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산보(山甫) - 이산보(李山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대사간(大司諫)으로 재임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을 수습함.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명(明) 나라 군대의 조선 진군과 군량조달에 큰 공을 세움.
1539~159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산보(山甫)@최산보 - 최산보(崔山甫)
고려 전기의 문신. 1145년(인종 23) 김부식(金富軾)의 주도 아래 진행된 《삼국사기(三國史記)》편찬에 참고(參考)로서 참여함.
한국>고려전기 , 인명>관인>문신
-
산보(山甫)@양산보 - 양산보(梁山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제주(濟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가 실각하자 귀향하여 소쇄원(瀟灑園)을 짓고 한평생 은거함.
1503~15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학자
-
산북(山北) - 이미(李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의무(李宜茂)의 아들이며, 이행(李荇)의 아우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산서(山西) - 산당(山黨)
조선 인조(仁祖) 말에 청서(淸西)에서 갈린 서인(西人)의 한 분파. 김집(金集)ㆍ송준길(宋浚吉)ㆍ송시열(宋時列) 등이 연산(連山)ㆍ회덕(懷德)에 머물며 정계에 나가지 않아 산인(山人)이라고 부른 데서 붙인 이름.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조직
-
산성폭포(山城瀑布) - 박연폭포(朴淵瀑布)
개성 북쪽의 천마산과 성거산 사이의 화강암 암벽에 걸쳐 있는 폭포 이름.
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산수(山叟) - 김준(金嶟)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우봉 현감(牛峯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산수(山叟)@이유인 - 이유인(李有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계번(李繼蕃)의 아들로,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4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산수(山秀) - 양산수(梁山秀)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병절교위(秉節校尉)를 지낸 양응기(梁應箕)의 아들.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산숙(山璹) - 양산숙(梁山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제주(濟州).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경전공부에 전심하여 천문(天文)ㆍ지리(地理)ㆍ병학(兵學)에 통달함. 임진왜란 때 김천일(金千鎰)과 함께 의병 활동을 하다가 진주성(晉州城)에서 순절함.
1561~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산악(山岳) - 왕산악(王山岳)
고구려 양원왕(陽原王) 때의 국상(國相). 거문고의 대가. 552년(양원왕 8)에 진(晉) 나라에서 도입한 칠현금(七絃琴)을 개조하여 100여 악곡을 지어 연주함.
한국>고구려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산양(山陽)@산음 - 산음(山陰)
경상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는 단성(丹城), 서쪽으로는 함양(咸陽), 북쪽으로는 거창(居昌)과 접해 있음. 지리산(智異山)과 서계서원(西溪書院) 등이 있으며, 지금은 경상남도 산청(山淸)에 속함.
경상도>산음 , 지명>행정지명
-
산양(山陽) - 보성(寶城)
전라도 남부에 있는 군(郡). 서쪽으로 장흥(長興), 동쪽으로 순천(順天)과 접함.
전라도>보성 , 지명>행정지명
-
산양공(山陽公) - 헌제(獻帝)
중국 후한(後漢) 최후의 황제. 재위 189~220. 영제(靈帝)의 아들로, 아홉 살 때 동탁(董卓)에 의해 왕위에 오르고 조조(曹操)의 도움으로 자리를 유지하였으나, 후에 위(魏) 나라 문제(文帝)로 등극한 조비(曹丕)에 의해 폐위됨.
181~23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산양군자(山陽君子) - 구우(瞿佑)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ㆍ문인. 주왕부(周王府) 우장사(右長史)를 지냄. 관리로서는 불우하였으나 문재(文才)가 뛰어나 《전등신화(剪燈新話)》ㆍ《귀전시화(歸田詩話)》 등 시ㆍ소설 분야에서 많은 저작을 남김.
1347~142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산양도씨(山陽度氏) - 도정(度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주희(朱熹)의 제자이며, 〈주자연보(周子年譜)〉를 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산양왕(山陽王) - 유형(劉荊)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아들. 재능은 있으나 성질이 음험하여 명제(明帝) 때 동해왕(東海王)을 무고하고, 역모 사건을 일으켰다가 후에 자살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산옥매(山玉梅) - 옥매(玉梅)
장미과(薔薇科)의 낙엽관목(落葉灌木). 설중사우(雪中四友)의 하나로, 흰 꽃이 피며 정원수(庭園樹)로 많이 심음.
