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사종(嗣宗)@연사종 - 연사종(延嗣宗)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곡산(谷山). 1388년(우왕 14) 요동정벌 때 이성계(李成桂)의 장군 진무(掌軍鎭撫)로 종군하고, 조선 개국 후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 등을 지냄. 개국공신(開國功臣)ㆍ원종공신(元從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0~143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사종(嗣宗)@박사종 - 박사종(朴嗣宗)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영동(永同)의 초강서원(草江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종(嗣宗) - 완적(阮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ㆍ학자ㆍ문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며, 노장(老莊)의 학문을 연구하였으나 정계에서 물러난 후 술과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냄.
21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종(嗣宗)@이오의아들 - 이사종(李嗣宗)@이오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오(李晤)의 아들로,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하였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사종(嗣宗)@이애의아들 - 이사종(李嗣宗)@이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손자이며, 순성군(順成君) 이개(李𧪚)의 서자로, 작은 키와 굵은 허리 등 독특한 외모로 인해 ‘토미륵(土彌勒)’이라는 별호를 얻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사종(嗣宗)@봉사종 - 봉사종(奉嗣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하음(河陰)으로,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공신 봉천우(奉天祐)의 후손. 안악 군수(安岳郡守)를 지냈으며 군자정(軍資正)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관인>문신
-
사종(師宗) - 윤사종(尹師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진사. 본관은 영천(永川). 윤형(尹炯)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유학
-
사주(泗州) - 사천(泗川)
경상남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한려수도(閑麗水道)의 중심 기항지이며, 서부경남(西部慶南)의 관문(關門)임.
경상도>사천 , 지명>행정지명
-
사주(謝柱) - 사영운(謝靈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 사현(謝玄)의 손자로, 영가 태수(永嘉太守)를 지냈으나 파쟁(派爭)으로 인하여 유배 중에 처형됨. 자연을 노래한 산수시인(山水詩人)으로 높이 평가받음.
385~43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주당(四珠堂) - 박소(朴昭)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으로, 안음 현감(安陰縣監)에 제수되어 청렴한 치적을 보임.
134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사준(士俊) - 양사준(楊士俊)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양희수(楊希洙)의 아들로, 형 양사언(楊士彦), 동생 양사기(楊士奇)와 더불어 문명(文名)을 날려 당시에 중국의 소순(蘇洵)ㆍ소식(蘇軾)ㆍ소철(蘇轍)에 비유되었으며, 정랑(正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준(師準) - 이사준(李師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여주(驪州). 의금부 경력(義禁府經歷) 등을 지내고, 정수강(丁壽崗)ㆍ김준손(金俊孫) 등과 시와 술을 즐기며 절친하게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무신
-
사준(思俊) - 탁사준(卓思俊)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도호부사(都護府使)를 지낸 탁복해(卓福海)의 아들로, 지현사(知縣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사중(士中) - 성락(成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감사(監司)를 지낸 성세평(成世平)의 아들로, 이황(李滉) 문하에서 수학함. 자력으로 경서를 탐독할 정도로 우수하였으며, 친우들의 도움으로 장례를 치러야 할 만큼 청빈한 생활을 함.
1542~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사중(士重)@김천일 - 김천일(金千鎰)@1537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언침(金彦琛)의 아들이며, 이항(李恒)의 문인(門人). 임진왜란 때 창의기병(倡義起兵)하여 수원(水原)ㆍ강화도(江華島)에서 전공을 세우고, 2차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순사함.
1537~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사중(士重) - 양산한(梁山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병절교위(秉節校尉) 양응기(梁應箕)의 아들로, 정릉 참봉(貞陵參奉)을 지냈으나 일찍 죽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사중(士重)@이홍남 - 이홍남(李洪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사복시 정(司僕寺正)을 지낸 이약빙(李若氷)의 아들.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동생 이홍윤(李洪胤)을 무고해 처형당하게 하고 자신은 풀려남.
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중(士重)@권확 - 권확(權確)@조선후기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결(權潔)의 아들로, 1611년(광해군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여주 목사(驪州牧使)를 지냄.
1568~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중(士重)@임현 - 임현(任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인.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원 부사(南原府使)가 되어 명(明) 나라 장수 양원(楊元)과 함께 성을 수비하였는데 양원은 도중에 도망하고 홀로 분전하다가 전사함.
1549~159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사중(士重)@김사중 - 김사중(金士重)
조선 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사중(思中) - 정사중(鄭思中)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아버지이자, 백곡(栢谷) 정곤수(鄭崐壽)의 생부(生父). 충좌위 부사맹(忠佐衛副司猛)을 지내고, 이조 판서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사중(思仲)@안구 - 안구(安覯)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안보문(安普文)의 아들이자 안증(安嶒)의 아버지.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청도 군수(淸道郡守)와 사간(司諫) 등을 지냄.
