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숙정대(肅政臺) - 사헌부(司憲府)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 풍속의 교정, 백관(百官)에 대한 규찰과 탄핵, 서경(署經) 등을 담당한 관청.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숙조(肅祖) - 명제(明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2대 황제. 재위 323~325.
299~32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숙조실록(肅祖實錄) - 세종실록(世宗實錄)@명
중국 명(明) 나라 제12대 세종(世宗)의 재위 46년간의 역사를 서술한 책. 566권. 목종(穆宗) 때 서계(徐階) 등이 편수를 시작하여 신종(神宗) 때 장거정(張居正) 등이 완성함.
1577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숙종(肅宗)@장제 - 장제(章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3대 황제. 재위 75~88. 그의 사후 왕후인 두태후(竇太后)가 섭정을 하고, 외척 두헌(竇憲)이 권력을 휘두름.
?~8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숙종(肅宗)@효명제 - 효명제(孝明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8대 황제. 재위 515~528. 선무제(宣武帝)를 이어 황제가 되었지만 20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夭折)함.
509~52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숙종(肅宗) - 명제(明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2대 황제. 재위 323~325.
299~32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숙좌(叔佐) - 담조(啖助)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학자. 단양 주부(丹陽主簿) 등을 지내고, 《춘추(春秋)》연구에 전념하여 전(傳) 중심의 한당(漢唐)의 춘추학에 반대하고, 경(經)을 중심으로 할 것을 주장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주(叔舟) - 신숙주(申叔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큰 공을 세웠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한 공(功) 등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 등에 책록됨.
1417~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주(肅州) - 숙천(肅川)
평안도 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평안도>숙천 , 지명>행정지명
-
숙준(叔準) - 김숙준(金叔準)
조선 전기의 유학. 성현(成俔)의 《허백당집(虛白堂集)》에 그의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숙중(叔重)@허신 - 허신(許愼)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가규(賈逵)의 제자로, 널리 유가(儒家)의 경전에 정통하였으며, 선진(先秦)의 고서체(古書體)에 의한 원전(原典)을 중시하고 문자학에 조예가 깊어, 중국 최초의 자서(字書)인 《설문해자(說文解字)》를 저술함.
58?~14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숙중(叔重) - 동수(董銖)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자어류(朱子語類)》에 그와 주고받은 문답이 실려 있음.
1152~121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숙지(叔墀) - 정숙지(鄭叔墀)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지낸 정문형(鄭文炯)의 아들로, 전라 감사(全羅監司)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숙지(叔止) - 신식(申湜)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령(高靈). 이황(李滉)ㆍ성운(成運)의 문인으로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학식이 높고, 예악(禮樂)에도 밝았으나, 정여립(鄭汝立)의 일파라는 탄핵을 받아 곤양(昆陽)에 유배됨.
1551~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숙진(叔珍) - 안진(安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와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하였으며, 여주 목사(驪州牧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숙진(叔珍)@김찬 - 김찬(金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형조 참의(刑曹參議) 김언침(金彦沈)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동인(東人)의 영수 이산해(李山海)를 탄핵하여 파직시키고, 일본과의 강화(講和)에서 공을 세움. 문장에 뛰어나고 경제와 외교 분야에 능숙함.
1543~159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숙진(叔鎭) - 홍세주(洪世柱)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홍만종(洪萬宗)의 아버지로, 영천 군수(榮川郡守) 등을 지냄. 문집으로 《정허당집(靜虛堂集)》이 있음.
1612~166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숙징(叔澄) - 장언청(張彦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유도원(柳道源)이 주석한 《퇴계선생문집고증(退溪先生文集攷證)》에 이름이 보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숙창(叔昌)@한숙창 - 한숙창(韓叔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성군(西城君) 한익(韓翊)의 아들로, 외삼촌 박원종(朴元宗)을 따라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 등을 지냄.
