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숙량씨(叔梁氏) - 숙량흘(叔梁紇)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안징재(顔徵在)와 야합(野合)하여 유학(儒學)의 개조(開祖)인 공자(孔子)를 낳음. 계성사(啓聖祠)에서 제향함.
?~B.C.54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숙령(叔領) - 조숙령(趙叔領)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승려 혼수(混脩)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숙릉(叔陵) - 노비(魯丕)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화제(和帝) 때의 문신․학자. 노공(魯恭)의 아우로, 좌중랑장(左中郞將) 등을 지냈으며, 오경(五經)에 정통하고, 《노시(魯詩)》ㆍ《상서(尙書)》를 가르쳐 명유(名儒)로 일컬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릉(淑陵) - 정숙왕후(貞淑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증조부인 익조(翼祖)의 비(妃). 본관은 등주(登州). 고려 때 호장(戶長)을 지낸 최기열(崔基烈)의 딸로, 태조가 정비(貞妃)로 추존하고 태종(太宗)이 정숙(貞淑)의 시호를 더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왕실>왕비
-
숙명(叔明)@김형 - 김형(金逈)
조선 전기의 은사(隱士). 본관은 광주(光州)로, 칠촌(漆村) 김충남(金忠南)의 아들.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의 문인(門人)으로, 문장과 덕행이 뛰어났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은자
-
숙명(叔明) - 이지유(李之柔)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집(李集)의 셋째 아들로, 성주 목사(星州牧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숙명(叔明)@고응척 - 고응척(高應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범(金範)의 문인. 《대학(大學)》의 여러 편을 시조로 읊어 교훈시를 만드는 등 사상적 체계를 시(詩)ㆍ부(賦)ㆍ가(歌)ㆍ곡(曲) 등으로 표현함.
1531~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모전(肅慕殿) - 초혼각(招魂閣)
조선 세조(世祖)가 단종(端宗) 및 그의 충신들을 제향하기 위해 건립한 제각(祭閣). 충청남도 공주(公州)의 동학사(東鶴寺) 경내에 있음.
14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유적>건물>사당
-
숙묘(叔畝) - 이숙묘(李叔畝)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손자이며, 진안대군(鎭安大君) 이방우(李芳雨)의 사위로, 여러 차례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43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숙묘(肅廟) - 숙종(肅宗)@고려
고려 제15대 국왕. 재위 1095~1105. 조카인 헌종(獻宗)이 어린 나이에 즉위한 뒤 이자의(李資義)가 거사하자 그를 주살하고 선위(禪位)를 받아 왕위에 오름.
1054~110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숙묘(肅廟)@숙종 - 숙종(肅宗)@조선
조선 제19대 국왕. 재위 1674~1720. 절정에 달한 붕당정치(朋黨政治) 속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민생안정책의 시행에 주력함.
1661~172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숙무(叔茂) - 임식(林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홍문관 교리(弘文館敎理) 등을 지냈으나 모함을 받아 파직된 뒤에는 고향인 충청도 결성(結城)으로 낙향하여 부해정(浮海亭)이라는 정자에 은거하며 지냄.
1539~158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결성 , 인명>관인>문신
-
숙문(叔文)@왕숙문 - 왕숙문(王叔文)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순종(順宗) 때 왕비(王伾)ㆍ유우석(劉禹錫)ㆍ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조정 혁신에 힘쓰고 탐관오리인 이실(李實)을 축출하였으나, 환관(宦官)의 병권을 탈취하려다 실패한 후 피살됨.
753~80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숙문(叔文) - 유도원(柳道源)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으로, 존심(存心)ㆍ함양(涵養)의 실천적 수행으로 위기지학(爲己之學)에 전념함. 주석학(註釋學)에 밝아 많은 저술을 남기고 후진 양성에 힘씀.
