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구사안(具思顔)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부마. 중종의 셋째 딸 효순공주(孝順公主)를 맞아 능원위(綾原尉)에 봉해졌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공을 세워 위사 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학문을 즐겨 많은 책을 수집하였으며 경사(經史)에 밝았음.
1523~156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
-
구사종(具嗣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능성(綾城). 용양위 사직(龍驤衛司直) 구숙원(具淑元)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구사중(具思仲)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통진 현감(通津縣監)을 지낸 구순(具淳)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유학
-
구사증(具思曾)
조선 명종(明宗) 때의 진사. 본관은 능성(綾城). 통진 현감(通津縣監)을 지낸 구순(具淳)의 아들이며, 구사맹(具思孟)의 형. 1549년(명종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구산(緱山)
중국 하남성(河南省)에 있는 산 이름. 중국 주(周) 나라의 태자로 신선이 된 왕자교(王子喬)가 이곳에서 백학(白鶴)을 타고 올라가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구산(龜山)
중국 산동성(山東省) 사수현(泗水縣) 동북쪽에 있는 산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구산서원(龜山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담양(潭陽)에 건립한 서원. 1704년(숙종 30) 송순(宋純)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함.
17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석종(仇碩種)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창원(昌原). 유학(幼學) 구유온(仇有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유학
-
구선집(求善集)
고려 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무신인 강감찬(姜邯贊)의 저서. 전해지지 않음.
한국>고려전기 , 문헌>서명
-
구성(具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구사맹(具思孟)의 아들이자 원종(元宗)의 비(妃)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오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고,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참여하지 않은 일로 사후(死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58~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구성궁예천명(九成宮醴泉銘)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 섬서성(陝西省) 구성궁(九成宮)에 세운 비석. 위징(魏徵)이 짓고 구양순(歐陽詢)이 쓴 것으로, 정원의 단 샘물이 솟는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움.
632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구성로(具成老)
고려 말~조선 초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 위화도 회군 이래 태조(太祖)를 보좌하여 조선 개국 후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오르고 판안동부사(判安東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구성윤(具誠胤)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구봉령(具鳳齡)의 아들.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구수담(具壽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파직되었다가 복직된 뒤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나, 1550년(명종 5)에 윤원형(尹元衡)의 계략에 의해 사사됨. 언관으로서 기묘명현들의 신원의 길을 열어놓음.
1500~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수복(具壽福)
조선 중종(中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협조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며, 후에 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역임함. 김정(金淨)과 도의(道義)로써 사귀고, 경학(經學)에 몰두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
1491~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구수영(具壽永)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무신. 세조(世祖)의 동생 영응대군(永膺大君)의 사위.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등을 지냈고,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연산군의 충복이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아 파직됨.
1456~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구숙원(具淑元)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 유학(幼學) 구사종(具嗣宗)의 아버지로, 선략장군(宣略將軍)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무신
-
구순(具淳)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구희경(具希璟)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통진 현감(行通津縣監)을 지냄.
1507~155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순(寇恂)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공신. 광무제의 28장(將) 중 한 사람으로, 선정(善政)을 베풀어 고을 백성들의 칭송을 받은 일로 유명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
-
구신경(具信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세조(世祖)의 조카사위인 구수영(具壽永)의 아들이며, 중종(中宗)의 사위인 능창위(綾昌尉) 구한(具澣)의 아버지. 춘천 부사(春川府事)ㆍ선공감 부정(繕工監副正) 등을 지냄.
1494~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암서원(龜巖書院)@광주
조선 현종(顯宗) 때 경기도 광주(廣州)에 건립한 서원. 이집(李集)ㆍ이양중(李養中)ㆍ정성근(鄭誠謹)ㆍ정엽(鄭曄)ㆍ오윤겸(吳允謙)ㆍ임숙영(任叔英) 등 6명을 배향함.
166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암서원(龜巖書院)@대구
조선 현종(顯宗) 때 경상도 대구(大丘)에 건립한 서원. 서성(徐渻)ㆍ서거정(徐居正) 등을 배향함.
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암유고(久菴遺稿)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구암(久菴) 한백겸(韓百謙)의 문집. 2권 1책. 1640년(인조 18)에 아들 한흥일(韓興一)이 간행함.
164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구암일고(龜巖逸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구암(龜巖) 황효공(黃孝恭)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구암정사(龜巖精舍)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구암(龜巖) 이정(李楨)이 경상도 사천(泗川)에 지은 건물 이름. 이정이 낙향하여 후학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운 것으로, 동재(東齋)는 거경재(居敬齋), 서재(西齋)는 명의재(明義齋)라 이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유적>건물>사제
-
구암집(久菴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김취문(金就文)의 문집. 1791년(정조 15)에 후손 김태화(金泰和)가 편집 간행함.
