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수형(壽亨) - 김수형(金壽亨)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김사(金嗣)의 아들로, 참봉(參奉)ㆍ주부(主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수혜(秀蕙) - 이수혜(李秀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한 번째 서자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손자이며, 영안정(永安正) 이학수(李鶴壽)의 아들.
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수홍(守弘)@오수홍 - 오수홍(吳守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창(高敞).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낸 오충학(吳沖鶴)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수홍(守弘) - 정수홍(鄭守弘)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가종(鄭可宗)의 아들로,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권근(權近)ㆍ하륜(河崙)ㆍ성석린(成石璘) 등과 교유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수홍(粹洪) - 김수홍(金粹洪)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천(順天). 선공감 정(繕工監正)을 지낸 김약균(金若鈞)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수환(壽環) - 이수환(李壽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첫째 아들.
1508~156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수황(壽皇) - 효종(孝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11대 황제. 재위 1162~1189. 장준(張浚)에게 명하여 금(金)을 정벌하려 했지만 실패하자 금과 숙질(叔姪) 관계로 화의(和議)를 맺음. 내정(內政) 개혁을 실시해 강남(江南)의 개발이 진척되어 북송(北宋)을 능가하는 번영을 이룸.
1127~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수효(壽㹲) - 이수효(李壽㹲)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넷째 아들이며, 양성군(陽城君) 이륜(李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수효(秀孝) - 황수신(黃守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영의정(領議政) 황희(黃喜)의 아들. 영의정에 오르고, 세조 등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법화경(法華經)》등 불경의 번역을 주관함.
1407~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수흥(壽興) - 김수흥(金壽興)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영의정(領議政)을 지냈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장기(長鬐)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저서에 《퇴우당집(退憂堂集)》 5책이 있음.
1626~169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장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수희(壽禧) - 장수희(張壽禧)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인동(仁同).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산서원(伊山書院)에 배향되었음.
151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숙(俶)@윤숙 - 윤숙(尹俶)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영의정 윤필상(尹弼商)의 아들로, 승정원 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와 판결사(判決事) 등을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아버지의 죄에 연좌되어 억울하게 죽음.
?~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숙(俶) - 이숙(李俶)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첫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숙(俶)@성숙 - 성숙(成俶)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성순조(成順祖)의 아들이며 성준(成俊)의 형으로,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숙(淑)@한숙 - 한숙(韓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당진(唐津)으로, 세마(洗馬) 한근(韓瑾)의 아들. 공조 판서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대윤(大尹)인 윤임(尹任)과 교분이 두텁다 하여 파직되어 이산(理山)에 유배된 뒤 그곳에서 죽음.
1494~156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당진 , 인명>관인>문신
-
숙(淑)@조숙 - 조숙(曺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조승로(曺承老)의 아들. 1540년(중종 35)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시정(寺正)을 지냄. 김인후(金麟厚)ㆍ임운(林芸)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숙(淑)@이숙 - 이숙(李淑)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서제(庶弟)인 의안대군(義安大君) 이화(李和)의 아들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의정부 찬성사(議政府贊成事) 등을 지냄.
1373~14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숙(淑)@유숙 - 유숙(柳淑)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기철(奇轍) 일당을 제거한 공으로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고, 홍건적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충근절의찬화공신(忠勤節義贊化功臣)이 된 뒤 서령군(瑞寧君)에 봉해짐.
1324~136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덕산ㅣ전라도>영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숙(淑)@양숙 - 양숙(梁淑)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양성지(梁誠之)의 손자. 사옹원 정(司饔院正)ㆍ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1471~152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숙(淑)@김숙 - 김숙(金淑)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1454년(단종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현감(縣監)ㆍ부사(府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숙(淑)@홍숙 - 홍숙(洪淑)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홍서주(洪敍疇)의 아버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추성정난공신(推誠定難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작서지변(灼鼠之變)에 연루되어 삭직된 뒤 과천(果川)으로 추방됨.
1464~153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숙(淑)@나숙 - 나숙(羅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나세걸(羅世傑)의 아들이며 나식(羅湜)의 아우. 을사명현(乙巳名賢)의 한 사람으로,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경원(慶源)에 안치되었다가 사사됨.
