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세규(世奎) - 김세규(金世奎)
조선 후기의 문인. 정개청(鄭介淸)의 문인(門人)으로, 정경세(鄭經世)ㆍ이수광(李睟光) 등과 교유하고, 저서에 《우송집(友松集)》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화순 , 인명>문사>문인
-
세균(世鈞) - 김세균(金世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김익수(金益壽)의 아버지로, 1506년(중종 1년)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참의(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세균(世鈞)@장세균 - 장세균(張世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단양(丹陽). 아버지는 장사랑(將仕郞) 장오상(張五常)으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문사>유학
-
세균(世鈞)@성세균 - 성세균(成世鈞)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임(成任)의 아들이자 성현(成俔)의 조카로, 성현의 《허백당문집(虛白堂文集)》에 그를 애도한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세근(世懃) - 황세근(黃世懃)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황우한(黃佑漢)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세기(世基) - 이세기(李世基)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핵(李翮)의 아들로, 충렬왕 때 성균시(成均試)에 장원급제하여 왕이 오문생(吾門生)이라 불렀으며,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세기(世紀) - 제왕세기(帝王世紀)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황보밀(皇甫謐)의 저서. 고대부터 조위(曹魏)까지의 황제(皇帝)들의 사적(事跡)을 기록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세남(世南)@우세남 - 우세남(虞世南)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ㆍ서예가. 고야왕(顧野王)에게 수학하고, 왕희지(王羲之)의 서법을 익혀 구양순(歐陽詢) 등과 함께 당 나라 초기의 사대(四大) 서예가로 불렸으며, 특히 해서(楷書)에 뛰어남. 태종의 신임을 받아 자주 담론을 나눔.
558~638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세남(世南) - 양세남(梁世南)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손자인 양만용(梁曼容)의 아들. 증조부 양응정의 문집을 간행하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
1627~168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세남(世南)@김세남 - 김세남(金世南)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김종직(金宗直)이 현량과(賢良科)로 여러 번 천거했지만 출사하지 않음.
1462~1542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
-
세능(世能) - 한세능(韓世能)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1572년(조선 선조 5) 신종이 즉위하자 진삼모(陳三謀)ㆍ등계달(鄧季達) 등과 함께 황제의 등극 조서(詔書)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한림원 편수(翰林院編修)ㆍ예부 좌시랑(禮部左侍郞) 등을 지내고, 저서로 《운동습초(雲東拾草)》등이 있음.
1528~15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세달(世達) - 신세달(申世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곡성(谷城). 곡성신씨(谷城申氏)의 시조(始祖). 현감(縣監)을 지낸 신대수(申大壽)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곡성 , 인명>문사>유학
-
세당(世堂) - 박세당(朴世堂)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이조 참판 박정(朴炡)의 아들. 실학자로서 농촌생활에 토대를 둔 박물학(博物學)의 학풍을 이룩하였으며, 《사변록(思辨錄)》을 저술하여 주자학(朱子學)을 비판함.
1629~1703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전라도>남원ㅣ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세덕(世德) - 만세덕(萬世德)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양호(楊鎬)를 대신하여 파견된 명 나라 장수.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세도(世道) - 최세도(崔世道)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강릉(江陵).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최응현(崔應賢)의 다섯째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세동(世同) - 강제(康帝)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4대 황제. 재위 342~344. 명제(明帝)의 아들이자, 성제(成帝)의 아우로, 성제가 죽은 후 권신 유빙(庾冰)ㆍ유익(庾翼)의 도움으로 즉위함.
322~34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동(世東) - 범세동(范世東)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금성(錦城).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간의대부(諫議大夫) 등을 지내고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하다가 낙향하여 끝까지 절의(節義)를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ㅣ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세란(世鸞) - 주세란(周世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낸 안구(安覯)의 사위로, 찰방(察訪)을 지냄. 종형(從兄) 주세붕(周世鵬)이 차운한 시가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세량(世良)@진세량 - 진세량(陳世良)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세량(世良)@소세량 - 소세량(蘇世良)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자파(蘇自坡)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ㆍ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내고,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다는 평을 들음.
