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수잠(秀岑)@안수잠 - 안수잠(安秀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전함사 별좌(典艦司別坐)를 지낸 안범(安範)의 아들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를 지냄.
148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수장(壽長)@이의손의아들 - 이수장(李壽長)@이의손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현손이자, 연강수(連江守) 이의손(李義孫)의 아들이며, 안처겸(安處謙)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수장(壽長)@이혼의아들 - 이수장(李壽長)@이혼의아들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이혼(李渾)의 아들이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이기(李巙)의 아버지. 충좌위 부사과(忠佐衛副司果)ㆍ충좌위 대호군(忠佐衛大護軍)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무신
-
수장(秀樟) - 박수장(朴秀樟)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현감(縣監)을 지낸 박형간(朴亨幹)의 아버지로, 어모장군(禦侮將軍)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수장(粹章) - 배수장(裵粹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한 배한휘(裵澣輝)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수재(水齋) - 권상하(權尙夏)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ㆍ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이이(李珥)를 조종(祖宗)으로 하여 송시열에게 계승된 기호학파(畿湖學派)를 이끎.
1641~17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수재(睡齋)@구수복 - 구수복(具壽福)
조선 중종(中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협조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며, 후에 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역임함. 김정(金淨)과 도의(道義)로써 사귀고, 경학(經學)에 몰두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
1491~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재(睡齋) - 유인귀(柳仁貴)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사간(司諫)을 지낸 유문통(柳文通)의 아들. 봉상시 정(奉常寺正)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냄.
1463~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수재(睡齋)@최응현 - 최응현(崔應賢)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중종(中宗) 때의 인물인 최세도(崔世道)ㆍ최세절(崔世節)ㆍ최세충(崔世忠) 형제의 아버지로,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양친(養親) 등을 이유로 대부분 사임함.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428~150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수재(秀才)@성수재 - 성수재(成秀才)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증직된 이교(李嶠)의 장인으로, 절도사(節度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수재(秀才) - 주윤창(周允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유학(遊學)하였음. 1480(성종 11) 친시(親試)에 급제하였고,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수전(秀荃) - 이수전(李秀荃)
조선 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네 번째 서자인 영양군(永陽君) 이거(李岠)의 양자로, 선조(宣祖) 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수정(修靜) - 육수정(陸修靜)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명제(明帝) 때의 도사. 효무제(孝武帝) 때 여산(廬山)에 은거하여 도잠(陶潛)ㆍ혜원(慧遠) 등과 교유했다고 하며, 명제 때 초빙되어 도교(道敎) 경전을 정리함. ‘호계삼소(虎溪三笑)’의 고사로 유명함.
406~4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수정(壽定) - 이수정(李壽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둘째 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수정(守正) - 박사걸(朴士傑)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이 자(字)를 지어 주면서 쓴 〈자사(字辭)〉가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수정(守正)@신국형 - 신국형(申國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24년(중종 19)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장음정유고(長吟亭遺稿)》에 나식(羅湜)의 송별시(送別詩)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수정(守貞) - 이수정(李守貞)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광양군(光陽君) 이세좌(李世佐)의 아들이며 이준경(李浚慶)의 아버지.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ㆍ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 등을 지냄.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처형됨.
1477~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정(秀亭) - 임수정(林秀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임적(林頔)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수정사(水精寺) - 오대사(五臺寺)
고려 인종(仁宗) 때 진억선사(津億禪師)가 지리산(智異山)의 남쪽에 건립한 사찰. 무량수불(無量壽佛)를 모심.
1129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사찰
-
수정사(水精社) - 오대사(五臺寺)
고려 인종(仁宗) 때 진억선사(津億禪師)가 지리산(智異山)의 남쪽에 건립한 사찰. 무량수불(無量壽佛)를 모심.
1129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사찰
-
수제(水帝) - 전욱(顓頊)
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삼황오제(三皇五帝) 중의 한 사람. 황제(黃帝)의 손자이며 창의(昌意)의 아들로, 천하를 잘 다스려 명군(明君)으로 이름이 높았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수제(隋帝) - 양제(煬帝)
중국 수(隋)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604~618. 문제(文帝)의 둘째 아들로 형과 아버지를 살해하고 즉위함. 만리장성을 수축하고,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대패함.
569~618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수조(水曹)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수졸재(守拙齋) - 이우민(李友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오봉공(五峯公) 이호민(李好閔)의 큰형으로, 1546년(명종 1)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수종(守琮) - 성수종(成守琮)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성세순(成世純)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이라 하여 과방(科榜)에서 삭제된 후 벼슬에 뜻을 버리고 청빈하게 살음.
