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예산농은(猊山農隱)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예상(霓裳) - 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선악(仙樂) 이름. 현종이 꿈에 방사(方士)와 월궁(月宮)에서 놀다가 그 음악을 듣고 돌아와 지었다는 설과, 양경충(楊敬忠)이 지어 바쳤다는 설과, 양경술(楊敬述)이 지었다는 설 등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예상곡(霓裳曲) - 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선악(仙樂) 이름. 현종이 꿈에 방사(方士)와 월궁(月宮)에서 놀다가 그 음악을 듣고 돌아와 지었다는 설과, 양경충(楊敬忠)이 지어 바쳤다는 설과, 양경술(楊敬述)이 지었다는 설 등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예상무(霓裳舞) - 예상우의무(霓裳羽衣舞)
중국 당(唐) 현종(玄宗)이 꿈에 본 달나라 선녀들의 모습을 본떠 만들었다는 춤 이름. 양귀비(楊貴妃)가 잘 추었다 함.
중국>당 , 중국 , 기타>가무
-
예상우의(霓裳羽衣) - 예상우의무(霓裳羽衣舞)
중국 당(唐) 현종(玄宗)이 꿈에 본 달나라 선녀들의 모습을 본떠 만들었다는 춤 이름. 양귀비(楊貴妃)가 잘 추었다 함.
중국>당 , 중국 , 기타>가무
-
예선(禮善) - 유예선(柳禮善)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선조(宣祖) 때 영의정(領議政) 등을 역임한 유전(柳㙉)의 아버지로, 상서원 직장(尙瑞院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예설(禮說) - 예기(禮記)
예(禮)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유교 경전.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유덕(劉德)이 공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고, 대덕(戴德)이 85편으로, 대성(戴聖)이 49편으로 간추림. 대성이 편찬한 《소대례(小戴禮)》가 현존하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예성(蘂城)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예성부원대군(蘂城府院大君) - 왕온(王昷)
고려 후기의 종친. 현종(顯宗)의 아들인 평양공(平壤公) 왕기(王基)의 10대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예성선경대왕(睿聖宣慶大王) - 대종(戴宗)
고려 태조(太祖)의 일곱째 아들. 제6대 왕인 성종(成宗)의 생부. 성종이 즉위하여 추존함.
?~96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예손(禮孫)@우예손 - 우예손(禹禮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부령 부사(富寧府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외손인 이제신(李濟臣)이 지은 지문(誌文)이 《청강집(淸江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무신
-
예손(禮孫) - 오예손(吳禮孫)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오상(吳祥)의 아버지로, 1497년(연산군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제천 현감(堤川縣監)ㆍ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예손(禮孫)@김예손 - 김예손(金禮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종묘서 봉사(宗廟署奉事)를 지낸 김세충(金世忠)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예수(汭水) - 예양강(汭陽江)
전라도 장흥(長興)의 가지산(迦智山)에서 흘러 나와 동남쪽으로 흘러 강진(康津)을 거쳐 바다로 흘러드는 강.
전라도>장흥ㅣ전라도>강진 , 지명>자연지명
-
예수(睿叟) - 이종우(李從愚)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으로, 김정국(金正國)의 문인. 이언적(李彦迪)ㆍ기준(奇遵)ㆍ송순(宋純)과 함께 동년금방계(同年金榜契)를 설립(設立)함.
148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예수(禮壽) - 양예수(楊禮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의관(醫官). 본관은 하음(河陰). 의술(醫術)에 능하고 박학하였으며, 태의(太醫)로 《동의보감(東醫寶鑑)》 편찬에 참여함. 박세거(朴世擧)ㆍ손사명(孫士銘) 등과 함께 《의림촬요(醫林撮要)》를 저술함.
?~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기술인>의원
-
예숙(譽肅) - 최석(崔奭)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평장사를 지낸 최유청(崔惟淸)의 아버지.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로 병마사(兵馬使)가 되어 정주(貞州) 지방의 여진족을 정벌하였으며, 당대의 문인으로 명성을 떨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예숙(豫叔) - 박소립(朴素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1563년(명종 18) 이조 좌랑(吏曹佐郞)으로 있을 때 척신 이량(李樑)과 사이가 나빠 대사헌 이감(李戡)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으나 심의겸(沈義謙)의 도움으로 복직됨. 선조 즉위에 공을 세워 대사성(大司成)ㆍ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514~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예신(禮臣) - 이예신(李禮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명종(明宗)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된 이몽량(李夢亮)과 평안 도사(平安都事)를 지낸 이몽윤(李夢尹)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예아독(禮牙篤) - 문종(文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13대 황제. 재위 1329~1332. 북방 영주파(領主派)가 추대한 태정제(泰定帝)가 죽자 연철목아(燕鐵木兒) 등 궁정관료파의 옹립으로 황제에 오름.
