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영치암(詅癡菴) - 민창수(閔昌洙)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의정(左議政) 민진원(閔鎭遠)의 아들이며, 민형수(閔亨洙)ㆍ민통수(閔通洙)의 형. 1714(숙종 4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동몽교관(童蒙敎官)ㆍ세자익위사 부솔(世子翊衛司副率) 등을 지냄.
1685~17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칙(永則) - 강세응(姜世應)
조선 종종(中宗) 때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서(姜瑞)와 강우(姜瑀)의 아버지로, 수의부위(修義副尉)를 지냄.
1475~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영태릉(永泰陵) - 철종(哲宗)@송
중국 송(宋) 나라 제7대 황제. 재위 1085~1100. 신종(神宗)의 여섯 번째 아들. 사마광(司馬光) 등 구당(舊黨)을 축출하고 장돈(章惇) 등을 중용하여 왕안석(王安石)의 변법(變法)을 다시 시행함.
1076~1100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태후(靈太后) - 선무영황후(宣武靈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 선무제(宣武帝)의 황후. 아들 효명제(孝明帝)를 독살하고 세 살인 원소(元釗)를 황제로 세운 뒤 섭정하였으나, 후에 계호(契胡)의 추장 이주영(爾朱榮)에 의해 원소와 함께 황하(黃河)에 수장됨.
?~52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영태후(靈太后)@선무영태후 - 선무영황후(宣武靈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 선무제(宣武帝)의 황후. 아들 효명제(孝明帝)를 독살하고 세 살인 원소(元釗)를 황제로 세운 뒤 섭정하였으나, 후에 계호(契胡)의 추장 이주영(爾朱榮)에 의해 원소와 함께 황하(黃河)에 수장됨.
?~52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영택(令澤) - 김영택(金令澤)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상정(金相定)의 아버지로, 대흥 군수(大興郡守)를 지냄.
1699~176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영평(永平)@남평 - 남평(南平)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 남평읍(南平邑) 일원의 옛 고을 이름.
전라도>남평 , 지명>행정지명
-
영평(鈴平) - 윤개(尹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대윤(大尹) 일파를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左議政)에까지 올랐으나, 권세에 아부하였다는 사림(士林)의 비판을 받고 선조(宣祖) 초에 모든 훈작(勳爵)이 삭탈됨.
1494~15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ㅣ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영평(靈平) - 윤탕로(尹湯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윤호(尹壕)의 아들이며, 성종의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오빠. 중종 때 정국공신(靖國功臣)과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영평(鈴平) - 파주(坡州)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398년(태조 7) 서원(瑞原)ㆍ파평(坡平)을 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 되고, 1460년(세조 6) 파주라는 명칭으로 바뀜.
경기도>파주 , 지명>행정지명
-
영평개국남(永平開國男) - 문탁(文倬)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남평문씨(南平文氏)의 시조 문다성(文多省)의 아들로, 문하시랑 찬성사(門下侍郞贊成事)ㆍ태사(太師)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영평군(永平君) - 명제(明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2대 황제. 재위 57~75. 재위기간 중 불교가 유입된 것으로 전해지며, 흉노족을 평정하여 북방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재확립함.
28~7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평군(鈴平君)@윤사분 - 윤사분(尹士昐)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파평부원군(坡平府院君) 윤번(尹璠)의 아들이며, 세조비(世祖妃)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오빠. 문음(門蔭)으로 벼슬하여 우의정 등을 지냈으며,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됨.
1401~147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영평군(鈴平君)@윤목 - 윤목(尹穆)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기여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옥사에 관련되어 유배되었다가 처형됨.
?~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평군(鈴平君)@윤계동 - 윤계동(尹季童)
조선 태종(太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윤향(尹向)의 아들로, 태종의 두 번째 서녀(庶女)인 정신옹주(貞信翁主)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왕실>인척
-
영평군(鈴平君)@윤은 - 윤은(尹垠)
조선 전기의 문신. 윤희제(尹希齊)의 아들이며. 세종(世宗)의 부마인 윤사로(尹師路)의 아버지로, 공조 참의(工曹參議)ㆍ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영평군(鈴平君)@윤개 - 윤개(尹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대윤(大尹) 일파를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左議政)에까지 올랐으나, 권세에 아부하였다는 사림(士林)의 비판을 받고 선조(宣祖) 초에 모든 훈작(勳爵)이 삭탈됨.