1495~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
-
수주(守株) - 수주대토(守株待兎)
나무의 그루터기를 지켜보며 토끼가 나오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융통성 없이 어리석고 완고함을 비유함. 《한비자(韓非子)》 〈오두편(五蠹篇)〉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수주(水州) - 수원(水原)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능(陵)이 수원 읍치의 진산인 화산(華山)에 있음.
경기도>수원 , 지명>행정지명
-
수주(遂州) - 수안(遂安)
황해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시대에 몽고군(蒙古軍)과 거란군(契丹軍)에게 자주 침략을 당한 고을 중의 하나.
황해도>수안 , 지명>행정지명
-
수주촌(水酒村) - 예천(醴泉)
경상북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농산물 집산지로 발달한 교통의 중심지이며, 예로부터 활의 생산지로 유명함. 고려 신종(神宗) 때 남도초토사(南道招討使) 최광의(崔光義)가 이곳에서 동경적(東京賊)을 크게 토벌함.
경상도>예천 , 지명>행정지명
-
수주현(水酒縣) - 예천(醴泉)
경상북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농산물 집산지로 발달한 교통의 중심지이며, 예로부터 활의 생산지로 유명함. 고려 신종(神宗) 때 남도초토사(南道招討使) 최광의(崔光義)가 이곳에서 동경적(東京賊)을 크게 토벌함.
경상도>예천 , 지명>행정지명
-
수죽(水竹) - 정창연(鄭昌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유길(鄭惟吉)의 아들로,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614년(광해군 6)에 영창대군(永昌大君)에 대한 상소로 위험에 처한 정온(鄭蘊)을 변호하고, 폐모(廢母) 논의가 일자 두문불출하다가 인조반정 이후 복직함.
1552~163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수준(壽俊) - 이수준(李壽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청강(淸江) 이제신(李齊臣)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 때 왜적을 방어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정조사(正朝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던 중 병사(病死)함.
1559~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준(壽濬) - 김수준(金壽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에 급제했으며, 정사룡(鄭士龍)의 문집 《호음잡고(湖陰雜稿)》에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수증(壽增) - 김수증(金壽增)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상헌(金尙憲)의 손자.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동생 김수항(金壽恒)이 죽자 벼슬을 그만두고 화음동(華蔭洞)으로 들어가 은둔함.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1624~1701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수지(受之) - 주숙(朱塾)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 주희(朱熹)의 아들로, 여조겸(呂祖謙)에게 학문을 배웠는데 일찍 죽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수지(受之)@전겸익 - 전겸익(錢謙益)
중국 명(明)~청(淸) 나라의 문신ㆍ문인. 명 나라가 망하자 청조(淸朝)의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이 되어 《명사(明史)》편찬에 참여함. 사후 건륭제(乾隆帝)로부터 불충지신(不忠之臣)으로 비난받아 저서의 판목(版木)이 모두 불태워짐.
1582~1664 중국>청ㅣ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수지(守之)@권태일 - 권태일(權泰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춘계(權春桂)의 아들로, 권춘란(權春蘭)에게 출계함. 구봉령(具鳳齡)ㆍ김언기(金彦璣)의 문인. 1599년(선조 3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등을 지냄. 저서에 《장곡집(藏谷集)》이 있음.
1569~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수지(守之)@진의귀 - 진의귀(陳義貴)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제학(集賢殿提學)ㆍ형조 전서(刑曹典書)를 지냄. 퇴촌(退村) 김열(金閱)의 장인. 김열의 증손 김은경(金殷卿)이 진의귀와 김열의 시를 함께 엮어 《빙옥난고(氷玉亂稿)》를 편찬함.
?~1424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수지(守之)@윤감 - 윤감(尹堪)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ㆍ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하였으며, 《내암집(來庵集)》에 그에 대한 전기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수지(守之) - 당고(唐皐)
조선 중종(中宗) 때 명(明) 나라에서 온 사신(使臣). 1521년(중종 16) 명 나라의 신황제등극반조정사(新皇帝登極頒詔正使)로 다녀감.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수지(粹之) - 세조(世祖)@조선
조선 제7대 왕. 재위 1455~1468. 세종(世宗)의 둘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아우. 계유정난(癸酉靖難)을 통해 집권한 후 국방ㆍ외교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방면의 개혁을 추진함.
1417~14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수지(綏之)@서지 - 서지(徐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宗中) 때의 문신. 공조 판서(工曹判書)ㆍ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를 역임하였으며, 김안로(金安老)가 처형될 때 함께 사사됨.
