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백(誠伯)@신사헌 - 신사헌(愼思獻)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1558년(명종 1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서 뇌물을 바쳐 급제한 사실이 있으나 권신인 이량(李樑)을 섬겨 다음해에 복과(復科)됨. 후에 육간(六奸)으로 지목되어 거제에 유배됨.
152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백(誠伯)@이효원 - 이효원(李效元)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으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이관(李瓘)의 아들.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냈으며, 광해군(光海君)을 폐위시키고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옹립하려다 실패하여 거제도로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풀려남.
1550~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충청도>청양 , 인명>관인>문신
-
성백(誠伯) - 유치명(柳致明)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유회문(柳晦文)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ㆍ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만우재(晩愚齋)에서 후진 양성에 전념함.
1777~186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성번(成蕃) - 박성번(朴成蕃)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무장(茂長). 박윤신(朴允新)의 아버지로, 어모장군(禦侮將軍)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무신
-
성범(成範) - 우성범(禹成範)
고려 제34대 공양왕(恭讓王)의 부마(駙馬). 본관은 단양(丹陽). 우현보(禹玄寶)의 손자이자, 우홍수(禹洪壽)의 아들로, 공양왕의 둘째 딸 정신궁주(貞信宮主)와 혼인함. 공양왕이 폐위되자 다른 부마들과 함께 개경(開京)의 회보문(會寶門) 밖에서 참수됨.
?~139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성범(成範)@박성범 - 박성범(朴成範)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 본관은 고령(高靈). 이황(李滉)에게 청운(靑雲)이란 소자(小字)를 받았으며, 수직(壽職)으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냄.
1568~165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성벽(成壁) - 김성벽(金成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 김송무(金松茂)의 아들이며, 김응회(金應會)의 아버지로, 광양 훈도(光陽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벽(成璧) - 김성벽(金成璧)
조선 전기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성보(城圃) - 임수창(林壽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성종 때 밀양 부사(密陽府使)로 선정을 베풀고, 공조 참의(工曹參議)ㆍ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냄.
1426~150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성보(成甫)@윤유기 - 윤유기(尹惟幾)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아버지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ㆍ판결사(判決事)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보(成甫)@신성하 - 신성하(申聖夏)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세종(世宗)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槩)의 10대손으로, 문장이 뛰어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성보(成甫) - 김덕곤(金德鵾)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김덕룡(金德龍)의 동생.
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성보(成甫)@정만석 - 정만석(鄭晩錫)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홍경래(洪景來)의 난 때 관서위무사(關西慰撫使)로 파견되고, 평안 감사(平安監司)가 되어 홍경래 관련 죄인들의 문초를 담당함.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758~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보(盛甫) - 남진(南振)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일찍이 학문(學問)에 뜻을 두어 독학(篤學)하여 도학(道學)에 능했으며, 후진 양성에 힘썼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성보(聖甫) - 김경서(金景瑞)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김해(金海). 광해군(光海君) 때 명(明) 나라를 도와 후금(後金)을 치기 위해 부원수(副元帥)로 출정하였다가 패한 뒤 강홍립(姜弘立)과 함께 항복하였으며, 몰래 적정(敵情)을 기록하였다가 발각되어 처형됨.
1564~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용강 , 인명>관인>무신
-
성보(誠甫)@이경진 - 이경진(李景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로, 남부 참봉(南部參奉) 이선(李璿)의 아들이자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조카.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참봉(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559~159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성보(誠甫) - 민효열(閔孝悅)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외읍(外邑)의 공물을 대납한 일로 폐고불서(廢錮不敍)에 처해졌다가 서용(敍用)되었으며,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05~148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부(誠夫) - 박상충(朴尙衷)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친명책(親明策)을 주장하여 북원(北元)과 통하는 것을 반대하고, 친원파인 이인임(李仁任)ㆍ지윤(池奫)의 주살을 주장하여 귀양가다 죽음. 경사에 해박하고 글을 잘 지음.
1332~137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부(醒夫) - 윤결(尹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시정기(時政記) 필화사건으로 처형된 안명세(安明世)의 정당성을 발설한 것이 빌미가 되어,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수렴청정과 윤원형(尹元衡)의 세력 확장을 비판했다 하여 국문을 받던 중 옥사함.