1494~15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ㅣ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영평군(鈴平君)@윤척 - 윤척(尹陟)
고려 충정왕(忠定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윤안숙(尹安淑)의 아들로, 우부대언(右副代言)을 지냈으며,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수도를 수복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됨.
?~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영평군(鈴平君) - 윤계겸(尹繼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고,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도 책록됨.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442~148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평군(寧平君) - 최흥원(崔興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으로, 최수진(崔秀珍)의 아들. 임진왜란 때 도순찰사(都巡察使)로 군정 책임을 맡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윤안숙 - 윤안숙(尹安淑)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 윤보(尹珤)의 넷째 아들로, 충숙왕(忠肅王)과 충정왕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윤보 - 윤보(尹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순(尹純)의 아들로, 수첨의찬성사(守僉議贊成事) 등을 지내고,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에 봉해짐.
?~132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 - 윤개(尹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대윤(大尹) 일파를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左議政)에까지 올랐으나, 권세에 아부하였다는 사림(士林)의 비판을 받고 선조(宣祖) 초에 모든 훈작(勳爵)이 삭탈됨.
1494~15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ㅣ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윤은 - 윤은(尹垠)
조선 전기의 문신. 윤희제(尹希齊)의 아들이며. 세종(世宗)의 부마인 윤사로(尹師路)의 아버지로, 공조 참의(工曹參議)ㆍ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영평부원군(寧平府院君) - 최흥원(崔興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으로, 최수진(崔秀珍)의 아들. 임진왜란 때 도순찰사(都巡察使)로 군정 책임을 맡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평위(鈴平尉) - 윤계동(尹季童)
조선 태종(太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윤향(尹向)의 아들로, 태종의 두 번째 서녀(庶女)인 정신옹주(貞信翁主)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왕실>인척
-
영평위(鈴平尉)@윤섭 - 윤섭(尹爕)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윤승류(尹承柳)의 아들로, 성종의 열한 번째 서녀(庶女)인 정숙옹주(靜淑翁主)와 혼인함.
?~151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왕실>인척
-
영평정(鈴平正) - 이보(李輔)@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증손으로, 자암(自菴) 김구(金絿)와 사돈 관계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평제(永平帝) - 명제(明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2대 황제. 재위 57~75. 재위기간 중 불교가 유입된 것으로 전해지며, 흉노족을 평정하여 북방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재확립함.
28~7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평천자(永平天子) - 명제(明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2대 황제. 재위 57~75. 재위기간 중 불교가 유입된 것으로 전해지며, 흉노족을 평정하여 북방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재확립함.
28~7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포(英布) - 경포(黥布)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장군. 항우(項羽)의 휘하에 있다가 유방(劉邦)에게 귀부하였으나 후에 모반함.
?~B.C.195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영하백(寧夏伯) - 이여송(李如松)
중국 명(明) 나라 말기의 무신. 요동 총병(遼東總兵) 이성량(李成梁)의 맏아들로, 1592년 동정제독(東征提督)으로서 영하(寧夏)에서 일어난 발배(哱拜)의 난을 평정함. 임진왜란 때 원군으로 조선에 들어와 왜병을 격파해 전세를 역전시킴.
1549~15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영하정(暎霞亭) - 양사형(楊士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노진(盧禛)ㆍ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영광 군수(靈光郡守)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군량을 조달하고 윤두수(尹斗壽)를 보좌하였으며 죽은 뒤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추록됨.
1547~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하후(寧夏侯) - 이여송(李如松)
중국 명(明) 나라 말기의 무신. 요동 총병(遼東總兵) 이성량(李成梁)의 맏아들로, 1592년 동정제독(東征提督)으로서 영하(寧夏)에서 일어난 발배(哱拜)의 난을 평정함. 임진왜란 때 원군으로 조선에 들어와 왜병을 격파해 전세를 역전시킴.