1476~152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세량(世良)@민세량 - 민세량(閔世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역임했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음.
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세량(世良) - 김세량(金世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진해(鎭海)ㆍ청도(淸道)의 현감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세량(世良)@송세량 - 송세량(宋世良)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여해(宋汝諧)의 아들로, 선릉 참봉(宣陵參奉)ㆍ건원릉 참봉(健元陵參奉) 등을 지냄.
1473~153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세련(世璉) - 신세련(辛世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노모의 봉양을 위해 면천 군수(沔川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세렴(世濂) - 김세렴(金世濂)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군수 김극건(金克鍵)의 아들로,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는 자를 탄핵하다가 유배됨.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재기용되어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등을 지내며 《근사록(近思錄)》ㆍ《소학(小學)》등을 간행함.
1593~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세룡(世龍) - 고조(高祖)@남북조(후조)
중국 남북조시대 후조(後趙)의 제1대 황제. 재위 319~333. 유능한 통치자로 알려짐.
274~33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륜(世綸) - 강세륜(姜世綸)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1783년(정조 7)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종성 부사(鍾城府使)ㆍ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ㆍ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761~18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세린(世麟) - 유세린(柳世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대사간(大司諫) 유헌(柳軒)의 아들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성균관 유생으로서 조광조(趙光祖) 등을 신구(伸救)하는 상소를 올림.
14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세린(世麟)@정세린 - 정세린(鄭世麟)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영남(嶺南)에서 거주했고, 시문에 뛰어남.
?~1486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세린(世麟)@이세린 - 이세린(李世麟)
조선 전기의 문신. 정대원(鄭大源)의 장인으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이제신(李濟臣)의 《청강집(淸江集)》에 그의 제문(祭文)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세림(世琳)@이세림 - 이세림(李世琳)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원종공신(原從功臣) 이계장(李繼長)의 아들이자 부사(府使) 이세구(李世球)의 동생으로, 승지(承旨)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세림(世琳)@조세림 - 조세림(趙世琳)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직산(稷山). 승의부위(承義副尉) 조원종(趙元鍾)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문사>유학
-
세림(世琳) - 송세림(宋世琳)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연손(宋演孫)의 아들로, 교리(校理) 등을 지냄. 그림과 글씨에 모두 뛰어났으며, 저서로 《어면순(禦眠楯)》이 있음.
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세림(世霖) - 심세림(沈世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심극인(沈克仁)의 아들로, 1538년(중종 3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정언(正言)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세림(世霖)@윤세림 - 윤세림(尹世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윤지숭(尹之崇)의 아들로,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역임하였으며, 대사헌 유운(柳雲)과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희생된 조광조(趙光祖) 등의 억울함을 상소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세말(世末) - 박세말(朴世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세매당(世梅堂) - 양돈(楊墩)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인. 1498년(연산군 4)에 사마시(司馬試)에 급제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인해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함.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사표(師表)가 됨.
1461~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임실 , 인명>문사>문인
-
세명(世明)@최세명 - 최세명(崔世明)
조선 성종(成宗) 때의 진사.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세명(世明) - 성세명(成世明)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임(成任)의 아들로,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를 수찬하고,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지냄.
1447~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세명(世明)@정환의아버지 - 정세명(丁世明)@정환의아버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딸이 연산군의 세자빈(世子嬪)에 간택되고, 사산감역관(四山監役官)ㆍ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등을 지냄.
1468~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세명(世明)@정선의아버지 - 정세명(丁世明)@정선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영광(靈光). 정석필(丁碩弼)의 아들이며, 정선(丁璿)의 아버지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무신
-
세명(世鳴) - 유세명(柳世鳴)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유원지(柳元之)의 문인으로, 교리(校理) 시절에 송시열(宋時烈)ㆍ김수항(金壽恒)ㆍ김석주(金錫胄)ㆍ민정중(閔鼎重)을 엄벌해야 한다는 차자(箚子)를 올렸으며,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역임함.