1721~179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숙문(淑文) - 이숙문(李淑文)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윤식(李允植)의 아들로, 1460년(세조 6년)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사간(司諫)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숙민(肅愍) - 우겸(于謙)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대종(代宗) 때의 문신. 영종(英宗)이 토목(土木)의 변(變)으로 포로가 되자 영종의 아우 대종(代宗)을 옹립하고 수도를 사수하였으며, 다시 돌아온 영종이 복위에 성공한 후 피살됨.
139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숙민(肅愍)@박승종 - 박승종(朴承宗)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으로, 선교랑(宣敎郞) 박안세(朴安世)의 아들. 윤인(尹訒)ㆍ이인경(李寅卿)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죽이려 할 때 인목대비를 보호하였고,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함.
1562~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숙민(肅敏)@유강 - 유강(兪絳)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예조 판서 유여림(兪汝霖)의 아들. 명종(明宗) 때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ㆍ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510~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숙민(肅敏) - 여자준(余子俊)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을 쌓고 보루를 만드는 데 큰 공을 세움.
1429~148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숙반(叔胖) - 강윤덕(姜潤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과 교류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숙번(叔蕃) - 이숙번(李叔蕃)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두 차례 왕자(王子)의 난(亂)을 진압하여 정사공신(定社功臣)과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조사의(趙思義)의 난을 평정하는 등 공이 컸으나, 성품이 광망(狂妄)하여 탄핵을 받아 유배됨.
1373~14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숙범(叔泛) - 권예(權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사빈(權士彬)의 아들이며 명종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동생. 어려서부터 질병이 많아 평생토록 벼슬하지 않음. 승사랑(承仕郞)에 이름.
1482~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숙보(叔保) - 윤호(尹壕)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윤삼산(尹三山)의 아들이며,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윤탕로(尹湯老)와 성종비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아버지로,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424~14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숙보(叔輔) - 등무(滕撫)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성품이 강직하고 정치를 잘하여 백성에게 사랑받았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숙복(叔服) - 왕자호(王子虎)
중국 주(周) 나라 장왕(莊王)의 아들이며, 양왕(襄王)의 숙부. 제(齊) 나라 환공(桓公)이 태자 정(鄭)을 양왕으로 세우는데 밀사로 파견되었고, 후에 그 가족이 왕숙씨(王叔氏)로 봉해짐.
?~B.C.624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숙부(叔孚) - 채순(蔡恂)
조선 전기의 유학. 아산 현감(牙山縣監)을 지낸 채정서(蔡呈瑞)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문사>유학
-
숙부(淑夫) - 유해(兪瀣)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 때 종묘(宗廟)의 신주를 평양(平壤)의 행재소(行在所)에 피난시킨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41~162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숙부(肅夫) - 김우옹(金宇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속자치통감강목(續自治通鑑綱目)》을 찬하고, 부제학(副提學)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540~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부영공(肅夫令公) - 김우옹(金宇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속자치통감강목(續自治通鑑綱目)》을 찬하고, 부제학(副提學)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540~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분(叔奮) - 조신(曺伸)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역관ㆍ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문장이 뛰어나 사역원 정(司譯院正)에 특선(特選)되었고, 명(明) 나라에서 시(詩)로 이름을 날림. 조위(曺偉)의 서제(庶弟)이며, 김종직(金宗直)의 처남.
145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산 , 인명>관인>역관ㅣ인명>관인>문신
-
숙빈(叔彬) - 박이장(朴而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승지(承旨)를 지낸 박양좌(朴良佐)의 아들로, 노수신(盧守愼)의 문인.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의 주청으로 종사관이 되어 활약하였고,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함.
