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사형(士烱) - 심언광(沈彦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주로 언관(言官)을 지내며 심정(沈貞) 등 권간들의 횡포를 탄핵하고, 일찍이 김안로(金安老)를 추천한 바 있으나 훗날 그에 대해 비판함.
1487~154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형(士衡)@양사형 - 양사형(楊士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노진(盧禛)ㆍ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영광 군수(靈光郡守)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군량을 조달하고 윤두수(尹斗壽)를 보좌하였으며 죽은 뒤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추록됨.
1547~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형(士衡)@신사형 - 신사형(辛士衡)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초계 군수(草溪郡守)ㆍ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문장에 뛰어났음.
1506~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양산 , 인명>관인>문신
-
사형(士衡)@육기 - 육기(陸機)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 육조시대(六朝時代) 화려한 시풍의 선구자로, 동생 육운(陸雲)과 함께 ‘이륙(二陸)’으로 일컬어지고, 《문부(文賦)》 등을 저술함. 혜제(惠帝) 때 팔왕(八王)의 난(亂)에 휘말려 동생과 함께 죽임을 당함.
261~30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사형(士衡)@이철균 - 이철균(李鐵均)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과 교유하였으며, 경학(經學)에 밝고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1450~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사형(士衡) - 김언평(金彦平)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청해군(靑海君) 이우(李堣)와 함께 정희량(鄭希良)의 문집인 《허암유집(虛庵遺集)》을 간행함.
?~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사형(士衡)@김사형 - 김사형(金士衡)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제1차 왕자난 때 태종의 즉위를 도움.
1333~140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사형(士衡)@성세균 - 성세균(成世鈞)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임(成任)의 아들이자 성현(成俔)의 조카로, 성현의 《허백당문집(虛白堂文集)》에 그를 애도한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사형(士馨) - 노직(盧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남평 현감(南平縣監) 노홍우(盧弘祐)의 아들로, 1584년(선조 17)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냈고, 서화에 능함.
1545~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형집(士衡集) - 육사형집(陸士衡集)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육기(陸機)의 시문집. 남송(南宋) 때 서민첨(徐民瞻)이 유문(遺文) 10권을 얻어 저자의 아우인 육운(陸雲)의 시문과 합하여 《진이준문집(晉二俊文集)》으로 간행한 이후 명대(明代)에 여러 차례 간행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호(四皓)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사호(士浩)@장순손 - 장순손(張順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485년(성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권신 김안로(金安老)의 일파가 되어 벼슬했다는 비난을 받음.
1453~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사호(士浩)@강혼 - 강혼(姜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봉해짐.
146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사호(士浩) - 김생명(金生溟)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을사사화(乙巳士禍) 후 사직하고 학문연구에만 몰두함.
1504~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문신
-
사호(士豪)@탁사준 - 탁사준(卓思俊)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도호부사(都護府使)를 지낸 탁복해(卓福海)의 아들로, 지현사(知縣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사호(士豪)@남이흥 - 남이흥(南以興)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남유(南瑜)의 아들. 이괄(李适)의 난 때 장만(張晚)의 휘하에서 공을 세워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정묘호란 때 안주성(安州城) 전투에서 분전하다가 자결함.
1576~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사호(士豪)@이걸 - 이걸(李傑)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사호(士豪)@박사호 - 박사호(朴士豪)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황정욱(黃廷彧)의 《지천집(芝川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길성 , 인명>문사>유학
-
사호(士豪) - 문세걸(文世傑)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정(金淨)의 《충암집(冲庵集)》에 실린 〈도문사호(悼文士豪)〉라는 시(詩)의 원주에서 “탐라(耽羅)의 뛰어난 인물인데 요절했다”고 기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문사>유학
-
사호(師昊) - 서사호(徐師昊)
중국 명(明) 나라의 도사.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황제의 명으로 고려 산천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사호(思湖) - 오장(吳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오건(吳健)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고, 광해군 때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옥사와 폐모론(廢母論)에 맞서다가 삭직되어 낙향한 후, 정온(鄭蘊)을 비호하다가 토산(兎山)으로 유배됨.
?~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사호(沙湖) - 유색(柳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유영립(柳永立)의 아들. 근친인 소북(小北)의 영수 유영경(柳永慶)이 전랑(銓郞)에 추천하였으나 사양하였으며,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재임 시절 권신 한계남(韓繼男)을 탄핵함.
