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사웅(士雄) - 왕희걸(王希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이황(李滉)ㆍ노수신(盧守愼)ㆍ홍섬(洪暹) 등 당대의 명유와 교유하였고, 문장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났으며, 함경도 어사(咸鏡道御史) 시절에 보우(普雨)의 승직을 삭탈하는 계기가 된 장계를 올림.
?~15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사원(嗣源) - 김사원(金嗣源)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상의원 정(尙衣院正)을 지내고, 사후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사원(士元)@유종인 - 유종인(柳宗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 유희임(柳希任)의 아들이며, 유종례(柳宗禮)의 형.
1516~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사원(士元)@고려후기 - 김사원(金士元)@고려후기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문하시랑찬성사 김련(金璉)의 아들. 충선왕 때 권신 이대순(李大順)의 모함으로 장류(杖流)됨. 돌아와 평양 윤(平壤尹) 등을 거쳐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에 이름.
?~131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사원(士元)@권응인 - 권응인(權應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시재(詩才)가 뛰어나 선위사(宣慰使) 일행이 되기도 했으며, 송(宋) 나라의 시풍(詩風)이 유행하던 문단(文壇)에 만당(晩唐)의 시풍을 받아들여 큰 전환을 가져왔음.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문인
-
사원(士元)@김가기 - 김가기(金可幾)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군수 김천부(金天富)의 아들이며, 대곡(大谷) 성운(成運)의 문인(門人)이자 처조카. 성운(成運)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시를 수집하였고 아들 김덕민(金德民)이 간행함.
1537~159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사원(士元)@민우수 - 민우수(閔遇洙)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麗興)으로, 충문공(忠文公) 민진후(閔鎭厚)의 아들. 김창협(金昌協)ㆍ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신임사화(辛壬士禍) 이후 관직에서 물러나 학업에 전념함.
1694~175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원(士元)@이종도 - 이종도(李宗道)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종손(從孫)이며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장 김해(金垓)의 휘하(麾下)에서 의병부장(義兵副將)으로 활약함.
1535~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사원(士元) - 방통(龐統)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모사(謀士). 제갈량(諸葛亮)에 버금가는 지략가로, 유비(劉備)의 를 도와 활약하다가 낙성(洛城) 전투 때 낙봉파(落鳳坡)에서 전사함.
179~21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사원(士元)@조선전기 - 김사원(金士元)@조선전기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흡곡 현령(歙谷縣令)을 지낸 김숙춘(金叔春)의 아들. 1492년(성종 23)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파주 목사(坡州牧使)ㆍ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ㆍ첨지사(僉知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사원(士元)@조선후기 - 김사원(金士元)@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규합하여 정제장(整濟將)으로 추대됨.
1539~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사원(士元)@성숙 - 성숙(成俶)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성순조(成順祖)의 아들이며 성준(成俊)의 형으로,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사원(士元)@양희윤 - 양희윤(梁希尹)
조선 후기의 유학. 황정욱(黃廷彧)ㆍ홍성민(洪聖民)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사원(士元)@박태보 - 박태보(朴泰輔)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박세당(朴世堂)의 아들로, 박세후(朴世垕)에게 출계함. 1677년(숙종 3)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천 현감(伊川縣監)ㆍ파주 목사(坡州牧使) 등을 지냈으나, 1689년(숙종 15)에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하다 유배를 가던 중에 죽음.
1654~168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사원(士源) - 홍사원(洪士源)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순복(洪順福)ㆍ홍석복(洪碩福)의 아버지로, 천안 군수(天安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사원(思遠)@서사원 - 서사원(徐思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달성(達城).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주자학(朱子學) 및 이황(李滉)의 문집을 깊이 연구하고 후진양성에 힘씀.
1550~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원(思遠) - 정은(鄭隱)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도사. 갈홍(葛洪)의 스승. 원래 유학(儒學)을 공부하였으나 나이 들어 갈현(葛玄)을 스승으로 모시고 《구정단경(九鼎丹經)》ㆍ《금액단경(金液丹經)》ㆍ《태청단경(太淸丹經)》등을 전수받음.
?~30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사원(思遠)@이첨 - 이첨(李瞻)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이종린(李宗麟)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세자(世子)를 호종한 공으로 구성군(龜城君)이 됨.