1547~162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ㅣ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숙생(淑生) - 최숙생(崔淑生)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최철중(崔鐵重)의 아들로, 우찬성(右贊成)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1457~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숙서(淑胥) - 신숙서(申淑胥)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단종(端宗)이 폐위된 후 충절을 지켰으며, 계룡산(鷄龍山) 동학사(東鶴寺)의 초혼각(招魂閣) 동무(東撫)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숙선(叔鮮) - 관숙(管叔)
중국 주(周) 나라의 제후. 무왕(武王)의 아우이자 성왕(成王)의 숙부. 무왕 사후에 주공(周公)이 어린 성왕을 보필하여 섭정하자, 채숙(蔡叔) 등과 더불어 주공을 모해하는 유언(流言)을 퍼뜨려 반란을 일으켰다가 주공에게 토벌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숙손(叔孫)@안숙손 - 안숙손(安叔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충주((忠州).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낸 안홍(安鴻)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유학
-
숙손(叔孫) - 숙손씨(叔孫氏)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공족(公族). 맹손씨(孟孫氏)ㆍ계손씨(季孫氏)와 함께 노 나라의 세 공족 중 하나. 환공(桓公)의 아들인 숙아(叔牙)의 후손으로, 대대로 대부의 벼슬을 계승하고 노 나라의 국정을 농단(弄斷)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집단>성씨
-
숙손(淑孫) - 이숙손(李淑孫)
조선 전기의 종친. 정희수(鄭希壽)의 외조부이며, 심곡수(深谷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숙손소(叔孫昭) - 숙손야(叔孫婼)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숙손표(叔孫豹)의 서자(庶子). 가신(家臣) 수우(豎牛)에 의해 적통을 계승하였으나 난역지죄(亂逆之罪)를 물어 수우를 주벌함.
?~B.C.51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숙손소자(叔孫昭子) - 숙손야(叔孫婼)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숙손표(叔孫豹)의 서자(庶子). 가신(家臣) 수우(豎牛)에 의해 적통을 계승하였으나 난역지죄(亂逆之罪)를 물어 수우를 주벌함.
?~B.C.51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숙손주구(叔孫州仇) - 숙손무숙(叔孫武叔)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大夫). 자공(子貢)이 공자(孔子)보다 훌륭하다고 평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숙수루(宿水樓) - 경렴정(景濂亭)
조선 중종(中宗) 때 주세붕(周世鵬)이 경상도 순흥(順興)의 소수서원(紹修書院) 정문 밖에 지은 정자. 원생(院生)들이 시를 짓고 학문을 토론하던 곳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정자라고 함.
15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누정
-
숙승(叔承) - 김숙승(金叔承)
고려 전기의 문신. 구안동김씨(舊安東金氏)의 시조.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아들로, 공부시랑(工部侍郞)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숙식(熟食) - 한식(寒食)
우리나라 사대(四大) 명절의 하나. 동지(冬至)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의 개자추(介子推)를 애도하기 위해 찬밥을 먹는 습관에서 유래하였다고 함.
사건>풍속
-
숙신(叔愼) - 박원근(朴元謹)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무안(務安). 부호군(副護軍)을 지낸 박효순(朴孝順)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문사>유학
-
숙신(肅愼) - 말갈(靺鞨)
한반도 동북부 및 만주(滿洲) 일대에 거주하던 종족, 또는 그 부족들의 총칭(總稱). 시대에 따라 각기 읍루(挹婁)ㆍ물길(勿吉)ㆍ말갈(靺鞨) 등으로 불렸으며, 여진(女眞)의 전신(前身).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집단>종족
-
숙신명혜(淑愼明惠) - 장경왕후(章敬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윤여필(尹汝弼)의 딸로, 인종(仁宗)의 생모이며 대윤(大尹)의 거두인 윤임(尹任)의 여동생. 1506년(중종 1)에 숙의(淑儀)로 뽑히고 다음해 왕비로 책봉되었는데, 원자(元子)인 인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죽음.
1491~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숙심(叔心) - 호거인(胡居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스승 오여필(吳與弼)의 실천궁행(實踐躬行)의 학문을 이은 숭인학파(崇仁學派)의 제일인자로, 정주학(程朱學)을 독수(獨修)하고 《거업록(居業錄)》을 저술하였으며, 죽은 뒤 문묘(文廟)에 배향됨.