1549~15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영한(寗漢) - 김영한(金寗漢)
근대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안동(安東). 김홍진(金鴻鎭)의 아들로, 형조 판서 김석진(金奭鎭)에게 입양됨.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의 9대손(代孫)으로, 박광전(朴光前)의 《죽천집(竹川集)》을 비롯한 많은 문집에 서문(序文)ㆍ발문(跋文)을 씀.
1878~? 한국>근대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영해(領海) - 홍윤성(洪允成)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회인(懷仁).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적극 가담하고 세조(世祖)의 즉위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도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25~14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산ㅣ충청도>회인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해군(瀛海君) - 김기종(金起宗)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종사관(從事官)으로 종군하였으며, 그 평정과정을 《서정록(西征錄)》으로 편찬함.
1585~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해백(寧海伯) - 공서린(孔瑞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김굉필(金宏弼)의 문하생으로 조광조(趙光祖)와 친교를 맺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투옥되었다가 풀려남.
1483~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영해부수(寧海副守) - 이모(李耄)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손자이자, 경양도정(景陽都正) 이수환(李壽環)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헌(英憲) - 김지대(金之岱)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청도김씨(淸道金氏)의 시조. 고종(高宗) 4년에 거란군이 침입하자 아버지를 대신해 출전함.
1190~126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영현(英賢) - 이영현(李英賢)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윤원형(尹元衡)의 미움을 받아 좌천되었다가 복직되어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507~157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영형(永亨) - 박영형(朴永亨)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영형(永逈) - 승형(承逈)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승려(僧侶). 능엄선(楞嚴禪)의 주창자. 지눌(知訥)에게 법요(法要)를 받고, 1210년(희종 6)에 연법사(演法寺) 법회(法會)를 주관하여 선풍(禪風)을 확립함.
1172~122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종교인>승려
-
영호(永灝)@최영호 - 최영호(崔永灝)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세종(世宗) 때의 학자인 최항(崔恒)의 아들이며 중종(中宗) 때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을 지낸 최수진(崔秀珍)의 아버지로, 사옹원 정(司饔院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영호(永灝) - 윤수천(尹壽泉)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예천 군수(醴泉郡守)를 지낼 때 쾌빈루(快賓樓)를 중수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영홍(永洪) - 신영홍(申永洪)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손자로, 추성정난공신(推誠定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지사(僉知事) 등을 역임함.
14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화(永化) - 양근(楊根)
경기도 중부 동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는 경기도 양평군(楊平郡)에 속함.
경기도>양근 , 지명>행정지명
-
영화부수(永花副守) - 이정주(李呈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영정수(永定守) 이복중(李福重)의 아들로, 난역(亂逆) 혐의로 유배된 아버지의 억울함을 하소연하고 방면(放免)을 요청하였으나 실패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화정(永和正) - 이정주(李呈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영정수(永定守) 이복중(李福重)의 아들로, 난역(亂逆) 혐의로 유배된 아버지의 억울함을 하소연하고 방면(放免)을 요청하였으나 실패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효(潁孝) - 영고숙(潁考叔)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효자ㆍ무신. 정(鄭) 장공(莊公)에게 받은 고기를 먹지 않고 모친에게 드림으로써 효도의 의미를 일깨워주었으며, 정백(鄭伯)의 무호기(蝥弧旗)를 들고 적군의 성벽에 먼저 올라가는 용맹을 보여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무신
-
영효사(影孝祠) - 물계서원(勿溪書院)@창녕
조선 영조(英祖) 때 경상도 창녕(昌寧)에 건립된 서원. 1712년(숙종 38) 성송국(成松國)의 사당을 세운 것이 시초로, 1729년(영조 5)에 서원으로 바꾸었으며, 성삼문(成三問)을 비롯한 창녕성씨(昌寧成氏) 중 역대 인물 21인을 배향함.
