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지(性之)@왕질 - 왕질(王銍)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학자. 저서로 《운계집(雲溪集)》ㆍ《묵기(默記)》ㆍ《사륙화(四六話)》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성지(性之)@정성지 - 정성지(鄭性之)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냄.
1172~125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성지(成之)@원부 - 원부(元傅)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충(元忠)의 할아버지. 충렬왕 때 유경(柳璥)ㆍ김구(金坵) 등과 함께 《고종실록(高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함. 《고금록(古今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첨의중찬(僉議中贊)에 오름.
1219~128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성지(成之)@금원복 - 금원복(琴元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음보(蔭補)로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거쳐 성주 판관(星州判官) 등을 역임하였고 예조에 재직하는 동안 대례(大禮)의 모든 절차를 담당함.
1480~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성지(成之)@두범 - 두범(杜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직언(直言)을 잘 하였음.
?~124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지(成之)@김취성 - 김취성(金就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김광좌(金匡佐)의 아들. 평생 학문탐구에 힘쓰며, 의학을 연구하여 병든 사람을 치료해 줌.
1492~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성지(成之)@이구 - 이구(李構)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세준(李世俊)의 아들로, 관직에 진출하여 선정(善政)을 베풀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파직된 후 낙향하여 후진 양성에 힘씀.
1484~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성지(成之) - 김자점(金自點)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였으나 궁중과의 유착, 매국적 행동 등으로 비난을 받고, 역모사건으로 인해 복주(伏誅)됨.
1588~165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지(成之)@이우인 - 이우인(李友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여주(驪州).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이사필(李士弼)의 아들이며 좌찬성(左贊成) 이상의(李尙毅)의 아버지로, 1568년(선조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성지(成之)@박륙 - 박륙(朴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교리(校理)를 지낸 박문간(朴文幹)의 아들로, 1511년(중종 6) 별시(別試)로 급제하여 호조 참의(戶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성지(成之)@김극성 - 김극성(金克成)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김맹권(金孟權)의 아들. 세 번이나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낼 만큼 학문에 뛰어났으며, 김안로(金安老)의 실각 이후 우의정(右議政)에 오름.
1474~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성지(成之)@한승정 - 한승정(韓承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사무(韓士武)의 아들이며 이심원(李深源)의 문인(門人)으로,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냄. 동문인 김안로(金安老)가 세도를 부리자 절교하고 탄핵하여 미움을 받음.
1478~15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지(晟之) - 한승정(韓承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사무(韓士武)의 아들이며 이심원(李深源)의 문인(門人)으로,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냄. 동문인 김안로(金安老)가 세도를 부리자 절교하고 탄핵하여 미움을 받음.
1478~15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지(聖之) - 민여임(閔汝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명(明) 나라 장수의 접반관(接伴官)을 지냄.
1559~162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성지(誠之)@경명군 - 경명군(景明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열 번째 아들. 숙의홍씨(淑儀洪氏)의 소생. 중종(中宗) 때 안처겸(安處謙)의 옥사에 휩싸여 고초를 겪음.
1489~152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성지(誠之)@제갈천능 - 제갈천능(諸葛千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순희(淳熙) 연간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했고 관직은 가흥 주부(嘉興主簿)를 역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성지(誠之)@이수성 - 이수성(李守誠)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이행(李荇)의 《용재집(容齋集)》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1506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성지(誠之)@양성지 - 양성지(梁誠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집현전(集賢殿)의 부수찬ㆍ교리를 거쳐 이조 판서(吏曹判書)ㆍ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고려사(高麗史)》ㆍ《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등을 편찬함.
1415~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지(誠之)@안처성 - 안처성(安處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공조 판서를 지낸 안침(安琛)의 아들로, 선공감 정(繕工監正)ㆍ군자감 정(軍資監正) 등을 지냄.