1553~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사원(思遠)@신사원 - 신사원(愼思遠)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양근 군수(楊根郡守)를 지낸 신홍조(愼弘祚)의 아들로, 조지서 별좌(造紙署別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원(斯遠) - 서문경(徐文卿)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인. 주희(朱熹)의 문하생으로, 조번(趙蕃)ㆍ한표(韓淲)와 명성을 나란히 하였고, 저서로 《소추시집(蕭秋詩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사원(泗源) - 양사원(梁泗源)
조선 전기의 문신. 양산보(梁山甫)의 부친. 본관은 제주(濟州). 은덕(隱德)이 있어 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사원(詞源) - 김반(金泮)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강서(江西). 권근(權近)의 문인으로 경서에 정통하여 김구(金鉤)ㆍ김말(金末)과 함께 경학삼김(經學三金)으로 불림.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강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월당(沙月堂) - 유시번(柳時蕃)@1569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손처눌(孫處訥)의 제자로, 1755년(영조 31) 청호서원(靑湖書院)에 배향됨.
1569~161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사위(士偉) - 백인걸(白仁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수원(水原).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 등을 지내고, 동서분당(東西分黨)의 폐단을 논하며 중재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함. 훈구 세력에 맞서 사림파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1497~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위(思危) - 안수잠(安秀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전함사 별좌(典艦司別坐)를 지낸 안범(安範)의 아들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를 지냄.
148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사위세자(舍衛世子)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사유(嗣儒) - 탁성손(卓成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도사(都事)를 지낸 탁기(卓耆)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사유(士柔) - 최사유(崔士柔)
고려 말~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최항(崔恒)의 아버지로,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등을 지내고 치사하여 수직(壽職)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봉해짐.
1372~145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사유(思柔) - 백사유(白思柔)
고려 광종(光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평장사(平章事) 백휘(白揮)의 아버지로,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사신으로 송(宋) 나라에 다녀옴.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사유재(四留齋) - 이정암(李廷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사직서 영(社稷署令) 이탕(李宕)의 아들로, 황해도 관찰사ㆍ병조 참판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연안(延安) 수비의 공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1541~16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육신사(死六臣祠) - 육신사(六臣祠)@영월
조선 숙종(肅宗) 때 강원도 영월(寧越)에 세운 사당. 사육신(死六臣)과 엄흥도(嚴興道) 등을 배향함.
1685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영월 , 유적>건물>사당
-
사윤(士贇) - 기찬(奇襸)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기축(奇軸)의 아들로, 1474년(성종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142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사윤(思胤) - 이사윤(李思胤)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기한(李基漢)의 아들로, 이기하(李基夏)에게 출계함. 1714년(숙종 4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파주 목사(坡州牧使) 등을 지냄.
168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사윤(斯允) - 황사윤(黃斯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고원 군수(高原郡守)를 지낸 황징(黃澄)의 아버지로,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사율(士慄) - 나사율(羅士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소재(蘇齋) 노수신(盧守愼)의 문인(門人). 건재(健齋) 김천일(金千鎰)과 학문을 강구(講究)하고 시(詩)로 서로 면려(勉勵)하며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사율(士栗) - 윤사율(尹士栗)
조선 전기의 문인.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사은(四隱) - 이담(李橝)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해수(李海壽)의 증손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석곡(石谷)의 옥사에 연루되어 삼수(三水)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사은(師殷) - 윤사은(尹師殷)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배(尹培)의 아들이고, 윤탁(尹倬)의 아버지이며, 운성부원군(雲城府院君) 박종우(朴從愚)의 사위로, 곡성 현감(谷城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사은당(四隱堂) - 이담(李橝)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해수(李海壽)의 증손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석곡(石谷)의 옥사에 연루되어 삼수(三水)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사의(士儀) - 최사의(崔士儀)
조선 세종(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낸 최유경(崔有慶)의 아들로,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376~145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사의(士宜) - 손경의(孫景義)
조선 전기의 유학.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사의(士毅)@권홍 - 권홍(權弘)@1467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령(權齡)의 아들.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고 문장이 뛰어났음.
1467~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사의(士毅)@전치원 - 전치원(全致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의병장. 본관은 완산(完山). 황강(黃江) 이희안(李希顔)과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 이희안을 위하여 청계서원(淸溪書院)을 창건했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초계(草溪)에서 의병으로 활동함.
1527~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사의(士毅)@예사의 - 예사의(倪士毅)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스승인 진역(陳櫟)이 지은 《사서발명(四書發明)》과 호병문(胡炳文)이 지은 《사서통(四書通)》을 합하여 《사서집석(四書輯釋)》을 찬술함.
