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세원(世遠) - 김맹권(金孟權)
조선 세종(世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가 되어 세종의 신임을 받아 왕세손(王世孫)의 보필을 부탁받았으나,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왕위를 찬탈하자 고향으로 돌아감.
?~150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학자
-
세원(勢遠) - 최호(崔灝)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최득하(崔得河)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세유(世幼) - 곽세유(郭世幼)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해미(海美). 선조(宣祖) 때 부안 현감(扶安縣監)을 지낸 곽기수(郭期壽)의 아버지로, 선략장군(宣略將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무신
-
세유(世猷) - 정세유(鄭世猷)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으로, 평장사(平章事) 정숙첨(鄭叔瞻)의 아버지. 1177년(명종 7) 망이(亡伊)ㆍ망소이(亡所伊)의 난을 평정하고, 서북면 병마사(西北面兵馬使)ㆍ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1194년(명종 24)에 반란을 계획하다 발각되어 귀양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세윤(世潤) - 여세윤(呂世潤)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으로, 1555년(명종 1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황준량(黃俊良) 등과 교유함.
152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세응(世應) - 강세응(姜世應)
조선 종종(中宗) 때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서(姜瑞)와 강우(姜瑀)의 아버지로, 수의부위(修義副尉)를 지냄.
1475~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세응(世應)@이세응 - 이세응(李世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으로, 사재감 부정(司宰監副正) 이계통(李季通)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평안도 관찰사 등을 지냄.
1473~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세의(世義) - 이세의(李世義)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들인 경명군(景明君)의 증손이며, 금천군(錦川君) 이보(李俌)의 아들로, 창원수(昌原守)에 봉해짐. 예조 참판(禮曹參判) 성수익(成壽益)의 둘째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세이옹(洗耳翁) - 허유(許由)
중국 하(夏) 나라의 은자. 청렴하고 덕이 높아 요(堯) 임금이 천하를 양보하려 하자 거절하고 기산(箕山)에 숨었으며, 또 그를 불러 구주(九州)의 장(長)으로 삼으려 하자 영수(潁水) 물가에 가서 귀를 씻었다고 함.
중국>하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세인(世仁)@이세인 - 이세인(李世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이항(李沆)의 아버지. 부제학(副提學)ㆍ황해 감사(黃海監司)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며, 곧은 성품으로 사림의 명망을 얻었음.
1452~1516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상도>개령 , 인명>관인>문신
-
세인(世仁) - 경세인(慶世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군수(郡守)를 지낸 경상(慶祥)의 아들로,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야인으로 생을 마침.
14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세자지(世子止) - 태자지(太子止)
중국 춘추전국시대 허(許) 나라 제후인 도공(悼公)의 맏아들. 학질에 걸린 도공에게 약을 올려 도공이 죽게 되자, 임금 자리를 아우 훼(虺)에게 넘겨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세장(世將) - 왕이(王廙)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서화가. 시문(詩文)ㆍ서화(書畵)ㆍ음악(音樂)ㆍ박혁(博奕)을 잘하기로 유명했음.
273~3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세장(世璋) - 이세장(李世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목(李穆)의 아들. 명종 때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수관(編修官)을 겸하였고, 호조 참의(戶曹參義)ㆍ호분위 대호군(虎賁衛大護軍) 등을 지냈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97~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세장(世章)@유세장 - 유세장(柳世章)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희(柳禧)의 아들이며 유세창(柳世彰)의 형으로, 1676년(숙종 2) 무과(武科)에 급제함. 인현왕후(仁顯王后)가 서인(庶人)으로 지낼 때 쌀을 보낸 사실이 죽은 뒤에 알려짐.
1651~170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무신
-
세장(世章) - 성세장(成世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감찰(監察)을 지낸 성희문(成希文)의 아들.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06~15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재(世才) - 오세재(吳世才)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인ㆍ학자. 본관은 고창(高敞). 해좌칠현(海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시와 서예에 능함. 명종 때 과거에 급제했으나 관로에는 오르지 못함.
113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세적(世勣)@성세적 - 성세적(成世勣)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진일재(眞逸齋) 성간(成侃)의 아들로, 정언(正言)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세적(世勣) - 이적(李勣)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고종(高宗) 때의 명장. 요동도 행군대총관(遼東道行軍大總官)으로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 안시성(安市城)을 침공하였으나 함락시키지 못했다가 재차 침공하여 고구려를 멸망시킴. 이정(李靖)과 함께 ‘영위(英衛)’로 병칭됨.