1304~1332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예악(禰顎) - 예형(禰衡)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三國時代) 때의 문신. 공융(孔融)에게 비상한 재능을 인정받아 조조(曹操)에게 추천되었으나, 조조와 황조(黃祖)를 모욕하다 죽임을 당했음.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예안군(禮安君) - 조응경(趙應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조수만(趙壽萬)의 아들로,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조부인 조금호(趙金虎) 슬하에서 자라면서 지극한 효행으로 이름을 떨침.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487~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예안백(禮安伯) - 이혼(李混)
고려 원종(元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충선왕이 원(元) 나라에서 즉위하자 대사백(大詞伯)에 봉해지고 벽상삼한공신(壁上三韓功臣)에 녹훈됨. 뒤에 예안백(禮安伯)에 봉해져 예안이씨의 시조가 됨.
1252~131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ㅣ경상도>예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예옹(禮翁) - 이순(李揗)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손자이며,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의 매제(妹弟)로, 덕성군(德城君) 이민(李敏)의 후사가 되었다가 파양(破養)됨.
1448~150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예왕(睿王) - 예종(睿宗)@고려
고려 제16대 국왕. 재위 1105~1122. 재위 중 인재양성에 힘써 무학재(武學齋)와 양현고(養賢庫) 등을 설치하고, 윤관(尹瓘)을 원수(元帥)로 삼아 여진족을 정벌하는 등의 치적을 쌓음.
1079~112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예우(霓羽) - 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선악(仙樂) 이름. 현종이 꿈에 방사(方士)와 월궁(月宮)에서 놀다가 그 음악을 듣고 돌아와 지었다는 설과, 양경충(楊敬忠)이 지어 바쳤다는 설과, 양경술(楊敬述)이 지었다는 설 등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예원(禮元) - 성예원(成禮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하산군(夏山君) 성몽정(成夢井)의 계후가 되어 창성군(昌城君)에 습봉되었으며, 장흥고 영(長興庫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예원(禮元)@서예원 - 서예원(徐禮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이천(利川).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내고 진주 목사(晉州牧使)로 있다가 왜적(倭敵)이 침입(侵入)하여 성(城)이 함락되면서 순절(殉節)함.
?~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무신
-
예원(預原) - 김기(金淇)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성석린(成石璘)과 교유하고, 종부 판사(宗簿判事)를 지냈으며, 세조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예윤(禮胤) - 이예윤(李禮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의 증손이며, 평해부수(平海副守) 이담(李倓)의 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宣祖)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68~162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예자(芮子) - 예희(芮姬)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경공(景公)의 총첩(寵妾). 왕위에 올랐다가 대부 전걸(田乞) 등에 의해 살해된 안유자(晏孺子)의 어머니.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예자(豫子) - 예양(豫讓)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협객. 지백(智伯)의 원수인 조양자(趙襄子)를 살해하려다가 발각되어 죽임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예장(禮長) - 이예장(李禮長)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이사관(李士寬)의 아들. 안숭선(安崇善)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류(杖流) 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세조를 도운 공로로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6~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예장(豫章)@황정견 - 황정견(黃庭堅)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ㆍ화가. 소식(蘇軾)의 문인으로 강서파(江西派)의 시조. 시ㆍ문장(文章)ㆍ행초(行草) 등이 모두 당대를 풍미할 만큼 절묘하고, 진관(秦觀)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와 함께 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1045~1105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예장(豫章) - 나종언(羅從彦)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양시(楊時)에게서 이정(二程)의 학문을 배우고, 이동(李侗)에게 전하여 주희(朱熹)에 이르렀으므로, 양시(楊時)ㆍ이동(李侗)과 함께 '남검삼선생(南劍三先生)'으로 불림.
1072~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예장선생(豫章先生) - 나종언(羅從彦)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양시(楊時)에게서 이정(二程)의 학문을 배우고, 이동(李侗)에게 전하여 주희(朱熹)에 이르렀으므로, 양시(楊時)ㆍ이동(李侗)과 함께 '남검삼선생(南劍三先生)'으로 불림.
1072~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예장황(豫章黃) - 황정견(黃庭堅)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ㆍ화가. 소식(蘇軾)의 문인으로 강서파(江西派)의 시조. 시ㆍ문장(文章)ㆍ행초(行草) 등이 모두 당대를 풍미할 만큼 절묘하고, 진관(秦觀)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와 함께 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1045~1105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예재(藝齋) - 설장수(偰長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한 후 공양왕(恭讓王) 옹립에 공을 세움. 정몽주(鄭夢周)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조선 개국 후 복직되어 여러 차례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옴.
1341~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예전(禮全) - 이예전(李禮全)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상원 군수(祥原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그가 세운 정성루(政成樓)에 대한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예제(睿製) - 능허관만고(凌虛關漫稿)
조선의 제22대 정조(正祖)가 아버지 장헌세자(莊獻世子)의 문적을 모아 편찬한 문집. 정조가 직접 편찬ㆍ교정하여 순조(純祖) 때 간행함.