자연물>식물
-
산옹(山翁) - 산간(山簡)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회제(懷帝) 때의 무신. 산도(山濤)의 아들로, 정남장군(征南將軍)이 되어 양양(襄陽)을 수비할 때 형주(荊州)의 호족인 습씨(習氏)의 고양지(高陽池)에서 늘 술을 마시고 만취하여 돌아오곤 하였다 함.
253~31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산옹(山翁)@이정 - 이정(李楨)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어려서는 규암(圭菴) 송인수(宋麟壽)로부터 배우고 성장한 뒤에는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홍문관 부제학에 제수되었으나 사천(泗川)에 구암정사(龜巖精舍)를 짓고 후진양성에 힘씀.
1512~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산옹(散翁) - 성륜(成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세정(成世貞)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냈으나, 김안로(金安老)와 편당(偏黨)을 짓는다는 세평(世評)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산옹(散翁)@유찬 - 유찬(兪瓚)
고려 후기의 문신. 판사(判事)를 역임하였으며, 이색(李穡)의 《목은시고(牧隱詩稿)》와 이숭인(李崇仁)의 《도은집(陶隱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수백(綏伯) - 김유수(金裕壽)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채제공(蔡濟恭)의 《번암집(樊巖集)》에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695~176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수백(邃伯) - 심현화(沈玄華)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낭중(郞中)ㆍ대리소경(大理少卿)등을 역임하였으며, 김성일(金誠一)이 중국에 사신으로 갔을 때 문서 고치는 일을 도와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수백재(守白齋) - 홍주익(洪柱翼)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대원(洪大源)의 아들로, 중종묘(中宗廟)에 배향된 박원종(朴元宗) 등 3인과 숙종묘(肅宗廟)에 배향된 남구만(南九萬) 등 3인을 출향(黜享)시킬 것을 상소하였다가 탄핵받음.
1726~17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보(壽父) - 이거인(李居仁)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다시 등용되었으며, 조선 태조(太祖) 때 밀무역을 한 일과 타인의 가기(家基)를 탈취한 일로 파직됨.
?~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수보(壽甫) - 원계채(元繼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대사성(大司成)과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역임하였음. 외교문서 작성에 능하여 사신으로 많이 파견되었으며, 명(明) 나라에 다녀오던 중 죽었음.
1492~153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복(壽福)@구수복 - 구수복(具壽福)
조선 중종(中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협조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며, 후에 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역임함. 김정(金淨)과 도의(道義)로써 사귀고, 경학(經學)에 몰두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
1491~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복(壽福) - 이부(李溥)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종친ㆍ문신.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남이(南怡)의 옥사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44~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수복(壽福)@이수복 - 이수복(李壽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옹진(瓮津). 1519년(중종 14) 경과 별시(慶科別試)에 급제하여 영흥 부사(永興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수부(守夫) - 이요(李瑤)
조선 전기의 종친ㆍ학자.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의 증손이며, 남언경(南彦經)의 문인으로, 조선 최초의 양명학자(陽明學者). 선조(宣祖) 때 유성룡(柳成龍) 등을 동인(東人)의 괴수로 지목하여 논란을 야기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수부(守夫)@정광필 - 정광필(鄭光弼)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 정난종(鄭蘭宗)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영의정(領議政)으로 조광조(趙光祖) 등을 구하려다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로 좌천되었으며, 후에 다시 영의정에 오름.
1462~153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수부(秀夫) - 윤국형(尹國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희렴(尹希廉)의 아들. 임진왜란 때 왜적 방어에 실패하여 파직되고, 재기용된 뒤 난리 후의 혼란한 업무들을 처리함.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543~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부(秀夫)@이상준 - 이상준(李尙俊)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의(李艤)의 아들로, 어모장군(禦侮將軍) 이인량(李寅亮)에게 출계함. 1609년(광해군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15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부(秀夫)@권덕수 - 권덕수(權德秀)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공주 목사(公州牧使)를 지낸 권박(權博)의 아들.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부(粹夫) - 윤국형(尹國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희렴(尹希廉)의 아들. 임진왜란 때 왜적 방어에 실패하여 파직되고, 재기용된 뒤 난리 후의 혼란한 업무들을 처리함.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543~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북(壽北) - 이광사(李匡師)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ㆍ서예가. 본관은 진주(全州)로, 이긍익(李肯翊)의 아버지. 정제두(鄭齊斗)의 문인으로, 양명학(陽明學)에 조예가 깊었으나 당쟁에 휘말려 유배지에서 죽음. 서예에 뛰어나 원교체(圓嶠體)를 확립하고 후세에 많은 영향을 끼침.