594~66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세적(世績) - 배세적(裵世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배중후(裵仲厚)의 아들로,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군위 현감(軍威縣監)을 지냈으며, 덕연서원(德淵書院)에 배향됨.
1471~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세절(世節) - 최세절(崔世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시인.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최응현(崔應賢)의 아들로, 공조 참판(工曹參判)을 지내고, 시재(詩才)에도 뛰어남.
1479~153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세정(世貞)@성세정 - 성세정(成世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충달(成忠達)의 아들이자 성륜(成倫)의 아버지로,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였고 중종 때 대사헌(大司憲)에 오름.
14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사상견례(士相見禮)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사상례(士喪禮)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사상보(師尙父)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사서(沙西) - 김식(金湜)@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현량과(賢良科)에 장원 급제하고, 기묘팔현(己卯八賢)의 한 사람으로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개혁정치를 펼쳤으나, 기묘사화와 신사무옥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다가 자결함. 선조(宣祖) 때 영의정에 추증됨.
1482~152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서도장(四書圖章) - 사서장도(四書章圖)
중국 원(元) 나라 때의 학자인 정복심(程復心)이 주자(朱子)의 사서집주(四書集註)를 참고하여 도식(圖式)을 만들고 자기의 뜻을 덧붙여 만든 책. 22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성리자의(四書性理字義) - 자의상강(字義詳講)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진순(陳淳)의 저서. 성리학의 개념과 범주를 해설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자의(四書字義) - 자의상강(字義詳講)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진순(陳淳)의 저서. 성리학의 개념과 범주를 해설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집주(四書輯註) - 사서집주(四書集註)
중국 송(宋) 나라의 대유(大儒)인 주희(朱熹)가 사서(四書)를 주석(注釋)한 책. 《대학장구(大學章句)》ㆍ《중용장구(中庸章句)》ㆍ《논어집주(論語集注)》ㆍ《맹자집주(孟子集注)》를 통칭(統稱)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총 19권으로 알려짐.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석(師錫) - 홍사석(洪師錫)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세종 때 사신으로 세 차례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경상도 처치사(慶尙道處置使)로 재직할 때 왜구 정벌에 나섰다가 참패하여 관작을 추탈당하고 유배됨.
?~14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무신
-
사석(師錫)@이사석 - 이사석(李師錫)
중국 당(唐) 나라의 유학. 한유(韓愈)의 친구인 이관(李觀)의 아들로, 한유가 이사석에게 보낸 편지 ‘답이수재서(答李秀才書)’가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사선(士愃) - 나사선(羅士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진원 현감(晉原縣監)을 지낸 나질(羅晊)의 아들로, 성주 목사((星州牧使)ㆍ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사선성(謝宣城) - 사조(謝脁)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문신ㆍ시인. 선성 태수(宣城太守)를 지냈으며, 영명체(永明體)의 대표적인 작가로, 사영운(謝靈運)과 함께 대소사(大小謝)로 불리고, 사영운ㆍ사혜련(謝惠連)과 더불어 삼사(三謝)로 일컬어짐.
464~49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섭(士燮) - 범문자(范文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경공(景公) 때의 대부(大夫). 도공(悼公)의 패업을 도운 범선자(范宣子)의 아버지.
?~B.C.57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사성(士晟) - 손사성(孫士晟)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문과에 급제하여 부사직(副司直) 등을 지냈으며,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성(士誠) - 이매(李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이해수(李海壽)의 아들로, 봉사(奉事)를 지냄.
?~159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사성(士誠)@정사성 - 정사성(鄭士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집경전 참봉(集慶殿參奉)ㆍ내자시 주부(內資寺主簿)ㆍ양구 현감(楊口縣監) 등을 지낸 뒤 낙향하여 학문 연구에 힘씀.
1545~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성(師聖)@후중량 - 후중량(侯仲良)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이천(伊川) 정이(程頤)의 문인으로, 염계(濂溪) 주돈이(周敦頤)에게 배워 학문이 크게 진전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사성(師聖)@윤희주 - 윤희주(尹希周)
조선 전기의 유학.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과 같이 자란 동갑내기 죽마고우(竹馬故友).
