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원(聖遠) - 심상점(沈尙漸)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8대손.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성원(聲遠)@윤탁 - 윤탁(尹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파평(坡平). 훈련원 부정(訓練院副正)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박사겸(朴思謙) 등과 향리에서 의병을 일으키고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많은 공을 세웠으나, 진주(晉州)에서 김천일(金千鎰) 등과 함께 전사함.
1554~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성원(聲遠) - 김장(金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사과(司果) 등을 역임하였으며, 유희춘(柳希春)의 손자인 유광선(柳光先)을 사위로 삼았음이 《미암일기(眉巖日記)》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성원(聲遠)@김성원 - 김성원(金聲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조헌(趙憲)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금산 전투(錦山戰鬪)에서 전사함.
1565~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진산 , 인명>문사>학자
-
성원(聲遠)@김대명 - 김대명(金大鳴)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으로, 찰방(察訪) 김추(金樞)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초유사(招諭使) 김성일(金誠一)의 도소모장(都召募將)이 되어 고성(固城) 의병들과 함께 왜적을 토벌하여 공을 세움.
1536~15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ㅣ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성원(誠源) - 유성원(柳誠源)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ㆍ춘추관 기주관(春秋館記注官) 등을 지냄.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성삼문(成三問) 등과 단종 복위를 모의하다 발각되자 성균관에서 자결함.
?~145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성원군(星原君) - 이정녕(李正寧)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외척. 한성부윤(漢城府尹)을 지낸 이사후(李師厚)의 아들로, 태종(太宗)의 딸인 숙혜옹주(淑惠翁主)와 결혼하여 성원위(星原尉)에 봉작되었으며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1411~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성원서(姓原書) - 성원주기(姓原珠璣)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儒學者) 양신민(楊信民)이 지은 책. 조선 이황(李滉)의 《송계원명이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에 자주 보임.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성원위(星原尉) - 이정녕(李正寧)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외척. 한성부윤(漢城府尹)을 지낸 이사후(李師厚)의 아들로, 태종(太宗)의 딸인 숙혜옹주(淑惠翁主)와 결혼하여 성원위(星原尉)에 봉작되었으며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1411~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성원주기(姓源珠璣) - 성원주기(姓原珠璣)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儒學者) 양신민(楊信民)이 지은 책. 조선 이황(李滉)의 《송계원명이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에 자주 보임.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성유(聖兪)@이시직 - 이시직(李時稷)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조호익(曺好益)ㆍ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이괄(李适)의 난 때 인조를 공주(公州)까지 호종함.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가 함락되자 송시영(宋時榮) 등과 함께 자결함.
1572~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유(聖兪) - 매요신(梅堯臣)
중국 송(宋) 나라의 대표적 시인ㆍ문신. 당시(唐詩)의 섬세하고 교묘한 폐풍을 버리고 고문운동(古文運動)과 관련된 시 형식을 개척하여 새로운 송시(宋詩)의 개조(開祖)가 됨.
1002~106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성유(聖猷) - 민진원(閔鎭遠)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아들이며, 숙종 비(妃)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오빠이자 우참찬을 지낸 민진후(閔鎭厚)의 동생으로, 소론을 배격했던 노론의 거두.
1664~173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성윤(成允) - 우성윤(禹成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우성전(禹性傳)의 조부.
1473~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성윤(成胤) - 탁성윤(卓成胤)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도사(都事)를 지낸 탁기(卓耆)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성윤(聖胤) - 이성윤(李聖胤)
조선 후기의 종친. 전성군(全城君)의 증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이고, 평양군(平陽君) 이의(李倚)의 첫째 아들. 1617년(광해군 9) 이이첨(李爾瞻)을 처벌하라는 종친의 상소에 참여하였다가 유배됨.
1561~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성윤(誠胤)@구성윤 - 구성윤(具誠胤)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구봉령(具鳳齡)의 아들.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성윤(誠胤) - 이성윤(李誠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翼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청원도정(靑原都正) 이간(李侃)의 둘째 아들. 임진왜란 때 신주(神主)를 봉안하고 세자인 광해군(光海君)을 호종한 공으로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됨.
1570~162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성은(城隱)@유계린 - 유계린(柳桂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아버지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관직에 마음을 두지 않고 향리에서 자제들을 가르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ㅣ전라도>순천 , 인명>문사>유학
-
성은(城隱) - 유성춘(柳成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좌되어 파직됨. 윤구(尹衢)ㆍ최산두(崔山斗) 등과 시주(詩酒)로 교우하며 호남삼걸(湖南三傑)로 불림.