1517~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성사(聖師)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성사(聖思) - 성근묵(成近默)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재학(才學)으로 추천을 받아 경연관(經筵官) 등을 지냈으며, 청렴강직으로 이름을 떨침.
1784~18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삭녕(成朔寧) - 성영(成瑛)
조선 전기의 문신. 삭녕 군수(朔寧郡守)를 지냄. 정유길(鄭惟吉)의 《임당유고(林塘遺稿)》에 수창(酬唱)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성산(星山) - 성주(星州)
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성주 , 지명>행정지명
-
성산(聖山) - 오빈(吳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경명(高敬命) 휘하에서 의병활동을 함. 진주성(晉州城)에서 싸우던 도중 성이 함락되려 하자 남강(南江)에 투신하여 자결함.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증직됨.
1547~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성산구(星山舅) - 이윤경(李潤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명종 때 대윤(大尹) 세력을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완산 부윤(完山府尹)으로서 왜구를 방어하였으며, 병조 판서 등을 역임함.
1498~156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산군(星山君)@이포 - 이포(李褒)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조년(李兆年)의 아들로,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 등을 지냄. 여섯 아들이 모두 과거(科擧)에 올라 가문이 크게 중흥함.
1287~137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성산군(星山君)@이인복 - 이인복(李仁復)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백이정(白頤正)의 문인으로, 공민왕 때 조일신(趙日新)의 난을 토평하는 데 공을 세우고, 단성좌리공신(端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검교시중(檢校侍中) 등을 지냄.
1308~137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산군(星山君)@이조년 - 이조년(李兆年)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농서군공(隴西郡公) 이장경(李長庚)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냄. 심양왕 고(瀋陽王暠)가 충숙왕(忠肅王)의 왕위 찬탈을 도모할 때 원 나라의 중서성(中書省)에 그 부당함을 상소하여 음모를 저지시킴.
1269~134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성산군(星山君)@이직 - 이직(李稷)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계(李成桂) 추대에 참여하여 지신사(知申事)로서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짐.
1362~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산군(星山君) - 이원구(李元具)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성주(星州).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의 아버지로, 신돈(辛旽)의 총애를 받았으며, 판태복사(判太僕事) 등을 지냄.
129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무신
-
성산부령(星山副令) - 이의윤(李義胤)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이며 평릉부수(平陵副守) 이엄(李儼)의 아들로, 성산부령(星山副令)에 봉해짐. 1617년(광해군 9)에 이이첨(李爾瞻)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림.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이인민 - 이인민(李仁敏)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포(李褒)의 아들이며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이직(李稷)의 아버지.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내고 사후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이직 - 이직(李稷)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계(李成桂) 추대에 참여하여 지신사(知申事)로서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짐.
1362~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 - 이장경(李長庚)
고려 후기의 향리. 성주이씨(星州李氏)의 중시조(中始祖)로, 다섯 아들이 모두 동시대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명성을 떨침. 후에 경산부원군(京山府院君)에 추봉(追封)되었으며, 원(元) 나라 황제로부터 농서군공(隴西郡公)에 추봉됨.
1214~?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성산후(星山侯) - 이조년(李兆年)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농서군공(隴西郡公) 이장경(李長庚)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냄. 심양왕 고(瀋陽王暠)가 충숙왕(忠肅王)의 왕위 찬탈을 도모할 때 원 나라의 중서성(中書省)에 그 부당함을 상소하여 음모를 저지시킴.
1269~134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성상(成相) - 순황(荀況)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학자.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해 유자(儒者)들의 비판을 받았고, 강력한 예치주의(禮治主義)를 주장함.
B.C.298~B.C.23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성상국집(成相國集) - 허백당집(虛白堂集)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은 아들 성세창(成世昌)이 중종(中宗)~선조(宣祖) 연간에 간행하였으나 현재 전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성상인(成上人) - 도암(道庵)
조선 전기의 승려(僧侶). 판선종사(判禪宗事) 송은몽대사(松隱蒙大師)의 고제(高弟)로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과 교유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성서(成瑞) - 이성서(李成瑞)
고려 충정왕(忠定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공민왕(恭愍王) 때 홍건적(紅巾賊)을 맞아 싸우고 최영(崔瑩)을 따라 흥왕사(興王寺)의 변(變)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됨.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가서 벼슬을 받음.