1458~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중(思仲) - 신엄(申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신승준(申承濬)의 아들로,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거쳐 청요직(淸要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사중노두(詞中老杜) - 주방언(周邦彥)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문인. 북송 말기의 대표적 사인(詞人)으로, 사대사인(四大詞人)의 한 사람. 음률(音律)에 정통하여 많은 사(詞) 작품을 남기고, 대성부 제거(大晟府提舉) 등을 지냄.
1056~112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중지성(詞中之聖) - 주방언(周邦彥)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문인. 북송 말기의 대표적 사인(詞人)으로, 사대사인(四大詞人)의 한 사람. 음률(音律)에 정통하여 많은 사(詞) 작품을 남기고, 대성부 제거(大晟府提舉) 등을 지냄.
1056~112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증(思曾)@구사증 - 구사증(具思曾)
조선 명종(明宗) 때의 진사. 본관은 능성(綾城). 통진 현감(通津縣監)을 지낸 구순(具淳)의 아들이며, 구사맹(具思孟)의 형. 1549년(명종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사증(思曾) - 이사증(李思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명종 때 초곶(草串)에 사는 야인(野人) 토벌과 임꺽정(林巨正)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무신이면서도 시(詩)에 능하였음.
1493~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사지(思之) - 이사지(李思之)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벽진(碧珍). 도원수(都元帥) 이희경(李希慶)의 아들로, 낭장(郞將)을 지냄.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절개를 지킴으로써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 한 사람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무신
-
사지당(仕止堂) - 신승선(愼承善)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연산군의 장인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 등에 책록됨.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을 주관함.
1436~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사지당(四止堂) - 김연(金縯)
조선 전기의 문인. 이현보(李賢輔)의 《농암집(聾巖集)》에 시(詩) 1수(首)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사지절도독영주제군사정동장군고구려왕(使持節都督營州諸軍事征東將軍高句麗王) - 장수왕(長壽王)
고구려 제20대 왕. 재위 413~491. 광개토왕(廣開土王)의 맏아들. 평양성(平壤城)으로 천도(遷都)하고, 백제(百濟)를 공격하여 웅진(熊津)으로 천도를 이끌어 내는 등 왕권의 강화와 영토 확장에 주력하여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룩함.
394~491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사직(士直) - 신여주(申汝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상호군(上護軍) 신한(申瀚)의 아들로, 선공감 첨정(繕工監僉正)ㆍ가평 군수(加平郡守) 등을 지냄.
1502~15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직(士直)@기의헌 - 기의헌(奇義獻)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정묘(丁卯)ㆍ병자(丙子)의 난(亂)에 의병을 일으켰고, 역학ㆍ의학에 밝음. 기우만(奇宇萬)이 작성한 묘갈명(墓碣銘)이 있음.
1587~165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
-
사진(士珍) - 이진유(李眞儒)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소론(小論)의 영수 윤증(尹拯)을 비난한 권상하(權尙夏)ㆍ정호(鄭澔)의 처벌을 주장하다가 삭출(削黜)되었으며, 김일경(金一鏡) 등과 함께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일으킴. 추자도(楸子島)에 유배되어 〈속사미인곡(續思美人曲)〉을 지음.
1669~173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사진(士眞) - 양대박(梁大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남원(南原).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아들 양경우(梁慶遇)와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담양(潭陽)에서 의병을 일으킨 고경명(高敬命)을 맹주로 추대한 뒤 종사관(從事官)으로 활동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사진(思進) - 강사진(姜思進)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918년(태조 1) 문과에 급제한 후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에 이르렀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사집(士執)@기윤헌 - 기윤헌(奇允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奇大恒)의 손자. 형 기자헌(奇自獻)이 폐모론에 반대하다 유배될 때 함께 유배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장살됨.
1575~162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사집(士執) - 탁윤성(卓允成)
고려 후기의 진사. 본관은 광산(光山). 성균 이택재생(成均麗澤齋生)이었던 탁낙정(卓犖正)의 아들로, 국학(國學)의 진사(進士)였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사집(士執)@성대중 - 성대중(成大中)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서얼 출신으로 서얼통청운동(庶蘖通淸運動)에 힘입어 청직(淸職)에 임명됨. 홍대용(洪大容)ㆍ박지원(朴趾源) 등과 교유하여 북학사상 형성에 기여하였으며, 저서로 《청성집(靑城集)》이 있음.