15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사성(師聖) - 유여주(兪汝舟)
조선 전기의 유학. 중종(中宗) 때 현량과(賢良科)에 추천을 받았으나 급제하지 못하고,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비인(庇仁)에 은거하여 임벽당(林碧堂)을 짓고 독서와 서예로 일생을 마침.
148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비인 , 인명>문사>유학
-
사성(師聖)@이희순 - 이희순(李希舜)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악(安岳)으로, 참판(參判) 이평(李枰)의 아들. 남원 부사(南原府使)ㆍ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을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連累)되어 화를 당함.
1464~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안악 , 인명>관인>문신
-
사성(師聖)@임자 - 임자(任孜)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소식(蘇軾)의 문인으로 관직은 광록시 승(光祿寺承)에 이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성(師聲) - 이맹현(李孟賢)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재령(載寧). 울진 현령(蔚珍縣令) 이애(李璦)ㆍ직장(直長) 이날(李㻋)의 아버지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내고, 1464년(세조 10) 수찬낭관(修撰郞官)으로 《동국통감(東國通鑑)》편수에 참여함.
1436~14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성(思省) - 권협(權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동지중추부사 권상(權常)의 아들.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고급사(告急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원병을 청함.
1553~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부평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사성(思誠) - 권시(權諰)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낸 권득기(權得己)의 아들. 잠야(潛冶) 박지계(朴知誡)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과 같은 기호학파(畿湖學派)로서 예론(禮論)에 밝았음.
1604~167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성(思誠)@맹사성 - 맹사성(孟思誠)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세종 때 우의정․좌의정 등을 지내고, 황희(黃喜)와 함께 조선 전기 문화창달에 크게 기여함. 《태종실록(太宗實錄)》ㆍ《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를 편찬하고, 향악(鄕樂)을 정리함.
1360~143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사성군(泗城君) - 목인길(睦仁吉)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기철(奇轍) 일당을 제거하여 1등 공신에 책봉되고 홍건적(紅巾賊)의 침입을 물리쳐 공을 세웠으나, 모반을 꾀한다는 무고로 유배 가서 죽음.
?~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무신
-
사소(士昭) - 유잠(柳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1540년(중종 3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사손(思遜) - 심사손(沈思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심정(沈貞)의 아들로, 평안도 만포(滿浦)에서 변방방어에 힘쓰던 중 야인(野人)의 기습으로 죽음.
1493~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사솔간(史窣干) - 사사명(史思明)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신. 안녹산(安祿山)과 동향 출신으로, 그가 반란을 일으키자 가세함. 안녹산이 피살된 후 당에 투항하였으나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가 결국 아들인 사조의(史朝義)에게 피살됨.
?~76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사수(四叟)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사수(士受)@기대정 - 기대정(奇大鼎)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음보(蔭補)로 강릉 참봉(康陵參奉)이 되었고, 품계를 뛰어 넘어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과 장령(掌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사수(士受) - 오수채(吳遂采)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병조 판서를 지낸 오도일(吳道一)의 아들이며 윤증(尹拯)의 문인으로, 대사헌을 지냄. 이돈(李墪)ㆍ엄집(嚴緝)이 증편한 《송도지(松都誌)》를 보완하여 1757년(영조 33)에 《속지(續志)》 1권을 펴냄.
1692~175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사수(士秀) - 김여물(金汝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찰방(察訪) 김훈(金壎)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충주(忠州)에서 왜적과 싸우다 순절함. 뒤에 영의정(領議政)으로 추증됨.
1548~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사수(士秀)@조사수 - 조사수(趙士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방좌(趙邦佐)의 아들로,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거쳐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을 지냄.
1502~155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사수(士秀)@남영 - 남영(南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의관ㆍ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예석(南禮錫)의 아들.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벼슬하여 선조 때 어의(御醫)를 지냈으며, 광해군 때 음죽 현감(陰竹縣監) 등을 지냄.
1548~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문경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관인>문신
-
사수(士綏) - 홍순복(洪順福)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홍석복(洪碩福)의 형이고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 때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대궐문을 막고 저항하였다가 이듬해 이신(李信)의 밀고로 붙잡혀 사사됨.
1492~152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사수(士遂) - 임형수(林亨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호당(湖堂)에 있을 때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이 일어나자 대윤(大尹) 일파로 몰려 사사(賜死)됨.
1504~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사수(師秀) - 김사수(金師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귀년(金龜年)의 아들로, 음관(蔭官)으로 출사하여 회덕 현감(懷德縣監) 등을 역임함.
