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영자(永滋) - 박영자(朴永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선산 부사(善山府使) 박찬(朴璨)의 아들로, 영암 군수(靈岩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영재(泠齋) - 유득공(柳得恭)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문화(文化)로, 규장각 검서(奎章閣檢書) 등을 지냄. 주체적 역사 의식이 강했으며, 대표적인 저서로 《발해고(渤海考)》 등이 있음.
1749~180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전(影殿) - 경기전(慶基殿)
조선 태종(太宗) 때 태조(太祖)의 어진(御眞)을 봉안하기 위해 전라도 전주에 건립한 묘사(廟祠). 1410년(태종 10)에 어용전(御容殿)을 세우고 1442년(세종 2)에 이름을 경기전으로 고침. 1771년(영조 47)에는 조경묘(肇慶廟)를 세워 이한(李翰) 부부의 신위를 봉안함.
141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유적>건물>사당
-
영절(英節) - 정예(鄭藝)
고려 전기의 문신. 벽상삼한공신 광록대부 문하시중평장사(壁上三韓功臣光祿大夫門下侍中平章事)에 봉해진 고려의 개국공신으로, 진주정씨(晉州鄭氏) 충장공파(忠莊公派)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정(嬴政)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정(榮靖) - 인종(仁宗)@조선
조선 제12대 왕. 재위 1544~1545.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ㆍ기준(奇遵) 등을 신원(伸寃)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부활시킴.
151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정(永定) - 풍기(豊基)
경상도 북단에 위치한 고을 이름. 1451년(문종 1) 기천(基川)과 은풍(殷豊)을 합하여 신설함.
경상도>풍기 , 지명>행정지명
-
영정(永貞)@김영정 - 김영정(金永貞)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김영견(金永堅)의 동생. 여러 번 명(明) 나라로 사신갔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음.
1437~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영정사(靈井寺) - 표충사(表忠寺)
신라 때 원효(元曉)가 경상도 밀양(密陽)에 건립한 사찰. 흥덕왕(興德王) 때 황면(黃面)이 재건하여 영정사(靈井寺)라 개칭하고, 조선 정조(正祖) 때 표충사(表忠祠)를 돌본 이후 표충사(表忠寺)라 불림.
한국>신라 , 경상도>밀양 , 유적>건물>사찰
-
영정산인(永貞山人) - 영정(永貞)
조선 전기의 승려.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이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묘필(妙筆)을 이어 받은 것으로 평가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영정수(永貞守) - 이복중(李福重)
조선 전기의 종친. 도개부정(道開副正) 이효장(李孝長)의 아들로, 중종(中宗) 때 삼정승(三政丞)을 암살하고 중종을 폐위한 후 완원군(完原君) 이수(李𢢝)를 옹립하려 하였다는 혐의를 받아 체포된 후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정왕(榮靖王) - 인종(仁宗)@조선
조선 제12대 왕. 재위 1544~1545.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ㆍ기준(奇遵) 등을 신원(伸寃)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부활시킴.
151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정왕비박씨(榮靖王妃朴氏) - 인성왕후(仁聖王后)
조선 제12대 인종(仁宗)의 정비(正妃). 1524년(중종 19)에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고, 인종(仁宗)이 즉위하자 왕비가 됨.
1514~15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영제(英濟) - 손영제(孫英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많은 사재를 희사하여 도산서원(陶山書院) 건립에 크게 이바지함. 저서로 《추천집(鄒川集)》이 있음.
1521~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제(寧堤) - 이석령(李錫齡)
조선 전기의 종친.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맏아들인 하원군(河原君) 이정(李鋥)의 아들이며. 선조(宣祖)의 조카로, 중부(仲父)인 하릉군(河陵君) 이린(李麟)의 후사가 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제(寧堤) - 남양(南陽)
경기도 수원(水原)과 화성(華城) 일대의 옛 고을 이름. 조선 전기에 경기수군절도사영(京畿水軍節度使營)이 화량진(花梁鎭)에 설치되어 경기도 해안 방어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기도>남양 , 지명>행정지명
-
영제교(永濟橋) - 어양교(漁陽橋)
중국 계주(薊州)에 있는 다리 이름. 당(唐) 나라의 안녹산(安祿山)과 양귀비(楊貴妃)의 형상을 새겼다고 전하며, 연행(燕行)하는 조선 사신들이 반드시 거쳐 가는 장소임.