1434~148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숙안(叔安) - 박흔(朴忻)
조선 전기의 유학. 조식(曺植)의 《남명집(南冥集)》에 그에게 부친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숙야(叔夜) - 혜강(嵆康)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ㆍ시인.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중심인물로, 중산대부(中散大夫)를 지냈으나 반유교적(反儒敎的) 사상을 견지하여 당시 권력층의 미움을 받았으며, 친구의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됨.
223~26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숙야(叔野) - 이숙야(李叔野)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진현관 제학(進賢館提學)을 지낸 이종학(李種學)의 아들. 사재 소감(司宰少監)ㆍ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숙야잠(夙夜箴) -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중국 송(宋) 나라의 진백(陳栢)이 스스로를 경계하기 위해 지은 글. 208자(字)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희(朱熹)의 〈경재잠(敬齋箴)〉과 서로 표리(表裏)를 이룸.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숙야잠주해(夙夜箴註解) - 숙흥야매잠주해(夙興夜寐箴註解)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노수신(盧守愼)이 중국 송(宋) 나라 진백(陳栢)의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주해한 책.
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도 , 문헌>서명
-
숙야잠해(夙夜箴解) - 숙흥야매잠주해(夙興夜寐箴註解)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노수신(盧守愼)이 중국 송(宋) 나라 진백(陳栢)의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주해한 책.
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도 , 문헌>서명
-
숙양(叔讓) - 임유겸(任由謙)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사은부사(謝恩副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조선 표류민을 데려오는 교섭을 담당함. 《성종실록(成宗實錄)》과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편찬에 참여함.
1456~152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숙영(叔英) - 임숙영(任叔英)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병을 핑계로 참여하지 않았다가 파직됨. 고문(古)에 힘썼으며, 중국 육조(六朝)의 사륙문(四六文)에 뛰어났음.
1576~162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숙예(叔藝) - 김광준(金光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소윤(小尹)의 한 사람으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공신호(功臣號)를 받고 상락군(上洛君)에 책봉되었으며, 대사헌(大司憲)ㆍ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냈음.
?~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숙옥(叔玉)@성수종 - 성수종(成守琮)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성세순(成世純)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이라 하여 과방(科榜)에서 삭제된 후 벼슬에 뜻을 버리고 청빈하게 살음.
1495~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
-
숙옥(叔玉)@이구 - 이구(李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ㆍ학자.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주기설(主氣說)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숙옥(叔玉) - 권빈(權璸)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조 정랑(吏曹正郞)ㆍ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냄.
1446~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숙온(叔溫) - 이경(李璥)@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이만영(李萬榮)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진주 목사(晉州牧使)로 있다가 병사함.
1538~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숙옹(肅翁) - 임희일(林希逸)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ㆍ학자. 한림학사(翰林學士)ㆍ요주 태수(饒州太守)ㆍ중서사인(中書舍人) 등을 지냈으며, 《장자(莊子)》에 대한 주석서인 《구의(口義)》를 저술함.
1193~127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왕(肅王) - 숙종(肅宗)@고려
고려 제15대 국왕. 재위 1095~1105. 조카인 헌종(獻宗)이 어린 나이에 즉위한 뒤 이자의(李資義)가 거사하자 그를 주살하고 선위(禪位)를 받아 왕위에 오름.