1477~151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성지(誠之)@유구언 - 유구언(游九言)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초명은 구사(九思). 장식(張栻)의 문인으로, 저서에 《묵재유고(默齋遺稿)》가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성지(誠之)@이사철 - 이사철(李思哲)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도조(度祖)의 첫째 아들인 이자흥(李自興)의 종손이며, 이난(李蘭)의 아들로, 《선원록(璿源錄)》 등을 개수하였고, 세조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좌의정 등을 역임함.
1405~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성지(誠之)@이함 - 이함(李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공주(公州). 사직(司直)을 지낸 이종손(李從孫)의 아들로,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ㆍ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성지(誠之) - 송순(宋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냈으며, 면앙정가단(俛仰亭歌壇)의 창설자이자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선구자로서, 조선 시가문학(詩歌文學)에 크게 기여함.
1493~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성지(誠之)@김성지 - 김성지(金誠之)
조선 전기의 문인.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문인
-
성지(誠之)@이수령 - 이수령(李壽齡)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맏아들이며 안남군(安南君) 이수련(李壽鍊)의 형으로, 안성군(安城君)에 봉해짐.
151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성지(誠之)@최성지 - 최성지(崔誠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 때 원(元) 나라의 도성(都省)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 수시력(授時曆)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5~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지(誠之)@나덕윤 - 나덕윤(羅德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산 현감(尼山縣監) 나사침(羅士忱)의 아들이며, 정개청(鄭介淸)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광해군 즉위 후 의금부 경력(義禁府經歷)ㆍ감찰(監察) 등을 지냄.
155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성진(惺眞) - 온사(溫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승려. 김정(金淨)과 교유하였으며, 김정이 자(字)를 지어준 일이 《충암집(冲庵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회양 , 인명>종교인>승려
-
성진(星津)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성질부(成質夫) - 성이문(成以文)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황산도 찰방(黃山道察訪)을 지낸 성효관(成效寬)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종묘서 부봉사(宗廟署副奉事)로서 왕실의 신주를 받들고 의주(義州)로 피난함.
1546~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집(成集) - 유경해(柳景海)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사사(賜死)된 유진정(柳震楨)의 아버지이고,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의 매부로, 군자감 정(軍資監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성징(聖徵)@이희린 - 이희린(李希麟)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덕양군(德陽君)의 첫 번째 서자로, 풍성수(豊城守)에 봉해짐.
1563~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성징(聖徵)@이성징 - 이성징(李聖徵)
조선 후기의 문신. 윤근수(尹根壽)와 교유하였고 판서(判書) 등을 지냄. 그가 주청사(奏請使)가 되어 중국에 가는 것을 송별한 시가 《월정집(月汀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성징(聖徵) - 이정귀(李廷龜)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 이계(李𡹘)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명(明) 나라에 원병을 청하고, 대제학(大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신흠(申欽)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4대 문장가로 불림.
1564~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창(誠昌) - 황성창(黃誠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영의정 황희(黃喜)의 증손. 1491년(성종 22)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병조 참지(兵曹參知)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성천(聖千) - 박하징(朴河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충순위 부사직(忠順衛副司直) 박승원(朴承元)의 아들이며, 박하담(朴河淡)과 예조 정랑(禮曹正郞) 박하청(朴河淸)의 아우. 이황(李滉)ㆍ조식(曺植)ㆍ성혼(成渾) 등과 교유하고,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냄.
1484~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천뢰(成天賚) - 성몽열(成夢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1539년(중종 34)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함경도 도사(咸鏡道都事)ㆍ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ㆍ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천사(成天使) - 성헌(成憲)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한림원 검토(翰林院檢討)를 지냈으며, 1568년(선조 2)에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을 지낸 왕새(王璽)와 함께 황태자 책립의 조서를 반포하기 위해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성천수(成川守) - 이구(李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ㆍ학자.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주기설(主氣說)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성철(成哲) - 안성철(安成哲)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순흥부원군(順興府院君) 안문개(安文凱)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성청(聖淸) - 백이(伯夷)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고죽군(孤竹君)의 아들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叔齊)와 더불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종친
-
성춘(成春) - 유성춘(柳成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좌되어 파직됨. 윤구(尹衢)ㆍ최산두(崔山斗) 등과 시주(詩酒)로 교우하며 호남삼걸(湖南三傑)로 불림.