?~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서(聖瑞) - 백몽표(白夢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수원(水原). 무과에 급제한 후에 선전관(宣傳官)을 거쳐 동래 판관(東萊判官)을 지내고,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에 재직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성석(聖錫) - 왕응신(汪應辰)
중국 송(宋)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거쳐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를 역임함. 주자(朱子)가 선인(善人)의 종주라고 칭함.
1118~117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석곡(成石谷) - 성팽년(成彭年)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갈천(葛川) 임훈(林薰)의 문인. 효행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천거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김면(金沔)이 창의(倡義)할 때 참모가 되어 의병활동을 했음.
1540~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석곡집(成石谷集) - 석곡집(石谷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인 성팽년(成彭年)의 문집. 1804년(순조 4)에 구연서원(龜淵書院)에서 간행됨. 2권 2책.
18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문헌>서명
-
성석연(成石珚) - 성석인(成石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성여완(成汝完)의 아들이며, 성석린(成石璘)ㆍ성석용(成石瑢)의 아우로, 고려 때 경연강독관(經筵講讀官) 등을 지내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선(聖善) - 인예태후(仁睿太后)
고려 제11대 문종(文宗)의 비(妃). 본관은 인주(仁州). 이자연(李子淵)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세 자매 모두 문종의 비가 됨. 순종(順宗)ㆍ선종(宣宗)ㆍ숙종(肅宗) 등 10남 2녀를 둠.
?~109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성성재(惺惺齋)@성황 - 성황(成鎤)
조선 효종(孝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다섯째 아들로, 학문에 힘쓰고, 하진(河溍)ㆍ조임도(趙任道) 등과 교류함.
1595~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성성재(惺惺齋) - 금난수(琴蘭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봉화(奉化).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장예원 사평(掌隸院司評)ㆍ봉화 현감(奉化縣監) 등을 지내고, 귀향한 뒤에는 퇴계 학문을 강구함.
1530~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세(星洗) - 이성세(李星洗)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이효민(李孝閔)의 아들이며 이성익(李星益)의 아우.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성소(惺所) - 허균(許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유성룡(柳成龍)ㆍ이달(李達)의 문인. 이이첨(李爾瞻)과 결탁하여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였으며, 반란을 계획하다 탄로되어 참수형을 당함. 명문장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우리 나라 최초의 소설인 《홍길동전(洪吉童傳)》을 씀.
1569~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성소부부고(惺所覆瓿稿)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인 허균(許筠)의 시문집. 필사본. 8권 1책. 저자가 가장 불우했던 시기에 쓴 시와 산문들을 모아 엮은 것으로, 시부(詩部)ㆍ부부(賦部)ㆍ문부(文部)ㆍ설부(說部) 등 4부로 구성됨.
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열 , 문헌>서명
-
성소선(成笑仙) - 성제원(成悌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보은 현감(報恩縣監) 등을 지냈으며, 박응순(朴應順) 등 많은 인재를 육성함.
1506~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손(成孫) - 탁성손(卓成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도사(都事)를 지낸 탁기(卓耆)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성손(盛孫) - 이성손(李盛孫)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이며, 송림군(松林君) 이효창(李孝昌)의 맏아들로, 일찍 죽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성손(聖孫) - 공급(孔伋)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손자. 사서(四書)의 하나인 《중용(中庸)》을 편찬했으며, 증삼(曾參)의 학(學)을 배워 유학의 전승에 힘씀.
B.C.483~B.C.40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성수(性叟) - 탁천성(卓天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낸 탁사정(卓思正)의 둘째 아들로, 한성 윤(漢城尹)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성수(星宿) - 이십팔수(二十八宿)
중국에서 달의 공전주기가 27.32일이라는 것에 착안하여 적도대(赤道帶)를 28개의 구역으로 나눈 것. 각 구역이 각각의 수(宿)를 가리킴.
자연물>천체
-
성수(聖綏) - 유혜우(柳惠遇)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제두(柳齊斗)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성수(誠叟) - 서존(徐存)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구산(龜山) 양시(楊時)의 제자로,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며 경학(經學)을 가르쳤는데, 따르는 학도(學徒)가 천여 명이었다고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성수찬(成修撰) - 성락(成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감사(監司)를 지낸 성세평(成世平)의 아들로, 이황(李滉) 문하에서 수학함. 자력으로 경서를 탐독할 정도로 우수하였으며, 친우들의 도움으로 장례를 치러야 할 만큼 청빈한 생활을 함.