1495~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성은(城隱)@남이흥 - 남이흥(南以興)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남유(南瑜)의 아들. 이괄(李适)의 난 때 장만(張晚)의 휘하에서 공을 세워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정묘호란 때 안주성(安州城) 전투에서 분전하다가 자결함.
1576~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성은(成殷) - 윤성은(尹成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감찰(監察)을 지내고,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성은(成隱) - 김대윤(金大潤)
고려 후기의 문신ㆍ은자. 고려 말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절의정신(節義精神)으로 관직을 버리고 자연에 은거하며 출사(出仕)하지 않은 팔은(八隱) 중의 한 사람.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의(聖儀) - 안양군(安陽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셋째 아들.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연산군(燕山君)의 생모를 폐출(廢黜)시켰다는 이유로 어머니 귀인정씨(貴人鄭氏)와 동생 봉안군(鳳安君)과 함께 사사(死賜) 되었으나 1506년(중종 1)에 복직(復職)됨.
1480~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성의백(誠意伯) - 유기(劉基)
중국 원(元)~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 주원장(朱元璋)의 모사(謀士)가 되어 중국을 통일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명 건국 후에는 역법(曆法) 제정과 군정체제 건립에 공헌함. 원 나라 말기의 사회 모순을 풍자하는 글을 많이 남김.
1311~1375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성의장(誠意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성이(盛而) - 심담(沈淡)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숙종(肅宗) 때 유학인 심세강(沈世綱)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성이(聖而) - 김신동(金神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출(罷黜)됨
148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익(星益) - 이성익(李星益)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로, 통덕랑(通德郞) 이효민(李孝閔)의 아들. 1663년(현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권상하(權尙夏)와 두터운 정의(情誼)를 나눔.
1639~167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태인ㅣ경기도>광주ㅣ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성익(聖翊) - 권성익(權聖翊)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중심으로 그 변화에 대한 의견을 밝힘.
1735~182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학자
-
성익(聖翼) - 김성익(金聖翼)
조선 영조(英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김시찬(金是瓚)의 아버지로, 1756년(영조 3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7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성일(聖一) - 김공증(金公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10년(중종 5)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여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종유(從遊)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1538년(중종 33)에 풀려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
-
성일(誠一) - 김성일(金誠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으로, 청계(靑溪) 김진(金璡)의 아들. 이황(李滉)의 고제(高弟)로, 주리론(主理論)을 계승하여 영남학파의 중추 구실을 함. 이황(李滉)의 《자성록(自省錄)》ㆍ《퇴계집(退溪集)》 등을 편집ㆍ간행함.
1538~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임(聖任) - 이성임(李聖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태조(太祖)의 7대손이며, 이형(李詗)의 아들. 1583년(선조 16) 서장관(書狀官)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냄. 용모ㆍ문사(文辭)ㆍ언론(言論)ㆍ서화(書畵)ㆍ가성(歌聲)이 뛰어나서 오옥(五玉) 선생이라 불렸으며, 김성일(金誠一)과 교유함.
1555~159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성자(成子) - 광성자(廣成子)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은자. 공동산(崆峒山)의 석실(石室)에 은거했는데, 나이가 1천 2백 살이 되었는데도 늙지 않았다고 하며 일찍이 황제(黃帝)가 그에게 가르침을 받았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성자경(成子敬) - 성제원(成悌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보은 현감(報恩縣監) 등을 지냈으며, 박응순(朴應順) 등 많은 인재를 육성함.
1506~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자천(成子賤) - 성익(成杙)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손자로,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성문준(成文濬)의 아들. 수성금화사 별좌(修城禁火司別坐)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자허(成子許) - 성후설(成後卨)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질부(質夫) 성이문(成以文)의 손자. 예빈시 정(禮賓寺正)ㆍ승정원 우승지(承政院右承旨)ㆍ수원 부사(水原府使) 등을 지냄.
1615~16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장(成章)@김성장 - 김성장(金成章)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선조(先祖)인 동촌(桐村) 김린(金麟)이 은거했던 곳에 동백정(冬栢亭)을 세웠는데, 박광전(朴光前)이 쓴 〈동백정기(冬栢亭記)〉가 《죽천집(竹川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
-
성장(成章) - 김광택(金光澤)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로,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의 문인. 선조(先祖)인 동촌(桐村) 김린(金麟)이 은거했던 곳에 동백정(冬栢亭)을 세웠는데, 박광전이 쓴 〈동백정기(冬栢亭記)〉가 《죽천집(竹川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
-
성장(成章)@김수문 - 김수문(金秀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진사 김임(金銋)의 아들.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제주 목사(濟州牧使)로서 왜구(倭寇)를 대파하는 공을 세웠고, 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때는 여러 차례 호인(胡人)의 침략을 격퇴하고 전사함.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무신
-
성재(惺齋)@금난수 - 금난수(琴蘭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봉화(奉化).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장예원 사평(掌隸院司評)ㆍ봉화 현감(奉化縣監) 등을 지내고, 귀향한 뒤에는 퇴계 학문을 강구함.