1478~153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숙창(叔昌) - 반경유(潘景愈)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반경헌(潘景憲)의 아우로, 안경교수(安慶敎授)를 역임하였으며,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 등과 교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천(叔千) - 안숙천(安叔千)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당(後唐) 장종(莊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무예에 뛰어났으나 글자를 깨우치지 못해 하는 짓이 비루하였으므로, 당시 사람들에게 몰자비(沒字碑)라고 불렸음.
881~95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영무자(寗武子) - 영유(甯兪)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衛) 나라 성공(成公) 때의 대부. 나라에 도(道)가 있을 때는 지혜롭게 행동하고, 나라가 무도할 때는 어리석게 행동하여 공자(孔子)의 칭송을 받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영무자(甯武子) - 영유(甯兪)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衛) 나라 성공(成公) 때의 대부. 나라에 도(道)가 있을 때는 지혜롭게 행동하고, 나라가 무도할 때는 어리석게 행동하여 공자(孔子)의 칭송을 받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영문(令文) - 송섬(宋纖)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인 전량(前涼)의 학자. 품덕(品德)과 조행(操行)이 뛰어나고 주천(酒泉)의 남산(南山)에 은거하여 경학(經學)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교육에도 힘써 문하의 학생이 삼천 명에 이르렀다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영문(榮門) - 유영문(柳榮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예빈시 별제(禮賓寺別提)를 지낸 유윤(柳潤)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영문(寧文) - 장정필(張貞弼)
고려 태조(太祖) 때의 공신(功臣). 권행(權幸)ㆍ김선평(金宣平)과 함께 태조를 도와 고창(古昌)에서 후백제의 견훤(甄萱)을 이기는 데 크게 공을 세움.
898~978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인동ㅣ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문예무인성명효(英文睿武仁聖明孝) - 세종(世宗)@조선
조선 제4대 왕. 재위 1418~1450. 태종(太宗)의 셋째 아들. 집현전(集賢殿)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였으며, 육진(六鎭)을 개척하고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함.
1397~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밀(英密) - 유청신(柳淸臣)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몽골어를 배워 여러 차례 원(元) 나라에 다녀왔으며, 원 나라에 있을 때 왕위를 노리는 심양왕(瀋陽王) 왕고(王暠)에게 가담하여 반역 행위를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원 나라에 머물다가 죽음.
?~1329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영발(穎發) - 전영발(田穎發)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인 전유추(田有秋)의 아버지로, 임진왜란 때 창의사(倡義使)로서 활동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영백(令伯) - 이밀(李密)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아버지가 일찍 죽고 어머니가 개가(改嫁)한 탓에 할머니 유씨(劉氏)의 손에서 자랐으며, 무제(武帝) 때 세자 사마(世子洗馬)에 제수되자 할머니의 봉양을 위해 〈진정표(陳情表)〉를 올리고 사양한 일로 유명함.
224~28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영백(永伯) - 오광운(吳光運)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오상순(吳尙純)의 아들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 하에서 정치적 지도자로서 활약하며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689~17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백(英伯) - 옥광형(玉光亨)
조선 선조(宣祖) 때의 생원. 본관은 반성(班城). 옥수강(玉守剛)의 아들로, 1579년(선조 12) 식년시(式年試)에 입격하였으며,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153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유학ㅣ인명>관인>문신
-
영백(英伯)@임경업 - 임경업(林慶業)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택(平澤). 친명배청파(親明排淸派)로서 명군(明軍) 총병(總兵)으로 청(淸) 나라를 공격하다가 포로가 되었으며, 송환된 뒤 친국(親鞫)을 받던 중 김자점(金自點)에 의해 장살(杖殺)됨.
1594~1646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영보(榮甫)@오빈 - 오빈(吳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경명(高敬命) 휘하에서 의병활동을 함. 진주성(晉州城)에서 싸우던 도중 성이 함락되려 하자 남강(南江)에 투신하여 자결함.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증직됨.
1547~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영보(榮甫) - 박수림(朴秀林)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읍취헌(挹翠軒) 박은(朴誾)의 조부(祖父)로, 교하 현감(交河縣監) 등을 역임함.