1542~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숙(成叔) - 정문휼(鄭文遹)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주희가 그에게 상례(喪禮)를 편찬하게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성신(省身) - 이성신(李省身)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동생 이치신(李致身)에게 아들 이환(李桓)을 양자로 보냄.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며, 이괄(李适)의 난 때 사관으로 왕을 공주(公州)에 호종하고, 동부승지(同副承旨) 등을 지냄.
1580~165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성아(誠兒) - 구성윤(具誠胤)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구봉령(具鳳齡)의 아들.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성악(星嶽) - 성주(星州)
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성주 , 지명>행정지명
-
성악(聖岳) - 성거산(聖居山)
충청도 천안 북면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왕건이 이 산을 보고 성거산이라고 부르고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짐.
충청도>천안 , 지명>자연지명
-
성안(成安)@원주 - 원주(原州)
강원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후기에 관동(關東) 제일의 정치ㆍ경제ㆍ문화ㆍ교통의 중심지를 이룸.
강원도>원주 , 지명>행정지명
-
성안(成安) - 상진(尙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오랫동안 왕을 보좌한 명상(名相)으로서 조야(朝野)의 신망이 두터웠음.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안(聖安) - 유혜일(柳惠逸)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태두(柳泰斗)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성안재(成安齋) - 성임(成任)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성염조(成念祖)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국조보감(國朝寶鑑)》ㆍ《경국대전(經國大典)》편찬에 참여하고, 글씨와 시문에 뛰어남.
1421~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암(性庵) - 전좌명(田佐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좌랑(佐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정려(旌閭)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성암(省庵) - 이지번(李之蕃)@이산해의아버지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산해(李山海)의 아버지이며, 이지함(李之菡)의 형. 명종(明宗) 때 김안로(金安老)의 무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단양(丹陽)의 구담(龜潭)에 은거함.
?~15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암(省菴) - 김효원(金孝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조식(曺植)ㆍ이황(李滉)의 문인. 이조 전랑(吏曹銓郞)의 추천과 임명을 둘러싸고 심의겸(沈義謙)과 반목하면서 사림계가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으로 나뉘는 원인을 제공함.
1542~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암문집(省菴文集) - 성암유고(省菴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효원(金孝元)의 문집. 저자의 둘째 아들인 김극련(金克鍊)이 편집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성암병부(省菴病夫) - 김효원(金孝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조식(曺植)ㆍ이황(李滉)의 문인. 이조 전랑(吏曹銓郞)의 추천과 임명을 둘러싸고 심의겸(沈義謙)과 반목하면서 사림계가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으로 나뉘는 원인을 제공함.
1542~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암선생유고(省菴先生遺稿) - 성암유고(省菴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효원(金孝元)의 문집. 저자의 둘째 아들인 김극련(金克鍊)이 편집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성암옹(省菴翁) - 김효원(金孝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조식(曺植)ㆍ이황(李滉)의 문인. 이조 전랑(吏曹銓郞)의 추천과 임명을 둘러싸고 심의겸(沈義謙)과 반목하면서 사림계가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으로 나뉘는 원인을 제공함.
1542~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암집(省菴集) - 성암유고(省菴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효원(金孝元)의 문집. 저자의 둘째 아들인 김극련(金克鍊)이 편집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성양(成陽) - 박성양(朴成陽)
고려 말~조선 초의 무신. 박윤후(朴允厚)의 아들.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으로, 태조(太祖) 때 왜구를 물리치고, 세종(世宗) 때 이종무(李從茂)를 따라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무신
-
성양경왕(城陽景王) - 유장(劉章)
중국 전한(前漢) 때 제(齊) 도혜왕(悼惠王)의 아들. 한(漢) 나라 초기에 여후(呂后)가 죽자, 주발(周勃)ㆍ진평(陳平) 등과 함께 여씨(呂氏)를 주벌하고 대왕(代王) 항(恒)을 제위에 추대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성양도(成羊道) - 황초평(黃初平)
중국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의 신선. 15세 때 양(羊)을 먹이러 나갔다가 도사(道士)를 만나 금화산(金華山) 석실(石室)로 들어가 40년간 도를 닦고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성양왕(城陽王) - 유장(劉章)
중국 전한(前漢) 때 제(齊) 도혜왕(悼惠王)의 아들. 한(漢) 나라 초기에 여후(呂后)가 죽자, 주발(周勃)ㆍ진평(陳平) 등과 함께 여씨(呂氏)를 주벌하고 대왕(代王) 항(恒)을 제위에 추대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성언(聖言) - 이담룡(李耼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능성 현감(綾城縣監) 등을 지내고, 권문해(權文海)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성언(誠彦) - 이성언(李誠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좌찬성(左贊成) 이손(李蓀)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진위진향사(陳慰進香使)로 명(明) 나라에 갔다가 그곳에서 죽음.
