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영숙(永叔)@구양수 - 구양수(歐陽脩)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유(韓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古文) 부흥에 힘씀. 추밀부사(樞密副使)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영숙(永叔) - 손비장(孫比長)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수찬(藝文館修撰)) 등을 역임하였고,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세조실록(世祖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숙(永叔)@박윤원 - 박윤원(朴胤源)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김창협(金昌協)ㆍ이재(李縡)ㆍ김원행(金元行)의 학통을 계승하여 홍직필(洪直弼)에게 전수함.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고 예학(禮學)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저서로 《근재집(近齋集)》ㆍ《근재예설(近齋禮說)》이 있음.
1734~17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
-
영숙(永叔)@송방조 - 송방조(宋邦祚)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임진왜란 때 충청도 영동(永同)에서 의병을 모집함. 평안도 병마평사(平安道兵馬評事)로 있을 때 용천관(龍川館)에서 급사함.
1567~161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영숙(永叔)@옹영 - 옹영(翁泳)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역(周易)에 능통했고, 하도(河圖)에 관한 설(說)이 회자(膾炙)되고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영숙(永叔)@양세남 - 양세남(梁世南)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손자인 양만용(梁曼容)의 아들. 증조부 양응정의 문집을 간행하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
1627~168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영숙(永叔)@축확 - 축확(祝確)
중국 송(宋) 나라의 상인. 주희(朱熹)의 외조부로, 휘주성(徽州城) 상점의 반을 점거할 정도로 크게 사업을 하여 ‘축반성(祝半城)’이라 일컬어짐.
중국>송 , 중국 , 인명>기술인>상인
-
영숙(永淑) - 김만기(金萬基)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숙종의 국구(國舅)로, 김만중(金萬重)의 형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내고,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에 봉해짐.
1633~16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영숙(潁叔)@이색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숙(潁叔) - 영고숙(潁考叔)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효자ㆍ무신. 정(鄭) 장공(莊公)에게 받은 고기를 먹지 않고 모친에게 드림으로써 효도의 의미를 일깨워주었으며, 정백(鄭伯)의 무호기(蝥弧旗)를 들고 적군의 성벽에 먼저 올라가는 용맹을 보여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무신
-
영숙(瑩叔) - 김정(金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예범(金禮範)의 아들이며, 김정(金淨)의 문인(門人). 중부 참봉(中部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호은정(壺隱亭)을 지어 놓고 소요함.
150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영순(永詢) - 유영순(柳永詢)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배천 군수(白川郡守) 유연(柳埏)의 아들.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ㆍ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와중에 아버지와 형을 잃고 정유재란 때 복수군(復讐軍)을 조직하기도 함.
1552~16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순(永順) - 이부(李溥)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종친ㆍ문신.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남이(南怡)의 옥사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44~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영순군(永順君) - 이부(李溥)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종친ㆍ문신.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남이(南怡)의 옥사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44~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영승(令升) - 간보(干寶)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인ㆍ학자. 역사(歷史)ㆍ음양(陰陽)ㆍ산수(算數)를 연구하고 역사찬집(歷史撰集)에 종사하였으며 저작랑(著作郞)을 지냄. 저서에 《수신기(搜神記)》 등이 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식(永植) - 유영식(柳永植)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혜적(柳惠迪)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영신(靈身) - 사리(舍利)
참된 불도(佛道)의 수행 결과로 생기는 구슬 모양의 유골. 양산(梁山) 통도사(通度寺)와 오대산(五臺山) 상원사(上院寺) 등에 석가(釋迦)의 진신사리(眞身舍利)가 봉안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짐.
사상>현상>신체증상
-
영신군(永新君) - 이이(李怡)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여섯째 아들로, 종실과 나라를 위해 공을 세워 영신군(永新君)에 봉해짐.
1454~152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왕실>종친
-
영신령(永薪令) - 이이(李怡)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여섯째 아들로, 종실과 나라를 위해 공을 세워 영신군(永新君)에 봉해짐.