1054~110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숙용(叔容)@설거 - 설거(薛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제자백가에서 추려 뽑아 《공자집어(孔子集語)》를 만들고, 또 고금을 통하여 국가의 정치ㆍ경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추려서 《택규성감(宅揆成鑑)》을 만들어 조정에 올림.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숙용(叔容) - 홍덕연(洪德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이평(洪以平)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조광조(趙光祖)와 친밀하였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93~15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숙우(叔遇) - 모용언달(慕容彦達)
중국의 경서(經書) 주소가(註疏家). 《예기(禮記)》에 관한 주소(註疏)가 진호(陳澔)의 《예기집설(禮記集說)》에 인용되어 있음.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숙운(叔雲) - 곽숙운(郭叔雲)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조주(潮州) 게양인(揭陽人)으로, 주희(朱熹)의 문인.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숙원(叔元) - 양하(楊何)
중국 한(漢) 무제(武帝) 때의 학자. 왕동(王同)으로부터 《주역(周易)》을 배워 통달하였으며, 중대부(中大夫)를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숙원(叔原) - 안기도(晏幾道)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휘종(徽宗) 때의 문인. 안수(晏殊)의 일곱째 아들로, 아버지와 함께 이안(二晏)이라 불림. 섬세하고 애상적인 시풍을 보임.
1031~110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숙원(淑元) - 구숙원(具淑元)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 유학(幼學) 구사종(具嗣宗)의 아버지로, 선략장군(宣略將軍)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무신
-
숙원이씨(淑媛李氏) - 숙의이씨(淑儀李氏)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후궁. 본관은 경주(慶州).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이형신(李亨臣)의 딸로,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를 낳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숙위(肅魏) - 조반(趙胖)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호군(護軍) 조세경(趙世卿)의 아들. 조선 태조(太祖)를 추대하여 개국공신(開國功臣)이 되고 복흥군(復興君)에 봉해졌으며,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를 지냄.
1341~140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숙응(叔膺) - 이린(李遴)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익산 군수(益山郡守) 이순증(李順曾)의 아들이며 오위장(五衛將) 이선(李選)의 형. 1549년(명종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숙의(淑義) - 이숙의(李淑義)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수도군(守道君) 이덕생(李德生)의 손자이며, 풍산부정(豐山副正) 이외(李畏)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숙의(肅懿) - 왕진(王稹)
고려 후기의 종친. 현종(顯宗)의 아들인 평양공(平壤公)의 5대손이며, 희종(熙宗)의 비인 성평왕후(成平王后)의 아버지. 명종(明宗)의 딸인 연희궁주(延禧宮主)와 결혼하였고, 불교와 도교에 조예가 깊음.
?~122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숙의옹주(淑懿翁主) -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부인. 본관은 해주(海州). 정역(鄭易)의 딸로, 효령대군 사이에서 6남 1녀를 둠.
1394~14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숙의윤씨(淑儀尹氏)@폐비윤씨 - 폐비윤씨(廢妃尹氏)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함안(咸安). 연산군(燕山君)의 생모(生母)로, 투기(妬忌)가 심하여 1479년(성종 8) 폐서인(廢庶人) 되고, 1482년(성종 11)에 사사(賜死)되었는데, 이 일이 후에 갑자사화(甲子士禍)의 원인이 됨.
?~14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숙의윤씨(淑儀尹氏)@정현왕후 - 정현왕후(貞顯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우의정을 지낸 윤호(尹壕)의 딸이며, 중종(中宗)의 생모.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윤씨(尹氏)가 폐위되자 이듬해 왕비로 봉해짐.
1462~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숙의윤씨(淑儀尹氏) - 장경왕후(章敬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윤여필(尹汝弼)의 딸로, 인종(仁宗)의 생모이며 대윤(大尹)의 거두인 윤임(尹任)의 여동생. 1506년(중종 1)에 숙의(淑儀)로 뽑히고 다음해 왕비로 책봉되었는데, 원자(元子)인 인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죽음.
1491~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숙의정씨(淑儀鄭氏) - 귀인정씨(貴人鄭氏)
조선 제12대 인종(仁宗)의 후궁.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 정유침(鄭惟沈)의 딸이며, 정철(鄭澈)의 맏누이. 14세에 동궁(東宮)으로 있던 인종의 빈(嬪)이 됨.
1520~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ㅣ서울 , 인명>왕실>후궁
-
숙의홍씨(淑儀洪氏) - 희빈홍씨(熙嬪洪氏)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후궁.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운 정국공신(靖國功臣) 홍경주(洪景舟)의 딸.