?~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언소(成彦昭) - 성자항(成子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성세명(成世明)의 손자이며,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 성근(成謹)의 아들.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를 거쳐 담양 부사(潭陽府使)를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언직(成彦直) - 성자청(成子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 성근(成謹)의 아들이며, 담양 부사(潭陽府使) 성자항(成子沆)의 형.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성여(聖與)@신점 - 신점(申點)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사은사(謝恩使)로 명 나라에 파견되었다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병부 상서 석성(石星)을 움직여 요동(遼東)의 군대 3,000명을 파견하게 함.
15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여(聖與)@이영도 - 이영도(李詠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과 싸웠고, 전재민(戰災民) 구호와 군량미를 조달하여 명관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현풍 현감(玄風縣監) 때 뛰어난 치적으로 표리(表裏)를 하사받음.
1559~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성여(聖與) - 오결(吳潔)@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사서변의(四書辨疑)》를 저술하였으며, 현릉 참봉(顯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성연(聖淵) - 신광수(申光洙)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고령(高靈). 1746년(영조 22)에 관산융마(關山戎馬)란 시(詩)로 급제했는데, 이 시는 당시 과시(科詩)의 모범이 됨. 1774년(영조 50)에 관서지방의 풍속ㆍ고적ㆍ고사 등을 소재로 한 관서악부(關西樂府)를 지었으며, 《석북집(石北集)》을 남김.
1712~177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성오(省吾)@유정 - 유정(劉綎)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유현(劉顯)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참전하여 동일원(董一元)과 함께 제독(提督)의 직책을 수행하면서 크게 활약함. 후에 요동(遼東)에서 후금(後金)을 정벌하던 중 전사함.
?~161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성오(省吾) - 권성오(權省吾)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 권호신(權虎臣)의 아들로, 1612년(광해군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이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이름. 저서로 《동암집(東巖集)》이 있음.
1587~16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오당(省吾堂) - 이개립(李介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해(李𥩲)의 아들. 박승임(朴承任)ㆍ김성일(金誠一)의 문인으로, 효행(孝行)과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군량을 조달함.
1546~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성온(成溫) - 변성온(卞成溫)
조선 후기의 문인. 본관은 밀양(密陽).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문인(門人)으로, 장성(長城)에 필암서원(筆巖書院)의 건립을 주도함.
152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문사>문인
-
성옹(醒翁) - 김덕함(金德諴)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김홍(金洪)의 아들로,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에 반대하여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복직되어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62~163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성와(城窩) - 박하청(朴河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하담(朴河淡)의 아우로, 성수침(成守琛)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성와(惺窩) - 등원성와(藤原醒窩)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 초기의 유학자로, 일본 근세 유학의 아버지. 7세 때 출가하여 선학(禪學)과 한학을 배움. 조선의 국사(國使)인 허성(許筬) 등과 교유하였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포로로 잡혀온 주자학자 강항(姜沆)을 만나 영향을 받음.
1561~1619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문사>학자
-
성왕(成王) - 성종(成宗)@고려
고려 제6대 왕. 재위 981~991. 중앙에 3성(省) 6부(府)를 설치하고, 지방에 12목(牧)과 10도(道)를 설치하여 유교정치 이념에 의한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마련함.
960~997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성왕(郕王) - 대종(代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449~1457. 북방민족에게 포로가 된 영종(英宗)을 대신해 황제에 올랐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영종에 의해 쫓겨남.
142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우계(成牛溪)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원(性源) - 하혼(河渾)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ㆍ오건(吳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하였고, 장수 찰방(長水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낙향 후 이안눌(李安訥) 등과 교유하며 만년을 보냄.
1548~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성원(成遠) - 김성원(金成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의 문인(門人).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縣民)을 잘 보호하였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
152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