1490~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사수(沙水) - 사류하(沙流河)
중국 하북성(河北省) 당곡산(黨谷山) 아래에서 발원하여, 양산구(兩山口)를 지나 서남으로 흘러 환향하(還鄕河)에 들어가는 하천.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사수(泗水)@공자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사수(泗水)@사천 - 사천(泗川)
경상남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한려수도(閑麗水道)의 중심 기항지이며, 서부경남(西部慶南)의 관문(關門)임.
경상도>사천 , 지명>행정지명
-
사수(謝守) - 사안(謝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재상. 회계(會稽)의 동산(東山)에서 은거할 때 왕희지(王羲之) 등과 교유하고, 뒤늦게 벼슬하여 환온(桓溫)의 휘하에서 활약함. 재상이 되었을 때 전진(前秦)의 부견(符堅)이 대군을 이끌고 침입하자 이를 격파함.
320~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수이씨(泗水李氏) - 사천이씨(泗川李氏)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국자진사(國子進士)로 송악 군수(松岳郡守)를 지낸 이식(李軾)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집단>성씨
-
사숙(士淑) - 최준(崔濬)@최한중의아들
조선 영조(英祖) 때의 역관. 본관은 경주(慶州). 만호(萬戶) 최한중(崔漢重)의 아들로, 1741(영조 17) 식년시(式年試) 역과(譯科)에 급제하여 상통사(上通事)를 지냄
17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역관
-
사숙(思叔)@윤엄 - 윤엄(尹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파평(坡平). 윤지함(尹之諴)의 아들로, 호조 좌랑(戶曹佐郞) 등을 지냄. 서화(書畵)에 능하고 필법(筆法)에 조예가 깊었으며, 감식안이 높아 고금 서화의 판별에 뛰어나다는 평가를 들음.
1536~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사숙(思叔)@김덕무 - 김덕무(金德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ㆍ문신.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화를 입은 동천(東泉) 김식(金湜)의 아들. 천거로 현릉 참봉(顯陵參奉)을 지냈으며, 〈가소음(可笑吟)〉이란 시(詩)가 전함.
1512~156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숙(思叔)@권근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숙(思叔) - 장역(張繹)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정이(程頤)의 문인으로,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에 실려 있는 좌우명이 유명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사숙(思叔)@황신 - 황신(黃愼)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황대수(黃大受)의 아들.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유배되어 죽음.
1562~161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부여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사숙(思肅)@한악 - 한악(韓渥)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사기(韓謝奇)의 아들로, 심양왕(瀋陽王) 왕고(王暠)가 충선왕을 참소하였을 때 위기를 모면하게 한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우정승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사숙(思肅) - 성세순(成世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충달(成忠達)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이 형벌을 남발하자 간관(諫官)으로서 과감하게 직언함. 성절사(聖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63~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사숙(私淑) - 강희맹(姜希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의 아들. 뛰어난 문장가로, 경사(經史)와 전고(典故)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 저서에 《금양잡록(衿陽雜錄)》ㆍ《사숙재집(私淑齋集)》 등이 있음.
1424~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숙당(私淑堂) - 강희맹(姜希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의 아들. 뛰어난 문장가로, 경사(經史)와 전고(典故)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 저서에 《금양잡록(衿陽雜錄)》ㆍ《사숙재집(私淑齋集)》 등이 있음.
1424~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숙왕후(思肅王后) - 사숙태후(思肅太后)
고려 제13대 왕인 선종(宣宗)의 왕후. 본관은 인주(仁州). 공부 상서(工部尙書) 이석(李碩)의 딸이며, 헌종(獻宗)의 어머니. 어리고 병약한 헌종을 대신해 국정(國政)을 담당하였으나, 이자의(李資義)의 반란 등 혼란이 겹쳐 1년 만에 물러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사숙인(私淑人)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사숙재(私淑齋)@강항 - 강항(姜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으로 활약하다 일본에 잡혀간 뒤 성리학을 전파하여, 일본 주자학의 개조가 된 등원성와(藤原醒窩)에게 학문적 영향을 미침.
1567~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숙재(私淑齋)@최숙정 - 최숙정(崔淑精)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세조실록(世祖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ㆍ《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ㆍ《동문선(東文選)》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등을 지냄.