1561~16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호자(謝虎子) - 사거(謝據)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사안(謝安)의 형이자 사낭(謝朗)의 아버지로, 중랑(中郞)을 지냄. 사부(謝裒)의 둘째 아들로, 후에 사씨(謝氏)의 6개 지파(支派) 중 하나를 이룸.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호접(謝蝴蝶) - 사일(謝逸)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인. 사매(謝邁)의 종형(從兄)으로, 강서시파(江西詩派)의 한 사람. 여희철(呂希哲)에게 수학하였고, 박학(博學)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나 황정견(黃庭堅)으로부터 칭탄을 받았으며, 많은 저술을 남김.
?~111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사혼례(士昏禮)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사홍(士洪) - 임사홍(任士洪)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아들 보성군(寶城君)의 사위로, 두 아들이 각각 예종(睿宗)과 성종(成宗)의 부마가 되면서 권세를 누림. 무오사화(戊午士禍)와 갑자사화(甲子士禍)를 주도하여 많은 중신(重臣)과 선비를 죽임.
?~150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사화(士和) - 노집(盧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으로,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낸 노미수(盧尾壽)의 아들. 단성 현감(丹城縣監)ㆍ조지서 사지(造紙署司紙)를 지냈음.
1489~153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화(士和)@서문숙 - 서문숙(徐文淑)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지례 현감(知禮縣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광조(趙光祖)의 유문(遺文)을 수집하여 《정암집(靜庵集)》을 편찬하는 데 기여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사화(士華)@박사화 - 박사화(朴士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박세희(朴世熹)의 아버지로, 군자감 부정(軍資監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사화(士華) - 남곤(南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심정(沈貞) 등과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킨 주역. 문장에 뛰어나고 글씨에도 능함.
1471~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사화(師和) - 박사화(朴師和)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증시(贈詩)와 차운시(次韻詩) 등이 실려 있고, 노진(盧禛)의 《옥계집(玉溪集)》에 만시(輓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사회(士懷) - 이근(李瑾)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이(李珥)의 문인.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사회(士晦) - 김해(金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醴安). 영흥 도호부사 (永興都護府使) 김반천(金半千)의 아들.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내던 중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항전하다가 전사함.
1534~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회(士晦)@권현 - 권현(權睍)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승(權昇)의 넷째 아들로,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 의병을 모아 활동하였으며, 외직을 두루 거친 후 여주 목사(驪州牧使) 등을 지냄.
1576~165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사회(士會) - 민창수(閔昌洙)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의정(左議政) 민진원(閔鎭遠)의 아들이며, 민형수(閔亨洙)ㆍ민통수(閔通洙)의 형. 1714(숙종 4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동몽교관(童蒙敎官)ㆍ세자익위사 부솔(世子翊衛司副率) 등을 지냄.
1685~17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회(士誨) - 송유순(宋惟諄)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으로, 풍저창 주부(豊儲倉主簿) 송홍(宋泓)의 아들.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목천 현감(木川縣監)을 지냄.
155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사회(思晦) - 김광찬(金光燦)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좌의정 김상헌(金尙憲)의 아들이며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버지.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인조를 호종하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1597~16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사효(事孝) - 황사효(黃事孝)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영의정 황희(黃喜)의 손자.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음. 부랑무상(浮浪無常)한 행동이 많아 방백의 체통을 지키지 않았다는 비난을 받기도 함.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사효(士孝)@김제민 - 김제민(金齊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훈도(訓導) 김호(金灝)의 아들이며, 이항(李恒)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향리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을 맞아 싸웠고, 난이 끝난 뒤 학문연구에 전심함.
1527~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사효(士孝) - 권균(權勻)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4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사효(士孝)@민사건 - 민사건(閔師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선조 때 대사성을 지낸 민기문(閔起文)의 조부. 1477년(성종 8)에 친시(親試)에 급제하여 충청도 관찰사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사효(士孝)@신봉전 - 신봉전(申奉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황해도 도사(黃海道都事)를 지낸 신직(申直)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사효(思孝)@민사도 - 민사도(閔思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성수침(成守琛)의 사위로, 1542년(중종 37) 정시(庭試)에 합격하여 강령 현감(康翎縣監)ㆍ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사효(思孝) - 민사건(閔師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선조 때 대사성을 지낸 민기문(閔起文)의 조부. 1477년(성종 8)에 친시(親試)에 급제하여 충청도 관찰사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사효(思孝)@김사효 - 김사효(金思孝)
조선 전기의 유학. 율곡(栗谷) 이이(李珥), 등암(鐙巖) 이덕익(李德益)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사효(思孝)@선종 - 선종(宣宗)@고려
고려 제13대 왕. 재위 1083~1094. 문종(文宗)의 둘째 아들. 불교를 장려하여 승과(僧科)를 설치하고, 많은 사탑(寺塔)을 건립함.