1419~14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영보(英甫)@권준신 - 권준신(權俊臣)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인(權寅)의 아들로, 1582년(선조 15) 생원시(生員試)에 형 권호신(權虎臣)과 함께 입격함.
1561~16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영보(英甫)@이수형 - 이수형(李秀亨)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우계(羽溪). 평시서 영(平市署令)을 지냈으며, 세조(世祖)가 즉위하자 원호(元昊)ㆍ조려(趙旅) 등과 치악산(雉岳山)에 들어갔다가 영천(榮川)의 도촌(桃村)으로 내려가 은거함.
1435~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영보(英甫) - 송시열(宋時烈)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룬 주자학(朱子學)의 대가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남인(南人)과 대립하고, 후에 노론(老論)의 영수(領袖)로서 왕세자 책봉에 반대하다가 사사(賜死)됨.
1607~168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봉(潁封) - 영고숙(潁考叔)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효자ㆍ무신. 정(鄭) 장공(莊公)에게 받은 고기를 먹지 않고 모친에게 드림으로써 효도의 의미를 일깨워주었으며, 정백(鄭伯)의 무호기(蝥弧旗)를 들고 적군의 성벽에 먼저 올라가는 용맹을 보여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무신
-
영봉(迎鳳) - 천곡서원(川谷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성주(星州)에 건립된 서원. 1558년(명종 13) 창건되고, 1573년(선조 6)에 사액되었으며, 숙정자(叔程子)ㆍ주자(朱子)ㆍ김굉필(金宏弼)ㆍ이언적(李彦迪)ㆍ정구(鄭逑)ㆍ장현광(張顯光) 등을 배향함.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영봉서원(迎鳳書院) - 천곡서원(川谷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성주(星州)에 건립된 서원. 1558년(명종 13) 창건되고, 1573년(선조 6)에 사액되었으며, 숙정자(叔程子)ㆍ주자(朱子)ㆍ김굉필(金宏弼)ㆍ이언적(李彦迪)ㆍ정구(鄭逑)ㆍ장현광(張顯光) 등을 배향함.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영봉원(迎鳳院) - 천곡서원(川谷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성주(星州)에 건립된 서원. 1558년(명종 13) 창건되고, 1573년(선조 6)에 사액되었으며, 숙정자(叔程子)ㆍ주자(朱子)ㆍ김굉필(金宏弼)ㆍ이언적(李彦迪)ㆍ정구(鄭逑)ㆍ장현광(張顯光) 등을 배향함.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영봉인(潁封人) - 영고숙(潁考叔)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효자ㆍ무신. 정(鄭) 장공(莊公)에게 받은 고기를 먹지 않고 모친에게 드림으로써 효도의 의미를 일깨워주었으며, 정백(鄭伯)의 무호기(蝥弧旗)를 들고 적군의 성벽에 먼저 올라가는 용맹을 보여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무신
-
영부(英符) - 이영부(李英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반(李攀)의 아들로, 세자시강원 문학(世子侍講院文學) 등을 지냈으나, 지평(持平)으로 있을 때 현량과(賢良科)의 폐지를 반대하다가 탄핵을 받아 파직됨.
1487~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분(永芬) - 김명종(金鳴鍾)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셋째 아들. 본관은 경주(慶州). 손국(遜國) 후 경주군(慶州君)에 봉해짐.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자
-
영빈(潁濱) - 소철(蘇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 소순(蘇洵)의 아들이자 소식(蘇軾)의 동생으로,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좌천되었으나 복귀 후 문하시랑(門下侍郞) 등을 지냄.
1039~111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사(靈師) - 영운(靈雲)
조선 후기의 승려. 동원(東園) 김귀영(金貴榮)ㆍ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彥)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영삭(寧朔) - 태천(泰川)
평안북도 남서쪽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영변(寧邊), 북쪽으로 삭주(朔州)를 접하고 있음.