1454~152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왕실>종친
-
영안(永安) - 구영안(丘永安)
조선 전기의 유학. 세조(世祖) 등극 후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은둔함.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하였고, 음양(陰陽)ㆍ추보(推步)ㆍ풍수(風水)ㆍ의술ㆍ선도(仙道)ㆍ불도ㆍ승제(乘除) 등 폭넓은 학문을 연마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영안공(永安公) - 왕희(王僖)
고려 후기의 종친. 제20대 신종(神宗)의 둘째 아들인 덕양후(德陽侯) 왕서(王恕)의 아들. 1260년(원종 1) 원(元) 나라에 가서 세조(世祖)의 조서(詔書)를 받아오는 등 외교 활동을 함.
?~126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영안군(永安君) - 정종(定宗)@조선
조선 제2대 왕. 재위 1398~1400. 태조(太祖)와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소생. 고려 후기에 아버지를 따라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전공을 세우고 왕자의 난을 계기로 왕위에 올랐지만, 골육상쟁의 재현을 우려하여 정안군(靖安君)을 세자로 삼고 양위함.
1357~14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안군(寧安君) - 이양우(李良祐)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서형(庶兄)인 완산군(完山君) 이원계(李元桂)의 아들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2차 왕자의 난 때 중립을 지켜 태종(太宗)의 미움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141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영안궁(永安宮) - 문덕곽황후(文德郭皇后)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 문제(文帝)의 황후. 태수(太守) 곽영(郭永)의 딸.
184~23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영안왕(榮安王) - 기자오(奇子敖)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 기철(奇轍)의 아버지. 음보(蔭補)로 총부산랑(摠部散郞)을 지내고, 원(元) 나라 순제(順帝)의 황후가 된 막내딸 기황후(奇皇后)로 인해 원 나라로부터 영안왕(榮安王)에 추봉(追封)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무신
-
영암(泠庵) - 유득공(柳得恭)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문화(文化)로, 규장각 검서(奎章閣檢書) 등을 지냄. 주체적 역사 의식이 강했으며, 대표적인 저서로 《발해고(渤海考)》 등이 있음.
1749~180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애(令艾) - 송섬(宋纖)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인 전량(前涼)의 학자. 품덕(品德)과 조행(操行)이 뛰어나고 주천(酒泉)의 남산(南山)에 은거하여 경학(經學)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교육에도 힘써 문하의 학생이 삼천 명에 이르렀다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영양(榮襄) - 송언신(宋言愼)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축출됨. 저서로 《성학지남(聖學指南)》이 있음.
1542~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영양(永陽) - 영천(永川)@경상도
경상도 남동부에 있는 지명. 동쪽으로 경주(慶州), 서쪽으로 대구(大丘)와 접함. 진산(鎭山)으로 모자산(母子山)이 있고, 사찰로 운부사(雲浮寺) 등이 있음.
경상도>영천(永川) , 지명>행정지명
-
영양(潁陽) - 허국(許國)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1567년 목종(穆宗)이 등극하였을 때 한림 검토(翰林檢討)로서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 위시량(魏時亮)과 함께 반조(頒詔)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저서에 《조선일기(朝鮮日記)》ㆍ《문목공집(文穆公集)》 등이 있음.
1527~1596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양(迎陽) - 영양(英陽)
경상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영해 , 지명>행정지명
-
영양(鈴陽) - 윤형로(尹衡老)
조선 성종(成宗)~중중(中宗) 때의 문신. 윤탄(尹坦)의 아들이며, 성종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사촌 오빠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영양군(永陽君)@이응 - 이응(李膺)@조선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에 기여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태종(太宗)의 척불정책(斥佛政策)을 크게 돕고, 계미자(癸未字) 주조에도 공헌함.
1365~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양군(永陽君)@이대영 - 이대영(李大榮)
고려 후기의 무신. 영천이씨(永川李氏)의 중시조(中始祖)로, 신호위 대장군(神虎衛大將軍)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무신
-
영양군(英陽君)@남익 - 남익(南翼)
고려시대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검교태자첨사(檢校太子詹事)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영양군(英陽君) - 이함(李涵)@1458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서자. 영양부정(英陽副正)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458~152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영양군(英陽君)@남민 - 남민(南敏)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의 귀화인. 중국 당(唐) 나라 사람 김충(金忠)으로, 풍랑을 만나 영양(英陽)에 정착한 후 신라에서 성과 이름을 내림. 영양(英陽)ㆍ의령(宜寧)ㆍ고성(固城) 남씨(南氏)의 시조.