17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영후(永煦) - 김영후(金永煦)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영돈(金永暾)의 동생. 충혜왕(忠惠王)이 원(元) 나라로 잡혀갈 때 호위함.
1292~136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영흥(永興)@영평 - 영평(永平)
경기도 북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현재는 경기도 포천시(抱川市)에 속함.
경기도>영평 , 지명>행정지명
-
영흥군(永興君) - 왕환(王環)
고려 후기의 종친. 신종(神宗)의 6대손으로, 보성군(寶城君) 왕희(王熙)의 아들이며 공양왕(恭讓王)의 종숙(從叔). 1371년(공민왕 20) 처남 신순(辛珣)의 일로 연좌되어 무릉도(武陵島)에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영흥대군(永興大君) - 영응대군(永膺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여덟째 아들. 본관은 전주(全州). 어머니는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 정충경(鄭忠敬)ㆍ송복원(宋復元)의 딸과 혼인하였으며, 《명황계감(明皇誡鑑)》의 가사를 한글로 번역하고, 글씨ㆍ그림ㆍ음률(音律)에 능함.
1434~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영흥문의공(永興文懿公) - 우세남(虞世南)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ㆍ서예가. 고야왕(顧野王)에게 수학하고, 왕희지(王羲之)의 서법을 익혀 구양순(歐陽詢) 등과 함께 당 나라 초기의 사대(四大) 서예가로 불렸으며, 특히 해서(楷書)에 뛰어남. 태종의 신임을 받아 자주 담론을 나눔.
558~638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영흥백(永興伯) - 최한기(崔閑奇)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영흥(永興). 조선 태조(太祖)의 외조부로, 태조 즉위 후 보조협찬좌리공신(補祚協贊佐理功臣)과 영흥부원군(永興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영흥부수(永興副守) - 이춘양(李春陽)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처인수(處仁守) 이성종(李盛終)의 첫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흥부원군(永興府院君) - 최한기(崔閑奇)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영흥(永興). 조선 태조(太祖)의 외조부로, 태조 즉위 후 보조협찬좌리공신(補祚協贊佐理功臣)과 영흥부원군(永興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영흥현공(永興縣公) - 우세남(虞世南)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ㆍ서예가. 고야왕(顧野王)에게 수학하고, 왕희지(王羲之)의 서법을 익혀 구양순(歐陽詢) 등과 함께 당 나라 초기의 사대(四大) 서예가로 불렸으며, 특히 해서(楷書)에 뛰어남. 태종의 신임을 받아 자주 담론을 나눔.
558~638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영희(寗喜) - 영희(甯喜)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 상공(殤公)을 죽이고, 손임보(孫林父)와 아버지인 영식(甯殖)에 의해 축출된 헌공(獻公)을 복위시켰으나 후에 헌공(獻公)에게 살해됨.
?~B.C.54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영희(榮僖) - 남치원(南致元)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 본관은 의령(宜寧). 성종(成宗)의 넷째 딸 경순옹주(慶順翁主)를 맞아들여 의성위(宜城尉)에 봉해졌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
-
영희(永禧) - 신영희(辛永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영산(靈山).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했으나 직산(稷山)에 은둔하여 학문에 정진함.
1442~151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직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영희(寧喜) - 영희(甯喜)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 상공(殤公)을 죽이고, 손임보(孫林父)와 아버지인 영식(甯殖)에 의해 축출된 헌공(獻公)을 복위시켰으나 후에 헌공(獻公)에게 살해됨.
?~B.C.54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예(欚) - 권예(權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사빈(權士彬)의 아들이며 명종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동생. 어려서부터 질병이 많아 평생토록 벼슬하지 않음. 승사랑(承仕郞)에 이름.
1482~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예(芮) - 이예(李芮)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집현전 박사(集賢殿博士)로 있을 때 세종의 총애를 받고, 《의방유취(醫方類聚)》ㆍ《고려사(高麗史)》등의 편찬에 참여함. 형조 판서 등을 지내고, 학식ㆍ문명이 높아 명망을 떨침.
