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수암고(守庵稿) - 수암유고(守庵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박지화(朴枝華)의 문집. 1684년(숙종 10) 용강 현령(龍岡縣令) 김구(金構)가 2권 1책 목판으로 간행함.
168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용강 , 문헌>서명
-
수암사(穗岩寺) - 화암사(禾巖寺)
통일신라 혜공왕(惠恭王) 때 진표율사(眞表律師)가 강원도 고성(高城) 설악산(雪嶽山) 북쪽 기슭에 건립한 비구니 사찰. 본래 이름은 화암사(華巖寺)이며 1864년(고종 1) 이전하여 중건한 뒤 수암사(穗岩寺)로 개칭했다가 1912년 화암사(禾巖寺)로 고침.
769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고성 , 유적>건물>사찰
-
수암선생유고(守庵先生遺稿) - 수암유고(守庵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박지화(朴枝華)의 문집. 1684년(숙종 10) 용강 현령(龍岡縣令) 김구(金構)가 2권 1책 목판으로 간행함.
168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용강 , 문헌>서명
-
수암자(需菴子) - 소현(蕭顯)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진녕동지(鎭寧同知)ㆍ복건안찰첨사(福建按察僉事) 등을 지냈으며, 만년에 산해관(山海關) 위춘산(圍春山)의 별장에서 시서(詩書)로 소일하며 여생을 보냄.
1431~1506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수암집(守庵集) - 수암유고(守庵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박지화(朴枝華)의 문집. 1684년(숙종 10) 용강 현령(龍岡縣令) 김구(金構)가 2권 1책 목판으로 간행함.
168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용강 , 문헌>서명
-
수야(秀野) - 유온(劉韞)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유갑(柳韐)의 동생으로, 조산대부(朝散大夫)를 지내고, 은거하여 정원의 화목(花木)을 즐기며 시를 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수약(守約)@홍수약 - 홍수약(洪守約)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부림(缶林). 홍하량(洪河量)의 아버지로, 장사랑(將仕郞)에 오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수약(守約) - 이굉조(李閎祖)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임계 주부(臨桂主簿)ㆍ광서안무사(廣西安撫使)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수양(睢陽) - 장순(張巡)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장수. 안녹산(安祿山)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수양 태수(睢陽太守) 허원(許遠), 부하인 남제운(南霽雲), 뇌만춘(雷萬春) 등과 함께 수양성(睢陽城)을 지키다가 전사함. 양주 대도독(揚州大都督)에 추증됨.
708~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수양(隋煬) - 양제(煬帝)
중국 수(隋)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604~618. 문제(文帝)의 둘째 아들로 형과 아버지를 살해하고 즉위함. 만리장성을 수축하고,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대패함.
569~618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수양(首陽)@숙제 - 숙제(叔齊)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를 치려할 때 형 백이(伯夷)와 함께 말리다가 듣지 않자, 주에서 나는 곡식을 먹는 것도 부끄럽게 여겨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왕자
-
수양(首陽)@해주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수양(首陽) - 백이(伯夷)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고죽군(孤竹君)의 아들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叔齊)와 더불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종친
-
수양대군(首陽大君) - 세조(世祖)@조선
조선 제7대 왕. 재위 1455~1468. 세종(世宗)의 둘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아우. 계유정난(癸酉靖難)을 통해 집권한 후 국방ㆍ외교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방면의 개혁을 추진함.
1417~14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수양서원(首陽書院) - 문헌서원(文憲書院)
황해도 해주(海州)에 있는 서원. 조선 명종(明宗) 때 주세붕(周世鵬)이 건립하고 사액(賜額)을 받았으며, 최충(崔冲)을 배향함.
154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수양세가(首陽世家) - 윤희평(尹熙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윤길생(尹吉生)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삼포왜란(三浦倭亂) 때 왜적 토벌에 활약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69~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수양원(首陽院) - 문헌서원(文憲書院)
황해도 해주(海州)에 있는 서원. 조선 명종(明宗) 때 주세붕(周世鵬)이 건립하고 사액(賜額)을 받았으며, 최충(崔冲)을 배향함.
154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수양자(睢陽子) - 손복(孫復)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국자감 직강(國子監直講)ㆍ전중승(殿中丞)을 지냈으며, 태산(泰山) 아래에서 문도를 모아 가르치고 글을 저술하여 태산학파(泰山學派)를 이룸. 저서로《수양자집(睢陽子集)》이 있음.
