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국자감시(國子監試)
고려시대 국자감에서 실시한 예부시(禮部試)의 예비시험. 제술과(製述科)ㆍ명경과(明經科)로 이루어지며, 급제하면 진사(進士)가 되어 예부시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짐.
1031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국조명신사략(國朝名臣事略)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소천작(蘇天爵)이 저술한 책. 원 전기와 중기의 인물 47명의 전기를 기록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국조보감(國朝寶鑑)
조선 역대 국왕의 치적 중에서 선정(善政)만을 모아 수록한 편년체(編年體)의 역사책. 조선 세종(世宗) 때 편찬을 시작하여 순종(純宗) 때 완성됨. 90권 28책. 활자본.
한국>조선후기ㅣ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국조보감별편(國朝寶鑑別編)
조선 후기에 《국조보감(國朝寶鑑)》을 만들면서 명(明) 나라를 떠받든 역대의 기록을 따로 모아 합편한 책. 10권 3책.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국조시산(國朝詩刪)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문인인 허균(許筠)이 엮은 시문집. 9권 4책. 목판본. 정도전(鄭道傳)ㆍ백광훈(白光勳)ㆍ최경창(崔慶昌) 등의 작품을 수록하였으며, 숙종(肅宗) 때 광주 부윤(廣州府尹) 박태순(朴泰淳)이 간행함.
169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문헌>서명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조선 성종(成宗) 때 신숙주(申叔舟)ㆍ정척(鄭陟) 등에 의해 완성된 예전(禮典). 국가의 기본예식인 오례(五禮), 즉 길례(吉禮)ㆍ가례(嘉禮)ㆍ빈례(賓禮)ㆍ군례(軍禮)ㆍ흉례(凶禮)에 대해 규정함.
1474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국조유선록(國朝儒先錄)
조선 전기의 문신인 유희춘(柳希春)이 선조(宣祖)의 명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의 행적을 모아 엮은 책. 5권 4책. 필사본(筆寫本).
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국좌(國佐)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대부(大夫). 직언(直言)을 일삼다가 영공(靈公)에게 살해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국파집(菊坡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최여지(崔與之)의 문집.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국하(國夏)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경공(景公) 때의 대부. 고장(高張)과 더불어 경공의 애첩인 예희(芮姬)의 아들 도(荼)를 후사로 옹립하여 제 나라 정권을 전횡했으나, 공자 양생(陽生)을 내세운 전걸(田乞)에게 패배하여 거(莒) 나라로 망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국헌유집(菊軒遺集)
조선 임진왜란 때 경상도 청도(淸道)에서 창의했던 박경윤(朴慶胤)에 대한 기록을 담은 책. 밀양박씨(密陽朴氏) 일가 14인의 창의사적(倡義事蹟)을 기록한《십사의사록(十四義士錄)》에 수록됨.
186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군옥대(群玉臺)
강원도 고성(高城)에 있는 바위 이름. 금강산(金剛山)의 산줄기가 뻗어나간 것으로, 구사맹(具思孟) 등 많은 시인들이 시재(詩材)로 삼아 작품을 남김.
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군위(軍威)
경상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대구(大丘)와 안동(安東)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임.
경상도>군위 , 지명>행정지명
-
군진(君陳)
중국 주(周) 성왕(成王) 때의 대부. 충신으로 성왕이 그에게 효우(孝友)를 칭찬했다고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굴^가(屈^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문인인 굴원(屈原)과 전한(前漢) 때의 문인인 가의(賈誼)를 함께 부르는 말. 사부(辭賦)의 대가를 가리킴.
중국>전한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굴^송(屈^宋)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시인인 굴원(屈原)과 송옥(宋玉)을 함께 부르는 말. 사부(辭賦)의 대가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굴건(屈建)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대부(大夫). 아버지 굴도(屈到)가 평소에 기(芰 : 마름)를 좋아하여 자신의 제사상에 올려주기를 부탁했으나, 예에 맞지 않는다 하여 원래대로 검(芡 : 연밥)을 쓰도록 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굴도(屈到)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대부(大夫). 굴건(屈建)의 아버지. 평소에 기(芰 : 마름)를 좋아하여 죽을 무렵 자신의 제상에 기(芰)를 올려 달라 부탁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굴묘편시(掘墓鞭屍)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오자서(伍子胥)가 아버지 오사(伍奢)의 복수를 위해 죽은 평왕(平王)의 무덤을 파헤쳐 시체를 매질한 데서 나온 말로, 통쾌한 복수나 지나친 행동을 이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궁예(弓裔)
통일신라시대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왕. 재위 901~918. 통일신라 말기에 고구려의 부흥을 표방하고 후고구려를 건국함. 후에 도읍을 철원(鐵圓)으로 옮기고 국호를 태봉(泰封)으로 개칭함. 자신을 미륵불(彌勒佛)이라 칭하며 독재하다가 왕건(王建)의 추대세력에 의해 쫓겨나 죽음.