1495~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성춘(成春)@이성춘 - 이성춘(李成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홍주(洪州). 1555년(명종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정황(丁熿)ㆍ고경명(高敬命) 등과 교유함.
151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성탕(成湯) - 탕(湯)
중국 은(殷) 나라 제1대 왕. 하(夏) 나라의 걸(桀)이 학정을 하자 이윤(伊尹) 등의 도움을 받아 걸을 격파하고 은 나라를 세웠는데, 유교에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 주(紂)를 토벌한 일과 함께 정당한 혁명의 전형(典型)으로 평가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필(聖弼) - 심상진(沈尙晉)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8대손이며, 음직(蔭職)으로 감찰(監察)을 지냈음.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성하(星河)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성하(聖夏) - 신성하(申聖夏)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세종(世宗)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槩)의 10대손으로, 문장이 뛰어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성학격물통(聖學格物通) - 격물통(格物通)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인 담약수(湛若水)가 편찬한 책. 구준(丘濬)의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본떠 지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성한(星漢)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성한광(成漢匡) - 성여완(成汝完)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첨서밀직(簽書密直)ㆍ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고려가 망하자 포천(抱川)에 은거함.
1309~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성향(星鄕) - 성주(星州)
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성주 , 지명>행정지명
-
성헌(惺軒) - 백현룡(白見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이황(李滉)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적을 무찌름.
1543~16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학자
-
성헌(成憲)@민성헌 - 민성헌(閔成憲)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을 지낸 민사도(閔思道)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성헌(星軒) - 헌원성(軒轅星)
별자리 이름. 남방에 속하는 주작칠수(朱雀七宿)의 유(柳), 성(星), 장(張), 익(翼) 네 별자리에 걸쳐 있는 17개의 별. 황제(黃帝)의 모성(母星)이라 하며, 여주(女主)를 상징함.
자연물>천체
-
성헌(省軒) - 권기(權祺)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억(權憶)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승지(承旨) 등을 지냄.
149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성헌선생일집(惺軒先生逸集) - 성헌집(惺軒集)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인 백현룡(白見龍)의 문집. 3권 1책. 목판본. 1906년 후손에 의해 편집ㆍ간행되었으며, 권두에 이만도(李晩燾)와 권도화(金道和)의 서문이 있음.
1906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성현(誠懸) - 유공권(柳公權)@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서예가. 태자소사(太子少師)를 지내고, 해서(楷書)에 뛰어남. 주로 안진경(顔眞卿)을 본받았으나, 안진경의 글씨에 살이 많다면 유공권의 글씨에는 뼈가 많아서 흔히 안유(顔柳)라 병칭되며 세간의 주목을 받음.
778~865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성협(成浹) - 성람(成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감사(監司)를 지낸 성세평(成世平)의 아들로,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 성리학(性理學)과 의학에 밝았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후에는 조익(趙翊)ㆍ정경세(鄭經世)ㆍ이준(李埈) 등과 교유함.
1556~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호(星湖) - 이익(李瀷)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실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농사상(中農思想)에 기반을 두고, 한전론(限田論)ㆍ사농합일론(士農合一論) 등의 사회 개혁론을 주장함. 천문ㆍ지리ㆍ율산(律算)ㆍ의학 등에 능통하고, 저서로 《성호사설(星湖僿說)》ㆍ《곽우록(藿憂錄)》등이 있음.
1681~1763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운산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
-
성호원(成浩原)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화(成化) - 헌종(憲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8대 황제. 재위 1464~1487. 영종(英宗)의 아들로, 초년에는 성군(聖君)의 기질이 있었으나, 만년에는 방술(方術)에 탐닉하여 총희(寵姬) 만귀비(萬貴妃)와 향락에 빠짐.