?~15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비안 , 인명>관인>문신
-
숙(淑) - 왕숙(王淑)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ㆍ종친. 경안궁주(慶安宮主)와 혼인하였다가 뒤에 다시 충렬왕의 딸인 정녕원비(靖寧院妃)와 재혼함. 원(元) 나라에 머물렀던 충선왕의 전지정치(傳旨政治)로 인해 국정을 대행함.
1238~131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숙(淑)@최숙 - 최숙(崔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화순(和順). 세종(世宗) 때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낸 최준(崔濬)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문사>유학
-
숙(淑)@정숙 - 정숙(鄭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청계군(淸溪君) 정윤겸(鄭允謙)의 아들이며, 팔계군(八溪君) 정종영(鄭宗榮)의 아버지. 당진 현감(唐津縣監)을 지내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숙(潚)@유숙 - 유숙(柳潚)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예조 참의ㆍ대사간ㆍ부제학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계부(季父) 유몽인(柳夢寅)의 죄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고산(高山)의 삼현영당(三賢影堂)에 제향됨.
1564~16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숙(潚) - 이숙(李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둘째 아들로, 세종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에게 출계함. 안악 군사(安岳郡事) 허준(許峻)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숙(琡) - 박숙(朴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경연(朴慶延)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숙부인 박경신(朴慶新)ㆍ박경인(朴慶因), 형제, 조카들과 함께 경상도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하여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숙(璹)@최숙 - 최숙(崔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낸 최창손(崔昌孫)의 아들로, 김포 현령(金浦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숙(璹) - 왕숙(王璹)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종친. 현종(顯宗)의 11대손으로, 원(元) 나라 궁정의 세력을 믿고 많은 불법을 저질렀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숙(肅)@권숙 - 권숙(權肅)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문신. 왕후(王煦)의 손자이며 왕중귀(王重貴)의 아들.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상주(上奏)로 복성(復姓)되었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숙(肅)@이숙 - 이숙(李肅)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평창(平昌)으로, 목조(穆祖)의 비(妃)인 효공왕후(孝恭王后)의 아버지. 천우위 장사(千牛衛長史)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숙(肅)@신숙 - 신숙(辛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정언(正言)을 지낸 신건(辛健)의 아버지이고,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낸 강석덕(姜碩德)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숙(肅) - 여택(呂澤)
중국 한(漢) 고조(高祖)의 외척. 황후인 여후(呂后)의 오빠로 유방(劉邦)을 도와 많은 공을 세움.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숙간(叔幹)@홍계정 - 홍계정(洪係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봉상시 부정(奉常寺副正) 홍윤덕(洪潤德)의 아들이며 남녕부원군(南寧府院君) 홍춘경(洪春卿)의 아버지로, 예문관 대교(藝文館待敎) 등을 지냄.
1471~151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숙간(叔幹) - 정충량(鄭忠樑)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정광세(鄭光世)의 아들. 도승지(都承旨)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탄핵을 받고 피척(被斥)됨.
1480~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숙간(肅簡)@윤승길 - 윤승길(尹承吉)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홍언(尹弘彦)의 아들이며,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의 장인. 임진왜란 때 군량미 조달 등 많은 공을 세우고,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숙간(肅簡)@노종도 - 노종도(魯宗道)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명신인 여희철(呂希哲)의 외할아버지로, 정직함으로 인해서 노직(魯直)이라 불리기도 하고 어두참정(魚頭參政)이라 불리기도 함.
966~102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숙간(肅簡)@김첨경 - 김첨경(金添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윤개(尹漑)를 비판하다 죽을죄에 몰린 김규(金虯) 등을 구원하고, 천추사(千秋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역학(易學)과 경학(經學)에 밝음.
1525~15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숙간(肅簡) - 윤봉오(尹鳳五)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윤명운(尹明運)의 아들이며, 윤봉구(尹鳳九)의 아우로, 연잉군(延礽君) 시절의 영조를 측근에서 보필하였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688~176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숙감(淑瑊) - 이숙감(李淑瑊)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말정(李末丁)의 아들. 세조(世祖)가 즉위하자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으로 책록되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숙강(叔剛) - 윤흥의(尹興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임(尹任)의 둘째 아들로,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아버지와 삼형제가 모두 사사됨.