1303~134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사의(士毅) - 박이홍(朴以洪)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함양(咸陽). 조광조(趙光祖)의 문하생으로, 현량과(賢良科)에 추천되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
-
사익(思翼) - 윤사익(尹思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징(尹澂)의 아들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14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사인(嗣寅) - 응휘겸(應撝謙)
중국 청(淸) 나라 성조(聖祖) 때의 학자. 1679년(성조 18)에 조정의 부름을 받았지만 출사하지 않았고, 성리학(性理學)에 대해 깊이 연구하여 《성리대중(性理大中)》ㆍ《대청일통지(大淸一統志)》 등을 저술함.
1615~1683 중국>청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사인(四印) - 노경린(盧慶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유학을 숭상하여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있을 때 천곡서원(川谷書院)을 세움
1516~15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사인(士仁) - 유세린(柳世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대사간(大司諫) 유헌(柳軒)의 아들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성균관 유생으로서 조광조(趙光祖) 등을 신구(伸救)하는 상소를 올림.
14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사인(士仁)@이친 - 이친(李𡩁)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차남으로,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이희(李暿)의 딸과 혼인함.
1413~14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사인(思仁) - 우사인(禹思仁)
조선 전기의 문신.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효행으로 정려(旌閭)를 받음.
1527~?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일(士逸) - 김반(金槃)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익산 군수(益山郡守) 김장생(金長生)의 아들이고, 김익훈(金益勳)의 아버지. 송익필(宋翼弼)의 문인(門人)으로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인조를 호종한 공이 있음. 대사간(大司諫)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내고, 영의정에 추증됨.
1580~164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산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임(士任) - 금보(琴輔)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서화가. 본관은 봉화(奉化)로, 이황(李滉)의 문인. 글씨에 뛰어나 이숙량(李叔樑)ㆍ오수영(吳守盈)과 더불어 선성삼필(宣城三筆)이라 불렸으며, 퇴계묘비(退溪墓碑)ㆍ도산신판(陶山神版) 등을 씀.
1521~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ㅣ경상도>예안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
-
사임당(師妊堂) - 신사임당(申師任堂)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서화가(書畵家)ㆍ문인. 본관은 평산(平山). 이이(李珥)의 어머니로, 시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남.
1504~155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사임당(思任堂) - 신사임당(申師任堂)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서화가(書畵家)ㆍ문인. 본관은 평산(平山). 이이(李珥)의 어머니로, 시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남.
1504~155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사자(四子) - 사서(四書)
유교의 기본 경전인 《논어(論語)》ㆍ《맹자(孟子)》ㆍ《중용(中庸)》ㆍ《대학(大學)》을 통틀어 이르는 말. 송(宋) 나라의 대유(大儒)인 주희(朱熹)가 선정하여 명명하고 여기에 주석을 붙인 이후 널리 유행하였으며, 과거(科擧)의 공식 과목으로 사용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자(泗泚) - 부여(扶餘)
충청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백제의 마지막 수도로서 소부리(所夫里) 혹은 사자(泗泚)ㆍ사비(泗沘)라고도 불림.
충청도>부여 , 지명>행정지명
-
사자(謝子) - 사양좌(謝良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제자로, 정좌(靜坐)와 거경(居敬)의 수양을 강조함. 북송(北宋) 말 구법당(舊法黨)에 대한 탄압 사건에 연좌되어 평민으로 폐해짐.
1050~110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자(謝子)@사영운 - 사영운(謝靈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 사현(謝玄)의 손자로, 영가 태수(永嘉太守)를 지냈으나 파쟁(派爭)으로 인하여 유배 중에 처형됨. 자연을 노래한 산수시인(山水詩人)으로 높이 평가받음.