870~918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철원 , 인명>왕실>국왕
-
권감(權瑊)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남이(南怡)를 제거하고 예종(睿宗)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며,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된 뒤 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냈음.
1423~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권개(權愷)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안동 판관(安東判官)을 지낸 안팽로(安彭老)의 장인.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4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거(權擧)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근신(權謹臣)의 아버지로 충찬위(忠贊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무신
-
권건(權健)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람(權攬)의 아들이며 전성군(全城君)의 장인. 1476년(성종 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아 《성종실록(成宗實錄)》ㆍ《역대명감(歷代名鑑)》의 편찬에 참여함.
1458~15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걸(權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람(權攬)의 아들.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ㆍ경주 부윤(慶州府尹)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격(權格)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춘추관 기주관(春秋官記注官)을 역임했으며《효종실록(孝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620~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권결(權潔)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幼學). 권윤희(權胤禧)의 아들로, 과거에는 뜻을 두지 않고 경서를 깊이 연구하며 이이(李珥)ㆍ성혼(成渾)과 교유함. 이이가 전형(銓衡)으로 있을 때 그의 명석함을 알고 벼슬할 것을 권하였으나 끝내 나아가지 않음.
1534~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겸(權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519년(중종 14)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김해 부사(金海府使)ㆍ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권겸(權謙)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공민왕의 배원정책(排元政策)에 의하여 1356년(공민왕 5년) 기철(奇轍)ㆍ노책(盧頙) 등과 함께 죽음을 당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경(權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김종서(金宗瑞)ㆍ황보인(皇甫仁) 등 원로대신을 숙청함.
1429~14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권경룡(權景龍)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안동 부사(安東府使) 권소(權紹)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61년(명종 1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문사>유학
-
권경석(權景石)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균(權勻)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경우(權景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대사헌 권경희(權景禧)와 이조 정랑 권경유(權景裕)의 형.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파직, 가산이 적몰(籍沒)됨.
?~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경유(權景裕)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사초(史草)에 실은 것이 문제가 되어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당함.
?~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경호(權景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안동 부사(安東府使) 권소(權紹)의 아들.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의 천거로 함창(咸昌) 일대의 소모관(召募官)으로 활동했으며, 장성 군수(長城郡守)ㆍ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46~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권경희(權景禧)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참판(禮曹參判)ㆍ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냄.
1451~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권계경(權啓經)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후(權厚)의 아들로, 횡성 현감(橫城縣監)을 지냄. 세조(世祖)가 왕위(王位)를 찬탈하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隱居)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계창(權繼昌)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고향으로 돌아가는 그에게 보낸 호원(灝元) 권문해(權文海)의 시가 《초간집(草澗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권고(權皐)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조부는 찬성사(贊成事) 권단(權㫜)이며, 아버지는 영도첨의사사(領都僉議司事) 권보(權溥).
1294~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곤(權琨)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횡성 현감(橫城縣監)을 지낸 권계경(權啓經)의 아들.
1427~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권공(權恭)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태종(太宗)의 딸 숙근옹주(淑謹翁主)와 결혼하여 화천군(花川君)에 책봉됨.
?~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권굉(權硡)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으로 활약한 권징(權徵)의 아버지로, 사직(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교(權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화 부사(江華府使)를 지낸 권적(權勣)의 아버지로, 진주 판관(晋州判官)ㆍ양근 군수(楊根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규(權跬)
조선 태종(太宗명)~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태종의 삼녀 경안공주(慶安公主)와 결혼하여 길천군(吉川君)에 봉해짐.
1393~14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권규(權逵)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사직공(司直公) 권시득(權時得)의 아들이며, 권문현(權文顯)ㆍ권문임(權文任)ㆍ권문언(權文彦)ㆍ권문저(權文著)의 아버지. 청향당(淸香堂) 이원(李源)과 교유함.
1496~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권균(權勻)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4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권균(權鈞)@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현복군(玄福君) 권렴(權廉)의 아들이자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낸 권홍(權弘)의 아버지로, 전공판서(典工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균(權鈞)@조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491년(성종 2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책록됨.