1636~169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세묘(世廟) - 세조(世祖)@조선
조선 제7대 왕. 재위 1455~1468. 세종(世宗)의 둘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아우. 계유정난(癸酉靖難)을 통해 집권한 후 국방ㆍ외교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방면의 개혁을 추진함.
1417~14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세묘(世廟)@세종 - 세종(世宗)@조선
조선 제4대 왕. 재위 1418~1450. 태종(太宗)의 셋째 아들. 집현전(集賢殿)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였으며, 육진(六鎭)을 개척하고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함.
1397~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세무(世茂)@유세무 - 유세무(柳世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예천 군수(醴泉郡守)를 역임하였으며, 권문해(權文海)ㆍ조목(趙穆)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세무(世茂) - 박세무(朴世茂)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대사헌(大司憲) 박소립(朴素立)의 아버지로, 군자감 정(軍資監正) 등을 지내고 《동몽선습(童蒙先習)》을 저술함.
1487~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세묵(世默) - 김세묵(金世默)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공조 참판(工曹參判) 김굉(金硡)의 아들로, 수의부위(修義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세문(世文) - 김세문(金世文)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임진왜란(壬辰倭亂) 의병장인 김면(金沔)의 아버지로, 경원 부사(慶源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세문(世文)@오세문 - 오세문(吳世文)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인ㆍ문신. 본관은 고창(高敞). 한림학사(翰林學士) 오학린(吳學麟)의 손자로, 1152년(의종 6) 승보시(陞補試)에 입격하고 동각 시학(東閣侍學) 등을 지냄. 형 오세공(吳世功), 아우 오세재(吳世才)와 함께 당시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고창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세민(世民) - 예종(睿宗)@고려
고려 제16대 국왕. 재위 1105~1122. 재위 중 인재양성에 힘써 무학재(武學齋)와 양현고(養賢庫) 등을 설치하고, 윤관(尹瓘)을 원수(元帥)로 삼아 여진족을 정벌하는 등의 치적을 쌓음.
1079~112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세백(世白) - 이세백(李世白)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송시열(宋時烈)의 유배에 반대하다가 파직당하였으나 갑술환국(甲戌換局) 때 복직됨. 노론(老論)의 중심 인물로서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635~17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세번(世蕃) - 김계창(金季昌)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문재가 뛰어났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내고, 《세조실록(世祖實錄)》의 편찬에 편수관으로 참여함.
?~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세번(世蕃)@임세번 - 임세번(林世蕃)
조선 전기의 유학. 대관재(大觀齋) 심의(沈義)와 함께 만월대(滿月臺)에 올라 시를 읊은 내용이 《대관재난고(大觀齋亂稿)》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세범(世範) - 성세범(成世範)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성희문(成希文)의 셋째 아들이자,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낸 성세장(成世章)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세병마행(洗兵馬行) - 세병마(洗兵馬)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두보(杜甫)가 지은 시. 48구(句) 336자(字)로 이루어진 칠언시(七言詩)로, 안녹산(安祿山)의 난(亂)을 평정한 공신(功臣)을 찬양하고 영원히 전쟁이 종식되어 태평한 세상이 되기를 바라는 내용임.
757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세병행(洗兵行) - 세병마(洗兵馬)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두보(杜甫)가 지은 시. 48구(句) 336자(字)로 이루어진 칠언시(七言詩)로, 안녹산(安祿山)의 난(亂)을 평정한 공신(功臣)을 찬양하고 영원히 전쟁이 종식되어 태평한 세상이 되기를 바라는 내용임.
757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세보(世父) - 엄세보(嚴世父)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세보(世輔) - 조세보(趙世輔)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형조 참의(刑曹參議) 조인규(趙仁奎)의 아버지로, 지평(持平)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세보(世輔)@유세보 - 유세보(兪世輔)
조선 전기의 유학. 조욱(趙昱)의 《용문집(龍門集)》에 〈차가우연형운(次可佑年兄韻)〉의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세복(世復) - 안세복(安世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70년(선조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풍저창 직장(豊儲倉直長)을 지내고, 순계군(順溪君)에 봉해짐.