1732~181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찬(思纂) - 주흥사(周興嗣)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 무제(武帝) 때의 문인. 박학다재(博学多才)하고 문사(文思)에 민첩하여, 무제의 명으로 하룻밤만에 사언고시(四言古詩) 250구의 《천자문(千字文)》을 지음.
?~52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사창(嗣昌) - 이사창(李嗣昌)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증손으로, 봉릉 부수(奉陵副守) 이만년(李萬年)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사창(泗昌) - 김사창(金泗昌)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김수손(金首孫)의 아들로,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참형(斬刑) 당한 이목(李穆)의 처형.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사창국(謝昌國) - 사악(謝諤)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저서로 《양송명현소집(兩宋名賢小集)》과 《간재집(艮齋集)》을 남김.
1121~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천(史遷) - 사마천(司馬遷)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학자. 흉노(匈奴)에 투항한 벗 이릉(李陵)을 변호하다 궁형(宮刑)에 처해졌으나 고난을 극복하고 아버지인 사마담(司馬談)의 뒤를 이어 《사기(史記)》를 완성함. 중서령(中書令)을 지냄.
B.C.145?~B.C.8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천(沙川) - 섬진강(蟾津江)
전라도 진안(鎭安)에서 발원하여 동부지역을 남류(南流)하고, 경상도 하동(河東)을 지나 남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전라도>진안ㅣ경상도>하동 , 지명>자연지명
-
사천백(沙川伯) - 남을진(南乙珍)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선의 태조(太祖)가 사천백(沙川伯)을 봉했으나 적성(積城)의 감악산(紺嶽山) 석굴에 들어가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적성ㅣ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사철(思哲) - 이사철(李思哲)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도조(度祖)의 첫째 아들인 이자흥(李自興)의 종손이며, 이난(李蘭)의 아들로, 《선원록(璿源錄)》 등을 개수하였고, 세조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좌의정 등을 역임함.
1405~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사청(嗣淸) - 안종원(安宗源)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축(安軸)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역임했음.
1325~139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사청(思淸) - 이사청(李思淸)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성(陽城). 이훈(李薰)의 아들이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금원복(琴元福)의 사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사체(四體) - 손방(孫昉)
중국 송(宋) 나라의 태의(太醫). 스스로 ‘불탐불투 포난즉휴(不貪不妒飽暖卽休)’라 하여 물욕 없는 편안한 삶의 자세를 추구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사초(士初)@윤존성 - 윤존성(尹存性)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부(尹釜)의 아들로, 1567년(선조 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돈용교위(敦勇校尉)ㆍ첨정(僉正) 등을 역임함.
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사초(士初) - 유휴복(柳休復)
조선 전기의 유학.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사촌(沙村)@이축 - 이축(李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안악 군수(安岳郡守) 시절 한준(韓準)ㆍ박충간(朴忠侃)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이 되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38~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사촌(沙村)@나열 - 나열(羅悅)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사헌부 대사헌을 지낸 나세찬(羅世纘)의 아들. 본관은 나주(羅州).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사촌(沙村) - 김윤제(金允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장례원 사평(掌隷院司評) 김후(金詡)의 아들. 나주 목사(羅州牧使) 등 지방관을 지내고, 고향에 돌아가 정철(鄭澈)ㆍ김성원(金成遠) 등 후학을 양성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촌옹(沙村翁) - 김윤제(金允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장례원 사평(掌隷院司評) 김후(金詡)의 아들. 나주 목사(羅州牧使) 등 지방관을 지내고, 고향에 돌아가 정철(鄭澈)ㆍ김성원(金成遠) 등 후학을 양성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추(士推) - 윤인서(尹仁恕)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 여러 관직을 지냈으나, 권간(權奸)에 아부하고 공명(功名)을 탐하여 누차 탄핵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사추(士秋) - 이만성(李晩成)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학문과 정치에 밝았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영암(靈巖)의 죽정서원(竹亭書院)에 제향됨.
1659~172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문신
-
사충(士冲) - 정건(鄭謇)
조선 전기의 유학. 일찍이 주세붕(周世鵬)과 함께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을 공부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사측(士則) - 임병(任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1524년(중종 1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ㆍ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내고, 글씨에도 뛰어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치(士治) - 왕준(王濬)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 때의 장군. 누선(樓船)을 제조하여 오왕(吳王) 손호(孫皓)를 사로잡고 오 나라를 멸하였으며, 익주 자사(益州刺史)를 거쳐 무군대장군(撫軍大將軍) 등을 역임함.