1705~177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수붕(壽朋)@정수붕 - 정수붕(鄭壽朋)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정탁(鄭鐸)의 아들이며, 정초(鄭礎)의 아버지로, 1495년(연산군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공릉 참봉(恭陵參奉)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수붕(壽朋) - 이수붕(李壽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수붕(壽鵬) - 이수붕(李壽鵬)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둘째 서자로, 정개청(鄭介淸) 등에게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수붕(壽鵬)@신수붕 - 신수붕(申壽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홍산 현감(鴻山縣監)을 지낸 신언숙(申彦淑)의 아버지. 부사직(副司直)을 지냄.
?~154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수사(守泗) - 양수사(楊守泗)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중화(中和). 김종직(金宗直)의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증시(贈詩)와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수산(壽山) - 박인석(朴仁碩)
고려 의종(毅宗)~희종(熙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형부 원외랑(刑部員外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경주(慶州) 초적(草賊)의 반란 진압 때 공을 세움.
1143~121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수산(壽山)@이수산 - 이수산(李壽山)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수안(遂安). 충혜왕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공민왕(恭愍王) 때 동북면 도순문사(東北面都巡問使)로 나가 여진(女眞)을 평정하고 경계를 정했으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376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수산(守山) - 손수산(孫守山)
조선 전기의 문신. 1445년(세종 27) 신숙주(申叔舟)ㆍ성삼문(成三問) 등과 함께 요동(遼東)에 가서 당시 유배중이던 명(明) 나라의 한림학사 황찬(黃瓚)에게 음운(音韻)을 물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수산(水山) - 이지함(李之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치(李穉)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아산 현감(牙山縣監) 등을 지내고, 《토정비결(土亭祕訣)》을 저술함.
1517~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수산(秀山) - 이수산(李秀山)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로, 금오위 중랑장(金吾衛中郞將)을 지낸 이교(李喬)의 아들. 서예동정(書藝同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선천 , 인명>관인>문신
-
수산(首山) - 수양산(首陽山)@중국
중국 산서성(山西省) 서남쪽에 있는 산 이름. 고죽국(孤竹國)의 백이(伯夷)ㆍ숙제(叔齊) 형제가 절의(節義)를 지키다가 굶어 죽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수산(首山)@수양산 - 수양산(首陽山)
황해도 해주(海州)와 벽성(碧城)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황해도>해주 , 지명>자연지명
-
수산군(隨山君) - 최보한(崔輔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최윤명(崔潤明)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대윤(大尹) 무리를 제거하는 데 앞장서서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수산군(隨山君)에 봉해짐.
?~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수상(守常) - 윤수상(尹守常)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와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냈으며, 민사평(閔思平)의 《급암시집(及菴詩集)》에 그를 축하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
-
수생(水生) - 김수생(金水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군자시 주부(軍資寺主簿)를 거쳐 부령 부사(富寧府使)ㆍ고령 첨사(高靈僉使) 등을 지냈으며, 노수신(盧守愼)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수생(遂生) - 이수생(李遂生)
고려 말~조선 초의 은자. 본관은 수안(遂安).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 한 사람으로, 길재(吉再)ㆍ이색(李穡) 등과 함께 수안(遂安)의 표리(票里)에 은거하여 고려에 대한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 , 인명>기타인명>은자
-
수서(壽瑞) - 강맹경(姜孟卿)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였으며,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봉해짐. 1459년 영의정(領議政)에 오름.
1410~14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수서(水西) - 박선장(朴善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무안(務安). 남몽오(南夢鰲)의 문인으로, 예안 현감(禮安縣監)ㆍ경상 도사(慶尙都事) 등을 지냄.
1555~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수서옹(水西翁) - 박승임(朴承任)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심학(心學)과 성리학(性理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영주(榮州)의 구산정사(龜山精舍)에 제향됨.
1517~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수선(修仙) - 공부(孔俯)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소격전 제조(昭格殿提調)로서 중국에 가서 도교 의식을 배워오고, 검교 한성부 윤(檢校漢城府尹) 등을 지냈으나, 천추사(千秋使)로 중국에 갔다가 돌아오지 못하고 죽음.