385~43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자서(四子書) - 사서(四書)
유교의 기본 경전인 《논어(論語)》ㆍ《맹자(孟子)》ㆍ《중용(中庸)》ㆍ《대학(大學)》을 통틀어 이르는 말. 송(宋) 나라의 대유(大儒)인 주희(朱熹)가 선정하여 명명하고 여기에 주석을 붙인 이후 널리 유행하였으며, 과거(科擧)의 공식 과목으로 사용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자수(四泚水) - 백마강(白馬江)
충청남도 부여(夫餘) 부근을 흐르는 금강(錦江)의 하류(下流). 강의 왼쪽과 부소산(扶蘇山)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는 낙화암(落花巖)ㆍ조룡대(釣龍臺)ㆍ고란사(皐蘭寺) 등 백제(百濟)의 유적이 있음.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사자하(四泚河) - 백마강(白馬江)
충청남도 부여(夫餘) 부근을 흐르는 금강(錦江)의 하류(下流). 강의 왼쪽과 부소산(扶蘇山)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는 낙화암(落花巖)ㆍ조룡대(釣龍臺)ㆍ고란사(皐蘭寺) 등 백제(百濟)의 유적이 있음.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사장(士章) - 유제두(柳齊斗)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학 유경지(柳瓊枝)의 아들로, 서산유씨(瑞山柳氏) 31세손.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사장(士長)@민형수 - 민형수(閔亨洙)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의정(左議政) 민진원(閔鎭遠)의 아들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에 어긋난 언행을 함으로써 정미환국(丁未換局) 이후 실각한 아버지의 신원(伸寃)을 위하여 이광좌(李光佐)를 소척하려 함.
1690~174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재(思齋)@안영 - 안영(安瑛)@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고경명(高敬命)의 의병(義兵)에 들어가 싸우다가 전사함.
1565~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사재(思齋)@곽몽징 - 곽몽징(郭夢徵)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원임참장(原任參將)으로, 부총병(副摠兵) 조승훈(祖承訓)과 유격장(遊擊將) 사유(史儒)와 함께 군사를 이끌고 조선에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사재(思齋)@안처순 - 안처순(安處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낸 안기(安璣)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이행(李荇)과 함께 연루되었으나 화를 면함. 성균관 학관(成均館學官)ㆍ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등을 지냄.
1492~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사재(思齋)@옹영 - 옹영(翁泳)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역(周易)에 능통했고, 하도(河圖)에 관한 설(說)이 회자(膾炙)되고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사재(思齋) - 김정국(金正國)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동생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삭탈관직되었다가 복직됨.
1485~154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절(思節) - 안성(安省)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문과에 급제하여 보문각 직학사(寶文閣直學士)ㆍ상주 판관(尙州判官)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참찬(參贊) 등을 지냄.
?~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사점(思點) - 이사점(李思點)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에 대한 명자설(名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사정(司貞) - 정종소(鄭從韶)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정이교(鄭以僑)의 아버지로, 성균 사성(成均司成) 등을 지내고, 문장(文章)과 기절(氣節)이 빼어나 김종직(金宗直)의 존중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사정(士淨) - 유기(柳沂)@유용의손자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전라우도 수사(全羅右道水使)를 지낸 유용(柳墉)의 손자로, 현령(縣令)ㆍ감찰(監察)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사정(士精)@김상성 - 김상성(金尙星)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으로, 김시환(金始煥)의 아들. 13세에 영평(永平)의 〈금수정기(金水亭記)〉를 지어 신동(神童)으로 불리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703~175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정(士精) - 김치(金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부사(府使) 김시회(金時晦)의 아들로, 상락군(上洛君) 김시민(金時敏)에게 출계함. 인조반정 후 한때 대북(大北)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등을 지냄.
1577~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사정(士貞)@윤사정 - 윤사정(尹士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원평군(原平君) 윤공(尹恭)의 아들로, 문천 군수(文川郡守)ㆍ온성 부사(穩城府使) 등을 지냄.
1479~15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사정(士貞)@임간 - 임간(任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임유겸(任由謙)의 아들로, 종묘서 영(宗廟署令)을 지냄.
1496~154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사정(士貞)@변사정 - 변사정(邊士貞)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장연(長淵).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남원에서 의병을 모집하고 많은 전투에서 전공을 세움.
1529~159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사정(士貞) - 권이(權頤)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익평공(翼平公) 권람(權攬)의 현손. 중종(中宗) 때 영의정을 지낸 성희안(成希顔)의 외손자이며, 대사헌을 지낸 송인수(宋麟壽)의 사위. 송기수(宋麒壽)의 《추파집(秋坡集)》에 묘표(墓表)가 실려 있음.