평안도>태천 , 지명>행정지명
-
영산(寧山)@부령 - 부령(富寧)
함경북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함경산맥과 그 지맥들로 둘러싸여 있음. 내류과 해안을 잇는 주요 교통로로 이용되는 무산령(茂山嶺)ㆍ차유령(車踰嶺) 등의 고개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부령 , 지명>행정지명
-
영산(寧山) - 천안(天安)
충청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 삼남대로(三南大路)의 분기점.
충청도>천안 , 지명>행정지명
-
영산군(寧山君)@이예윤 - 이예윤(李禮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의 증손이며, 평해부수(平海副守) 이담(李倓)의 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宣祖)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68~162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영산부령(寧山副令) - 이예윤(李禮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의 증손이며, 평해부수(平海副守) 이담(李倓)의 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宣祖)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68~162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영산부원군(永山府院君) - 김수온(金守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신. 세종ㆍ세조(世祖) 때 편찬 및 국역 사업에 공헌하고, 특히 시문에 뛰어나 〈희청부(喜晴賦)〉는 명 나라에까지 알려짐.
1410~14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상인(靈上人) - 영운(靈雲)
조선 후기의 승려. 동원(東園) 김귀영(金貴榮)ㆍ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彥)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영새(寧塞) - 삭주(朔州)
평안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해 있으며, 1018년(현종 9)에 영새(寧塞)에서 삭주(朔州)로 명칭이 변경됨.
평안도>삭주 , 지명>행정지명
-
영서(嶺西) - 강원도(江原道)
한반도의 중부지방 동쪽에 위치한 도(道) 이름.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강원도 , 지명>행정지명
-
영서(靈胥) - 오운(伍員)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재상. 초(楚) 나라 사람으로 아버지와 형이 초(楚) 평왕(平王)에게 처형당함. 오 나라 부차(夫差)를 도와 월(越) 나라를 이기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후에 부차(夫差)에게 처형당함.
B.C.559~B.C.48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영석(嬴石) - 경공(景公)@춘추전국(秦)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제후. 재위 B.C.577~B.C.537. 환공(桓公)의 아들로, 환공의 장례를 천자의 예로 행함.
?~B.C.53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영석(永錫) - 노효번(盧孝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시정(寺正)을 지낸 노경린(盧慶麟)의 아들로, 부정(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영석(永錫)@곽영석 - 곽영석(郭永錫)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 중서검교(中書檢校) 등을 역임했으며, 1366년(공민왕 15)에 하남왕(河南王) 확곽첩목아(擴廓帖木兒)의 보빙사(報聘使)로 고려(高麗)에 왔음.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영석(永錫)@박영석 - 박영석(朴永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찰방(察訪) 박대임(朴大任)의 아버지로, 상서원 판관(尙瑞院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영석(永錫)@유영석 - 유영석(柳永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선조(宣祖) 때 정랑(正郞) 등을 지낸 유덕종(柳德種)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영석(永錫)@조영석 - 조영석(趙永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한양(漢陽).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조우(趙佑)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영선군(永善君) - 이귀수(李龜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한 번째 서자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영선도정(永善都正) - 이리(李利)
조선 세종(世宗) 때의 종친. 삭녕 군수(朔寧郡守)를 지낸 양치(梁治)의 장인으로, 세종 때 곧바로 회시(會試)에 나아가기 위해 병을 빙자해 한성시(漢城試)에 나아가지 않았다가 추국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선령(永善令) - 이리(李利)
조선 세종(世宗) 때의 종친. 삭녕 군수(朔寧郡守)를 지낸 양치(梁治)의 장인으로, 세종 때 곧바로 회시(會試)에 나아가기 위해 병을 빙자해 한성시(漢城試)에 나아가지 않았다가 추국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선정(永善正) - 이리(李利)
조선 세종(世宗) 때의 종친. 삭녕 군수(朔寧郡守)를 지낸 양치(梁治)의 장인으로, 세종 때 곧바로 회시(會試)에 나아가기 위해 병을 빙자해 한성시(漢城試)에 나아가지 않았다가 추국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성(寧城) - 영월(寧越)
강원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정선(旌善), 서쪽으로 원주(原州), 남쪽으로 충청도 제천(堤川), 동쪽으로 태백(太白)과 접함. 조선의 단종(端宗)이 유배되어 죽음을 맞이한 곳으로 유명함.