992~105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수양정씨(首陽鄭氏) - 해주정씨(海州鄭氏)
고려 후기에 문하시중 겸 평장사(門下侍中兼平章事)를 지낸 정숙(鄭肅)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집단>성씨
-
수양제(隋煬帝) - 양제(煬帝)
중국 수(隋)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604~618. 문제(文帝)의 둘째 아들로 형과 아버지를 살해하고 즉위함. 만리장성을 수축하고,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대패함.
569~618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수언(秀彦) - 양세영(楊世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첨정(僉正) 양면(楊沔)의 아들로, 상서원 부직장(尙瑞院副直長) 등을 지냄.
1485~153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수언(秀彦)@이수언 - 이수언(李秀彦)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 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며 이선(李選)ㆍ이이명(李頤命)ㆍ이여(李畬)와 함께 대표적인 노론(老論)으로 꼽힘. 청주의 국계사(菊溪祠)에 배향됨.
1636~169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언(粹彦) - 이수언(李粹彦)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손(李蓀)의 아들로, 성종 때 야인(野人)이 변경을 침범하자 허종(許琮)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전공을 세우고, 교리(校理) 등을 지냄.
1457~149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수언(粹言) - 이정전서(二程全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글을 총괄하여 편집한 책. 유서(遺書)ㆍ외서(外書)는 주희(朱熹)가 편집하고, 수언(粹言)ㆍ경설(經說)ㆍ문집(文集) 등은 양시(楊時)가 정정(訂定)하여, 1606년 서필달(徐必達)이 간행함.
160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수연(守淵) - 이수연(李守淵)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예학(禮學)과 이기설(理氣說)에 밝고 시문(詩文)에도 능하였으며, 이황(李滉)의 학문을 정리하여 《퇴계선생속집(退溪先生續集)》을 편찬함.
1693~17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수연(粹然)@강온 - 강온(姜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영숙(姜永叔)의 아들로, 이조 좌랑(吏曺佐郞) 등을 지냄.
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수연(粹然) - 표빈(表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표정명(表貞命)의 아들로, 1520년(중종 1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김해 부사(金海府使) 등을 지냄.
14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수연대군(壽延大君) - 왕규(王珪)@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ㆍ종친. 사재감 직장(司宰監直長) 홍지(洪智)의 장인이며 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 홍경손(洪敬孫)의 외조부. 고려의 왕족으로서 중대광(重大匡)에 오르고, 수연대군(壽延大君)으로 불림.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수영(壽永) - 구수영(具壽永)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무신. 세조(世祖)의 동생 영응대군(永膺大君)의 사위.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등을 지냈고,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연산군의 충복이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아 파직됨.
1456~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수영(守瑛) - 성수영(成守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세순(成世純)의 아들로, 부정(副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수영(守盈) - 오수영(吳守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글씨를 잘 써 금보(琴輔)ㆍ이숙량(李叔樑) 등과 함께 ‘선성삼필(宣城三筆)’이라 불림.
1521~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수영(守英) - 신수영(愼守英)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거창부원군(居昌府院君) 신승선(愼承善)의 아들이자, 연산군(燕山君)의 비(妃)인 거창(居昌) 신씨(愼氏)의 동생. 벼슬이 형조 판서(刑曹判書)에 이르렀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피살됨.
?~150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수영(守英)@이수영 - 이수영(李守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천(醴泉). 이인우(李仁佑)의 아들로,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수오(秀塢) - 이수오(李秀塢)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이엽(李曄)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수오당(守吾堂) - 오한(吳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함양(咸陽). 종제인 덕계(德溪) 오건(吳健)과 함께 조식(曺植)에게서 수학하며 학문에 전념함.
1546~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산음 , 인명>문사>문인
-
수옥(漱玉) - 이청조(李淸照)
중국 송(宋) 나라의 여류 문인. 이격비(李格非)의 딸로, 시문(詩文)에 뛰어나 명성을 떨쳤으며, 저서에 《수옥집(漱玉集)》이 있음.
1084~115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수옥동정사(漱玉洞精舍) - 옥동정사(玉洞精舍)
조선 명종(明宗) 때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이 고향인 경상도 합천(陜川) 천곡(泉谷) 수옥동(漱玉洞)에 건립한 정사(精舍). 1552년(명종 7) 건립하여 강학지(講學地)로 삼음.
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누정
-
수온(守溫) - 김수온(金守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신. 세종ㆍ세조(世祖) 때 편찬 및 국역 사업에 공헌하고, 특히 시문에 뛰어나 〈희청부(喜晴賦)〉는 명 나라에까지 알려짐.