206~2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사치(士稚) - 노직(盧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로, 남평 현감(南平縣監) 노홍우(盧弘祐)의 아들. 호조 판서(戶曹判書)ㆍ예조 판서(禮曹判書)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내고, 이원익(李元翼)ㆍ유성룡(柳成龍)ㆍ강서(姜緖) 등과 친교(親交)함.
1536~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사칠논변(四七論辨) - 사칠논변(四七論辯)
조선 성리학(性理學)에서 이황(李滉)과 기대승(奇大升) 간에 전개되었던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에 관한 논변. 이황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기대승의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 사이에서 시작된 논쟁으로, 1559년(명종 14)부터 8년에 걸쳐 전개됨.
1559 한국>조선전기 , 사상>이론>학설
-
사침(士忱) - 나사침(羅士忱)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진원 현감(晉原縣監)을 지낸 나질(羅晊)의 아들로, 이성 현감(尼城縣監)을 지냄.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무고(誣告)로 인해 문초(問招)를 받았으나 바로 석방됨.
1525~159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사침(士琛) - 송사침(宋士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훈도(訓導)를 지내고, 노수신(盧守愼)ㆍ조서(曺湑)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사택(沙澤) - 사원(沙苑)
중국 섬서성(陝西省) 대려(大荔) 남부에 있는 마을 이름. 서위(西魏)의 우문태(宇文泰)가 고관(高觀)을 대파하고 나무 한 그루를 심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사통(嗣通) - 설직(薛稷)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 태자소보(太子少保) 등을 역임하였으며, 두회정(竇懷貞)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됨.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모두 능하여 명성을 떨침.
649~713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파(泗派) - 사수(泗水)
중국 산동성(山東省)에 있는 강. 산동성 사수현(泗水縣) 동쪽의 배미산(陪(尾山)에서 발원하여 남서로 흘러 공자(孔子)의 출생지인 곡부현(曲阜縣)을 거쳐 제령(濟寧) 부근에서 대운하(大運河)에 합쳐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사파을(沙巴乙) - 양성(陽城)
경기도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지금의 안성(安城) 지역에 해당하며 천덕산(天德山)과 남쪽의 백운산(白雲山) 사이에 자리잡고 있음.
경기도>양성 , 지명>행정지명
-
사평(士平) - 유돈(柳墩)@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ㆍ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사평(思平) - 차원부(車原頫)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연안(延安). 두문동(杜門洞) 72현 중 한 사람.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내고,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 등과 성리학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매화 그림을 특히 잘 그림.
132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사평(思平)@민사평 - 민사평(閔思平)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찬성사 민적(閔頔)의 아들이며, 정승 김륜(金倫)의 사위. 이제현(李齊賢)ㆍ정자후(鄭子厚) 등과 함께 문명(文名)이 높았으며, 《동문선(東文選)》에 그의 시 9수가 전함.
1295~13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사필(士弼) - 강사필(姜士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강온(姜溫)의 아들. 조욱(趙昱)의 문인으로, 충청 감사(忠淸監司)ㆍ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152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사필(士弼)@이사필 - 이사필(李士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공려(李公礪)의 아들로, 명종 때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성주 목사(星州牧使) 재임 중에 기민 구제와 전염병 퇴치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사필(師弼)@이사필 - 이사필(李師弼)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증석(李曾碩)의 아들이며 월연(月淵) 이태(李迨)의 아버지. 교위(校尉)를 지냈으며,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밀양(密陽)으로 퇴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사필(師弼) - 유사필(柳師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유홍(柳泓)의 아들로, 온양 군수(溫陽郡守)를 지냄.
1501~155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사하(士夏) - 이만창(李晩昌)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우봉(牛峯). 숙종~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재(李縡)의 아버지로, 1675년(숙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65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사하(師夏) - 윤사하(尹師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 윤은(尹垠)의 아들이며, 상주 목사(尙州牧使) 윤탕(尹宕)의 아버지로,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사하(師夏)@조사하 - 조사하(趙師夏)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영종(寧宗) 때의 학자ㆍ문신.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이자 손서(孫壻)로, 주희의 예서(禮書) 편찬을 도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하(査河) - 목사하(木査河)
황해도 해주(海州) 서쪽에 있는 강 이름.