1530~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재(惺齋)@이령 - 이령(李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이인형(李仁亨)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이 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출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성재(惺齋)@최충 - 최충(崔冲)
고려 목종(穆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문헌공도(文憲公徒)의 창시자로, 구재학당(九齋學堂)을 세워 유학을 보급하고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문교(文敎) 진흥과 사학(私學) 발전에 크게 공헌함.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984~1068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재(惺齋) - 김립(金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서흥(瑞興).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김언상(金彦庠)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생원시에 입격하여, 의흥(義興)ㆍ초계(草溪)의 군수(郡守)를 역임했음.
1497~15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재(省齋)@정순붕 - 정순붕(鄭順朋)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을사사화 때 소윤(小尹)으로서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적극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까지 올랐으나, 선조(宣祖) 때 관작이 모두 추탈(追奪)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재(省齋) - 신응순(辛應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월(寧越).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의병을 모집하는 역할을 맡기도 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후진양성에 힘썼으며, 《예설(禮說)》 2권을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학자
-
성재(誠齋)@홍하량 - 홍하량(洪河量)
조선 후기의 문인. 본관은 부림(缶林). 장사랑(將仕郞) 홍수약(洪守約)의 아들이고, 장흥효(張興孝)의 문인. 유진(柳袗)ㆍ김응조(金應祖)와 도의(道義)로 교유하였으며, 정구(鄭逑)가 독학군자(篤學君子)라고 칭찬함.
1588~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ㅣ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
-
성재(誠齋)@김약묵 - 김약묵(金若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진(康津). 학문이 뛰어났으며 전라도 태인(泰仁)의 무성서원(武城書院)에 배향됨. 《하서전집(河西全集)》에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500~155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성재(誠齋)@양만리 - 양만리(楊萬里)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 비서감(秘書監)을 지내고, 사부(詞賦)에 뛰어나 육유(陸游)ㆍ범성대(范成大)ㆍ우무(尤袤)와 더불어 남송사대가(南宋四大家)로 일컬어짐.
1127~127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성재(誠齋)@유탁 - 유탁(柳濯)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고흥(高興).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 등을 역임하였으며, 왜구의 침입을 방비하고 장사성(張士誠)의 토벌에 참전하는 등 공을 세워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311~1371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성재(誠齋)@강응태 - 강응태(姜應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밀양도호부사(密陽都護府使) 등을 지내고, 효행이 지극하였으며, 임천서원(臨川書院)에 배향됨.
1495~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성재(誠齋) - 권고(權皐)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조부는 찬성사(贊成事) 권단(權㫜)이며, 아버지는 영도첨의사사(領都僉議司事) 권보(權溥).
1294~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성재(醒齋) - 허엽(許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허균(許筠)의 아버지로, 명종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신원을 청하고 허자(許磁) 등의 무죄를 논하다가 파직됨. 선조 때 김효원(金孝元)과 함께 동인(東人)의 영수(領袖)가 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7~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재(醒齋)@유운 - 유운(柳雲)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유공좌(柳公佐)의 아들. 기묘사화 때 대사헌(大司憲)으로서 조광조(趙光祖)를 구원하려다가 파직당한 뒤 낙향하여 술로 울분을 달래다 죽음. 편저로 《진수해범(進修楷範)》이 있음.
1485~152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성 , 인명>관인>문신
-
성재병인(醒齋病人) - 허엽(許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허균(許筠)의 아버지로, 명종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신원을 청하고 허자(許磁) 등의 무죄를 논하다가 파직됨. 선조 때 김효원(金孝元)과 함께 동인(東人)의 영수(領袖)가 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7~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재양씨(誠齋楊氏) - 양만리(楊萬里)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 비서감(秘書監)을 지내고, 사부(詞賦)에 뛰어나 육유(陸游)ㆍ범성대(范成大)ㆍ우무(尤袤)와 더불어 남송사대가(南宋四大家)로 일컬어짐.