중국>당 , 중국 , 유적>시설>기타시설
-
영제정(寧堤正) - 이석령(李錫齡)
조선 전기의 종친.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맏아들인 하원군(河原君) 이정(李鋥)의 아들이며. 선조(宣祖)의 조카로, 중부(仲父)인 하릉군(河陵君) 이린(李麟)의 후사가 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제현(靈蹄縣) - 인산진(麟山鎭)
평안도 의주(義州)에 있는 석성(石城). 본래 인주(麟州)였으나 고려 고종(高宗) 때 반란이 일어나 인산(麟山)으로 강등되고, 조선 세종(世宗) 때 진(鎭)이 설치되었으며, 선조(宣祖) 때 이제신(李濟臣)이 이곳에 유배됨.
평안도>의주 , 유적>시설>성,진,책
-
영조(榮祖) - 김영조(金榮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산음 현감(山陰縣監) 김대현(金大賢)의 아들이며 김성일(金誠一)의 사위로, 부제학(副提學)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냈음.
1577~16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영조대왕(英祖大王) - 영조(英祖)
조선 제21대 왕. 재위 1724~1776. 재위 기간 중에 탕평책(蕩平策)과 균역법(均役法)을 추진하고,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여 실학을 장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김.
1694~17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조문(迎詔門) - 영은문(迎恩門)
조선 중종(中宗) 때 중국 사신을 맞아들이던 모화관(慕華館) 앞에 건립한 문. 본래 이름은 영조문(迎詔門)이었는데 명 나라 사신 설정총(薛廷寵)에 의해 영은문(迎恩門)으로 개칭되었고, 뒤에 서재필(徐載弼) 등이 이 자리에 독립문(獨立門)을 세움.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기타시설
-
영종(英宗) - 영조(英祖)
조선 제21대 왕. 재위 1724~1776. 재위 기간 중에 탕평책(蕩平策)과 균역법(均役法)을 추진하고,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여 실학을 장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김.
1694~17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종(英宗)@왕창 - 왕창(王淐)
고려 제23대 고종(高宗)의 아들. 원종(元宗)의 동모제(同母弟)로 1269년(원종 10) 임연(林衍) 등에 의해 즉위하였으나, 몽고의 압력으로 곧 폐위되고 원종이 복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영종대왕(英宗大王) - 영조(英祖)
조선 제21대 왕. 재위 1724~1776. 재위 기간 중에 탕평책(蕩平策)과 균역법(均役法)을 추진하고,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여 실학을 장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김.
1694~17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종선인성렬고황후(英宗宣仁聖烈高王后) - 선인황후(宣仁皇后)
중국 송(宋) 나라 제5대 황제 영종(英宗)의 황후. 신종(神宗) 때에 황태후가 되었고, 철종(哲宗) 때에 태황태후가 되어서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여 사마광(司馬光)을 재상으로 삼고 왕안석(王安石)을 배척하는 정책을 폄.
1032~109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영주(榮州) - 영천(榮川)@경상도
경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안동(安東), 서쪽으로 풍기(豐基)와 접해 있음. 현재는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경상도>영천(榮川) , 지명>행정지명
-
영주(永州) - 영천(永川)@경상도
경상도 남동부에 있는 지명. 동쪽으로 경주(慶州), 서쪽으로 대구(大丘)와 접함. 진산(鎭山)으로 모자산(母子山)이 있고, 사찰로 운부사(雲浮寺) 등이 있음.