1419~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예(藝) - 구예(具藝)
고려 후기의 문신. 능성구씨(綾城具氏)의 비조(鼻祖). 판전의사(判典儀事)를 지냈으며, 면천(沔川)에 사패지(賜牌地)를 받고 면성부원군(沔城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예(藝)@정예 - 정예(鄭藝)
고려 전기의 문신. 벽상삼한공신 광록대부 문하시중평장사(壁上三韓功臣光祿大夫門下侍中平章事)에 봉해진 고려의 개국공신으로, 진주정씨(晉州鄭氏) 충장공파(忠莊公派)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예(裔)@홍예 - 홍예(洪裔)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좌복야 참지광정원사(左僕射參知光政院事) 홍자번(洪子藩)의 아버지로, 동지밀직(同知密直)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예(裔) - 신예(辛裔)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원(元) 나라 환관 고용보(高龍普)와 함께 충혜왕을 잡아가도록 도와주었고, 고용보의 위세를 빌어 정권을 농락함.
?~135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예(輗) - 권예(權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일파 구원에 앞장섰고, 김안로(金安老)와 함께 복성군 옥사(福城君獄死)를 일으켜 심정(沈貞)ㆍ성세창(成世昌) 등을 파직ㆍ사사(賜死)시킴.
1495~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예^역(禮^易) - 역^예(易^禮)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 중에 예기(禮記)와 역경(易經)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예각(藝閣) - 교서관(校書館)
조선시대 삼관(三館)의 하나로, 태조(太祖) 때 설치되어 경적(經籍)의 인쇄ㆍ반포와 향축(香祝)ㆍ인전(印篆)을 담당하던 관청.
1392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예강(汭江) - 예양강(汭陽江)
전라도 장흥(長興)의 가지산(迦智山)에서 흘러 나와 동남쪽으로 흘러 강진(康津)을 거쳐 바다로 흘러드는 강.
전라도>장흥ㅣ전라도>강진 , 지명>자연지명
-
예강(禮江) - 예성강(禮成江)
황해도 수안(遂安) 언진산(彦眞山)에서 발원하여 배천(白川)ㆍ개성(開城)을 거쳐 강화만(江華灣)에 흘러드는 강. 길이 187.4km. 강 하류에 고려의 대표적 무역항인 벽란도(碧瀾渡)가 있음.
황해도>수안ㅣ황해도>배천ㅣ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예견(禮堅) - 이예견(李禮堅)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중종 때의 문신 이운(李耘)ㆍ이자(李耔)의 생부로, 대사간(大司諫)을 지냄. 연산군(燕山君) 때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난 후 귀향하여 학업에 정진함.
143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천 , 인명>관인>문신
-
예겸(禮謙) - 심예겸(沈禮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성천 부사(成川府使)를 지냄.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예경(禮卿) - 고좌(顧佐)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선종(宣宗) 때의 문신. 성조를 쫒아 북정(北征)에 참여하고, 좌도어사(左都御史)ㆍ응천부 윤(應天府尹) 등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예경(禮經) - 예기(禮記)
예(禮)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유교 경전.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유덕(劉德)이 공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고, 대덕(戴德)이 85편으로, 대성(戴聖)이 49편으로 간추림. 대성이 편찬한 《소대례(小戴禮)》가 현존하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예곡(禮谷) - 곽율(郭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곽지인(郭之仁)의 아들이고 조식(曺植)의 문인. 임진왜란때 초계 군수(草溪郡守)로 재임되어 왜군을 방어, 강우(江右)지역 방어에 기여함.
1531~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예국(濊國) - 강릉(江陵)
강원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예국(蘂國) - 강릉(江陵)
강원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예국공(豫國公) - 정호(程顥)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태중대부(太中大夫) 정향(程珦)의 아들로, 아우 정이(程頤)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송 나라 이학(理學)의 기초를 마련함.