1468~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수지(綏之)@이수 - 이수(李綏)
조선 전기의 종친.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손자이고, 연창군(延昌君) 이학수(李鶴壽)의 장남. 음악을 좋아하여 훈(壎)과 저(箸)를 잘 연주함.
1527~158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수지(綏之)@이수록 - 이수록(李綏祿)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극강(李克綱)의 아들이자 이경여(李敬輿)의 아버지. 이원익(李元翼)ㆍ정엽(鄭曄) 등과 교유하고,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지냄. 1617년(광해군 9)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모론이 대두하자 사직하고 슬퍼하다 죽음.
1564~162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지(綏之) - 김수(金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25년(중종 2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무예에도 뛰어났음.
1491~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수지의(首知衣) - 우봉(牛峯)
황해도 남동쪽에 있던 옛 고을 이름. 1651년(효종 2)에 강음(江陰)과 병합하여 금천(金川)으로 개명함. 현재 황해북도 금천군(金川郡)에 속함.
황해도>우봉 , 지명>행정지명
-
수진(守眞) - 이수진(李守眞)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정주(貞州)로, 사재경(司宰卿)을 지낸 이세화(李世華)의 맏아들. 남원부 통판(南原府通判)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수진(守陳) - 양수진(楊守陳)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헌종(憲宗) 때 《문화대훈(文華大訓)》을 편찬하고, 효종 때 《헌종실록(憲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이부 우시랑(吏部右侍郞) 등을 역임함.
1425~148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수진(守震) - 이수진(李守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감(李克堪)의 손자이며, 이세걸(李世傑)의 아들로, 삼가 현감(三嘉縣監) 등을 지냄.
1482~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관인>문신
-
수진(秀珍) - 최수진(崔秀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ㆍ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 등을 지냄.
1478~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수창(壽昌) - 임수창(林壽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성종 때 밀양 부사(密陽府使)로 선정을 베풀고, 공조 참의(工曹參議)ㆍ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냄.
1426~150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수채(守蔡) - 오수채(吳守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창(高敞).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낸 오충학(吳沖鶴)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수채(遂采) - 오수채(吳遂采)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병조 판서를 지낸 오도일(吳道一)의 아들이며 윤증(尹拯)의 문인으로, 대사헌을 지냄. 이돈(李墪)ㆍ엄집(嚴緝)이 증편한 《송도지(松都誌)》를 보완하여 1757년(영조 33)에 《속지(續志)》 1권을 펴냄.
1692~175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수천(壽千)@유수천 - 유수천(柳壽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유잠(柳潛)의 아버지로, 내자시 판관(內資寺判官)ㆍ귀후서 별제(歸厚署別提)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수천(壽千) - 민수천(閔壽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문장에 능하여 사유(師儒)의 직임을 오랫동안 담당하였으며, 강원도 관찰사ㆍ황해도 관찰사ㆍ대사성 등을 역임함.
?~153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수천(壽泉) - 윤수천(尹壽泉)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예천 군수(醴泉郡守)를 지낼 때 쾌빈루(快賓樓)를 중수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수천(粹天) - 윤국형(尹國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희렴(尹希廉)의 아들. 임진왜란 때 왜적 방어에 실패하여 파직되고, 재기용된 뒤 난리 후의 혼란한 업무들을 처리함.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543~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천군(秀泉君) - 이정은(李貞恩)
조선 태종(太宗)의 아들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둘째 아들. 음률(音律)과 시(詩)에 뛰어나고 청담파(淸談派)의 일원이 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수천도정(秀川都正) - 이정은(李貞恩)
조선 태종(太宗)의 아들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둘째 아들. 음률(音律)과 시(詩)에 뛰어나고 청담파(淸談派)의 일원이 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수천부정(秀川副正) - 이정은(李貞恩)
조선 태종(太宗)의 아들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둘째 아들. 음률(音律)과 시(詩)에 뛰어나고 청담파(淸談派)의 일원이 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수철(壽鐵) - 이수철(李壽鐵)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셋째 아들로, 계성군(桂城君) 이순(李恂)의 후사로 출계(出系)함.
1515~156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수철(守哲) - 이수철(李守哲)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우생(李遇生)의 아들이며, 한산군(漢山君) 이손(李蓀)의 아버지로,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수초(守初)@조존성 - 조존성(趙存性)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창원(趙昌遠)의 아버지로, 성혼(成渾)ㆍ박지화(朴枝華)의 문하에서 수학함. 강화 부사(江華府使) 등 외직 재임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으며,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554~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초(守初) - 송순(宋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냈으며, 면앙정가단(俛仰亭歌壇)의 창설자이자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선구자로서, 조선 시가문학(詩歌文學)에 크게 기여함.