경상도>영천(永川) , 지명>행정지명
-
영주(瀛州)@강릉 - 강릉(江陵)
강원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영주(瀛州) - 변산(邊山)
전라북도 부안(扶安)에 있는 산 이름. 뛰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어 일찍이 한국 팔경(八景)의 하나로 꼽혀왔으며, 산이면서 바다와 직접 닿아 있는 것이 특징임.
전라도>부안 , 지명>자연지명
-
영주(瀛州)@고부 - 고부(古阜)
전라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의 시발지. 동쪽으로 태인(泰仁), 남쪽으로 흥덕(興德), 북쪽으로 부안(扶安)과 접해 있던 지역.
전라도>고부 , 지명>행정지명
-
영주(瀛洲)@홍문관 - 홍문관(弘文館)
조선 세조(世祖) 때 설치한 궁중의 경서(經書)ㆍ사적(史籍)의 관리, 문한(文翰)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사헌부(司憲府)ㆍ사간원(司諫院)과 함께 삼사(三司)라고 불림.
14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청
-
영주(瀛洲) - 고부(古阜)
전라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의 시발지. 동쪽으로 태인(泰仁), 남쪽으로 흥덕(興德), 북쪽으로 부안(扶安)과 접해 있던 지역.
전라도>고부 , 지명>행정지명
-
영주(瀛洲)@영주산 - 영주산(瀛洲山)
중국 고대 전설상의 신선이 산다는 산 이름. 삼신산(三神山) 중 하나이자, 오도(五島)의 하나.
고대 ,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영주(英奏) - 금영주(琴韺奏)
조선 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문인(門人)으로, 유학 권중형(權重衡)과 함께 수학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영주(靈珠) - 사리(舍利)
참된 불도(佛道)의 수행 결과로 생기는 구슬 모양의 유골. 양산(梁山) 통도사(通度寺)와 오대산(五臺山) 상원사(上院寺) 등에 석가(釋迦)의 진신사리(眞身舍利)가 봉안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짐.
사상>현상>신체증상
-
영주(韺奏) - 금영주(琴韺奏)
조선 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문인(門人)으로, 유학 권중형(權重衡)과 함께 수학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영주(寧州) - 천안(天安)
충청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 삼남대로(三南大路)의 분기점.
충청도>천안 , 지명>행정지명
-
영주군(瀛州君) - 유숙(柳潚)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예조 참의ㆍ대사간ㆍ부제학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계부(季父) 유몽인(柳夢寅)의 죄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고산(高山)의 삼현영당(三賢影堂)에 제향됨.
1564~16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영주산(瀛洲山)@변산 - 변산(邊山)
전라북도 부안(扶安)에 있는 산 이름. 뛰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어 일찍이 한국 팔경(八景)의 하나로 꼽혀왔으며, 산이면서 바다와 직접 닿아 있는 것이 특징임.
전라도>부안 , 지명>자연지명
-
영주지(榮州志) - 영천지(榮川誌)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인 학사(鶴沙) 김응조(金應祖)가 찬술한 경상도 영천(榮川)에 대한 지지(地誌).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문헌>서명
-
영주지(榮州誌) - 영천지(榮川誌)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인 학사(鶴沙) 김응조(金應祖)가 찬술한 경상도 영천(榮川)에 대한 지지(地誌).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문헌>서명
-
영준(永俊) - 박영준(朴永俊)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진위 현령(振威縣令)을 지낸 무숙(茂叔) 박조(朴稠)의 아들.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번갈아 지냈으며, 좌찬성(左贊成)에 오름.
1510~157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준(泳濬) - 어영준(魚泳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ㆍ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역임했음. 성품이 온화하고 강직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했음.
1483~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영준(英俊) - 이영준(李英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안(鎭安)으로, 이인현(李仁賢)의 아버지.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라 도사(全羅都事)ㆍ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안 , 인명>관인>문신
-
영준(迎俊) - 곽영준(郭迎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상서좌승(尙書左丞)을 지낸 곽침(郭琛)의 아버지로, 판개성부사(判開城府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영중(榮中) - 신명인(申命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 사림파의 구명을 위해 상소함. 정광필(鄭光弼)ㆍ안당(安瑭)ㆍ이장곤(李長坤)ㆍ김정(金淨)ㆍ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ㆍ기준(奇遵) 등과 함께 팔현(八賢)이라 불림.