1494~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숙인(叔仁)@왕온 - 왕온(王蘊)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효무제(孝武帝)의 황후인 효무정황후(孝武定皇后)의 아버지로, 벼슬이 오병상서(五兵尚書)에 이르고 광록대부(光祿大夫)에 봉해짐.
329~38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숙인(叔仁) - 신윤원(申允元)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성종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군자감 정(軍資監正) 등을 지냄.
1431~149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숙인(叔寅) - 홍덕연(洪德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이평(洪以平)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조광조(趙光祖)와 친밀하였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93~15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숙인(淑仁) - 이숙인(李淑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이영(李英)의 아들이며 이공(李珙)의 아버지로, 집현전 참봉(集賢殿參奉)에 제수됨.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그에 대한 만시(輓詩)가 실려 있음.
?~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숙자(叔子)@정이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자(叔子) - 양호(羊祜)
중국 남북조시대 서진(西晉)의 무신. 상서좌복야(尚書左伏射)로 형주(荊州)에 주둔하던 10년 동안 둔전을 실시하고 군량을 비축하는 등 오(吳) 나라를 치기 위한 준비를 했으나 실현하지 못함.
221~27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숙자(叔滋) - 김숙자(金叔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스승인 길재(吉再)로부터 정몽주(鄭夢周)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를 아들 김종직(金宗直)에게 잇게 함으로써 주자학을 발전시킴.
1389~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장(叔章)@문위세 - 문위세(文緯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유희춘(柳希春)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임계영(任啓英)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워 용담 현령(龍潭縣令)이 되었고, 정유재란 때에도 왜적을 무찌른 공으로 파주 목사(坡州牧使)에 제수됨.
1534~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숙장(叔章) - 탁문위(卓文位)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탁영(卓英)의 맏아들로, 충렬왕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숙재(叔材) - 금재(琴榟)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봉성(鳳城).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을 지낸 금치담(琴致湛)의 아들로, 만년(晩年)에 예안 훈도(禮安訓導)를 지냄.
1498~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숙재(叔栽) - 문익성(文益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에게 《대학(大學)》의 요지를 배우고, 나주 목사(羅州牧使)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526~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숙재(叔載) - 이전(李㙉)@1558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사섬시 주부(司贍寺主簿)를 지낸 이수인(李守仁)의 아들. 동생 이준(李埈)과 함께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에서 퇴도(退陶)의 학설을 배웠음.
1558~16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숙재(淑齋) - 강희맹(姜希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의 아들. 뛰어난 문장가로, 경사(經史)와 전고(典故)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 저서에 《금양잡록(衿陽雜錄)》ㆍ《사숙재집(私淑齋集)》 등이 있음.
1424~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숙전(叔躔) - 양응태(梁應台)
조선 중중(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둘째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냈음.
151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숙절(叔節) - 권흔(權昕)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화(權和)의 아들로 1602년(선조 35) 알성시(謁聖試)에 급제한 뒤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등을 역임함.
15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숙정(叔正) - 신식(申湜)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령(高靈). 이황(李滉)ㆍ성운(成運)의 문인으로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학식이 높고, 예악(禮樂)에도 밝았으나, 정여립(鄭汝立)의 일파라는 탄핵을 받아 곤양(昆陽)에 유배됨.
1551~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숙정(叔程)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정(叔精) - 박충간(朴忠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박세훈(朴世勳)의 아들. 재령 군수(載寧郡守)로 있을 때 한준(韓準)ㆍ이축(李軸)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오르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숙정(淑精) - 최숙정(崔淑精)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세조실록(世祖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ㆍ《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ㆍ《동문선(東文選)》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등을 지냄.
1432~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숙정(肅定) - 송순(宋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냈으며, 면앙정가단(俛仰亭歌壇)의 창설자이자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선구자로서, 조선 시가문학(詩歌文學)에 크게 기여함.
1493~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