1493~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수초(豎貂) - 수조(豎刁)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 때의 환관. 환공(桓公)이 죽은 뒤 역아(易牙)ㆍ개방(開方) 등과 함께 제(齊) 나라를 혼란에 빠뜨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수초(遂初)@진복창 - 진복창(陳復昌)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이자 간신. 본관은 여양(驪陽).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윤원형(尹元衡)의 심복으로서 사람들을 죽여 사관(史官)으로부터 독사(毒蛇)라는 별명을 얻었고, 1550년(명종 5)에는 스승인 구수담(具壽聃)까지 역적으로 죽게 하여 극적(極賊)이라는 혹평을 얻음.
?~15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수초(遂初)@정복현 - 정복현(鄭復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우후(虞侯) 정신(鄭愼)의 아들. 정희보(鄭希輔)ㆍ조식(曺植)의 문인으로 노진(盧禛)ㆍ양희(梁喜) 등과 교유함.
1521~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수초(遂初)@이복선 - 이복선(李復善)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이시원(李始元)의 아들로, 1474년(성종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사(監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수초(遂初)@이원경 - 이원경(李元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계원군(桂原君) 이의(李艤)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세자시강원 사서(世子侍講院司書) 등을 역임함.
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초(遂初) - 송순(宋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냈으며, 면앙정가단(俛仰亭歌壇)의 창설자이자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선구자로서, 조선 시가문학(詩歌文學)에 크게 기여함.
1493~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수초거사(遂初居士) - 우무(尤袤)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문신. 태상소경(太常少卿) 등의 벼슬을 역임했고, 범성대(范成大)ㆍ육유(陸游)ㆍ양만리(楊萬里) 등과 남송사가(南宋四家)라 칭송됨.
1127~120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수촌상공(睡村相公) - 이여(李畬)@1645
조선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식(李植)의 손자로,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에 면직되었으며, 갑술환국(甲戌換局)에 적극 참여하여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발탁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함.
1645~17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수추(秀酋) - 풍신수길(豊臣秀吉)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武將). 16세기에 직전신장(織田信長)의 뒤를 이어 일본의 전국 통일을 이룩하고, 조선을 침략해 임진왜란을 일으킴.
1536~1598 일본>도산시대ㅣ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수춘(壽椿) - 박수춘(朴壽椿)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모재집(慕齋集》에 박감(朴敢)ㆍ권은(權殷) 등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字)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수춘군(壽春君)@이수산 - 이수산(李壽山)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수안(遂安). 충혜왕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공민왕(恭愍王) 때 동북면 도순문사(東北面都巡問使)로 나가 여진(女眞)을 평정하고 경계를 정했으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376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수춘부원군(壽春府院君) - 이수산(李壽山)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수안(遂安). 충혜왕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공민왕(恭愍王) 때 동북면 도순문사(東北面都巡問使)로 나가 여진(女眞)을 평정하고 경계를 정했으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376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수춘후(壽春侯) - 왕원(王沅)
고려 후기의 종친. 현종(顯宗)의 아들 평양공(平壤公) 왕기(王基)의 5대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수충(守忠) - 정수충(鄭守忠)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경사(經史)에 박통하여 환관(宦官)들을 교육하기 위해 선발됨. 세조의 등극을 도와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제학(提學)으로서 하원군(河原君)에 봉해진 뒤 좌찬성(左贊成)에 이름.
1401~14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輸忠竭誠決機效力奮武功臣) - 분무공신(奮武功臣)
조선 영조(英祖) 4년에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준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분류하여 오명항(吳命恒)ㆍ조현명(趙顯命) 등 모두 15명에게 내림.
1728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수충갈성분무공신(輸忠竭誠奮武功臣) - 분무공신(奮武功臣)
조선 영조(英祖) 4년에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준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분류하여 오명항(吳命恒)ㆍ조현명(趙顯命) 등 모두 15명에게 내림.
1728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수충갈성효력분무공신(輸忠竭誠效力奮武功臣) - 분무공신(奮武功臣)
조선 영조(英祖) 4년에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준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분류하여 오명항(吳命恒)ㆍ조현명(趙顯命) 등 모두 15명에게 내림.