149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문인
-
영중(永仲) - 육유지(陸維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 속세를 초월한 뜻을 가지고 대조동천(大滌洞天)의 석실(石室)에 은거하여 시와 술을 즐기며 유유자적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영중(瑩仲) - 김진(金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김예범(金禮範)의 아들이며 김성일(金誠一)의 아버지. 기묘명유(己卯名儒)들을 찾아 가르침을 배워 견문을 넓히고 학업에 정진함.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고 사빈서원(泗濱書院)에 제향됨.
1500~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영지(榮至) - 배영지(裵榮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 관직은 판전리(判典理), 상호군(上護軍), 평양 윤(平壤尹)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영지(盈之) - 대불승(戴不勝)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대부. 송 나라 왕을 바른 길로 인도하기 위해 설거주(薛居州)라는 선사(善士)를 왕에게 천거함. 설거주 한 사람의 힘으로는 왕을 선(善)으로 인도하기 어렵다는 내용이 《맹자(孟子)》 등문공 하(滕文公下)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영지(英之)@채세영 - 채세영(蔡世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첨정(僉正) 채자연(蔡子涓)의 아들로,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냈으며, 천문(天文)ㆍ의약(醫藥)ㆍ중국어(中國語)에 정통함.
1490~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지(英之)@고맹영 - 고맹영(高孟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버지. 호조 참의(戶曹參議) 등을 지냈으나 이량(李樑)의 당여(黨與)로서 이량이 실각하자 함께 유배됨.
150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영지(英之) - 김영(金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영수(金永銖)의 아들로, 무오사화(戊午士禍)의 피해자를 신원(伸寃)하도록 상소함.
1475~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영지(領之) - 이령(李領)
조선 전기의 처사(處士). 과거(科擧)에 실패한 뒤 전국을 돌며 산수(山水)를 유람하고 고승(高僧)을 찾아다니다 청주(淸州)의 파관산(葩串山)에 거주함.
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영지(寧之) - 이유령(李幼寧)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주계군(朱溪君) 이심원(李深源)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제자로, 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역임하였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아버지와 함께 직간(直諫)하였다가 화를 당함.
?~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영지사(靈芝舍) - 영지정사(靈芝精舍)
경상도 안동(安東) 도산면(陶山面)의 영지산(靈芝山) 남쪽에 있던 정사(精舍). 조선 중종(中宗) 때 이현보(李賢輔)가 낙향하여 세운 것으로, 이황(李滉)과 교유하던 곳.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누정
-
영지산인(靈芝山人)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직(嬴稷) - 소양왕(昭襄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제후. 재위 BC.306~B.C.251. 주(周)의 난왕(赧王)을 항복시키고 육국(六國)의 합종(合縱) 세력을 격파하여 진 제국의 기초를 닦음. 조(趙) 나라의 화씨벽(和氏璧)을 취하려다 인상여(藺相如)로 인해 실패한 일로 유명함.
B.C.324~B.C.25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영창(永昌)@오영창 - 오영창(吳永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을 지낸 오결(吳潔)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영창(永昌)@이천 - 이천(利川)
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기 중서부와 강원도ㆍ충청도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 논농사로 유명함.
경기도>이천 , 지명>행정지명
-
영창(永昌)@이영창 - 이영창(李永昌)
중국 명(明) 나라의 문인ㆍ서화가. 그림과 글씨에 뛰어나고 서화(書畫)와 골동품 수집을 좋아하였으며, 시집(詩集)으로 《화향(畫響)》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영창군(永昌君) - 이연동(李連仝)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신곡수(薪谷守) 이부정(李富丁)의 아들이며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이억상(李億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창군(永昌君)@왕유 - 왕유(王瑜)
고려 후기의 종친. 보성군(寶城君) 왕희(王熙)의 아들. 《목은고(牧隱藁)》의 〈양주통도사석가여래사리지기(梁州通度寺釋迦如來舍利之記)〉에 그와 관련한 기록이 남아 있음.