황해도>해주 , 지명>자연지명
-
사하자(沙河子) - 만주(萬州)
중국 사천성(四川省) 동부 양자강 북안에 있는 고을 이름. 만현(萬縣)의 옛 이름으로 사천성 동부와 귀주성 북부의 산물을 집산하며, 부근에 철광산과 탄광이 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사한(士閑) - 김익돈(金益敦)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김광범(金光範)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유학
-
사함(士涵) - 성영(成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세평(成世平)의 아들이자 성락(成洛)의 동생. 광해군이 즉위하자 정인홍(鄭仁弘)의 모함을 받아 파직됨. 선조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547~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사항(士恒) - 나사항(羅士恒)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 건재(健齋) 김천일(金千鎰)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사해(沙海) - 사원(沙苑)
중국 섬서성(陝西省) 대려(大荔) 남부에 있는 마을 이름. 서위(西魏)의 우문태(宇文泰)가 고관(高觀)을 대파하고 나무 한 그루를 심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사해유(四海儒) - 습착치(習鑿齒)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 박학다문(博學多聞)하고 불교 이론에 밝아 승려 도안(道安)과 친교(親交)하였고, 촉(蜀)을 정통(正統)으로 하는 역사서 《한진춘추(漢晉春秋)》를 저술함.
31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사행(士行)@도간 - 도간(陶侃)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혜제(惠帝)~성제(成帝) 때의 장군. 도잠(陶潛)의 증조부. 명제(明帝) 때 정남대장군(征南大將軍)으로 왕돈(王敦)의 반란ㆍ소준(蘇峻)의 변란을 평정해 많은 공을 세우고, 벼슬이 시중태위(侍中太尉)에 이름.
257~33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사행(士行) - 심언성(沈彦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심관(沈灌)의 아들로, 참판(參判)ㆍ충순위(忠順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사헌(師憲) - 가사도(賈似道)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 이종의 비(妃)인 귀비(貴妃)의 아우로, 우승상(右丞相)을 지내고 조정 정사를 농단함. 원병(元兵)에게 대패하여 귀양 가는 도중 정호신(鄭虎臣)에게 살해됨.
1213~127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헌(思獻) - 신사헌(愼思獻)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1558년(명종 1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서 뇌물을 바쳐 급제한 사실이 있으나 권신인 이량(李樑)을 섬겨 다음해에 복과(復科)됨. 후에 육간(六奸)으로 지목되어 거제에 유배됨.
152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헌대(司憲臺) - 사헌부(司憲府)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 풍속의 교정, 백관(百官)에 대한 규찰과 탄핵, 서경(署經) 등을 담당한 관청.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사혁(斯革) - 배사혁(裵斯革)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개국공신 배현경(裵玄慶)의 후손으로,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낸 배원룡(裵元龍)의 아버지. 가락군(駕洛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사혁(斯革)@김사혁 - 김사혁(金斯革)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개경(開京)에 침입한 홍건적(紅巾賊)을 격퇴함.
?~138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무신
-
사현(士賢) - 이성윤(李聖胤)
조선 후기의 종친. 전성군(全城君)의 증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이고, 평양군(平陽君) 이의(李倚)의 첫째 아들. 1617년(광해군 9) 이이첨(李爾瞻)을 처벌하라는 종친의 상소에 참여하였다가 유배됨.
1561~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사현(士顯) - 안흥종(安興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안전(安琠)의 아들이며, 안광종(安光宗)의 형으로, 부자간에 모두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문인록(門人錄)에 등재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사현(師賢) - 양배선(楊拜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중화(中和)로,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양희지(楊熙止)의 아들. 몸가짐을 삼가며 문예(文藝)에 뛰어나 김안국(金安國)의 천거를 받았으며, 이황(李滉)ㆍ최연(崔演)ㆍ안관(安瓘) 등 당대 명사들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사현(師賢)@정사현 - 정사현(鄭師賢)
조선 중종(中宗) 때의 은사(隱士). 본관은 진주(晉州)로, 조식(曺植)의 자형(姊兄). 효행이 뛰어나 나라에서 관직을 주었으나 사양하고 학문에 정진하여 고령 5현(高靈五賢)의 한 사람으로 불림.
1508~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은자
-
사현도(謝顯道) - 사양좌(謝良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제자로, 정좌(靜坐)와 거경(居敬)의 수양을 강조함. 북송(北宋) 말 구법당(舊法黨)에 대한 탄압 사건에 연좌되어 평민으로 폐해짐.
1050~110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형(士炯) - 한윤명(韓胤明)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일재(一齋) 이항(李恒)과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이(李珥)ㆍ박광전(朴光前)과 교유하고, 선조(宣祖)가 세자로 있을 때 사부(師傅)를 지냄.
1526~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형(士炯)@심언광 - 심언광(沈彦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주로 언관(言官)을 지내며 심정(沈貞) 등 권간들의 횡포를 탄핵하고, 일찍이 김안로(金安老)를 추천한 바 있으나 훗날 그에 대해 비판함.
1487~154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