?~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숙강(叔康) - 원숙강(元叔康)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호(元昊)의 손자. 《세조실록(世祖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는데 문젯거리가 될 사초를 빼내어 고쳤다가 사실이 발각되어 처형당함.
?~146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숙강(叔强)@권건 - 권건(權健)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람(權攬)의 아들이며 전성군(全城君)의 장인. 1476년(성종 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아 《성종실록(成宗實錄)》ㆍ《역대명감(歷代名鑑)》의 편찬에 참여함.
1458~15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숙강(叔强) - 이세건(李世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이계완(李季完)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숙개(叔玠) - 왕규(王珪)@당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왕승변(王僧辯)의 손자로, 고조(高祖) 때 태자중사인(太子中舍人)이 되어 이건성(李建成)을 보필하였으나, 이건성이 피살된 후 태종(太宗)이 즉위하자 재기용되어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571~63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숙개(叔蚧) - 왕규(王珪)@당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왕승변(王僧辯)의 손자로, 고조(高祖) 때 태자중사인(太子中舍人)이 되어 이건성(李建成)을 보필하였으나, 이건성이 피살된 후 태종(太宗)이 즉위하자 재기용되어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571~63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숙겸(叔謙)@손숙겸 - 손숙겸(孫叔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손경유(孫景裕)의 아들이며, 호조 참판(戶曹參判) 손식(孫軾)의 아버지로,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숙겸(叔謙) - 변훈남(卞勳男)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여러 관직을 거처 현령(縣令)을 지냈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숙경(叔京)@김호 - 김호(金鎬)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진산 군수(珍山郡守)를 지낸 김종윤(金宗胤)의 아들. 문음(門蔭)으로 와서 별제(瓦署別提)에 보임된 후 지례 현감(知禮縣監) 등을 역임함.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썼고 역서(易筮)에 통달함.
1505~156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숙경(叔京)@홍호 - 홍호(洪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로, 홍덕록(洪德祿)의 아들.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냄. 문신이면서도 용병에 관한 지식이 많아 국책에 반영시키려고 노력함.
1586~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숙경(叔京) - 하호(何鎬)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강변(講辨)에 정밀하였으며, 저서에 《담주선화령(潭州善化令)》이 있음.
1128~117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숙경(叔卿)@이평 - 이평(李坪)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부제학(副提學) 이윤(李胤)의 아버지로, 사온서 영(司醞署令)을 지냄.
1440~14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숙경(叔卿) - 소봉(蘇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세량(蘇世良)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고,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함.
1509~15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숙경(叔卿)@강숙경 - 강숙경(姜叔卿)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강맹경(姜孟卿)의 동생.
1428~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숙경(叔敬) - 한상경(韓尙敬)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청성군(淸城君) 한수(韓脩)의 셋째 아들. 이성계(李成桂)를 추대하는 모의에 가담하고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함.
1360~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숙경(叔經) - 김길통(金吉通)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1432년(세종 1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한 뒤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어 월천군(月川君)에 봉해짐.
1408~147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숙경(淑卿) - 이평(李泙)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손자로, 음보(蔭補)로 벼슬하여 사온서 영(司醞署令) 등을 역임함.
1440~14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숙경(淑敬) - 명헌왕후(明憲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남양.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낸 홍재룡(洪在龍)의 딸. 자녀는 없음.
1831~1904 한국>근대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숙계(叔契) - 이장(李萇)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간성(杆城). 주을온 병마 만호(朱乙溫兵馬萬戶)을 지낸 이효강(李孝綱)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안변 , 인명>문사>유학
-
숙고(叔高) - 두유(杜斿)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 남송(南宋) 이종(理宗) 단평(端平) 연간에 비각교수(秘閣校讐)를 역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고(肅考) - 숙종(肅宗)@조선
조선 제19대 국왕. 재위 1674~1720. 절정에 달한 붕당정치(朋黨政治) 속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민생안정책의 시행에 주력함.
1661~172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숙공(叔恭) - 임각(林恪)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고제자(高弟子)로, 절강성(浙江省) 태주(台州) 천태현(天台縣) 사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숙공(叔貢) - 황효헌(黃孝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담론(談論)과 학문을 좋아하고 문장에 뛰어났으며, 풍의(風儀)가 아름다워 귀공자 같았다고 함. 이행(李荇)과 함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편찬에 참여함.