한국>통일신라 , 중국ㅣ경상도>영해 , 인명>기타인명>귀화인
-
영양군(鈴陽君) - 윤형로(尹衡老)
조선 성종(成宗)~중중(中宗) 때의 문신. 윤탄(尹坦)의 아들이며, 성종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사촌 오빠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영양군공(榮陽郡公)@정성량 - 정성량(鄭性良)
고려 후기의 유학. 원(元) 나라 조정(朝廷)에서 제조장알사사(提調掌謁司事)를 지낸 손자 정독만달(鄭禿滿達)의 공(功)으로 자선대부 중서성좌승 상호군(資善大夫中書省左丞上護軍)에 추증되고 영양군공(榮陽郡公)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영양군공(榮陽郡公) - 정공윤(鄭公允)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하동(河東). 증손자인 정독만달(鄭禿滿達)이 원(元) 나라 인종(仁宗) 때 환관으로 공을 세워 영양군공(榮陽郡公)에 봉작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영양부수(永陽副守) - 이춘복(李春福)
조선 전기의 종친. 영성수(寧城守) 이경생(李敬生)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양부정(英陽副正) - 이함(李涵)@1458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서자. 영양부정(英陽副正)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458~152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영양상국(榮陽相國) - 정숙첨(鄭叔瞻)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형부 상서를 지낸 정세유(鄭世猷)의 아들이며, 최우(崔瑀)의 장인. 아버지의 반역 모의에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거란(契丹)의 침입 때 중군원수(中軍元帥)가 되었으며, 평장사(平章事)에 오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영양위(寧陽尉) - 정종(鄭悰)
조선 제5대 문종(文宗)의 부마. 본관은 해주(海州). 참판 정충경(鄭忠敬)의 아들로 경혜공주(敬惠公主)와 혼인함. 단종(端宗) 초기에 형조 판서(刑曹判書)가 되지만, 세조(世曹)가 즉위하자 영월에 유배된 뒤 반역죄로 죽음.
?~146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왕실>인척
-
영양이씨(永陽李氏) - 영천이씨(永川李氏)
고려 초에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이문한(李文漢)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집단>성씨
-
영양정(英陽正) - 이함(李涵)@1458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서자. 영양부정(英陽副正)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458~152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영업(榮業) - 송영업(宋榮業)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첨지사(僉知事) 송기(宋圻)의 아들이며, 간성 현감(杆城縣監) 송희업(宋熙業)의 동생으로, 찰방(察訪)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영연사(靈淵祠) - 영연서원(靈淵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고령(高靈)에 건립한 서원. 1711년(숙종 3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신덕린(申德隣)ㆍ박은(朴誾)ㆍ정사현(鄭師賢)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함.
17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영영(嬴榮) - 환공(桓公)@춘추전국(秦)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제후. 재위 B.C.603~B.C.577. 진(晉) 나라 여공(厲公)과 함께 동맹을 맺었으나, 뒤에 동맹을 어기고 진 나라를 공격하였다가 패함.
?~B.C.5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영왕(潁王) - 무종(武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15대 황제. 재위 840~846. 목종(穆宗)의 다섯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동생. 도교(道敎)를 신봉해 불교ㆍ경교(景敎)ㆍ마니교(摩尼敎) 등을 탄압함.
814~84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왕(瀛王) - 풍도(馮道)
중국 당(唐)~오대십국(五代十國) 때의 문신ㆍ학자. 유교경전(儒敎經典)을 최초로 조판ㆍ인쇄하는 등 대학자로 존경받았으나, 다섯 왕조에서 열한 명의 황제를 모셨다 하여 충절을 의심받기도 함.
882~954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왕(甯王) - 영왕(寧王)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현종(玄宗)의 형. 처음에 황태자(皇太子)가 되었다가 뒤에 영(寧) 땅의 왕(王)으로 봉해짐. 아들은 ‘주중팔선인(酒中八仙人)’ 중의 한 사람으로 알려진 이진(李璡).