1541~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충청도>예산 , 인명>관인>문신
-
세분(世芬) - 요복(姚馥)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문신. 강인(姜人)으로 98세까지 장수했으며 애주가였음. 무제(武帝) 때에 주천 태수(酒泉太守)를 지냄.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세붕(世鵬)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세설(世說) - 세설신어(世說新語)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유의경(劉義慶)이 편찬한 일화집(逸話集). 후한(後漢) 말부터 동진(東晉)까지의 명사(名士)들의 생활과 언행 등을 기록한 책으로, 36편(篇) 1000여 항목으로 구성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세설신서(世說新書) - 세설신어(世說新語)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유의경(劉義慶)이 편찬한 일화집(逸話集). 후한(後漢) 말부터 동진(東晉)까지의 명사(名士)들의 생활과 언행 등을 기록한 책으로, 36편(篇) 1000여 항목으로 구성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세성(世誠) - 원제(元帝)@남북조(양)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552~554. 아버지 무제(武帝)가 죽자 형제들을 물리치고 왕위에 오름. 본래 독서와 문학을 좋아하여 《금루자(金樓子)》 등의 저서를 편(編)하기도 함.
508~55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성(歲星) - 목성(木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동방(東方)을 상징하였으며, 하늘 전체를 십이차(十二次)로 나누고 목성이 있는 성차(星次)를 그해의 기년(紀年)으로 삼았던 데서 ‘세성(歲星)’으로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세수(歲首) - 원일(元日)
설날.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名節). 조상에게 차례(茶禮)를 지내고 웃어른들에게 세배(歲拜)를 드리며, 다양한 음식과 놀이를 통하여 결속을 다지고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함.
사건>풍속
-
세숙(世叔)@조세숙 - 조세숙(曹世叔)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학자. 반고(班固)의 여동생인 반소(班昭)의 남편으로 요절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세숙(世叔) - 유길(游吉)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대부. 자산(子産)을 집정시켜 인정(仁政)을 베풀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세순(世純) - 성세순(成世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충달(成忠達)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이 형벌을 남발하자 간관(諫官)으로서 과감하게 직언함. 성절사(聖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63~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세신(世臣) - 우세신(禹世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우엄(禹淹)의 아들로, 1552년(명종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종부시 정(宗簿寺正) 등을 지냄.
1518~159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세심(洗心) - 민진원(閔鎭遠)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아들이며, 숙종 비(妃)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오빠이자 우참찬을 지낸 민진후(閔鎭厚)의 동생으로, 소론을 배격했던 노론의 거두.
1664~173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세심경(洗心經) - 역경(易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인 점서(占書). 팔괘(八卦)와 육십사괘(六十四卦), 괘사(卦辭)ㆍ효사(爻辭)ㆍ십익(十翼)으로 이루어져 있음. 팔괘를 복희(伏羲)가 지었다는 데는 의견이 대부분 일치하지만 나머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분분함.
중국 , 문헌>서명
-
세심당(洗心堂)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세아(洗兒) - 안녹산(安祿山)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장(武將). 현종의 신임을 얻어 절도사(節度使)가 된 후 병력을 장악하여 난을 일으킴. 중원(中原)까지 쳐들어갔으나, 아들 안경서(安慶緖)와 공모한 측근에 의해 피살됨.
703?~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세양(世襄) - 박강(朴薑)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의정 박은(朴訔)의 아들로, 대호군(大護軍) 등 여러 관직을 거치고,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세양(世讓) - 소세양(蘇世讓)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종(仁宗) 때 윤임(尹任) 일파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가 명종 때 재등용되어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송설체(松雪體)를 잘 씀.