?~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수선(壽璿) - 이수선(李壽璿)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네 번째 서자인 양원군(楊原君) 이희(李憘)의 아들로, 함녕군(咸寧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수선(水仙) - 박지화(朴枝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정선박씨(旌善朴氏)의 시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유(儒)ㆍ불(佛)ㆍ도(道)에 해박하고 특히 기수학(氣數學)에 뛰어남.
1513~159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정선 , 인명>문사>학자
-
수선지지(首善之地) - 성균관(成均館)
조선 태조(太祖) 7년에 인재양성을 위하여 서울 숭교방(崇敎坊)에 설치한 최고 교육기관. 문과(文科) 준비를 위한 유학 교육 전문기관으로,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중국 및 우리나라 역대 성현들의 위패를 모셔놓은 문묘(文廟)와 유학(儒學)을 강론하는 명륜당(明倫堂), 동서재(東西齋) 등으로 이루어짐.
1398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법제>관청
-
수성(䢘城) - 간성(杆城)
강원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인 청간정(淸磵亭)이 있음.
강원도>간성 , 지명>행정지명
-
수성(壽峸) - 최수성(崔壽峸)
조선 중종(中宗) 때의 화가. 유학 최세효(崔世孝)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 등과 교유함. 벼슬을 단념하고 시(詩)ㆍ서(書)ㆍ화(畵)ㆍ음악으로 일생을 보냈으나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처형됨.
1487~152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예술인>서화가
-
수성(壽星) - 남극노인성(南極老人星)
남반구(南半球)의 용골(龍骨) 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 고대에는 사람의 수명을 맡아보는 별이라 하여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이 별이 나타나면 나라가 편안해지고 군왕이 장수한다고 여겨 제단(祭壇)을 설치하여 제사를 지냄.
자연물>천체
-
수성(守城) - 간성(杆城)
강원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인 청간정(淸磵亭)이 있음.
강원도>간성 , 지명>행정지명
-
수성(守成) - 임수성(任守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천(豐川). 사명당(四溟堂) 유정(惟政)의 아버지.
?~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수성(守誠)@노수성 - 노수성(盧守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수성(守誠) - 이수성(李守誠)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이행(李荇)의 《용재집(容齋集)》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1506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수성(樹聲) - 육수성(陸樹聲)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저서에 《장수일초(長水日鈔)》ㆍ《육문정공집(陸文定公集)》ㆍ《다요기(茶寮記)》등이 있음.
1509~160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수성(水城)@수원 - 수원(水原)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능(陵)이 수원 읍치의 진산인 화산(華山)에 있음.
경기도>수원 , 지명>행정지명
-
수성(水城) - 간성(杆城)
강원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인 청간정(淸磵亭)이 있음.
강원도>간성 , 지명>행정지명
-
수성(輸城) - 수원(水原)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능(陵)이 수원 읍치의 진산인 화산(華山)에 있음.
경기도>수원 , 지명>행정지명
-
수성(遂性) - 김수성(金遂性)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성균관 유생으로 조광조(趙光祖)의 석방을 탄원했으며, 주로 삼사(三司)의 언관직(言官職)을 역임함.
?~154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성(隋城) - 수원(水原)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능(陵)이 수원 읍치의 진산인 화산(華山)에 있음.
경기도>수원 , 지명>행정지명
-
수성군(隋城君) - 김한진(金漢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공신. 흥왕사(興王寺)의 변(變) 때 김용(金鏞)을 토벌하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왕을 호종하고 경성(京城)을 수복한 공으로 일등공신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수세(守世) - 윤민철(尹民哲)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호조 좌랑(戶曹佐郞) 윤엄(尹儼)의 아들로, 창녕 현감(昌寧縣監) 등을 역임함.
1555~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수소(守素) - 백수소(白守素)
중국 송(宋) 태종(太宗)~진종(眞宗) 때의 무신. 개봉(開封) 출신으로 활쏘기에 능하였으며, 수차례에 걸쳐 거란(契丹)의 침입을 막는 데 공을 세움.
?~101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수손(首孫) - 김수손(金首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거쳐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역임했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을 찬진(撰進)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수송대(愁送臺) - 수승대(搜勝臺)
경상도 거창(居昌) 위천면(渭川面)에 있는 누대(樓臺). 원래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백제에서 신라로 보내는 사신을 송별하던 곳으로, 조선 중종(中宗) 때 이황(李滉)이 개명을 권하여 ‘수승대’로 바꿈.