1447~148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화(聖和) - 문성화(文聖和)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상주국 평장사(上柱國平章事) 문승조(文承祖)의 아들로,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성화제(成化帝) - 헌종(憲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8대 황제. 재위 1464~1487. 영종(英宗)의 아들로, 초년에는 성군(聖君)의 기질이 있었으나, 만년에는 방술(方術)에 탐닉하여 총희(寵姬) 만귀비(萬貴妃)와 향락에 빠짐.
1447~148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황(星潢)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성황제(成皇帝)@성제 - 성제(成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3대 황제. 재위 325~342. 명제(明帝)의 아들이자, 강제(康帝)의 형.
?~34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황제(成皇帝) - 헌종(憲宗)@조선
조선 제24대 왕. 재위 1834~1849. 추존왕인 익종(翼宗)의 아들로, 여덟 살에 즉위하여 순조(純祖)의 비인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金氏)가 수렴청정함. 재위 기간 중 세도정치(勢道政治)의 만연으로 삼정(三政)의 문란과 국정의 혼란이 가중됨.
1827~18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성효(成孝) - 희종(熙宗)
고려 제21대 왕. 재위 1204~1211. 신종(神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정화태후 김씨(靖和太后金氏).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폐위되고, 최우(崔瑀)에 의해 강화로 유배됨.
1181~123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성효재(誠孝齋) - 박영(朴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한 박경신(朴慶新)ㆍ박경인(朴慶因)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내고 형조 참의(刑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성후(成侯)@추기 - 추기(鄒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 위왕(威王)을 보좌하여 법률을 수정하고, 인재를 선발하는 혁신 정치를 실시하였으며, 국방을 견고히 하여 제 나라를 강국으로 만듦.
B.C.385~B.C.31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성후설(成后卨) - 성후설(成後卨)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질부(質夫) 성이문(成以文)의 손자. 예빈시 정(禮賓寺正)ㆍ승정원 우승지(承政院右承旨)ㆍ수원 부사(水原府使) 등을 지냄.
1615~16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휘(成輝) - 김성휘(金成輝)
조선 중종(中宗)~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훈벌가문(勳閥家門)이었으나 생활이 어려워 어려서부터 치산(治産)에 힘써 당대의 거부(巨富)가 되고, 임진왜란 때 군량미를 조달한 공으로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지냄.
1535~162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세감(世勘) - 송세감(宋世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자산 군수(慈山郡守) 송여림(宋汝霖)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유학
-
세갑행(洗甲行) - 세병마(洗兵馬)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두보(杜甫)가 지은 시. 48구(句) 336자(字)로 이루어진 칠언시(七言詩)로, 안녹산(安祿山)의 난(亂)을 평정한 공신(功臣)을 찬양하고 영원히 전쟁이 종식되어 태평한 세상이 되기를 바라는 내용임.
757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세강(世綱) - 심세강(沈世綱)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6대손.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세거(世擧) - 박세거(朴世擧)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의관(醫官).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ㆍ《분문온역이해방(分門瘟疫易解方)》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의림촬요(醫林撮要)》의 보정(補訂)에 참여함.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술인>의원
-
세거(洗車) - 세거우(洗車雨)
칠석(七夕) 전날인 음력 7월 6일에 내리는 비를 일컫는 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서로 타고 갈 수레를 씻기 때문에 내리는 비라 함.
사상>현상>자연현상
-
세건(世健) - 남세건(南世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중종실록(中宗實錄)》과 《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대사성(大司成)ㆍ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냄.
1484~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세건(世健)@이세건 - 이세건(李世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이계완(李季完)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세건(世建) - 유세건(兪世建)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청풍 군수(淸風郡守)를 지낸 유형(兪炯)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유학
-
세건(世楗) - 최세건(崔世楗)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강릉(江陵). 위사공신(衛社功臣) 최연(崔演)의 아버지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무신
-
세걸(世傑)@남세걸 - 남세걸(南世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생원(生員) 남헌(南獻)의 아들이자 남진(南軫)의 아버지. 최숙동(崔淑仝)의 딸과 결혼함.