1049~1094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사후(姒后)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사후(師厚) - 이사후(李師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개국공신(開國功臣) 이직(李稷)의 아들이자 태종(太宗)의 부마인 이정녕(李正寧)의 아버지로, 한성 부윤(漢城府尹) 등을 지냄.
1382~14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사훈(士勛)@정희적 - 정희적(鄭熙績)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이식(李拭)과 함께 서인(西人)의 등용을 막으려다가 반발을 불러일으킴. 임진왜란 때 길주 부사(吉州府使)로서 왜군을 맞아 싸웠으나 안동 부사(安東府使) 재임시 왜적을 막지 않고 도망한 문제로 비변사의 탄핵을 받음.
15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사훈(士勛) - 정광필(鄭光弼)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 정난종(鄭蘭宗)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영의정(領議政)으로 조광조(趙光祖) 등을 구하려다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로 좌천되었으며, 후에 다시 영의정에 오름.
1462~153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사휘(士輝) - 문근(文瑾)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영남 출신 사림파의 한 사람으로 훈구파와 사림파 사이를 조제(調劑)하는 역할을 함.
14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사휴(四休) - 손방(孫昉)
중국 송(宋) 나라의 태의(太醫). 스스로 ‘불탐불투 포난즉휴(不貪不妒飽暖卽休)’라 하여 물욕 없는 편안한 삶의 자세를 추구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사휴(士休) - 신준미(申遵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취소된 후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함.
1491~156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사휴(士休)@이안손 - 이안손(李安孫)
조선 전기의 유학. 홍귀달(洪貴達)의 《허백정집(虛白亭集)》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사휴(思休) - 김만균(金萬均)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장생(金長生)의 증손자로, 김익희(金益熙)의 아들이며 강원 감사(江原監司) 김진옥(金鎭玉)의 아버지.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631~167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사휴거사(四休居士) - 손방(孫昉)
중국 송(宋) 나라의 태의(太醫). 스스로 ‘불탐불투 포난즉휴(不貪不妒飽暖卽休)’라 하여 물욕 없는 편안한 삶의 자세를 추구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사휴당(四休堂) - 박공달(朴公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병조 좌랑(兵曹佐郞) 등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사림(士林)에 화가 미치자 벼슬에서 물러나 삼가(三可) 박수량(朴遂良)과 함께 경학강의를 하며 여생을 보냄.
147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사흔(士昕) - 윤사흔(尹士昕)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윤번(尹璠)의 아들이며, 정희왕후(貞熹王后)의 동생으로,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 등을 지냄.
?~14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사흠(士欽) - 김요명(金堯命)
조선 전기의 유학. 정곤수(鄭崑壽)의 《백곡집(栢谷集)》에 〈억김요명유감(憶金堯命有感)〉이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사희(士熹) - 박사희(朴士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함양(咸陽)으로, 훈도(訓導) 박형(朴馨)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벼슬을 사양하고 학문에만 전념함.
1508~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사희일(謝希逸) - 사장(謝莊)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효무제(孝武帝) 때의 문신ㆍ시인. 효무제가 즉위할 때 도운 공으로 시중(侍中)에 제수됨. 사부(詞賦)에 뛰어났으며, 대표작으로는《월부(月賦)》가 있음.
421~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힐(史頡) - 창힐(蒼頡)
중국 고대(古代)에 전설적인 제왕인 황제(黃帝)의 사관(史官). 최초로 한자(漢字)를 만든 사람으로 전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삭(朔) - 김삭(金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화(金華)의 아들이며, 예조 판서(禮曹判書) 김예몽(金禮蒙)의 아버지로, 사성(司成)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삭방(朔方) - 안변(安邊)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현종(顯宗) 때 도호부를 설치했으나 조선 태종(太宗) 때 조사의(趙思義)가 반란을 일으켜 감무(監務)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도호부로 환원됨. 경원선(京元線)과 동해 북부선(北部線)의 분기점(分岐點).
함경도>안변 , 지명>행정지명
-
삭정(朔庭) - 안변(安邊)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현종(顯宗) 때 도호부를 설치했으나 조선 태종(太宗) 때 조사의(趙思義)가 반란을 일으켜 감무(監務)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도호부로 환원됨. 경원선(京元線)과 동해 북부선(北部線)의 분기점(分岐點).