1728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수충경절좌익공신(輸忠勁節佐翼功臣) - 좌익공신(佐翼功臣)
조선 세조(世祖) 1년에 단종(端宗)을 퇴위시키고 세조를 즉위하게 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신숙주(申叔舟)ㆍ한명회(韓明澮) 등 총 44명에게 내렸으며, 사육신(死六臣) 사건 이후 41명으로 축소됨.
1455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수충보사병기정난익대공신(輸忠保社炳幾定難翊戴功臣) - 익대공신(翊戴功臣)
조선 예종(睿宗) 즉위년에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분류하여 유자광(柳子光)ㆍ신숙주(申叔舟) 등 총 36명에게 내림.
1468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수충보사정난익대공신(輸忠保社定難翊戴功臣) - 익대공신(翊戴功臣)
조선 예종(睿宗) 즉위년에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분류하여 유자광(柳子光)ㆍ신숙주(申叔舟) 등 총 36명에게 내림.
1468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수충위사동덕좌익공신(輸忠衛社同德佐翼功臣) - 좌익공신(佐翼功臣)
조선 세조(世祖) 1년에 단종(端宗)을 퇴위시키고 세조를 즉위하게 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신숙주(申叔舟)ㆍ한명회(韓明澮) 등 총 44명에게 내렸으며, 사육신(死六臣) 사건 이후 41명으로 축소됨.
1455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수친당(壽親堂) - 백미량(白眉良)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대흥(大興). 임진왜란 때 공이 큰 백현룡(白見龍)의 아버지. 1525년(중종 2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0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유학
-
수침(守琛) - 성수침(成守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아버지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벼슬을 단념하고 경서 공부에 전념함. 그 문하에서 많은 석학들이 배출됨.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
-
수포석죽(須苞石竹) - 석죽화(石竹花)
패랭이꽃.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 어떤 장사(壯士)가 석령(石靈)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 6~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음. 《동문선(東文選)》에 실린 정습명(鄭襲明)의 시가 유명함.
자연물>식물
-
수학(邃學) - 강수학(康邃學)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승의랑(承議郞) 강권(康錈)의 아들로, 안동 부사(安東府使)ㆍ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냄.
161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수한(壽鷴) - 이수한(李壽鷴)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맏아들이며, 이걸(李傑)ㆍ이탁(李倬)ㆍ이준(李俊)ㆍ이위(李偉)ㆍ이경(李儆)ㆍ이현(李俔)의 아버지로, 용천군(龍川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수함(守諴) - 조수함(趙守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의영고 영(義盈庫令) 조성(趙晟)과 장수 현감(長水縣監) 조욱(趙昱)의 아버지로, 정주 판관(定州判官) 등을 지냄.
1471~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함(守諴)@노수함 - 노수함(盧守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수항(壽恒) - 김수항(金壽恒)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상헌(金尙憲)의 손자로 가학(家學)을 계승하고 송시열(宋時烈)과 교유함. 노론의 영수로서 기사환국으로 인한 남인의 재집권 때 사사됨. 시문에 뛰어나고 그의 변려문(騈儷文)은 당대 제일로 꼽힘.
1629~16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해(竪亥) - 수해(豎亥)
중국 고대 우(禹) 임금 때의 인물. 걸음이 빨라서 우 임금이 그에게 동극(東極)에서 서극(西極), 또는 남극(南極)에서 북극(北極)까지의 걸음 수를 헤아리게 했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수헌(守軒) - 강숙경(姜叔卿)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강맹경(姜孟卿)의 동생.
1428~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수헌(睡軒) - 권오복(權五福)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이라 하여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일손(金馹孫)ㆍ권경유(權景裕) 등과 함께 극형에 처해짐.
1467~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수헌선생시집(睡軒先生詩集) - 수헌집(睡軒集)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권오복(權五福)의 문집. 1585년(선조 18)에 달성 부사(達城府使)로 있던 후손 권문해(權文海)에 의해 3권 2책 목판본으로 간행됨.
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문헌>서명
-
수헌시집(睡軒詩集) - 수헌집(睡軒集)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권오복(權五福)의 문집. 1585년(선조 18)에 달성 부사(達城府使)로 있던 후손 권문해(權文海)에 의해 3권 2책 목판본으로 간행됨.
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문헌>서명
-
수현(壽賢) - 김수현(金壽賢)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으로,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김진(金鎭)의 아들. 《선조실록(宣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병자호란 때에는 끝까지 척화(斥和)를 주장함.
1565~165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수현문(守玄文) - 태현경(太玄經)
중국 한(漢) 나라의 사상가 양웅(揚雄)이 《주역(周易)》을 본떠 지은 책. 10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