1491~153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숙구(叔惧) - 남변(南忭)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낸 남이(南儞)의 아들.
1454~149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숙규(叔圭)@강지 - 강지(江贄)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학자. 《자치통감(資治通鑑)》 294권을 선별하여 50권으로 엮어 《자치통감절요(資治通鑑節要)》를 만들었으나 당시에는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다가, 후손 강묵(江默)이 주희(朱熹)의 문하에 출입하면서 질정(質正) 하여 유명해짐.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숙규(叔圭) - 강서(姜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수의부위(修義副尉)를 지낸 강세응(姜世應)의 아들. 효행으로 정려각(旌閭閣)이 세워짐.
1510~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숙기(叔琪) - 이숙기(李叔琪)
고려 후기의 문신. 밀직 대언(密直代言) 등을 지냈으며,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과 교유함. 이제현의 《익재난고(益齋亂稿)》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시 등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숙기(叔起) - 김흥경(金興慶)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김두성(金斗星)의 아들. 숙종 때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하다가 경종(景宗) 때 신임사화(申壬士禍)에 관련되어 파직되었으나, 영조 등극 후 영의정(領議政)에 이름.
1677~175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숙기(淑琦) - 이숙기(李淑琦)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시애(李施愛)의 난(亂)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29~148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숙기(淑綺) - 배숙기(裵淑綺)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대구(大丘). 1540년(중종 3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숙남(叔南) - 김숙남(金叔南)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수원(水原). 진의부위(振義副尉) 김예중(金禮仲)의 아들로, 충순위 적순부위(忠順衛迪順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무신
-
숙녜(肅禰) - 충숙왕(忠肅王)
고려 제27대 왕. 재위 1313~1330, 1332~1339. 충선왕(忠宣王)의 둘째 아들. 원(元) 나라의 세공(歲貢)을 삭감하고 공녀(貢女)ㆍ환자(宦者)의 선발을 중지시키는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나, 뒤에 사냥과 연회 등에 빠져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않음.
1294~133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숙단(叔旦) - 주공(周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주 나라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무왕을 도와 은(殷) 나라의 주왕(紂王)을 치고, 성왕(成王)을 도와 예악과 제도를 정비하여 주 나라의 기초를 세우는 데 기여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왕자
-
숙단(叔段) - 공숙단(共叔段)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 장공(莊公)의 동생. 어머니 무강(武姜)과 내통하여 반역을 꾀했으나, 장공이 이들의 계획을 알고 공숙단의 군대를 격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숙달(叔達) - 권민수(權敏手)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이조 좌랑으로서 직언을 하다가 영외(嶺外)에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66~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숙달(叔達)@무제 - 무제(武帝)@남북조(양)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502~549. 경릉팔우(竟陵八友) 중 한 사람이며, 불교를 신봉해 500여 개의 사찰을 세움.
464~5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숙담(叔聃) - 나숙담(羅叔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나윤명(羅允明)의 아버지로,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숙대(叔大) - 장거정(張居正)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재상으로서 국정을 잘 다스렸으나, 잔혹하고 지나치게 엄격하다는 비난을 들음. 저서로 《서경직해(書經直解)》ㆍ《장태악집(張太岳集)》등이 있음.
1525~158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숙대(叔帶) - 왕자대(王子帶)
중국 주(周) 나라의 왕자. 양왕(襄王)의 숙부로, 양왕이 즉위하자 북적(北狄)을 이용해 찬탈하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진(晉) 문공(文公)에게 죽임을 당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숙덕(淑德) - 조숙덕(曺淑德)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보문각 태학사(寶文閣太學士) 조순(曺純)의 6대손이며, 동래 부사(東萊府使) 조희(曺禧)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유학
-
숙덕후(淑德侯) - 장송(張竦)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 단양 태수(丹陽太守)를 지내고, 왕망(王莽)에게 숙덕후(淑德侯)의 봉작을 받았다가 후에 피살됨. 근신하며 법도가 있는 선비였기 때문에 술을 좋아한 친구 진준(陳遵)의 핀잔을 받음.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숙도(叔度)@사마영 - 사마영(司馬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의 열여섯째 아들. 교지명(喬智明)과 육기(陸機)를 발탁하여 장군으로 등용하고, 무제가 죽은 후 팔왕(八王)의 난(亂)에 참여하여 한때 권력을 가졌으나 곧 실각하여 목매어 자살함.