?~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세걸(世傑) - 김세걸(金世傑)
조선 전기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관산(冠山)으로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세걸(世傑)@문세걸 - 문세걸(文世傑)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정(金淨)의 《충암집(冲庵集)》에 실린 〈도문사호(悼文士豪)〉라는 시(詩)의 원주에서 “탐라(耽羅)의 뛰어난 인물인데 요절했다”고 기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문사>유학
-
세걸(世傑)@이세걸 - 이세걸(李世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좌익공신(佐翼功臣) 이극감(李克堪)의 아들이자 삼가 현감(三嘉縣監) 이수진(李守震)의 아버지로,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세걸(世傑)@채세걸 - 채세걸(蔡世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돈녕부 첨정(敦寧府僉正)을 지낸 채자연(蔡子涓)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강원 감사(江原監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걸(世傑)@나세걸 - 나세걸(羅世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낸 나계종(羅繼宗)의 아들로, 창릉 참봉(昌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비안 , 인명>관인>문신
-
세검(世儉) - 소세검(蘇世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자파(蘇自坡)의 아들로, 좌랑(佐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쌍봉유고(雙峰遺稿)》를 저술함.
1483~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세겸(世謙) - 어세겸(魚世謙)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만종(萬從) 어효첨(魚孝瞻)의 아들로, 예종(睿宗)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봉해지고 좌의정 등을 지냄. 학식이 뛰어나고 문무를 겸비하였다 함.
1430~150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세경(世卿)@조세경 - 조세경(趙世卿)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배천(白川).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조반(趙胖)의 아버지로, 호군(護軍)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무신
-
세경(世卿)@이세경 - 이세경(李世卿)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돈(李克墩)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고, 첨정(僉正) 등을 역임하였으며, 정수강(丁壽崗)과 시문으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세경(世卿) - 이교익(李喬翼)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1858년(철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工曹判書)ㆍ협판내무부사(協辦內務府事) 등을 지냄.
1830~189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경(世經) - 심세경(沈世經)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6대손.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세고(世高) - 안청(安淸)
중국 후한(後漢)의 역경승(譯經僧)ㆍ불교학자. 안식국(安息國)의 왕자로, 출가하여 아비담(阿毘曇) 연구와 선정(禪定)에 힘씀. 중국에서 불경을 한역함.
?~17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세곤(世鵾) - 주세곤(周世鵾)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주문보(周文俌)의 맏아들이자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의 형으로, 젊은 나이에 죽음. 주세붕의 《무릉잡고(武陵雜稿)》에 그에 대한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15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세공(世功) - 오세공(吳世功)
고려 후기의 문인. 본관은 고창(高敞).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낸 오학린(吳學麟)의 손자이며 오세재(吳世才)의 형으로, 당시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고창 , 인명>문사>문인
-
세공(世恭) - 어세공(魚世恭)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만종(萬從) 어효첨(魚孝瞻)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봉해지고, 경학(經學)ㆍ역학(易學)ㆍ율학(律學)에 조예가 깊음.
1432~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세광(世匡) - 이세광(李世匡)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배(李克培)의 아들로, 1475년(성종 6) 친시(親試)에 급제하였으며, 도승지(都承旨)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세구(世球) - 이세구(李世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계장(李繼長)의 아들로, 1533년(중종 2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세귀(世龜)@주세귀 - 주세귀(周世龜)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주문좌(周文佐)의 아들이자, 이락당(二樂堂) 주이(周怡)의 아버지이며,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의 종형(從兄)으로, 용양위 부사과(龍驤衛副司果)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세귀(世龜) - 유세귀(柳世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을 지내고, 1527년(중종 22) 상진(尙震)ㆍ송순(宋純) 등 24인과 계축갑계(癸丑甲契)를 만듦.
149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