1032~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예근(禮根) - 김예근(金禮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개성(開城)으로, 부사(府使)를 지낸 김한걸(金漢傑)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유학
-
예기대전(禮記大全) - 예기(禮記)
예(禮)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유교 경전.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유덕(劉德)이 공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고, 대덕(戴德)이 85편으로, 대성(戴聖)이 49편으로 간추림. 대성이 편찬한 《소대례(小戴禮)》가 현존하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예당(禮堂) - 김정희(金正喜)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서화가(書畫家). 본관은 경주(慶州). 병조 참판(兵曹參判)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추사체(秋史體)를 대성한 명필로 예서(隸書)ㆍ행서(行書)에 능하며, 그림과 금석학(金石學) 등에도 조예가 깊음.
1786~18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예산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예도천(倪道川) - 예사의(倪士毅)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스승인 진역(陳櫟)이 지은 《사서발명(四書發明)》과 호병문(胡炳文)이 지은 《사서통(四書通)》을 합하여 《사서집석(四書輯釋)》을 찬술함.
1303~134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예릉(睿陵) - 철종(哲宗)@조선
조선 제25대 국왕. 재위 1849~1863. 정조(正祖)의 동생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고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이광(李㼅)의 셋째 아들. 헌종(憲宗)의 뒤를 이어 즉위함.
1831~186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예릉후(醴陵候) - 강엄(江淹)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의 문신ㆍ문인. 송(宋)ㆍ남제(南齊)ㆍ양(梁)의 3왕조를 섬기는 동안 양(梁)에서는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를 지냈으며, 문학을 즐기고 유(儒)ㆍ불(佛)ㆍ도(道)에 통달함.
444~5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예맥(獩貊) - 예맥(濊貊)
예맥족(濊貊族)이 거주했던 한반도의 동북부인 강원도ㆍ함경도 일대를 통칭하는 지명 또는 나라. 한족(韓族)을 형성한 예족과 맥족을 이르기도 함.
인명>집단>종족ㅣ시간>국명ㅣ지명>자연지명
-
예맥(穢貊) - 예맥(濊貊)
예맥족(濊貊族)이 거주했던 한반도의 동북부인 강원도ㆍ함경도 일대를 통칭하는 지명 또는 나라. 한족(韓族)을 형성한 예족과 맥족을 이르기도 함.
인명>집단>종족ㅣ시간>국명ㅣ지명>자연지명
-
예몽(禮蒙) - 김예몽(金禮蒙)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사람을 보는 안목이 매우 뛰어나 시관(試官)이 되어 많은 인재를 뽑음.
1406~146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예묘(睿廟) - 예종(睿宗)@고려
고려 제16대 국왕. 재위 1105~1122. 재위 중 인재양성에 힘써 무학재(武學齋)와 양현고(養賢庫) 등을 설치하고, 윤관(尹瓘)을 원수(元帥)로 삼아 여진족을 정벌하는 등의 치적을 쌓음.
1079~112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예묘(睿廟)@예종 - 예종(睿宗)@조선
조선의 제8대 국왕. 재위 1468~1469. 세조(世祖)의 아들로, 재위 1년 2개월 만에 20세의 나이로 요절함.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을 완성함.
1450~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예무효문황제(睿武孝文皇帝) - 세종(世宗)@오대십국(후주)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주(後周)의 제2대 황제. 재위 954~959. 태조(太祖)의 양자(養子)로, 양자강(揚子江) 이북을 통일하고 내정을 안정적으로 통치하는 등 국가 체제를 확고히 정비함.
921~959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 - 예문관(藝文館)
고려~조선시대 왕의 칙령(勅令)과 교명(敎命)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청.
한국>고려전기 , 법제>관청
-
예문희(倪文僖) - 예겸(倪謙)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1450년(조선 세종 32) 경제(景帝)의 등극을 알리러 조선에 온 사신으로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내고, 저서로 《조선기사(朝鮮紀事)》를 남김.
1415~147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예범(禮範)@김예범 - 김예범(金禮範)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무신. 진사 김만근(金萬謹)의 아들이며,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의 조부(祖父)로, 병절교위(秉節校尉)를 지냄.
1479~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무신
-
예산(猊山)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예산거사(猊山居士)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