한국>백제 , 경상도>거창 , 유적>건물>누정
-
수신(受辛) - 주(紂)
중국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 제을(帝乙)의 아들로, 달기(妲己) 등의 미인과 음란 방탕한 생활을 즐기고, 비간(比干) 등의 충신을 내치는 등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인심을 잃어 주(周) 나라의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수신(守愼)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수신(守身) - 황수신(黃守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영의정(領議政) 황희(黃喜)의 아들. 영의정에 오르고, 세조 등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법화경(法華經)》등 불경의 번역을 주관함.
1407~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수신장(修身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수심(守深) - 이수심(李守深)
고려 원종(元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정주(貞州)로, 사재경(司宰卿)을 지낸 이세화(李世華)의 셋째 아들. 변량(邊亮)과 함께 진도의 삼별초(三別抄)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움.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수심(水心) - 섭적(葉適)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백웅(鄭伯熊)의 문인으로, 영가학파(永嘉學派)의 대표적 인물. 송대 성리학의 공담(空談)에 반대하고 도(道)는 개개의 사물과 분리될 수 없음을 주장함. 저서에 《섭적집(葉適集)》이 있음.
1150~12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수심당(水心堂) - 윤동로(尹東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공조 좌랑(工曹佐郞) 시절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정유재란 때 재기용되었으나 이원익(李元翼)의 탄핵을 받음. 후에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50~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악(壽岳) - 형산(衡山)
중국 호남성(湖南省) 형양(衡陽) 북쪽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 위치상 남악(南岳)에 해당하며, 높이는 1,265m.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수악(首岳) - 수양산(首陽山)@중국
중국 산서성(山西省) 서남쪽에 있는 산 이름. 고죽국(孤竹國)의 백이(伯夷)ㆍ숙제(叔齊) 형제가 절의(節義)를 지키다가 굶어 죽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수안(遂安)@박응립 - 박응립(朴應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명종(明宗) 때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낸 박세무(朴世茂)의 아들이며, 인조(仁祖) 때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박지계(朴智誡)의 아버지로, 수안 군수(遂安郡守)를 지냄.
1517~15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안(遂安)@김석홍 - 김석홍(金錫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화를 입은 기묘당인(己卯黨人) 중의 한 명.
1493~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수안군(遂安君) - 이당(李𧭢)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셋째 아들.
?~151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수안도정(遂安都正) - 이당(李𧭢)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셋째 아들.
?~151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수암(修巖) - 유진(柳袗)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유성룡(柳成龍)의 아들로, 주로 외직에 종사하며 세신(世臣)의 후예로서 평생을 청렴하게 보내 사후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되었으며, 안동(安東)의 병산서원(屛山書院)에 제향됨.
1582~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수암(修菴) - 김세걸(金世傑)
조선 전기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관산(冠山)으로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수암(守庵) - 박지화(朴枝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정선박씨(旌善朴氏)의 시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유(儒)ㆍ불(佛)ㆍ도(道)에 해박하고 특히 기수학(氣數學)에 뛰어남.
1513~159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정선 , 인명>문사>학자
-
수암(守菴) - 박지화(朴枝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정선박씨(旌善朴氏)의 시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유(儒)ㆍ불(佛)ㆍ도(道)에 해박하고 특히 기수학(氣數學)에 뛰어남.
1513~159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정선 , 인명>문사>학자
-
수암(水庵) - 권희맹(權希孟)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로 재직 중 영월(寧越)에서 죽었음.
1475~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수암(遂庵) - 권상하(權尙夏)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ㆍ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이이(李珥)를 조종(祖宗)으로 하여 송시열에게 계승된 기호학파(畿湖學派)를 이끎.
1641~17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수암(遂菴) - 권상하(權尙夏)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ㆍ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이이(李珥)를 조종(祖宗)으로 하여 송시열에게 계승된 기호학파(畿湖學派)를 이끎.
1641~17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수암(需庵) - 소현(蕭顯)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진녕동지(鎭寧同知)ㆍ복건안찰첨사(福建按察僉事) 등을 지냈으며, 만년에 산해관(山海關) 위춘산(圍春山)의 별장에서 시서(詩書)로 소일하며 여생을 보냄.
1431~1506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수암(首巖) - 이약해(李若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직제학(直提學) 등을 지냈으나,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이 정권을 잡은 후 나주 목사(羅州牧使)로 좌천되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윤임(尹任)의 일파로 몰려 사사(賜死)됨.
1498~154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