1127~127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성저(星渚)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성적(成績) - 화응(和凝)
중국 오대십국 후당(後唐)~후주(後周) 때의 문신. 범질(范質)이 진사(進士)가 될 때 시관(試官)이었는데, 그의 재주를 사랑하여 13등으로 급제시킴. 이는 자신이 13등으로 급제하여 대신이 되었기 때문이었는데, 훗날 범질(范質) 역시 대신이 됨.
898~955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성전(性傳) - 우성전(禹性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이었다가 이발(李潑)과의 갈등으로 인해 남인(南人)의 거두가 됨.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많은 전공을 세우고, 해염(海鹽)과 식량을 조달하여 난민을 구제함.
1542~159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성절(聖節) - 이도(李棹)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개국공신. 전의이씨(全義李氏)의 시조. 태조가 견훤(甄萱)을 정벌하기 위해 남하(南下)했을 때 홍수로 범람한 금강(錦江)의 도강책(渡江策)을 주도한 공로로 공신에 책록되고 전산후(全山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전의ㅣ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정(成楨) - 이성정(李成楨)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월성군(月城君) 이철견(李鐵堅)의 아들이고, 선산 부사(善山府使) 이완(李琬)과 이호(李瑚)의 아버지. 종친부 전부(宗親府典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성정(成靖) - 이승손(李承孫)@1394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세종(世宗) 때 북변(北邊)의 이만주(李滿住)를 정벌하는 데 공을 세웠고, 세조 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의정부 우찬성(議政府右贊成) 등을 역임함.
1394~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성정도(性情圖) -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조선 전기의 대학자 이황(李滉)이 선조(宣祖)에게 바친 성학십도(聖學十圖) 가운데 여섯 번째 도설(圖說). 심(心)ㆍ성(性)ㆍ정(情)의 성리학적 개념을 도식(圖式)으로 표현함.
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성정보(成精甫) - 성안의(成安義)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하여 곽재우(郭再祐)의 휘하에서 활약했으며, 1624년 이괄(李适)의 난 때 왕을 공주(公州)로 호종한 공로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1561~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성정수삼장(誠正修三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성정수장(誠正修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성정조(誠正條)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성조(惺祖) - 백현룡(白見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이황(李滉)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적을 무찌름.
1543~16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학자
-
성조(成祖)@성종 - 성종(成宗)@조선
조선 제9대 왕. 재위 1469~1494. 세종(世宗)과 세조(世祖)가 이룩한 치적을 기반으로 찬란한 문화정책을 펼쳤으며, 《경국대전(經國大典)》과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는 등 국가통치체제를 완비함.
1457~14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성조(聖祖)@이이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성조(聖祖)@태조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성조(聖祖)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성조사(成詔使) - 성헌(成憲)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한림원 검토(翰林院檢討)를 지냈으며, 1568년(선조 2)에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을 지낸 왕새(王璽)와 함께 황태자 책립의 조서를 반포하기 위해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성조황고(聖祖皇姑) - 선덕여왕(善德女王)
신라 제27대 왕. 재위 632~647. 진평왕(眞平王)의 딸. 선정(善政)을 베풀어 민생을 보살피고 당(唐) 나라의 문화와 불법(佛法)을 수입하였으며, 분황사(芬皇寺)ㆍ첨성대(瞻星臺)ㆍ황룡사구층목탑(皇龍寺九層木塔) 등을 건립함.
?~647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성종(盛終) - 이성종(李盛終)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이며, 송림군(松林君) 이효창(李孝昌)의 셋째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만년에 파주(坡州)로 내려가 유유자적함.
1474~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성종강정대왕실록(成宗康靖大王實錄) - 성종실록(成宗實錄)
조선 제9대 왕 성종(成宗) 재위 26년간의 편년체(編年體) 기록. 춘추관 영사(春秋館領事) 신승선(愼承善) 등이 주관하여 1499년(연산군 5)에 완성함.
149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성종대왕실록(成宗大王實錄) - 성종실록(成宗實錄)
조선 제9대 왕 성종(成宗) 재위 26년간의 편년체(編年體) 기록. 춘추관 영사(春秋館領事) 신승선(愼承善) 등이 주관하여 1499년(연산군 5)에 완성함.
149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성좌(誠佐) - 나신국(羅藎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학생 나효종(羅孝宗)의 아들. 1566년(명종 2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정자(正字)ㆍ현감(縣監)을 거쳐 좌랑(佐郞)을 지냈으며,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함.