179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구암집(龜巖集)@김충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충갑(金忠甲)의 문집. 1812년(순조 12)에 후손 김우원(金禹元)이 간행함.
181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구암집(龜巖集)@이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정(李楨)의 문집. 원집(原集) 2권은 1640년(인조 18)에, 속집(續集) 2권은 1748년(영조 24)에, 별집(別集) 2권은 1902년(광무 6)에 각각 간행됨.
164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구야자(歐冶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검(劍)을 만든 장인(匠人). 월왕(越王)을 위해 거궐(巨闕)ㆍ담로(湛盧)ㆍ승사(勝邪)ㆍ어장(魚腸)ㆍ순구(純鉤)의 5검을 만들고, 초왕(楚王)을 위해 용연(龍淵)ㆍ태아(太阿)ㆍ공포(工布)의 3검을 만듦.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구양(具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구성로(具成老)의 아들이며 구치홍(具致洪)ㆍ구치관(具致寬)의 아버지. 공주 목사(公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양건(歐陽建)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 상서랑(尙書郞)ㆍ풍익 태수(馮翊太守) 등을 지냈으나, 석숭(石崇)의 조카라는 이유로 조왕(趙王)에게 피살됨.
269~30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구양문충공집(歐陽文忠公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구양수(歐陽脩)의 문집. 159권 48책. 목판본. 남송(南宋)의 문인인 주필대(周必大)가 편집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구양백호(歐陽伯虎)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시(詩)에 뛰어났으며, 백운거사(白雲居士) 이규보(李奎報)와 시를 수창(酬唱)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구양수(歐陽脩)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유(韓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古文) 부흥에 힘씀. 추밀부사(樞密副使)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구양순(歐陽詢)
중국 수(隨) 양제(煬帝)~당(唐)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당 고조(高祖)가 즉위한 후에 급사중(給事中)으로 발탁되고, 태자솔경령(太子率更令)ㆍ홍문관 학사(弘文館學士)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사람들로부터 해법(楷法)의 극칙(極則)이라 하여 칭송됨.
557~64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구양철(歐陽澈)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우국지사(憂國之士)로 진동(陳東)과 더불어 대신(大臣)을 비난하는 상소를 올려 직언(直言)했다는 이유로 죽임을 당함.
1091~112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구양첨(歐陽詹)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문신. 한유(韓愈)ㆍ이강(李絳) 등과 더불어 육지(陸贄)의 방(榜)에 나란히 합격하여 용호방(龍虎榜)이라는 말이 유래함.
756~80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구양통(歐陽通)
중국 당(唐) 고종(高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구양순(歐陽詢)의 아들로, 아버지 못지않게 글씨로써 이름을 날림. 중서사인(中書舍人)ㆍ사예경(司禮卿) 등을 지냈으며 발해공(渤海公)에 봉해짐.
?~691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구양현(歐陽玄)
중국 원(元) 나라 인종(仁宗)~순제(順帝) 때의 문신ㆍ학자.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내고, 《경세대전(經世大典)》ㆍ《사조실록(四朝實錄)》을 편찬하였으며, 《요사(遼史)》ㆍ《금사(金史)》ㆍ《송사(宋史)》의 찬수 총재관(撰修總裁官)을 맡음.
1273~135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구언령(具鶠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능성(綾城). 구겸(具謙)의 아들이며,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의 동생으로, 《백담집(栢潭集)》에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유학
-
구엄(具渰)
조선 전기의 유학. 호음(湖陰) 정사룡(鄭士龍)과 망년(忘年)의 지기(知己)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구연서원(龜淵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합천(陜川)의 삼가(三嘉)에 건립한 서원. 선조(宣祖) 때의 무신 윤탁(尹鐸)을 배향함.
16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삼가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영검(具榮儉)
고려 후기의 문신. 원(元) 나라의 장사성(張士誠)이 난을 일으켰을 때 원나라의 요청으로 유탁(柳濯)ㆍ인당(印當) 등과 함께 출전함. 부인 장씨(張氏)의 외삼촌 김성(金成)의 간교로 누명을 쓰고 참살됨.