강원도>영월 , 지명>행정지명
-
영성(永成) - 이영성(李永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이홍간(李弘幹)의 아들로,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영성(寧城)@최항 - 최항(崔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삭녕(朔寧). 훈구파(勳舊派)의 대학자로서 문물제도 정비에 크게 기여하고, 역사ㆍ언어ㆍ문장에 정통하여 대중국 외교문서 작성을 전담함.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및 실록(實錄) 편찬 등에 참여함.
1409~14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성(寧城)@부령 - 부령(富寧)
함경북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함경산맥과 그 지맥들로 둘러싸여 있음. 내류과 해안을 잇는 주요 교통로로 이용되는 무산령(茂山嶺)ㆍ차유령(車踰嶺) 등의 고개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부령 , 지명>행정지명
-
영성(寧城) - 삭녕(朔寧)
경기도 연천(漣川) 및 강원도 철원(鐵原) 일부 지역의 옛 고을 이름.
경기도>삭녕 , 지명>행정지명
-
영성개국백(永城開國伯) - 문천강(文天降)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영평개국남(永平開國男) 문탁(文倬)의 아들로, 문하시중 찬성사(門下侍中贊成事)ㆍ태사(太師)ㆍ태부(太傅)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영성군(鈴城君) - 윤탄(尹坦)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윤삼산(尹三山)의 아들이며, 성종(成宗)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숙부로, 중종 즉위 후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영성군(靈城君) - 신광한(申光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고, 우찬성(右贊成)으로 양관(兩館) 대제학을 겸했으며, 좌찬성(左贊成)을 지냄.
1484~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성군(靈城君)@정찬 - 정찬(丁贊)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원(元) 나라에서 공민왕을 폐위시키고 덕흥군(德興君)을 고려왕으로 세우기 위해 최유(崔濡)를 앞세워 침입할 때 공을 세웠지만 덕흥군과 밀통한다는 무고를 받고 투옥되어 울화병으로 죽음.
?~136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무신
-
영성군(寧城君) - 최항(崔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삭녕(朔寧). 훈구파(勳舊派)의 대학자로서 문물제도 정비에 크게 기여하고, 역사ㆍ언어ㆍ문장에 정통하여 대중국 외교문서 작성을 전담함.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및 실록(實錄) 편찬 등에 참여함.
1409~14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성부원군(靈城府院君)@신형 - 신형(申泂)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신숙주(申叔舟)의 아들이자 신광한(申光漢)의 아버지로, 장령(掌令)ㆍ내자시 정(內資寺正)을 역임함.
14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영성부원군(靈城府院君) - 신광한(申光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고, 우찬성(右贊成)으로 양관(兩館) 대제학을 겸했으며, 좌찬성(左贊成)을 지냄.
1484~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성부원군(寧城府院君) - 최항(崔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삭녕(朔寧). 훈구파(勳舊派)의 대학자로서 문물제도 정비에 크게 기여하고, 역사ㆍ언어ㆍ문장에 정통하여 대중국 외교문서 작성을 전담함.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및 실록(實錄) 편찬 등에 참여함.
1409~14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성부정(寧城副正) - 이질(李耋)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손자이며, 경양군(景陽君) 이수환(李壽環)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성수(寧城守) - 이경생(李敬生)
조선 전기의 종친.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최명창(崔命昌)의 장녀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성신씨(寧城辛氏) - 영월신씨(寧越辛氏)
고려 인종(仁宗) 때 송(宋) 나라 사신으로 고려에 귀화한 신경(辛鏡)을 시조로 하는 영산신씨(靈山辛氏)와 동일 혈족으로, 9세손에 와서 영월(寧越)로 분관하여 생긴 성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집단>성씨
-
영성정씨(迎城鄭氏) - 연일정씨(延日鄭氏)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때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낸 정종은(鄭宗殷)을 도시조(都始祖)로 하는 성씨. 지주사공파(知奏事公派)와 감무공파(監務公派)로 나뉨.