1464~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권극관(權克寬)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종묘서 영(宗廟署令)을 지낸 권덕유(權德裕)의 아들로, 감역(監役)을 지내고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됨. 이경석(李景奭)이 쓴 묘갈명(墓碣銘)이 《백헌집(白軒集)》에 전함.
1546~16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극례(權克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종묘서 영(宗廟署令)을 지낸 권덕유(權德裕)의 아들로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으로 있을 때에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수에 참여하였고 대사성(大司成)과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함.
1531~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극중(權克中)@1560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대사간(大司諫) 권덕여(權德輿)의 아들. 세마(洗馬)를 지냈으며, 성혼(成渾)ㆍ성문준(成文濬) 등과 교유함.
1560~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권극중(權克中)@1585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권준(權俊)의 아들이며 최명룡(崔命龍)의 문인으로, 인목대비의 폐출 소식을 듣고 낙향하여 역(易)과 내단사상(內丹思想)에 심취해 《참동계주해(參同契註解)》등을 저술함.
1585~165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고부 , 인명>문사>학자
-
권극지(權克智)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종묘서 영(宗廟署令)을 지낸 권덕유(權德裕)의 아들로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냈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국사에 몰두하다가 병을 얻어 사직했으나 국세가 날로 위급해지는 것을 보고 울분을 참지 못하여 죽음.
1538~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권근신(權謹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거(權擧)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의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훈도(訓導)ㆍ충찬위(忠贊衛)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권기(權祺)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억(權憶)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승지(承旨) 등을 지냄.
149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기(權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권호문(權好文)의 문인(門人)으로, 김성일(金誠一)ㆍ유성룡(柳成龍)에게서도 배웠음. 육경(六經)에 통달하고, 예문(禮文)ㆍ법률ㆍ지리 등에도 박식했음.
1546~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권념(權念)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근(權近)의 손자이며, 안천군(安川君) 권준(權蹲)의 아들로, 마전 군수(麻田郡守)ㆍ지괴산군사(知槐山郡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눌(權訥)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권호문(權好文)ㆍ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와룡산 아래 원광정사(遠光精舍)를 짓고 후진을 양성함.
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권단(權㫜)
고려 고종(高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ㆍ승려. 한림학사 권위(權韙)의 아들로, 찬성사(贊成事)로 치사(致仕)하고 선흥사(禪興寺)에 들어가 승려가 됨.
1228~131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관인>문신
-
권달수(權達手)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광흥창 주부(廣興倉主簿) 권림(權琳)의 아들. 1504년(연산군 10) 연산군의 생모 윤씨를 종묘에 모시는 것에 반대하다가 유배되고, 다시 압송되어 국문을 받던 중 옥사함.
146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담(權湛)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전법판서(典法判書) 권호(權鎬)의 아들. 고려 말에 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냈고, 조선 개국 후 공주 목사(公州牧使)ㆍ전주 부윤(全州府尹)을 지냄.
?~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당(權鏜)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한산 군수(韓山郡守)를 지낸 권세호(權世豪)의 아들이며 양구 현감(楊口縣監)을 지낸 권응시(權應時)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대기(權大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황(李滉)의 문인. 1552년(명종 7)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후학을 양성함.
1523~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권대응(權大凝)
조선 전기의 문신. 훈도(訓導)를 지냈고 권문해(權文海)와 교유하였으며 《초간집(草澗集)》에 만사(輓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권덕수(權德秀)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공주 목사(公州牧使)를 지낸 권박(權博)의 아들.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권덕신(權德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란(權鸞)의 아들로, 아들인 선무공신(宣武功臣) 권응수(權應銖)의 공으로 인해 의정부 우찬성(議政府右贊成) 능라군(綾羅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신녕 , 인명>문사>유학
-
권덕여(權德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낸 권박(權博)의 아들이며 송인수(宋麟壽)의 문인으로, 부제학(副提學)과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이이(李珥)의 처벌에 동조하여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좌천됨.
1518~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덕유(權德裕)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공주 목사(公州牧使)를 지낸 권박(權博)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권극례(權克禮)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덕윤(權德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의 종형(從兄)으로 단양 훈도(丹陽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도(權濤)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사포서 별좌(司圃署別坐)를 지낸 권세춘(權世春)의 아들. 정구(鄭逑)ㆍ장현광(張顯光)의 문인이며, 유효립(柳孝立)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영사원종공신(寧社原從功臣)에 책록됨.