?~741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영왕(寧王) - 무왕(武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제1대 왕. 재위 B.C.1046~ B.C.1043. 목야(牧野)에서 은(殷) 나라 주왕(紂王)의 대군을 격파하여 은 나라를 멸망시키고 주 나라를 창건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우(永祐)@이영우 - 이영우(李永祐)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별시위(別侍衛)를 지낸 이귀(李龜)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영우(永祐) - 조하(趙嘏)
중국 당(唐) 무종(武宗)~선종(宣宗) 때의 문신ㆍ시인. 842년(무종 2) 진사에 에 오르고 선종 때 위남위(渭南尉)에 이름. “장적일성인의루(長笛一聲人倚樓)”라는 시구로 유명해짐.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영운(靈運) - 사영운(謝靈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 사현(謝玄)의 손자로, 영가 태수(永嘉太守)를 지냈으나 파쟁(派爭)으로 인하여 유배 중에 처형됨. 자연을 노래한 산수시인(山水詩人)으로 높이 평가받음.
385~43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영원(伶元) - 영현(伶玄)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문인. 회남상(淮南相) 등을 지냈으며, 첩인 번통덕(樊通德)에게 성제(成帝)의 황후인 비연(飛燕)의 자매(姉妹)에 대한 고사를 듣고 《비연외전(飛燕外傳)》을 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영원(永元) - 이영원(李永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인. 읍취헌(挹翠軒) 박은(朴誾)의 문객(門客)으로, 전서(篆書)ㆍ예서(隸書)ㆍ팔분서(八分書)에 능하고 시(詩)를 좋아하였으며, 《송명파수집(松明破睡集)》을 편찬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
-
영원(永源) - 최영원(崔永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영암(靈巖). 영암 군수(靈巖郡守)를 지낸 최형한(崔亨漢)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문사>유학
-
영원(永源)@신영원 - 신영원(申永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임진왜란 때 전주 부윤(全州府尹)을 지낸 신담(申湛)의 아버지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영원군(永原君)@문극 - 문극(文▼(亻+克))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문다성(文多省)의 아들로,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영원군(永原君)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원군(永原君)@이덕수 - 이덕수(李德壽)
조선 후기의 종친. 부안군(扶安君) 이석수(李碩壽)와 함께 임진왜란 때 훼손된 선릉(宣陵)ㆍ정릉(靖陵)을 봉심(奉審)하는 데 참여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원군(靈源君) - 이풍(李灃)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맏아들로, 후사가 없어 아우인 부림군(富林君) 이식(李湜)의 둘째 아들 도안군(道安君) 이철(李轍)로 계대(繼代)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원군(寧原君)@홍가신 - 홍가신(洪可臣)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청난공신(淸亂功臣)에 책록됨.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에 입각하여 노장(老莊)ㆍ불교(佛敎)를 비판함.
1541~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원군(寧原君) - 이풍(李灃)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맏아들로, 후사가 없어 아우인 부림군(富林君) 이식(李湜)의 둘째 아들 도안군(道安君) 이철(李轍)로 계대(繼代)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원군개국백(鈴原郡開國伯) - 윤관(尹瓘)
고려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무신. 별무반(別武班)을 창설하고 예종 때 구성(九城)을 쌓아 침범하는 여진(女眞)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111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영원부원군(鈴原府院君) - 윤호(尹壕)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윤삼산(尹三山)의 아들이며,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윤탕로(尹湯老)와 성종비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아버지로,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424~14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영원부정(寧原副正) - 이구(李耈)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손자이자, 경양도정(景陽都正) 이수환(李壽環)의 첫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원산성(翎原山城) - 영원산성(領原山城)
신라시대 강원도 원주(原州) 치악산(雉岳山)에 쌓은 산성(山城). 거란의 침입 때 향공진사(鄕貢進士) 원충갑(元沖甲)이 이 성곽을 지켰으며, 임진왜란 때 원주 목사(原州牧使) 김제갑(金悌甲)이 이곳에서 순절함.
한국>신라 , 강원도>원주 , 유적>시설>성,진,책
-
영원산성(鈴原山城) - 영원산성(領原山城)
신라시대 강원도 원주(原州) 치악산(雉岳山)에 쌓은 산성(山城). 거란의 침입 때 향공진사(鄕貢進士) 원충갑(元沖甲)이 이 성곽을 지켰으며, 임진왜란 때 원주 목사(原州牧使) 김제갑(金悌甲)이 이곳에서 순절함.
한국>신라 , 강원도>원주 , 유적>시설>성,진,책
-
영원산성(靈原山城) - 영원산성(領原山城)
신라시대 강원도 원주(原州) 치악산(雉岳山)에 쌓은 산성(山城). 거란의 침입 때 향공진사(鄕貢進士) 원충갑(元沖甲)이 이 성곽을 지켰으며, 임진왜란 때 원주 목사(原州牧使) 김제갑(金悌甲)이 이곳에서 순절함.