한국>신라 , 경상도>영일 , 인명>집단>성씨
-
영성정씨(靈城丁氏) - 영광정씨(靈光丁氏)
중국 당(唐) 나라 대상(大相)으로 신라에 귀화한 정덕성(丁德盛)을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낸 정찬(丁贊)을 중시조(中始祖)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영광 , 인명>집단>성씨
-
영세(英世) - 김영세(金英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홍필(金弘弼)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의성 현령(義城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영소릉(永昭陵) - 인종(仁宗)@송
중국 북송(北宋)의 제4대 황제. 재위 1022~1063. '경력(慶曆)의 치(治)'라는 북송의 최전성기를 누렸지만 말년에는 재정 곤란에 빠짐.
1010~106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손(永孫)@노영손 - 노영손(盧永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중종반정(中宗反正)의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어 모반을 기도한 대사성 이과(李顆) 등을 밀고하여 광원군(光原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영손(永孫) - 신영손(辛永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야은(冶隱) 길재(吉再)의 문인으로 김숙자(金淑滋)와 교유하였고,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영송촌(迎送村) - 영승촌(迎勝村)
경상도 안음(安陰)에 있는 고을 이름. 전철(全轍, 1481~1558)이 지은 정자에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사락정(四樂亭)이라고 이름을 붙이고 시를 지어주었음. 지금은 경상남도 거창군(居昌郡)에 속함.
경상도>안음 , 지명>자연지명
-
영수(永叟) - 황윤석(黃胤錫)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으로, 종래의 이학(理學)과 서구 지식의 조화를 시도함. 《이재유고(頤齋遺藁)》에 실린 운학(韻學)에 대한 연구는 국어학사의 연구대상이 됨.
1729~17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수(永壽)@홍영수 - 홍영수(洪永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고령 현감(高靈縣監)을 역임하였으며, 김일손(金馹孫)의 《탁영집(濯纓集)》 〈금란계록(金蘭契錄)〉에 이름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영수(永壽) - 이영수(李永壽)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손자이며,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수(永銖) - 김영수(金永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한성 판관(漢城判官) 김계권(金係權)의 아들로, 영천 군수(永川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어(射御)ㆍ음률 등에 뛰어났고, 특히 글씨를 잘 씀.
1446~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영수(靈壽)@악양 - 악양(樂羊)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 문후(文侯) 때의 장군. 악의(樂毅)의 선조로, 수많은 참소에도 흔들리지 않은 문후의 절대적 신임 속에 중산(中山)을 정벌하고 3년 만에 돌아왔으며, 영수(靈壽)에 봉해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영수(靈壽)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영수(靈脩) - 회왕(懷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정사를 게을리 하고 직간(直諫)을 받아들이지 않자 굴원(屈原)이 《이소경(離騷經)》을 지어 깨우치려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영수(寧秀) - 김영수(金寧秀)
조선 전기의 유학. 길재(吉再)의 외예(外裔)로, 함창(咸昌)의 양한정(養閑亭) 옆에서 자연을 즐기며 살았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문사>유학
-
영수현공(永修縣公) - 단도제(檀道濟)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무제(武帝)~문제(文帝) 때의 장군. 무제를 도와 송 나라를 건국하는 데 공을 세워 영수현공(永修縣公)에 봉해짐.
?~43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영숙(榮叔) - 김영숙(金榮叔)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여산(礪山) 남계(鑑溪) 가에 있는 정자의 이름을 남효온(南孝溫)에게 청하였는데, 그 기문(記文)이 《추강집(秋江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ㅣ전라도>여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