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성주(成周) - 낙읍(洛邑)
중국 하남성(河南省) 낙양(洛陽)의 서쪽 지역에 있던 고대 서주(西周)의 수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성주(成周)@낙양 - 낙양(洛陽)
중국 하남성(河南省) 서부의 낙수(洛水) 유역에 위치한 도시 이름. 주(周)ㆍ후한(後漢)ㆍ삼국(三國) 등의 고도(古都)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성주(成宙) - 탁성주(卓成宙)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두첨(卓斗瞻)의 맏아들이고, 탁창주(卓昌宙)ㆍ탁경주(卓景宙)의 형이며, 탁윤(卓胤)ㆍ탁빈(卓斌)ㆍ탁건(卓健)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성주(成州) - 성천(成川)
평안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선조(宣祖)의 후궁과 여러 왕자가 난을 피해 3년 동안 머물렀던 곳.
평안도>성천 , 지명>행정지명
-
성주(聖周) - 임성주(任聖周)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풍천(豊川). 영조 때 시직(侍直) 등을 지내다 사직하고, 공주(公州) 녹문(鹿門)에 은거함. 주희(朱熹)의 이기론(理氣論)을 비판하고, 기일분수설(氣一分殊說)을 주장함.
1711~178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성중(成仲) - 남치리(南致利)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김언기(金彦璣)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이황(李滉) 문하의 안자(顔子)라고 불리며 1578년 정구(鄭逑)와 함께 유일(遺逸)에 천거됨.
1543~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성중(成仲)@이복홍 - 이복홍(李福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영천(永川). 이충량(李忠樑)의 아들이며, 간재(艮齋) 이덕홍(李德弘)의 형으로, 부장(部將)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무신
-
성중(盛仲)@이지번 - 이지번(李之蕃)@조선전기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표연말(表沿沫)ㆍ유호인(兪好仁)ㆍ최한후(崔漢侯) 등과 교유하였으며, 연산군(燕山君)의 폭정에 벼슬살이의 염증을 느끼고 낙향하여 학문에 몰두함.
1469~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중(盛仲) - 이대(李薱)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며 여양군(呂陽君) 이자겸(李子謙)의 아들로, 용강 현령(龍岡縣令)ㆍ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 등을 지냄.
1488~154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성중(聖中) - 조원길(趙元吉)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옥천(玉川)으로, 조전(趙佺)의 아들. 정몽주(鄭夢周)ㆍ설장수(楔長壽)와 함께 공양왕을 옹립하여 1등공신이 되고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봉해짐. 고려가 망하자 순창(淳昌)으로 내려가 벼슬을 하지 않고 절의를 지킴.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중(誠中)@1539 - 이성중(李誠中)@1539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현손이며 금천군(錦川君) 이감(李瑊)의 아들.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되고 완창부원군(完昌府院君)에 봉해짐.
1539~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중(誠中)@1330 - 이성중(李誠中)@1330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달충(李達衷)의 동생. 고려 후기에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조선 개국에 참여하여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었으며, 검교 좌정승(檢校左政丞) 등을 지냄.
1330~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중(誠仲)@조우 - 조우(趙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교리(校理)가 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파방(罷榜)되었다가 음보(蔭補)로 현감(縣監) 등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중(誠仲)@박효생 - 박효생(朴孝生)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으로, 박여헌(朴黎獻)의 아들. 임진왜란으로 불탄 실록을 복구하는 작업에 참가하고, 광해군 때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비를 요청하는 정청(庭請)에 참여함.
15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성중(誠仲) - 남궁침(南宮忱)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열(咸悅). 사간원과 홍문관의 관직을 거쳐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13~15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열 , 인명>관인>문신
-
성중(誠仲)@조윤구 - 조윤구(曺允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중종(中宗) 때 함안 군수(咸安郡守) 등을 지낸 조효연(曺孝淵)의 아들로,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성중엄(成仲淹) - 성중엄(成重淹)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명현(名賢)들의 무고한 화를 변호하다가 인산(麟山)으로 유배되었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원배(遠配)된 뒤 능지처참(陵遲處斬)을 당함.
147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지(性之) - 박안성(朴安性)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영의정 박원형(朴元亨)의 아들로,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성지(性之)@조자지 - 조자지(趙自知)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남효온(南孝溫)ㆍ홍유손(洪裕孫) 등과 죽림칠현(竹林七賢)을 자처하며 시주(詩酒)와 가무(歌舞)로 소일하였으며,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체포되어 국문(鞫問)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성지(性之)@이선열 - 이선열(李善悅)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동고(東皐) 이준경(李浚慶)의 아들로, 부친의 임지인 관서(關西) 지방에 따라나섰다가 병을 얻어 요절함.
1531~15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성지(性之)@조충손 - 조충손(趙衷孫)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육(趙育)의 아들로, 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냈으나,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역모에 연루되어 고신(告身)이 추탈되고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