1521~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사정(士靖) - 기자헌(奇自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奇大恒)의 손자. 광해군을 즉위시키는 데 공헌하여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폐모론에 반대하다 문외출송(門外黜送)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사사(賜死)됨.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정(思亭) - 김희조(金希祖)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민왕을 호종하였으며, 경성(京城)을 지킨 공으로 일등공신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사정(思亭)@윤명은 - 윤명은(尹鳴殷)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파평(坡平). 인조의 사친추숭(私親追崇)을 반대하다가 유배되고, 병자호란 때 남양(南陽)에서 조익(趙翼)과 함께 의병을 모집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정문(旌門)이 세워짐.
1601~164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정(思亭)@신석간 - 신석간(申石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문충공(文忠公) 신숙주(申叔舟)의 현손(玄孫)으로, 부사(府使)를 지낸 신연(申淵)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사정(思亭)@이지번 - 이지번(李之蕃)@이산해의아버지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산해(李山海)의 아버지이며, 이지함(李之菡)의 형. 명종(明宗) 때 김안로(金安老)의 무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단양(丹陽)의 구담(龜潭)에 은거함.
?~15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정(思正) - 탁사정(卓思正)
고려 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낸 탁원광(卓元光)의 아들로, 판도 판서(版圖判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사정(思靖) - 김약온(金若溫)
고려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양감(金良鑑)의 아들로, 이자겸(李資謙)과 인척이면서도 가까이하지 않음. 벼슬이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름.
1059~114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사정(沙汀) - 백사정(白沙汀)
황해도 장연현(長淵縣) 고을 서쪽 50여 리 지점에 위치한 모래밭 이름. 길이가 7, 8리이고, 넓이는 3, 4리에 이름. 시의 소재로 많이 이용되었는데, 남곤(南袞)의 〈유백사정기(遊白沙汀記)〉가 유명함.
황해도>장연 , 지명>자연지명
-
사정(砂井) - 단사정(丹砂井)
중국 고대에 있었다는 전설상의 샘 이름. 이 샘 밑에는 단사(丹砂)가 묻혀 있어 그 물을 마시는 사람은 모두 장수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유적>기타유적
-
사정부(司正府) - 사헌부(司憲府)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 풍속의 교정, 백관(百官)에 대한 규찰과 탄핵, 서경(署經) 등을 담당한 관청.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사정화(史丁火) - 신녕(新寧)
경상도 영천(永川)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신라 초기에는 화산현(花山縣)이었는데 통일신라시대에 신녕현(新寧縣)으로 고쳤다가 1914년 영천에 병합됨.
경상도>영천(永川) , 지명>행정지명
-
사제(思齊)@유희철 - 유희철(柳希轍)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1495년(연산군 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선산 부사(善山府使)로 재직할 때 영남삼량(嶺南三良)으로 칭송됨.
1453~151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사제(思齊)@안처순 - 안처순(安處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낸 안기(安璣)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이행(李荇)과 함께 연루되었으나 화를 면함. 성균관 학관(成均館學官)ㆍ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등을 지냄.
1492~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사제(思齊) - 성호문(成好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계례(成繼禮)의 아들로, 1564년(명종 1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광흥창 수(廣興倉守) 등을 역임함.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게 지어 준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사제(思齊)@성사제 - 성사제(成思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정승 성유득(成有得)의 아들로, 보문각 직제학(寶文閣直提學)과 문형(文衡)을 지냈으나, 고려가 망하자 만수산(萬壽山)에 은거한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사제당(思齊堂) - 안처순(安處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낸 안기(安璣)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이행(李荇)과 함께 연루되었으나 화를 면함. 성균관 학관(成均館學官)ㆍ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등을 지냄.
1492~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사조(史肇) - 사홍조(史弘肇)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한(後漢)의 무신. 대장(大將) 등을 지냈으며, 무(武)를 숭상하고 문(文)을 배척함.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사조(四祖) - 도신(道信)
중국 선종(禪宗)의 제4조. 좌선행(坐禪行)을 통해 불교 본래의 가치인 수행력을 회복하게 하였고, 선종이 중국화 되는 계기를 마련함.
580~65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사조(士朝) - 정종명(鄭宗溟)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문인ㆍ문신인 정철(鄭澈)의 아들로, 선조 재위 시 아버지의 죄를 추론받아 삭출되었다가 인조 즉위 후 관직이 복구되어 강릉 부사(江陵府使)를 지냄.
1565~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사종(嗣宗)@구사종 - 구사종(具嗣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능성(綾城). 용양위 사직(龍驤衛司直) 구숙원(具淑元)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사종(嗣宗)@배사종 - 배사종(裵嗣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빙고 별좌(氷庫別座) 배신(裵紳)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