279~30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숙도(叔度)@염범 - 염범(廉范)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촉군 태수(蜀郡太守)로서 불합리한 법령을 없애는 등 민생(民生) 위주의 정사를 펴서 백성들의 칭송을 받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숙도(叔度)@이칙 - 이칙(李則)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손자로, 성종 때 임사홍(任士洪)의 등용을 반대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38~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숙도(叔度)@조신 - 조신(曺伸)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역관ㆍ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문장이 뛰어나 사역원 정(司譯院正)에 특선(特選)되었고, 명(明) 나라에서 시(詩)로 이름을 날림. 조위(曺偉)의 서제(庶弟)이며, 김종직(金宗直)의 처남.
145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산 , 인명>관인>역관ㅣ인명>관인>문신
-
숙도(叔度) - 김첨(金瞻)@1542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전한(典翰) 김홍도(金弘度)의 아들. 이이(李珥)를 탄핵하다가 지례 현감(知禮縣監)으로 좌천되고, 1584년(선조 17) 파직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죽음.
15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숙도(叔度)@민기문 - 민기문(閔起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권신 김안로(金安老)를 비방하다 덕산에 장류되었고, 봉성군(鳳城君)의 옥사에 연루되어 임천(林川)에 부처됨. 선조 때 대사성(大司成)ㆍ좌승지(左承旨)를 역임함.
1511~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숙도(叔度)@김상헌 - 김상헌(金尙憲)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서인 청서파(淸西派)의 영수이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끝까지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함. 효종이 즉위해 북벌을 추진할 때 그 이념적 상징으로 ‘대로(大老)’라고 존경을 받음.
1570~165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경기도>양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도(叔度)@반경헌 - 반경헌(潘景憲)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반경유(潘景愈)의 형으로, 태평교수(太平敎授)를 역임하였으며, 여조겸(呂祖謙)과 교유함.
1134~119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도(叔度)@하숙도 - 하숙도(何叔度)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 안제(安帝)~송(宋) 문제(文帝) 때의 문신. 상서령(尙書令) 하상지(何尙之)의 아버지로, 오군 태수(吳郡太守) 등을 지냄.
?~43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숙도(叔度)@황맹헌 - 황맹헌(黃孟獻)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장수(長水). 영의정 황희(黃喜)의 현손이며 김해 부사(金海府使) 황관(黃瓘)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고, 이과(李顆)의 옥사(獄事)를 다스린 공으로 정난공신(定難功臣)에 책록됨.
1472~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숙도(叔度)@황헌 - 황헌(黃憲)@후한
중국 후한(後漢) 때의 학자. 학행(學行)으로 한 시대의 추숭을 받았고,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경사(京師)에 이르렀으나 벼슬하지 않아 징군(徵君)이라 일컬어졌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숙도(叔道)@김상임 - 김상임(金相任)
조선 정조(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한성부 판관(漢城府判官) 김무택(金茂澤)의 아들로, 1789년(정조 1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남공철(南公轍)과 교유함.
17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숙도(叔道) - 민기문(閔起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권신 김안로(金安老)를 비방하다 덕산에 장류되었고, 봉성군(鳳城君)의 옥사에 연루되어 임천(林川)에 부처됨. 선조 때 대사성(大司成)ㆍ좌승지(左承旨)를 역임함.
1511~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숙돈(叔暾) - 손숙돈(孫叔暾)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이언적(李彦迪)의 외숙으로, 조한보(曺漢輔)와 무극(無極)ㆍ태극(太極)에 관한 논변서(論辨書)를 주고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
-
숙동(叔仝) - 노숙동(盧叔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노언(盧焉)의 아들.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ㆍ《치평요람(治平要覽)》편찬에 참여하고,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냄.
1403~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숙동(淑童) - 서숙동(徐淑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달성(達城).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서구연(徐九淵)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숙량(叔樑) - 이숙량(李叔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성리학(性理學) 연구에 전념함.
1519~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숙량(叔良) - 안숙량(安叔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낸 안보문(安普文)의 아버지로, 동궁 시직(東宮侍直)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