1410~14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수옹(壽翁)@유순선 - 유순선(柳順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호조 참판(戶曹參判) 유유(柳柔)의 아들이며, 유종선(柳從善)의 형으로,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ㆍ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16~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수옹(壽翁)@윤삼산 - 윤삼산(尹三山)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윤곤(尹坤)의 아들이며, 성종(成宗)의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조부. 세조의 즉위를 도와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문장ㆍ글씨ㆍ그림에 능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수옹(壽翁)@이겸인 - 이겸인(李兼仁)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양성(李養性)의 아들로, 단성 현감(丹城縣監) 등을 지냄. 외손 김구(金絿)가 지은 묘갈음기(墓碣陰記)가 《자암집(自菴集)》에 실려 있음.
1412~147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수옹(壽翁) - 김인령(金引齡)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숙원장씨(淑媛張氏) 문제를 간언한 일에 관련되어 임실(任實)에 유배되어 죽음.
1462~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수옹(壽翁)@진역 - 진역(陳櫟)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송(宋) 나라가 멸망한 뒤 은거하면서 주희(朱熹)를 종주(宗主)로 삼고 저술에 전념함.
1252~133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수옹(壽翁)@허교 - 허교(許喬)@조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문신ㆍ학자인 허목(許穆)의 아버지로, 포천 현감(泡川縣監) 등을 지냄.
1567~163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수옹(壽翁)@조금호 - 조금호(趙金虎)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으로, 생육신(生六臣) 조려(趙旅)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원종일등훈(靖國原從一等勳)을 받고, 내금위 장(內禁衛將) 등을 지냄.
1445~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수옹(壽翁)@최해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수옹(壽翁)@권팽로 - 권팽로(權彭老)
조선 전기의 문신. 관직은 덕릉 참봉(德陵參奉) 등을 역임함. 구봉령(具鳳齡)의 외종조(外從祖)로, 구봉령에게 5년 동안 《소학(小學)》등을 가르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수옹(守翁) - 홍윤성(洪允成)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회인(懷仁).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적극 가담하고 세조(世祖)의 즉위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도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25~14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산ㅣ충청도>회인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수옹(睡翁)@신용개 - 신용개(申用漑)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명(明) 나라에 가서 고명(誥命)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3~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수옹(睡翁) - 송갑조(宋甲祚)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아버지로, 광해군 때 서궁(西宮)에 유폐된 인목대비(仁穆大妃)를 배알하였다가 유적(儒籍)에서 삭제되었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 등을 지냄.
1574~162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수옹(睡翁)@정여창 - 정여창(鄭汝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종성(鍾城)으로 유배가서 죽음. 성리학의 대가로 경사(經史)에 통달함.
1450~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수옹(睡翁)@이세응 - 이세응(李世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으로, 사재감 부정(司宰監副正) 이계통(李季通)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평안도 관찰사 등을 지냄.
1473~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수옹(粹翁) - 한계순(韓繼純)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함경 감사(咸鏡監司) 한혜(韓惠의 아들.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리는 데 공을 세워 익대공신(翼戴功臣)에 책록되고,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31~14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수옹(遂翁) - 권상하(權尙夏)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ㆍ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이이(李珥)를 조종(祖宗)으로 하여 송시열에게 계승된 기호학파(畿湖學派)를 이끎.
1641~17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수와(睡窩) - 이호민(李好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명(明) 나라의 군대를 불러오는 데 기여함. 적서(嫡庶)의 구별 없이 장자를 옹립하자는 입장론(立長論)을 주장함.
1553~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완(秀莞) - 이수완(李秀莞)
조선 전기의 문신.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수왕(壽王) - 영종(寧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13대 황제. 재위 1194~1224. 국정운영이 미숙하여 충분한 준비 없이 금(金) 나라를 공격했다가 패하여 금 나라와 백질지국(伯侄之國)이라는 굴욕적인 외교관계를 맺고 조공을 늘리는 수모를 당함.
1168~122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수왕(壽王)@이모 - 이모(李瑁)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열여덟째 아들. 무혜비(武惠妃)의 소생으로, 검남절도사(劍南節度使) 등을 지냈으나, 자신의 비(妃)였던 양귀비(楊貴妃)를 현종에게 빼앗김.
?~77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수왕(秀王) - 조자칭(趙子偁)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의 생부. 효종이 즉위하여 수왕(秀王)으로 추존됨.
?~114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수왕(首王) - 수로왕(首露王)
금관가야(金官伽倻)의 시조. 재위 42~199. 관직을 정비하고 도읍을 정하여 국가의 기틀을 확립함. 《삼국유사(三國遺事)》〈가락국기(駕洛國記)〉에 탄생과 치적에 관한 기사가 전함. 김해김씨(金海金氏)의 시조.