?~1356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영안(丘永安)
조선 전기의 유학. 세조(世祖) 등극 후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은둔함.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하였고, 음양(陰陽)ㆍ추보(推步)ㆍ풍수(風水)ㆍ의술ㆍ선도(仙道)ㆍ불도ㆍ승제(乘除) 등 폭넓은 학문을 연마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구예(具藝)
고려 후기의 문신. 능성구씨(綾城具氏)의 비조(鼻祖). 판전의사(判典儀事)를 지냈으며, 면천(沔川)에 사패지(賜牌地)를 받고 면성부원군(沔城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오대사(舊五代史)
중국 송(宋) 나라의 설거정(薛居正)ㆍ노다손(盧多遜) 등이 칙명을 받들어 974년(태조 7)에 완성한 책. 이십사사(二十四史)의 하나로 중국 후오대(後五代)의 사적ㆍ문물ㆍ제도를 적음.
974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구용(具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좌찬성 구사맹(具思孟)의 아들로, 금화 현감(金化縣監)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필(權韠)과 함께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함. 전쟁 중에 겪은 고뇌와 갈등을 담은 작품을 많이 남김.
1569~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구우(瞿佑)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ㆍ문인. 주왕부(周王府) 우장사(右長史)를 지냄. 관리로서는 불우하였으나 문재(文才)가 뛰어나 《전등신화(剪燈新話)》ㆍ《귀전시화(歸田詩話)》 등 시ㆍ소설 분야에서 많은 저작을 남김.
1347~142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구운몽(九雲夢)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인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이 지은 고대소설. 한국 고대소설 문학사에 있어 형식ㆍ내용면에서 새로운 획을 그은 작품으로 꼽힘.
한국>조선후기 , 문헌>작품명
-
구월산(九月山)
황해도 은율(殷栗)ㆍ안악(安岳)에 걸쳐 있는 산. 단군(檀君)이 도읍을 옮긴 뒤 은퇴한 아사달산(阿斯達山)이 이 산이라는 설 등 단군의 신적(神迹)이 남아 있음.
황해도>은율ㅣ황해도>안악 , 지명>자연지명
-
구위(具褘)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등을 역임하고 뒤에 문하정승(門下政丞)에 추증(追贈)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유온(仇有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원(昌原). 학생(學生) 구석종(仇碩種)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유학
-
구의(口義)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임희일(林希逸)이 1258년에 완성한 《장자(莊子)》 주석서. 조선의 유학자들이 장자 사상 연구에 이 책을 널리 이용함.
1258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구의산(九疑山)
중국 호남성(湖南省) 영원현(寧遠縣) 남쪽에 있는 산 이름. 구봉(九峯)이 서로 비슷하여 구별하기 어려워 사람의 마음이 헤아리기 어려움을 비유함. 순(舜) 임금을 이곳에 장사지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구익부인(勾弋夫人)
중국 전한(前漢)의 황제 소제(昭帝)의 어머니. 무제(武帝)의 후궁으로 외척의 발호를 염려한 무제가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고 함. 소제 즉위 후 효소태후(孝昭太后)에 추존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구인기(具仁基)
조선 인조(仁祖)의 문신.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낸 구성(具宬)의 아들로, 배천 군수(白川郡守)ㆍ죽산 부사(竹山府使)를 지냈음.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훈련원(訓練院) 장관(將官)들과 더불어 화친을 반대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인기(具仁墍)
조선 광해군(光海君)~숙종(肅宗) 때의 문신. 인조의 모후(母后)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조카로,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벼슬이 공조 판서(工曹判書)에 이르렀으며 사후(死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97~16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구인손(具麟孫)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능성(綾城). 능천부원군(綾川府院君) 구수영(具壽永)의 서자로, 연산군(延山君) 김준손(金浚孫)의 서녀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유학
-
구인후(具仁垕)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무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국왕을 호위한 공으로 어영대장(御營大將)이 되고 영국공신(寧國功臣)에 책록됨. 벼슬은 좌의정(左議政)에 이름.
1578~165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구일(具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무신. 공조 판서 구인기(具仁墍)의 아들로, 횡성 현감(橫城縣監)으로 있을 때 묵은 땅을 개간하는 등 치적이 있었고, 황해도 병마절도사(黃海道兵馬節度使)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620~169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무신
-
구정(九鼎)
중국 하(夏) 나라의 제왕인 우(禹)가 구주(九州)의 쇠를 거두어 만든 아홉 개의 솥. 두 개의 손잡이와 세 개의 발이 달린 것으로, 천자의 보물로 보전됨.
중국>하 , 중국 , 물품>기타용품>의례용품
-
구정유고(龜亭遺稿)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남재(南在)의 문집. 1675년(숙종 1) 후손 남학명(南鶴鳴) 등이 남재의 시장(詩章) 등을 모아 취미집(翠微集)을 작성하였으나 간행하지는 못하였고 1869년(고종 6)에 연보 등을 덧붙여 간행함.