?~136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영창군(永昌君)@권균 - 권균(權鈞)@조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491년(성종 2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책록됨.
1464~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창권씨(永昌權氏) - 안동권씨(安東權氏)
고려 창업(創業)에 큰 공을 세운 태사공(太師公) 권행(權幸)을 시조로 하는 성씨. 원래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인 김씨(金氏)였으나 권씨(權氏)로 사성(賜姓)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집단>성씨
-
영창부수(永昌副守) - 이연동(李連仝)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신곡수(薪谷守) 이부정(李富丁)의 아들이며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이억상(李億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창부원군(永昌府院君) - 권균(權鈞)@조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491년(성종 2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책록됨.
1464~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창왕(永昌王) - 고앙(高昂)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제(北齊)의 무신.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영창후(永昌侯) - 남옥(藍玉)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원(元) 순제(順帝)의 아들인 익왕(益王) 탈고사첩목아(脫古思帖木兒)를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양국공(凉國公)에 책봉되었으나, 모반죄로 처형됨.
?~139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영처(嬰處) - 이덕무(李德懋)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서얼 출신으로,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침. 명(明)과 청(淸)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
1741~17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영척(寗戚) - 영척(甯戚)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대부. 집이 가난하여 남의 소를 치다가 환공(桓公)이 지나간다는 소식을 듣고서 쇠뿔을 두드리며 자신의 시름을 노래하자, 환공이 불러서 대화한 후 뛰어난 식견에 기뻐하며 대부로 삼았다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영천(潁川)@황패 - 황패(黃霸)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영천 태수(潁川太守)로 나가 치민제일(治民第一)로 꼽힐 만큼 뛰어난 정사를 펼쳤고, 승상(丞相)의 지위에 오름.
?~B.C.5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영천(靈川) - 고령(高靈)
경상북도 남서단에 있는 고을 이름. 대가야(大伽倻)의 옛 도읍지.
경상도>고령 , 지명>행정지명
-
영천경(永川卿) - 이정(李定)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과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 정씨(鄭氏)의 소생으로, 영천군(永川君)에 봉해짐. 시주(詩酒)를 즐겼고 산수화(山水畫)에 뛰어났음.
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영천공(永川公) - 이정(李定)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과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 정씨(鄭氏)의 소생으로, 영천군(永川君)에 봉해짐. 시주(詩酒)를 즐겼고 산수화(山水畫)에 뛰어났음.
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영천공자(永川公子) - 이정(李定)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과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 정씨(鄭氏)의 소생으로, 영천군(永川君)에 봉해짐. 시주(詩酒)를 즐겼고 산수화(山水畫)에 뛰어났음.
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영천군(永川君)@이미수 - 이미수(李眉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두 번째 아들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둘째 아들이고, 이귀수(李龜壽)의 아우이며 민유경(閔有慶)의 외할아버지. 영천군(永川君)에 봉해짐.
150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영천군(永川君) - 이정(李定)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과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 정씨(鄭氏)의 소생으로, 영천군(永川君)에 봉해짐. 시주(詩酒)를 즐겼고 산수화(山水畫)에 뛰어났음.
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영천군(鈴川君) - 윤반(尹磻)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천부원군(鈴川府院君) 윤사로(尹師路)의 아들이며, 한명회(韓明澮)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영천군(鈴川君)@윤사로 - 윤사로(尹師路)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세종의 부마로, 세조의 즉위를 도와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충훈부 당상(忠勳府堂上) 등을 지냄.