1432~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사숙재(私淑齋) - 강희맹(姜希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의 아들. 뛰어난 문장가로, 경사(經史)와 전고(典故)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 저서에 《금양잡록(衿陽雜錄)》ㆍ《사숙재집(私淑齋集)》 등이 있음.
1424~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순(士純) - 김성일(金誠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으로, 청계(靑溪) 김진(金璡)의 아들. 이황(李滉)의 고제(高弟)로, 주리론(主理論)을 계승하여 영남학파의 중추 구실을 함. 이황(李滉)의 《자성록(自省錄)》ㆍ《퇴계집(退溪集)》 등을 편집ㆍ간행함.
1538~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순(士純)@유응부 - 유응부(兪應孚)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기계(杞溪). 단종(端宗)을 위하여 사절(死節)한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 무신이면서도 유학에 뜻이 깊고, 절개(節介)ㆍ충의(忠義)의 상징으로 추앙받음.
?~145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무신
-
사순(思順)@김사순 - 김사순(金思順)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영광(靈光). 1362년(공민왕 11) 문과에 급제한 김지(金祉)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사순(思順) - 심사순(沈思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화천군(花川君) 심정(沈貞)의 아들로, 부제학(副提學)을 역임함.
1496~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시자(謝施子) - 남극관(南克寬)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인. 본관은 의령(宜寧).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남구만(南九萬)의 손자이자 수락산(水洛山)에서 은거한 남학명(南鶴鳴)의 아들. 문집으로《몽예집(夢囈集)》이 있음.
1689~171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문인
-
사식(斯軾) - 소사식(蘇斯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소우석(蘇禹錫)의 아들로, 1474년(성종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고, 예조 좌랑(禮曹佐郞)ㆍ온성 판관(穩城判官)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사신(士伸)@성락 - 성락(成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감사(監司)를 지낸 성세평(成世平)의 아들로, 이황(李滉) 문하에서 수학함. 자력으로 경서를 탐독할 정도로 우수하였으며, 친우들의 도움으로 장례를 치러야 할 만큼 청빈한 생활을 함.
1542~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사신(士伸) - 김한걸(金漢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사신(士愼)@정사신 - 정사신(鄭士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 정희익(鄭希益)의 아들이며, 찰방(察訪) 김득령(金得齡)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사신(士愼) - 윤희평(尹熙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윤길생(尹吉生)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삼포왜란(三浦倭亂) 때 왜적 토벌에 활약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69~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사신(思信) - 고사신(高思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횡성(橫城).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조광조(趙光祖) 등을 축출한 고형산(高荊山)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횡성 , 인명>문사>유학
-
사신(思愼)@선거이 - 선거이(宣居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도사(都事)를 지낸 선상(宣祥)의 아들로, 이순신(李舜臣)과 녹둔도(鹿屯島)에서 여진족(女眞族)을 막아 공을 세웠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도 이순신과 함께 해전(海戰)에서 큰 공을 세움.
1550~15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사신(思愼) - 윤희평(尹熙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윤길생(尹吉生)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삼포왜란(三浦倭亂) 때 왜적 토벌에 활약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69~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사신(思愼)@노사신 - 노사신(盧思愼)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자광(柳子光)이 사림파를 제거하는데 반대하다 사옥(史獄)이 진행되는 도중 병으로 죽음.
1427~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사신(思愼)@정사신 - 정사신(鄭思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인수(鄭麟壽)의 아들이며, 정홍익(鄭弘翼)의 아버지로, 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사신(蛇身) - 여와(女媧)
중국 고대 전설상의 여신(女神). 인수사신(人首蛇身)의 형상을 지녔으며, 오색(五色)의 돌을 다듬어 하늘을 깁고 자라의 발을 잘라 사방을 받쳤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사심(士深) - 이후원(李厚源)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책록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사론(斥邪論)을 주장하였으며 효종(孝宗)의 북벌정책(北伐政策)을 보필함.
1598~166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사심(思深) - 박사심(朴思深)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박경지(朴敬祉)의 아버지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였으며 호분위 우부장(虎賁衛右部將)에 천거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사씨(姒氏)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사씨전(謝氏傳) -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김만중(金萬重)이 한글로 지은 고전소설(古典小說). 숙종이 인현왕후(仁顯王后)를 폐출하고 희빈장씨(禧嬪張氏)를 왕비로 책봉한 사건에 대해 숙종을 깨우치기 위해 지음.
169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남해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