함경도>안변 , 지명>행정지명
-
산(珊) - 왕산(王珊)
고려 후기의 종친. 신종(神宗)의 7대손이며, 공양왕(恭讓王)의 종숙(從叔)인 왕환(王環)의 아들로 순평군(順平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산(産) - 여산(呂産)
중국 한(漢) 나라 때의 외척. 여후(呂后)의 조카로, 그의 비호 아래 상국(相國)이 되고, 여후가 죽은 뒤 여록(呂祿)과 함께 정변을 일으켜 제위 찬탈을 도모하였으나, 진평(陳平)ㆍ주발(周勃) 등에게 주살됨.
?~B.C.1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산거(山居) - 유종선(柳從善)@조선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은사(隱士). 본관은 진주(晉州). 파주 목사(坡州牧使)를 지냈으나, 산에 은거한 뒤로 친구와 친척들도 그의 얼굴을 보기가 드물었다고 함. 조헌(趙憲)의 《조천기(朝天記)》에 파주 목사 시절의 행적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산거서(山居序) - 산가서(山家序)
고려 말의 학자인 길재(吉再)가 지은 글. 벼슬하기 전인 젊은 시절에 지은 것으로, 벼슬에서 물러나 지은 〈후산가서(後山家序)〉와 함께 《야은집(冶隱集)》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문헌>작품명
-
산거집구(山居集句) - 산거백영(山居百詠)
조선 전기의 학자 김시습(金時習)이 1468년(세조 14) 금오산(金鰲山)에 은거할 때 지은 시(詩). 옛사람의 시구(詩句) 중에서 산중 생활의 묘미가 있는 것만 모아서 지은 칠언절구(七言絶句) 형식의 시 100수(首)를 이름.
14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작품명
-
산경(山經) - 산해경(山海經)
중국 하(夏) 나라 우왕(禹王) 또는 백익(伯益)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최고(最古)의 지리서(地理書). 고대 중국의 자연관(自然觀)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임.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산곡(山谷) - 황정견(黃庭堅)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ㆍ화가. 소식(蘇軾)의 문인으로 강서파(江西派)의 시조. 시ㆍ문장(文章)ㆍ행초(行草) 등이 모두 당대를 풍미할 만큼 절묘하고, 진관(秦觀)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와 함께 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1045~1105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산곡시집(山谷詩集) - 황산곡시집(黃山谷詩集)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인 황정견(黃庭堅)의 시집. 1483년(조선 성종 14)에 서거정(徐居正)ㆍ노사신(盧思愼)ㆍ허종(許琮)ㆍ어세겸(魚世謙)ㆍ유순(柳洵)ㆍ유윤겸(柳允謙) 등이 왕명에 따라 우리말로 번역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산곡자(山谷子) - 황정견(黃庭堅)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ㆍ화가. 소식(蘇軾)의 문인으로 강서파(江西派)의 시조. 시ㆍ문장(文章)ㆍ행초(行草) 등이 모두 당대를 풍미할 만큼 절묘하고, 진관(秦觀)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와 함께 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1045~1105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산공(山公)@산도 - 산도(山濤)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출사(出仕)하여 이부 상서(吏部尙書)가 되었을 때 많은 인재를 등용하였으며, 혜강(嵆康)과 각별한 우정을 나눔.
205~28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산공(山公) - 산간(山簡)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회제(懷帝) 때의 무신. 산도(山濤)의 아들로, 정남장군(征南將軍)이 되어 양양(襄陽)을 수비할 때 형주(荊州)의 호족인 습씨(習氏)의 고양지(高陽池)에서 늘 술을 마시고 만취하여 돌아오곤 하였다 함.
253~31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산광(山光) - 이산광(李山光)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지번(李之蕃)의 아들이자 이산해(李山海)의 동생. 시와 술을 잘하였으며, 기개가 있어 술취한 체 하면서 사람들 앞에서 이이첨(李爾瞻)에게 침을 뱉었다는 일화가 전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유학
-
산구맥(山瞿麥) - 석죽화(石竹花)
패랭이꽃.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 어떤 장사(壯士)가 석령(石靈)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 6~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음. 《동문선(東文選)》에 실린 정습명(鄭襲明)의 시가 유명함.
자연물>식물
-
산군(山君) - 호(虎)
호랑이. 민속(民俗)에서 잡귀(雜鬼)를 물리치고 효(孝)와 보은(報恩)의 동물로 묘사되는 등 신수(神獸)로 일컬어짐.
자연물>동물
-
산남(山南)@경상도 - 경상도(慶尙道)
경상남도와 경상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고려 때 경주(慶州)와 상주(尙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지명.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경상도 , 지명>행정지명
-
산남(山南) - 김부인(金富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ㆍ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낙안 군수(樂安郡守)ㆍ정주 목사(定州牧使)ㆍ경상도 병마절도사(慶尙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냄. 관직에서 물러난 뒤 경학(經學)에 힘쓰면서 근본원리를 종합적으로 통찰함을 학문연구의 토대로 삼음.
