(妃).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성모왕대비(聖母王大妃) - 인순왕후(仁順王后)
조선 제13대 명종(明宗)의 정비(正妃). 명종 즉위년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며, 명종이 죽고 선조(宣祖)가 즉위하자 잠시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532~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성목(聖穆) - 목조(穆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고조부. 전주(全州)의 토호였으나 가솔과 토착인 170여 호를 이끌고 삼척(三陟)ㆍ의주(宜州) 및 남경(南京) 알동(斡東)으로 이주하여 큰 세력을 형성함. 태조가 즉위하여 추존함.
?~1274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의주ㅣ전라도>전주ㅣ강원도>삼척 , 인명>왕실>국왕
-
성목경문효제(聖穆景文孝帝) - 소종(昭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9대 황제. 재위 888~904. 재임 중 번진(蕃鎭)의 세력다툼과 잦은 농민봉기로 인해 실권을 잃고 결국에는 시해됨.
867~904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묘(成廟) - 성종(成宗)@고려
고려 제6대 왕. 재위 981~991. 중앙에 3성(省) 6부(府)를 설치하고, 지방에 12목(牧)과 10도(道)를 설치하여 유교정치 이념에 의한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마련함.
960~997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성묘(成廟)@성종 - 성종(成宗)@조선
조선 제9대 왕. 재위 1469~1494. 세종(世宗)과 세조(世祖)가 이룩한 치적을 기반으로 찬란한 문화정책을 펼쳤으며, 《경국대전(經國大典)》과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는 등 국가통치체제를 완비함.
1457~14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성묘(聖廟) - 공자묘(孔子廟)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弟子) 및 여러 성현(聖賢)들의 신위를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사당 이름. 원래는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에 있는 사당을 지칭하였으나, 당(唐) 나라 태종(太宗) 이후로 각 주현(州縣)에 설치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성묘(聖廟)@문묘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성묘실록(成廟實錄) - 성종실록(成宗實錄)
조선 제9대 왕 성종(成宗) 재위 26년간의 편년체(編年體) 기록. 춘추관 영사(春秋館領事) 신승선(愼承善) 등이 주관하여 1499년(연산군 5)에 완성함.
149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성무(成武) - 박성무(朴成武)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성무(聖廡)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성무(聖武) - 태조(太祖)@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이며, 몽고(蒙古) 제국의 창시자. 재위 1206~1227. 몽고를 통일하고 원 나라 건설의 기초를 마련하여 칭기즈칸으로 일컬어지며, 원을 세운 손자 세조(世祖)에 의해 태조로 추존됨.
1155?~1227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묵(性默) - 최제우(崔濟愚)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종교인. 본관은 경주(慶州). 동학(東學)의 창시자로, 풍수사상과 유(儒)ㆍ불(佛)ㆍ선(仙)의 교리를 토대로 하여 인내천(人乃天)을 주장함.
1824~186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ㅣ경상도>양산ㅣ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동학교인
-
성문(城門) - 성문(聲聞)
석가(釋迦)의 가르침을 듣고서 수행하는 사람. 모든 불제자(佛弟子)를 이르는 말에서 출가한 수행승(修行僧)만을 부르는 말로 변하였으며, 대승(大乘)에서는 자기만의 수양에 힘써 아라한(阿羅漢)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봄.
사상>술어>핵심어
-
성문(聖文) - 김광헌(金光憲)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유학ㆍ문인. 본관은 의성(義城). 1759년(영조 3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영남학파(嶺南學派)의 대학자인 이상정(李象靖)ㆍ이광정(李光靖) 형제와 교유함.
17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ㅣ인명>문사>문인
-
성문간(成文簡)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문박(成文溥) - 성문준(成文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둘째 아들로, 성혼이 무욕(誣辱)을 당하자 임천(林泉)에 은거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냄. 박학다식하며 글씨에 능함.
1559~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문엄(成文淹) - 성문영(成文泳)
조선 명종(明宗) 때의 인물.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맏아들로, 어려서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성문예덕광무홍효황제(聖文睿德光武弘孝皇帝) - 희종(僖宗)
중국 당(唐) 나라의 제18대 황제. 재위 873~888.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고, 재위 중에 황소(黃巢)의 반란군이 장안(長安)을 침략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음.
862~888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문흠효황제(聖文欽孝皇帝) - 인종(仁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8대 황제. 재위 1311~1320. 문예정책에 힘을 기울이고, 중국인과 몽골인 간의 관직을 평등하게 분배함.
1286~1320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물(成物) - 소수(蘇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세양(蘇世讓)의 아들. 음사(蔭仕)로 면천 군수(沔川郡守)를 지냄.
1517~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성미(成味) - 임성미(林成味)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밀직부사(密直副使)ㆍ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지내고, 왜구(倭寇)를 무찌른 공으로 삼사우사(三司右使)에 제수됨.
?~138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성민(聖民) - 봉성민(奉聖民)
조선 전기의 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 감찰(監察)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녹훈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성민(聖民)@홍성민 - 홍성민(洪聖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홍춘경(洪春卿)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 1590년(선조 23)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듬해 건저문제(建儲問題)로 인해 파직당함.
1536~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백(成伯)@윤집 - 윤집(尹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형갑(尹衡甲)의 아들로,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병자호란 때 청(淸)과의 화의를 적극 반대하다가 오달제(吳達濟)ㆍ홍익한(洪翼漢)과 함께 중국 심양(瀋陽)에 끌려가 순절함.
1606~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백(成伯) - 기경인(奇敬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행주(幸州).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기대정(奇大鼎)의 첫째 아들로, 1573년(선조 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성백(聲伯) - 유보(劉黼)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참지정사(參知政事)ㆍ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