한국>신라 , 강원도>원주 , 유적>시설>성,진,책
-
영원수(永原守) - 이덕수(李德壽)
조선 후기의 종친. 부안군(扶安君) 이석수(李碩壽)와 함께 임진왜란 때 훼손된 선릉(宣陵)ㆍ정릉(靖陵)을 봉심(奉審)하는 데 참여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월군(寧越君) - 신윤문(辛允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관찰사(觀察使) 신영손(辛永孫)의 손자로 용강 현령(龍岡縣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월당(迎月堂) - 경춘당(景春堂)
통일신라 선덕왕(宣德王) 때 경상도 경주(慶州)에 건립된 사찰건물. 당(唐) 나라 첨의사(僉議使) 백우경(白宇經)이 망명하여 경주에 와서 건물을 짓고 영월당(迎月堂)이라고 하였는데, 선덕왕(宣德王)이 경춘당(景春堂)으로 고침.
780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건물>사찰
-
영위(令威) - 허원(許遠)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 장순(張巡)ㆍ안고경(顔杲卿) 등과 함께 안녹산(安祿山)의 난을 진압하다가 모두 죽임을 당함.
709~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영위(令威)@정영위 - 정영위(丁令威)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도사(道士). 요동(遼東) 사람으로 영허산(靈虛山)에서 도(道)를 닦아 신선(神仙)이 되고 천년 뒤 학(鶴)이 되어 돌아와 화표주(華表柱)에 앉았다고 함.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영유(寗兪) - 영유(甯兪)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衛) 나라 성공(成公) 때의 대부. 나라에 도(道)가 있을 때는 지혜롭게 행동하고, 나라가 무도할 때는 어리석게 행동하여 공자(孔子)의 칭송을 받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영유(永濡) - 김영유(金永濡)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십청헌(十淸軒) 김세필(金世弼)의 조부로, 대사헌(大司憲)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역임함.
1418~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영윤(永潤) - 박영윤(朴永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선산 부사(善山府使) 박찬(朴璨)의 아들로, 이산 군수(理山郡守)ㆍ서산 군수(瑞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영윤(英胤) - 이영윤(李英胤)
조선 전기의 종친ㆍ화가. 청성군(靑城君) 이걸(李傑)의 셋째 아들이며, 이경윤(李慶胤)ㆍ이중윤(李仲胤)의 아우. 그림을 잘 그리고, 특히 영모(翎毛)ㆍ화조(花鳥)ㆍ말 그림에 뛰어남.
1561~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영은(永垠) - 이영은(李永垠)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효문(李孝文)의 아버지. 1456년(세조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좌부승지(左副承旨)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34~147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은군(靈恩君) - 이함(李涵)
조선 후기의 종친ㆍ서화가. 본관은 전주(全州). 능원대군(陵原大君) 이보(李俌)의 아들로, 가야금과 그림에 능통하였으며, 조속(趙涑)의 화풍을 이어받음. 〈쌍작도(雙鵲圖)〉ㆍ〈해암응립도(海巖鷹立圖)〉ㆍ〈과전초충도(瓜田草蟲圖)〉 등의 작품이 있음.
163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영을(永乙) - 혜심(惠諶)
고려 희종(熙宗)~고종(高宗) 때의 고승(高僧). 지눌(知訥)의 제자로, 대선사(大禪師)에 올라 수선사(修禪寺)ㆍ단속사(斷俗寺) 주지를 겸임하였으며, 고려 선종(禪宗)의 위치를 확고히 굳힘.
1178~123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종교인>승려
-
영음후(潁陰侯) - 관영(灌嬰)
중국 진말(秦末)~한초(漢初) 때의 무신. 한(漢) 나라의 개국공신. 한 고조(漢高祖)를 도와 한중(漢中)의 공략과 초한(楚漢)의 팽성(彭城) 전투 때에 공을 세웠으며, 여후(呂后)가 죽은 뒤에 주발(周勃) 등과 문제(文帝)를 옹립함.
?~B.C.176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영읍(靈邑)@영산 - 영산(靈山)
경상도 북부 중앙에 위치한 지명. 본래 독립된 군(郡)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창녕(昌寧)에 속하게 됨. 진산(鎭山)으로 영취산(靈鷲山)이 있음.