1486~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세언(世彦) - 김세언(金世彦)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장흥 부사(長興府使)의 아들로,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한 기록이 《추강집(秋江集)》에 〈조대기(釣臺記)〉로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
-
세업(世業) - 김세업(金世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김하(金碬)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세연(世延) - 박세연(朴世延)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문의(文義).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박윤경(朴潤卿)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유학
-
세연(世涓) - 하세연(河世涓)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구(金絿)의 《자암집(自庵集)》에 그에게 써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문사>유학
-
세영(世榮) - 박세영(朴世榮)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선조(宣祖) 때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박대립(朴大立)의 부친. 이제신(李濟臣)의 《청강집(淸江集)》에 묘지명(墓誌銘)과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80~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영(世瑛) - 탁세영(卓世瑛)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삼가 현령(三嘉縣令) 탁경지(卓敬志)의 아들로, 탁신지(卓愼志)에게 출계함. 탁지수(卓持守)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세영(世英)@채세영 - 채세영(蔡世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첨정(僉正) 채자연(蔡子涓)의 아들로,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냈으며, 천문(天文)ㆍ의약(醫藥)ㆍ중국어(中國語)에 정통함.
1490~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영(世英)@탁세영 - 탁세영(卓世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훈련대장(訓鍊大將) 탁순창(卓順昌)의 맏아들이고, 탁세형(卓世亨)의 형이며, 탁홍례(卓弘禮)ㆍ탁홍지(卓弘智)ㆍ탁홍인(卓弘仁)ㆍ탁홍주(卓弘柱)의 아버지. 통덕랑(通德郞)에 오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세영(世英)@양세영 - 양세영(楊世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첨정(僉正) 양면(楊沔)의 아들로, 상서원 부직장(尙瑞院副直長) 등을 지냄.
1485~153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세영(世英) - 중준(重俊)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거사(居士). 김종직(金宗直)에게 자(字)를 지어받기를 청했는데, 그에 관한 자설(字說)이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실려 있음.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기타인명>은자
-
세영(世英)@조세영 - 조세영(趙世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지부(趙之孚)의 아들. 학문이 널리 알려져 1535년에 조사수(趙士秀) 등과 함께 사유록(師儒錄)에 올랐고, 사성(司成)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옥(世玉) - 이세옥(李世玉)
조선 전기의 유학. 자신의 저서인 《색암유고(嗇庵遺稿)》에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당한 이자(李耔)의 행적을 수록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세옹(世蓊) - 박세옹(朴世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으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옴.
1493~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세용(世用) - 사세용(史世用)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유격장군(游擊將軍) 모국기(茅國器)의 참모가 되어 참전하였으며, 일본과의 강화(講和)를 주선하기 위해 왜적의 진영에 왕래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세우(世佑) - 이세우(李世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감(李克堪)의 아들로, 강직하고 사심 없는 성품으로 성종의 신임을 받았으며,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 등을 역임함.
1449~149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세우(世愚) - 김세우(金世愚)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암행어사(暗行御史) 김규(金虯)의 아버지로,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냄.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적성현(赤城縣)의 명관으로 기록됨.
1484~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세우(世祐) - 오세우(吳世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보성(寶城). 함경도 병마수군우후(兵馬水軍虞侯)를 지낸 오자영(吳自瑩)의 아들로, 감역관(監役官)ㆍ정언(正言)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우(世虞) - 조세우(曺世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고양 군수(高陽郡守)를 지낸 조척(曺倜)의 아들.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후 이언적(李彦迪)ㆍ송희규(宋希奎) 등과 교유함.
14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우(世遇) - 오세우(吳世遇)
조선 전기의 문인. 대관재(大觀齋) 심의(沈義)가 오세우(吳世遇)의 작품을 보고 지어 준 시가 《대관재난고(大觀齋亂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세욱(世郁) - 문세욱(文世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개령(開寧). 현감(縣監) 문승수(文承洙)와 학유(學諭) 문승사(文承泗)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개령 , 인명>문사>유학
-
세운(世雲) - 정세운(鄭世雲)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공민왕을 숙위하고 기철(奇轍)을 처단하는 데 앞장서며 홍건적(紅巾賊)을 물리치는 등 큰 공을 세워 수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김용(金鏞)의 음모로 인해 안우(安祐) 등에게 살해됨.
?~136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세웅(世雄) - 정세웅(鄭世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13(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냄. 이천(利川)과 여주(驪州)에 수령(守令)로 있을 때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한 시들이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원(世元) - 이세원(李世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생원(生員) 이종경(李宗慶)의 아버지.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