1423~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영천군(靈川君) - 이정(李侹)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손자이며 안남군(安南君) 이수련(李壽鍊)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천군공(潁川郡公) - 한원길(韓元吉)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화정(和靖) 윤돈(尹焞)의 문인(門人)으로, 일찍이 여조겸(呂祖謙)과 더불어 덕청(德淸)의 자상사(慈相寺)에서 강독하고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냄.
1118~118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영천부원군(鈴川府院君) - 윤사로(尹師路)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세종의 부마로, 세조의 즉위를 도와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충훈부 당상(忠勳府堂上) 등을 지냄.
1423~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영천부정(靈川副正) - 이정(李侹)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손자이며 안남군(安南君) 이수련(李壽鍊)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천수(靈川叟) - 신잠(申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오랜 기간 유배되었음.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는데, 묵죽(墨竹)에 특히 뛰어났다고 함.
1491~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영천신원(榮川新院) - 이산서원(伊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영주(榮州)에 건립한 서원. 이황(李滉)을 배향함.
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영천위(鈴川尉) - 윤사로(尹師路)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세종의 부마로, 세조의 즉위를 도와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충훈부 당상(忠勳府堂上) 등을 지냄.
1423~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영천위(靈川尉) - 신의(申檥)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 본관은 고령(高靈). 좌승지를 역임한 신수경(申秀涇)의 아들로,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소생인 경현공주(敬顯公主)와 결혼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왕실>인척
-
영천자(靈川子) - 신잠(申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오랜 기간 유배되었음.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는데, 묵죽(墨竹)에 특히 뛰어났다고 함.
1491~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영천정(永川正) - 이미수(李眉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두 번째 아들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둘째 아들이고, 이귀수(李龜壽)의 아우이며 민유경(閔有慶)의 외할아버지. 영천군(永川君)에 봉해짐.
150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영천후(潁川侯) - 전손사(顓孫師)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송(宋) 나라 이후 공문십철(孔門十哲)로 성묘(聖廟)에 종향(從享)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영철(永澈) - 신영철(申永澈)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손자로, 파주 목사(坡州牧使) 등을 역임함.
1471~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영청(永淸) - 변영청(邊永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주부원군(原州府院君) 변광(邊廣)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인. 남원 부사(南原府使)ㆍ대구 부사(大丘府使)ㆍ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지냄.
1516~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영초(詠初) - 윤효전(尹孝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윤휴(尹鑴)의 아버지. 민순(閔純)ㆍ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서경덕(徐敬德)을 존숭하여 《화담집(花潭集)》 간행에 참여하고, 계축화옥(癸丑禍獄)에 가담하여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록됨.
1563~16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축사(靈鷲寺) - 백담사(百潭寺)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 때 자장(慈藏)이 강원도(江原道) 인제(麟蹄) 설악산에 창건한 사찰. 처음 이름은 한계사(寒溪寺)였으나, 소실(燒失)과 중건(重建)의 반복으로 이름과 위치가 여러 번 바뀜. 1455년(세조 1)에 승려 재익(載益) 등이 옛 한계사 터의 윗쪽 20리 지점에 중건하고 백담사라고 개칭함.
647 한국>신라 , 강원도>인제 , 유적>건물>사찰
-
영춘(榮春) - 이영춘(李榮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5대손이며, 서부 주부(西部主簿) 이길(李洁)의 아들로, 음성 현감(陰城縣監) 등을 지냄.
153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춘(靈春) - 영춘(靈椿)
장수(長壽)하는 나무의 이름.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나오는 나무 이름으로, 8천 년 만에 봄이 되고 8천 년 만에 가을이 된다고 함.
중국 , 자연물>식물
-
영춘군(永春君) - 이인(李仁)@1465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 때 아들인 이기(李祺)의 사건에 연좌되어 남해(南海)에 유배됨.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 복직되고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65~150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영충(永忠) - 박영충(朴永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무신. 요동정벌(遼東征伐) 때 원수(元帥)로서 이성계(李成桂)의 우군(右軍)이 되어 출전하고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지휘함.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추록(追錄)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