경상도>영산 , 지명>행정지명
-
영읍(靈邑) - 영암(靈巖)
전라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장흥(長興), 남쪽으로 강진(康津)과 접하였으며, 대표적인 산으로 월출산(月出山)과 사찰로는 도갑사(道岬寺) 등이 있음.
전라도>영암 , 지명>행정지명
-
영응(永膺)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영의(永義) - 여주(驪州)
경기도 동남부의 고을 이름. 고구려 때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 부른 이후, 여러 명칭으로 바뀌어 불리다가 1468년(예종 1) 여주라 하고 목(牧)으로 승격함.
경기도>여주 , 지명>행정지명
-
영의(英毅) - 남민(南敏)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의 귀화인. 중국 당(唐) 나라 사람 김충(金忠)으로, 풍랑을 만나 영양(英陽)에 정착한 후 신라에서 성과 이름을 내림. 영양(英陽)ㆍ의령(宜寧)ㆍ고성(固城) 남씨(南氏)의 시조.
한국>통일신라 , 중국ㅣ경상도>영해 , 인명>기타인명>귀화인
-
영의(英毅)@윤석 - 윤석(尹碩)
고려 충선왕(忠宣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만비(尹萬庇)의 아들로, 조적(曺頔)의 난을 진압하여 일등공신이 되고 좌정승 등을 역임하였으나, 충목왕 때 유배되어 죽음.
?~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인(寧仁) - 아산(牙山)
충청도 서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초기에는 인주(仁州)ㆍ아주(牙州)라 불렀으며, 이순신(李舜臣)의 영정(影幀)을 모신 현충사(顯忠祠)가 있음.
충청도>아산 , 지명>행정지명
-
영인(永仁) - 조영인(趙永仁)
고려 의종(毅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으로, 정당문학 판예부사(政堂文學判禮部事)를 지낸 조충(趙冲)의 아버지. 태자(太子)의 보도(輔導)를 맡은 바 있으며, 문하시중으로 치사(致仕)함.
1133~1202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횡성 , 인명>관인>문신
-
영인군(寧仁君) - 이순(李揗)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손자이며,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의 매제(妹弟)로, 덕성군(德城君) 이민(李敏)의 후사가 되었다가 파양(破養)됨.
1448~150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인부정(寧仁副正) - 이순(李揗)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손자이며,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의 매제(妹弟)로, 덕성군(德城君) 이민(李敏)의 후사가 되었다가 파양(破養)됨.
1448~150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인후(寧仁侯) - 왕진(王稹)
고려 후기의 종친. 현종(顯宗)의 아들인 평양공(平壤公)의 5대손이며, 희종(熙宗)의 비인 성평왕후(成平王后)의 아버지. 명종(明宗)의 딸인 연희궁주(延禧宮主)와 결혼하였고, 불교와 도교에 조예가 깊음.
?~122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영일정씨(迎日鄭氏) - 연일정씨(延日鄭氏)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때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낸 정종은(鄭宗殷)을 도시조(都始祖)로 하는 성씨. 지주사공파(知奏事公派)와 감무공파(監務公派)로 나뉨.
한국>신라 , 경상도>영일 , 인명>집단>성씨
-
영임호(嬴任好) - 목공(穆公)@춘추전국(秦)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제9대 제후. 재위 B.C.660~B.C.621. 백리해(百里奚)를 등용하여 국력을 크게 신장시켜 춘추오패(春秋五覇)의 하나가 됨.
?~B.C.6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영자(令孜) - 전영자(田令孜)
중국 당(唐) 희종(僖宗)~소종(昭宗) 때의 환관. 황소(黃巢)의 난을 피해 희종을 따라 촉(蜀)으로 갔다가 환도(還都)한 뒤 공을 인정받아 권세를 떨쳤으나, 소종(昭宗)이 즉위한 뒤에 아들로 삼았던 왕건(王建)에게 피살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영자(寗子) - 영척(甯戚)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대부. 집이 가난하여 남의 소를 치다가 환공(桓公)이 지나간다는 소식을 듣고서 쇠뿔을 두드리며 자신의 시름을 노래하자, 환공이 불러서 대화한 후 뛰어난 식견에 기뻐하며 대부로 삼았다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