?~199 한국>가야 , 경상도>김해 , 인명>왕실>국왕
-
수우(守愚) - 김윤명(金允明)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현감 김박(金博)의 아들로, 1568년(선조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안음 현감(安陰縣監) 등을 지냈으며, 유성룡(柳成龍)ㆍ정사성(鄭士誠)과 교유함.
1545~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수우(守愚)@최영경 - 최영경(崔永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 정구(鄭逑)ㆍ김우옹(金宇顒) 등과 교유함.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 때 유령 인물인 길삼봉(吉三峯)으로 무고되어 정철(鄭澈)의 국문을 받다가 옥사(獄死)함.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수우당(守愚堂) - 최영경(崔永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 정구(鄭逑)ㆍ김우옹(金宇顒) 등과 교유함.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 때 유령 인물인 길삼봉(吉三峯)으로 무고되어 정철(鄭澈)의 국문을 받다가 옥사(獄死)함.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수운(水雲) - 최제우(崔濟愚)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종교인. 본관은 경주(慶州). 동학(東學)의 창시자로, 풍수사상과 유(儒)ㆍ불(佛)ㆍ선(仙)의 교리를 토대로 하여 인내천(人乃天)을 주장함.
1824~186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ㅣ경상도>양산ㅣ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동학교인
-
수운재(水雲齋) - 최제우(崔濟愚)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종교인. 본관은 경주(慶州). 동학(東學)의 창시자로, 풍수사상과 유(儒)ㆍ불(佛)ㆍ선(仙)의 교리를 토대로 하여 인내천(人乃天)을 주장함.
1824~186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ㅣ경상도>양산ㅣ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동학교인
-
수운정(水雲亭) - 조희(曺禧)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보문각 태학사(寶文閣太學士) 조순(曺純)의 7대손이며, 조숙덕(曺淑德)의 아들.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냄.
1490~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수원(壽元)@민수원 - 민수원(閔壽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1511년(중종 6)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군기시 정(軍器寺正)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수원(壽元) - 이향령(李享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손자인 하원군(河原君) 이정(李鋥)의 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宣祖)를 호종하여 익성군(益城君)에 진봉(進封)되었으며,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거제도(巨濟島)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음.
1566~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수원(壽元)@이수원 - 이수원(李壽元)
조선 전기의 종친.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신수린(申壽麟)의 맏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수원(守元) - 이수원(李守元)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광양군(光陽君) 이세좌(李世佐)의 아들.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ㆍ산릉도감 낭청(山陵都監郞廳) 등을 지냄.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함경도 북청으로 유배되었다가 처형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수원(守元)@조수원 - 조수원(曺守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 조석문(曺錫文)의 손자. 충좌위 부사맹(忠佐衛副司猛)을 지냄.
1487~150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수원(秀遠) - 정재륜(鄭載崙)
조선 제17대 효종(孝宗)의 부마. 본관은 동래(東萊). 영의정 정태화(鄭太和)의 아들로 좌의정 정치화(鄭致和)에게 출계하여 효종의 다섯째 딸인 숙정공주(淑靜公主)와 혼인함.
1648~17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ㅣ인명>문사>문인
-
수원(粹元) - 효현왕후(孝顯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비(妃). 본관은 안동(安東). 영흥부원군(永興府院君) 김조근(金祖根)의 딸로, 왕후가 된지 2년 뒤에 병으로 죽어 경릉(景陵)에 안치됨.
1828~184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수원(粹源) - 심수원(沈粹源)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손자이며, 감찰(監察)을 지낸 심열(沈說)의 아버지. 부사용(副司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무신
-
수원곶(水源串) - 군옥대(群玉臺)
강원도 고성(高城)에 있는 바위 이름. 금강산(金剛山)의 산줄기가 뻗어나간 것으로, 구사맹(具思孟) 등 많은 시인들이 시재(詩材)로 삼아 작품을 남김.