186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구정충록(九貞忠錄)
고려 말기에 구정충(九貞忠)으로 일컬어지던 전오륜(全五倫)ㆍ김자수(金子粹)ㆍ이행(李行) 등 고려 충신 9인의 행적이 담겨 있는 글.
한국>고려후기 , 문헌>작품명
-
구존유(具存裕)
능성구씨(綾城具氏)의 시조. 고려에서 대광검교상장군(大匡檢校上將軍)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구준(丘濬)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문장에 매우 웅장하고 전례(典例)와 고사(故事)에 정통함. 《영종실록(英宗實錄)》ㆍ《헌종실록(憲宗實錄)》을 편찬하고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저술함.
1420~149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구준(寇準)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추밀원 직학사(樞密院直學士) 등을 지내고 재상에 올라 거란(契丹)의 침입 때 많은 공을 세움. 주로 자연의 애수를 읊은 시를 지었고, 저서로《구충민공시집(寇忠愍公詩集)》을 남김.
961~10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구중(求仲)
중국 전한(前漢)의 은자. 장후(蔣詡)ㆍ양중(羊仲)과 더불어 두릉(杜陵)에 은거하면서 정원에 세 개의 오솔길을 만들어 함께 종유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구지봉(龜旨峰)
경상남도 김해(金海)에 있는 산. 가락국(駕洛國)의 시조인 수로왕(首露王) 탄생설화의 주무대.
경상도>김해 , 지명>자연지명
-
구징(具徵)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내자시 직장(內資寺直長)을 지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을 도와 공을 세웠으나 중종 즉위 후 벼슬을 사양하고 낙향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구찬록(具贊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퇴계(退溪)가 그 학문에 뜻이 있음을 칭찬함. 벼슬은 감정(監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구천(句踐)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越) 나라의 제후. 재위 B.C.496~B.C.465. 아버지 합려(闔閭)의 복수를 준비하고 있던 오(吳) 나라의 왕 부차(夫差)와의 싸움에서 패배한 뒤 쓸개를 맛보며 국력을 키워 마침내 오 나라를 멸망시킴.
?~B.C.46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구천서원(龜川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함양(咸陽)에 건립한 서원. 박맹지(朴孟智)ㆍ표연말(表沿沫)ㆍ양관(梁灌) 등을 배향함.
170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충민공시집(寇忠愍公詩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구준(寇準)의 시집. 당시 유행하던 것과는 다른 시풍(詩風)으로 자연의 애수를 읊은 시가 많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구충연(具忠淵)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구징(具徵)의 아들로 도사(都事)ㆍ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충윤(具忠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구봉령(具鳳齡)의 아들이며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별좌(別坐)를 지냄.
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구치관(具致寬)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운 공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봉해지고, 사후(死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추록됨. 영의정(領議政)등을 지냄.
1406~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치홍(具致洪)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영의정 구치관(具致寬)의 동생.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우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무신
-
구팔원(具八元)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능성(綾城). 시정(寺正)을 지낸 구관(具灌)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유학
-
구품관인법(九品官人法)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에서 처음 시행한 관리등용제도. 상서(尙書) 진군(陳羣)의 건의에 따라 제정한 것으로, 관직의 등급을 1품(品)에서 9품까지 구분하고 관품(官品)에 따라 대우를 달리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법제>제도
-
구필신(具弼臣)
조선 전기의 유학. 송인(宋寅)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유학
-
구한(具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부마ㆍ문신. 중종의 딸 숙정옹주(淑靜翁主)와 결혼하여 능창위(綾昌尉)에 봉해졌으며, 명종의 즉위에 공을 세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를 지냄. 35세로 요절함.
1524~15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구형왕(仇衡王)
금관가야(金官伽倻)의 제10대 왕. 재위 521~532. 신라(新羅)의 귀족 김서현(金舒玄)의 조부. 532년(법흥왕 19) 신라에 항복하여 상등(上等)의 벼슬과 본국을 식읍(食邑)으로 받음.
한국>가야ㅣ한국>신라 , 경상도>김해 , 인명>왕실>국왕
-
구효연(具孝淵)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내자시 직장(內資寺直長) 구징(具徵)의 아들. 1561년(명종 1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횡성 현감(橫城縣監)ㆍ장단 부사(長湍府使) 등을 지냄.
152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구후(九侯)
중국 은(殷) 나라 주왕(紂王) 때의 제후(諸侯). 악후(鄂侯)와 더불어 주왕의 비행을 간하여 악후는 포(脯)를 뜨는 형벌을 받고, 구후는 젓을 담그는 형벌을 받음.