1557~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동미(權東美)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충재(冲齋) 권벌(權橃)의 아들. 용궁 현감(龍宮縣監)ㆍ초계 군수(草溪郡守) 등을 지냄.
1525~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권동보(權東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과 관련해 아버지 권벌(權橃)이 귀양가 죽자, 관직을 버리고 두문불출함.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권두경(權斗經)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유(權濡)의 아들이며, 이현일(李玄逸)의 문인으로, 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 등을 지냄. 시와 문장에 뛰어나고, 인물의 출처(出處)와 정치의 득실(得失) 등 다방면에 안목이 뛰어남.
1654~17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권두굉(權斗紘)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유(權濡)의 아들이자, 창설재(蒼雪齋) 권두경(權斗經)의 아우이며, 병조 정랑(兵曹正郎)을 지낸 권만(權萬)의 아버지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668~174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권두문(權斗文)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포로가 되었다가 탈출하여 그때의 일을 《호구일록(虎口日錄)》으로 남김.
1543~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권두인(權斗寅)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심함.
1643~17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봉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권득(權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이조 참판(吏曹參判) 권숙(權肅)의 아들이며, 병조 정랑(兵曹正郞) 권호(權瑚)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득개(權得凱)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의 청성정사(靑城精舍)에서 《역경(易經)》을 배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득경(權得經)
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홍귀달(洪貴達)의 《허백정집(虛白亭集)》에 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득기(權得己)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589년(선조 2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한 뒤 예조 좌랑(禮曹佐郞)이 되었으나, 광해군 때 정치가 혼란해지자 사임하고 야인생활을 하다 뒤에 고산도 찰방(高山道察訪) 등을 지냄.
1570~162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란(權鸞)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구봉령(具鳳齡)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하였으며, 찰방(察訪)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권람(權攬)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조 즉위의 기반을 마련함. 《국조보감(國朝寶鑑)》ㆍ《동국통감(東國通鑑)》 편찬에 참여함.
1416~14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권래(權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충재(冲齋) 권벌(權橃)의 손자로,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냄.
1562~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련(權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1519년(중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권렴(權廉)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손자이며,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1302~134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령(權齡)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제용감 판관(濟用監判官) 권실(權實)의 아들이자, 상주 목사(尙州牧使) 권박(權博)의 아버지로,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냈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료(權憭)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마전 군수(麻田郡守) 권념(權念)의 아들로, 결성 현감(結城縣監)을 지냈으며, 신용개(申用漑)의 《이락정집(二樂亭集)》에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455~150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결성 , 인명>관인>문신
-
권륙(權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명종(明宗) 때의 유학인 권선문(權善文)과 학자인 권호문(權好文)의 아버지로, 안주 교수(安州敎授)를 지냄.
?~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륜(權綸)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대사성(大司成)ㆍ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냄.
1415~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권림(權琳)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공주 목사(公州牧使) 권유순(權有順)의 아들이자, 이보정(李補丁)의 사위로, 광흥창 주부(廣興倉主簿)를 지냈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만(權萬)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두굉(權斗紘)의 아들로,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움.
1688~174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말경(權末卿)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이 차운(次韻)한 시가 《송암집(松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권맹손(權孟孫)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천(醴泉). 변계량(卞季良)의 문인으로, 1408년(태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양주 목사(楊州牧使)ㆍ중추원사(中樞院使) 등을 지냄.
1390~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권맹희(權孟禧)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좌익공신(佐翼功臣) 권개(權愷)의 아들로, 1465년(세조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좌부승지(左副承旨)ㆍ도승지(都承旨)를 지냄. 1470년(성종 1)에 반역죄에 연루되어 죽음.
?~14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면(權眄)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승(權昇)의 셋째 아들이며, 부안 현감(扶安縣監) 권성(權省)의 아우이자, 여주 목사(驪州牧使) 권현(權睍)의 형.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권목(權睦)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승(權昇)의 둘째 아들이며, 부안 현감(扶安縣監) 권성(權省)의 아우이자, 여주 목사(驪州牧使) 권현(權睍)의 형.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권목(權霂)
조선 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두인(權斗寅)의 아버지. 김중청(金中淸)의 문인으로, 영릉 참봉(英陵參奉)을 지내고, 권유(權濡)와 함께 《충재집(冲齋集)》을 간행하는 데 힘씀.
1614~16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몽두(權夢斗)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미수(權眉壽)의 아들이며, 권호문(權好文)의 종질(宗姪). 효우(孝友)가 지극하고 선조(先祖)를 잘 받들었으며, 수직(壽職)으로 호군(護軍)에 오름.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