1512~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산남도(山南道) - 경상도(慶尙道)
경상남도와 경상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고려 때 경주(慶州)와 상주(尙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지명.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경상도 , 지명>행정지명
-
산남선생문집(山南先生文集) - 산남집(山南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ㆍ학자인 김부인(金富仁)의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石印本). 1권에는 연보(年譜), 부(賦) 1편, 시(詩) 135수가, 2권에는 서(書) 6편이, 부록(附錄)으로는 만사(輓詞) 등 7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산남장(山南丈) - 이순(李淳)@153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철성(鐵城). 이언명(李彦明)의 아들이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모장(召募將)으로 의병을 모집하여 왜적과 싸움.
1530~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
-
산다(山茶) - 동백(冬柏)
차나뭇과의 상록활엽 교목. 겨울에서 봄까지 꽃이 귀한 시기에 피는 데서 붙여진 이름으로, 설중사우(雪中四友)의 하나. 열매는 약용(藥用)으로 사용하거나 머릿기름, 등잔기름 등으로 사용함.
자연물>식물
-
산당(山堂) - 최충성(崔忠成)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학행이 뛰어났으며, 스승의 사상을 이어받아 《소학(小學)》 교육을 중시하고 이단(異端) 배척을 강조함.
1458~149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
-
산당(山堂)@유호인 - 유호인(劉好仁)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유선보(劉善寶)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성운(成運)ㆍ김대유(金大有)ㆍ이희안(李希顔) 등과 교유하였으며, 참봉(參奉)을 지냄.
1502~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산동노표(山東老表) - 유표(劉表)
중국 후한(後漢) 때의 군웅(群雄). 노공왕(魯恭王) 유여(劉餘)의 후손으로, 관도(官渡)의 싸움 때 원소(袁紹)와 조조(曹操)의 사이에서 중립을 지켰으며, 덕망이 높아 유비(劉備) 등이 그에게 의탁함.
142~20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산동대이(山東大耳)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산두(山斗) - 최산두(崔山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초계최씨(草溪崔氏)의 중시조. 사간(司諫)ㆍ지평(持平) 등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동복(同福)으로 유배됨. 문장에 뛰어나 유성춘(柳成春)ㆍ윤구(尹衢)와 함께 ‘호남삼걸’로 불림.
1483~15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관인>문신
-
산두(山斗)@박산두 - 박산두(朴山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훈도(訓導)를 지낸 박붕정(朴鵬程)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산뢰(山雷) - 황윤석(黃胤錫)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으로, 종래의 이학(理學)과 서구 지식의 조화를 시도함. 《이재유고(頤齋遺藁)》에 실린 운학(韻學)에 대한 연구는 국어학사의 연구대상이 됨.
1729~17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산룡(山龍)@김봉 - 김봉(金崶)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조 정랑(吏曹正郞) 김륜(金崙)의 동생.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갑자사화(甲子士禍)로 파직되었다가 중종 때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1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산룡(山龍)@양산룡 - 양산룡(梁山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幼學)ㆍ의병장.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송제민(宋濟民)ㆍ양산숙(梁山璹) 등과 더불어 의병을 일으켜 김천일(金千鎰)의 막하에서 활약함.
155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유학
-
산룡(山龍) - 권운(權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낸 권수익(權受益)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산림재상(山林宰相) - 김임(金銋)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강령 현감(康翎縣監)을 역임한 김장생(金莊生)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이산 , 인명>문사>유학
-
산립(山立) - 탁산립(卓山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사헌 규정(司憲糾正)을 지낸 탁열(卓悅)의 아들로, 내시윤(內侍尹)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산립(山立)@양산립 - 양산립(梁山立)
조선 후기의 효자.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병절교위(秉節校尉)를 지낸 양응기(梁應箕)의 장자(長子). 효천(孝薦)으로 호조 참판(戶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기타인명>효자
-
산방선생(産房先生) - 방봉진(方逢振)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방봉신(方逢辰)의 동생으로, 1262년(경정 3)에 진사로 입격하여 태부시 주부(太府寺主簿) 등을 지내다가 송 나라가 망하자 은거하며 석협서원(石峽書院)에서 강학함. 저서로 《산방집(山房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산보(山甫)@중산보 - 중산보(仲山甫)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현대부(賢大夫). 신백(申伯)과 함께 임금을 보좌한 어진 재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경(詩經)》 〈대아(大雅)〉에 그들을 찬미하는 내용이 실려 있음.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