중국>은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구희경(具希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능천부원군(綾川府院君) 구수영(具壽永)의 아들이며,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신수겸(愼守謙)의 사위로, 경기좌도 수운판관(京畿左道水運判官)ㆍ영유 현령(永柔縣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무신
-
구희직(歐希稷)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 때의 문신. 행인사 행인(行人司行人)으로 태감(太監)인 장조(張朝)와 더불어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제전(祭奠)과 시호(諡號) 및 부의(賻儀)를 전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국간집(菊磵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국간(菊磵) 윤현(尹鉉)의 문집. 종질(從姪) 윤안성(尹安性)이 3권 2책으로 정리 간행함.
159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국담(菊潭)
중국 남양(南陽) 역현(酈縣)에 있는 샘 이름. 이 샘의 물을 마시는 사람은 모두 장수하였다고 함. 송(宋) 나라 사정지(史正志)의 《국보서(菊譜序)》에 기록이 전함.
중국 , 유적>기타유적
-
국당유고(菊堂遺稿)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국당(菊堂) 박흥생(朴興生)의 문집. 1888년(고종 25)에 후손에 의해 간행됨.
188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국미록(麴美祿)
술의 다른 이름. 조선 전기의 문인 최연(崔演)이 지은 가전(假傳) 〈국수재전(麴秀才傳)〉의 주인공. 국매(麴酶)와 곡숙현 미씨(穀熟縣米氏) 사이에 태어나 임금의 총애를 얻어 황봉(黃封)의 호를 받았으나, 신하들의 무함(誣陷)으로 주천후(酒泉侯)에 봉해져 은둔함.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국사제강(國史提綱)
조선 후기에 편찬된 역사서. 1책. 필사본. 조선 태조(太祖)부터 숙종(肅宗) 말년까지의 사실을 엮은 것으로, 저자나 간행연대가 불분명함. 《허암유집(虛庵遺集)》 속집(續集)에 보임.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국생(麴生)
술의 의인화된 명칭. 누룩[麴]을 원료로 하여 만드는 술에 학생ㆍ학자를 뜻하는 생(生) 자를 붙여 입전(立傳)한 데서 유래한 명칭.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국선생전(麴先生傳)
고려 고종(高宗) 때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가전체 설화(假傳體說話). 술의 재료인 누룩[麴] 등을 의인화하여 당시의 문란한 정치ㆍ사회상을 비판함.
한국>고려후기 , 문헌>작품명
-
국성(麴聖)
술의 다른 이름. 고려 후기의 문인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가전(假傳) 〈국선생전(麴先生傳)〉의 주인공. 아버지 국차(麴醝)와 어머니 곡씨(穀氏) 사이에 태어나 임금의 총애를 받아 주객 낭중(主客郞中)을 지내고, 난을 평정한 공으로 상동후(湘東侯)에 봉해짐.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국수재전(麴秀才傳)
조선 전기의 문인 최연(崔演)이 지은 술을 의인화한 가전(假傳). 주인공 국미록(麴美祿)이 임금의 총애를 얻어 출세했으나, 신하들의 무함(誣陷)으로 주천후(酒泉侯)에 봉해져 은둔했다는 내용.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국순(麴醇)
술의 다른 이름. 고려 후기의 문인 임춘(林椿)이 지은 가전(假傳) 〈국순전(麴醇傳)〉의 주인공. 국주(麴酎)의 아들로 태어나 임금의 깊은 총애를 얻어 중산후(中山侯)에 봉해지고 권세를 누렸으나, 치사(致仕)하고 나서 갑자기 죽음.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국순전(麴醇傳)
고려 고종(高宗) 때 문인 서하(西河) 임춘(林椿)이 지은 가전체 설화(假傳體說話). 술을 의인화(擬人化)하여 교훈적으로 풍자한 작품.
한국>고려후기 , 문헌>작품명
-
국어(國語)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좌구명(左丘明)이 지었다고 전하는 책. 춘추시대의 역사를 각 국가별로 나누어 주어(周語)ㆍ노어(魯語) 등 8개국의 기사를 적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국어해고(國語解詁)
중국 후한(後漢) 때의 학자 가규(賈逵)가 저술한 책. 영평 연간(永平年間)에 저술하여 명제(明帝)에게 헌상함.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국자감(國子監)
고려시대에 유학을 가르치던 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 992년(성종 11)에 종래의 국학(國學)을 당ㆍ송(唐宋)의 제도를 참작하여 정식 교육기관으로 개편하고, 국자학ㆍ태학ㆍ사문학ㆍ율학ㆍ서학ㆍ산학 등의 전문 학과를 둠.
992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법제>관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