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수원군(水原君) - 백휘(白揮)
고려 목종(穆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무신. 목종 때 대사마대장군(大司馬大將軍)으로 수원군(水原君)에 봉해지고, 문종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수원성(水原城) - 화성(華城)
조선 정조(正祖) 때 경기도 수원(水原)에 단순히 토축(土築)되어 있던 읍성(邑城)에 성곽을 새로이 축조한 성. 정조는 아버지인 사도세자(思悼世子)를 위하여 화성 가꾸기에 주력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유적>시설>성,진,책
-
수월당(睡月堂) - 양이하(梁以河)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제주(濟州). 양담(梁湛)의 아들이며,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버지. 능성(綾城)에 살 때 흥학육영(興學育英)에 힘쓰고, 문자수(文自修)ㆍ민회삼(閔懷參) 등과 함께 읍규(邑規) 등을 재정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유학
-
수월도량공화불사여환빈주몽중문답(水月道場空花佛事如幻賓主夢中問答) - 불사문답(佛事問答)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인 나암(懶菴) 보우(普雨)의 저서. 목판본. 1책. 도인(道人)과 객(客)이 꿈결에 문답하는 형식으로 불사(佛事)의 요체를 설명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수유(須臾)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수유고산(水流高山) - 고산유수(高山流水)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악공 백아(伯牙)가 고산유수곡(高山流水曲)을 타자 그의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진실로 그 뜻을 이해하였다는 데서 나온 고사. 음악을 감상하는 능력이 뛰어남을 비유하거나 지기(知己)를 비유할 때, 또는 미묘한 음악, 특히 거문고 소리를 비유하는 말로 쓰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수윤(壽胤) - 김수윤(金壽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경상우도 병마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 김일(金軼)의 아버지로, 연안 교수(延安敎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수은(唾隱) - 권진(權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인품이 강직하여 이이첨(李爾瞻)에게 아부하지 않아 여러 번 탄핵을 받았고,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고관(高官)들이 모두 도주했지만 홀로 조정과 대궐을 호위해 많은 공을 세움.
1572~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수은(樹隱) - 김충한(金冲漢)
고려 후기의 유학.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출사(出仕)하지 않고 충절을 지킨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 한 사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유학
-
수은(睡隱) - 강항(姜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으로 활약하다 일본에 잡혀간 뒤 성리학을 전파하여, 일본 주자학의 개조가 된 등원성와(藤原醒窩)에게 학문적 영향을 미침.
1567~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수은(睡隱)@이사필 - 이사필(李士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공려(李公礪)의 아들로, 명종 때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성주 목사(星州牧使) 재임 중에 기민 구제와 전염병 퇴치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수이(守伊) - 기화(己和)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승려. 최치원(崔致遠)이 주장했던 불교(佛敎)ㆍ유교(儒敎)ㆍ도교(道敎)의 삼교일치설(三敎一致說)을 전개함.
1376~14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종교인>승려
-
수이(守而)@조한영 - 조한영(曺漢英)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이식(李植)ㆍ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인조실록(仁祖實錄)》의 편찬에 참가하고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지냄.
1608~167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이(守而) - 유여각(柳汝恪)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참찬(參贊) 유간(柳澗)의 아들로, 1613년(광해군 5)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래 부사(東萊府使)ㆍ강계 부사(江界府使) 등을 지냄.
15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익(受益) - 권수익(權受益)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권운(權雲)의 아버지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수익(壽益) - 성수익(成壽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장흥고 영(長興庫令)을 지낸 성예원(成禮元)의 아들.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원종공신(光國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비를 호종함.
1528~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수인(壽仁) - 김수인(金壽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유학 김언백(金彦伯)의 아버지로, 선무랑(宣務郞)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수인(守仁) - 김수인(金守仁)
조선 전기의 문신. 좌의정을 지낸 김명원(金命元)의 아들로, 별좌(別坐)를 지내다가 요절함. 윤근수(尹根壽)가 지은 애사(哀詞)가 《월정집(月汀集)》에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수인(守仁)@이준의아버지 - 이수인(李守仁)@이준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인 이준(李埈)ㆍ이전(李㙉)의 아버지. 사섬시 주부(司贍寺主簿)를 지내고, 후에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수인(守仁)@왕수인 - 왕수인(王守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ㆍ문신. 양명학(陽明學)의 창시자. 심성론(心性論)으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철학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침.
1472~152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수인(守仁)@이옥의아들 - 이수인(李守仁)@이옥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손자이며, 옥천군(玉泉君) 이옥(李沃)의 아들로, 봉림수(鳳林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수인(守訒) - 이수인(李守訒)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이행(李荇)과 함께 충주(忠州)로 유배되었다가 다시 거제도(巨濟島)로 이배(移配)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경상도>거제 , 인명>관인>문신
-
수일(受一) - 하수일(河受一)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진주(晉州).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내고, 문장(文章)과 사장(詞章)이 뛰어났으며 권제(權濟)ㆍ손천우(孫天祐) 등과 교유함.
1553~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수일(守一) - 김수일(金守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학문과 후진교육에 전념하였음.
1528~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수잠(秀岑) - 유온(劉韞)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유갑(柳韐)의 동생으로, 조산대부(朝散大夫)를 지내고, 은거하여 정원의 화목(花木)을 즐기며 시를 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