18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예조(睿祖) - 예종(睿宗)@고려
고려 제16대 국왕. 재위 1105~1122. 재위 중 인재양성에 힘써 무학재(武學齋)와 양현고(養賢庫) 등을 설치하고, 윤관(尹瓘)을 원수(元帥)로 삼아 여진족을 정벌하는 등의 치적을 쌓음.
1079~112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예조(藝祖) - 태조(太祖)@송
중국 송(宋)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960~976. 중국 대륙의 대부분을 통일하였으며, 문치주의(文治主義)에 의한 중앙집권적 관료제를 확립함으로써 송(宋) 나라 발전의 기반을 다짐.
927~976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예조(禮曹)@예부 - 예부(禮部)
신라 진평왕(眞平王) 8년에 설치된 외교(外交)와 의례(儀禮)를 맡아본 관서(官署). 관원으로는 영(令)ㆍ경(卿)ㆍ대사(大舍) 등이 있었으며, 고려 후기까지 존속됨.
586 한국>통일신라ㅣ한국>고려시대ㅣ한국>신라 , 법제>관청
-
예종문효대왕(睿宗文孝大王) - 예종(睿宗)@고려
고려 제16대 국왕. 재위 1105~1122. 재위 중 인재양성에 힘써 무학재(武學齋)와 양현고(養賢庫) 등을 설치하고, 윤관(尹瓘)을 원수(元帥)로 삼아 여진족을 정벌하는 등의 치적을 쌓음.
1079~112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예종양도대왕실록(睿宗襄悼大王實錄) - 예종실록(睿宗實錄)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재위 동안을 기록한 편년체 실록(實錄). 신숙주(申叔舟)ㆍ한명회(韓明澮)ㆍ강희맹(姜希孟)ㆍ최항(崔恒) 등이 왕명을 받아 《세조실록(世祖實錄)》의 편찬이 끝난 직후 시작하여 이듬해 1472년(성종 3)에 완성함.
14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예종양도흠문성무의인소효대왕(睿宗襄悼欽文聖武懿仁昭孝大王) - 예종(睿宗)@조선
조선의 제8대 국왕. 재위 1468~1469. 세조(世祖)의 아들로, 재위 1년 2개월 만에 20세의 나이로 요절함.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을 완성함.
1450~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예주(禮州) - 예안(禮安)
경상도 안동(安東) 지역의 옛 지명. 고구려 때 매곡현(買谷縣)이었다가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선곡(善谷)으로 고쳤고, 고려 태조(太祖) 때 성주(城主) 이능선(李能宣)이 귀순하여 예안(禮安)이라고 함.
경상도>예안 , 지명>행정지명
-
예주(禮州)@영해 - 영해(寧海)
경상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 서쪽으로 진보(眞寶), 북쪽으로 강원도 평해(平海)와 접해있으며 현재는 경상북도 영덕군(盈德郡)에 속함.
경상도>영해 , 지명>행정지명
-
예주(蕊州)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예주(豫州) - 조적(祖逖)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 원제(元帝) 때의 명장(名將). 예주 자사(豫州刺史)로서 북벌(北伐)하여 후조(後趙)의 고조(高祖) 석륵(石勒)을 격파하고 황하(黃河) 이남의 땅을 회복함.
266~32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예중(詣仲) - 신섬(申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용궁 현감(龍宮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예지(禮之) - 뇌예지(雷禮之)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진사에 급제하여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냈으며, 문장에 능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예창(禮昌) - 황예창(黃禮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고,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 등을 지냄.
1459~153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예천관명(醴泉觀銘) - 구성궁예천명(九成宮醴泉銘)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 섬서성(陝西省) 구성궁(九成宮)에 세운 비석. 위징(魏徵)이 짓고 구양순(歐陽詢)이 쓴 것으로, 정원의 단 샘물이 솟는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움.
632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예천군(醴泉君) - 권한공(權漢功)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충숙왕(忠肅王)에 의해 구금된 일로 충숙왕을 폐위시키고 심양왕(瀋陽王) 고(暠)를 옹립하려 했으나 실패함.
?~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예천백(醴泉伯) - 권중화(權仲和)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권한공(權漢功)의 아들로, 의약ㆍ지리ㆍ복서(卜筮)에 통달하고, 전서(篆書)에도 능함.
1322~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 권한공(權漢功)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충숙왕(忠肅王)에 의해 구금된 일로 충숙왕을 폐위시키고 심양왕(瀋陽王) 고(暠)를 옹립하려 했으나 실패함.
?~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예천정(芮川正) - 이천(李蒨)@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예촌(禮村) - 허원보(許元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진사(進士) 허찬(許瓚)의 아버지로, 1495년(연산군 1)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예호(繄扈) - 공왕(共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6대 왕. 재위 B.C.922~B.C.900. 목왕(穆王)의 아들.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예황제(睿皇帝) - 영종(英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6대, 제8대 황제. 재위 1436~1449, 1457~1464. 선종(宣宗)의 장남. 인종(仁宗) 때의 정책을 계승하여 안정을 이루었지만 황태후 장씨(張氏)가 죽고 원로대신들이 실각하자 반대 세력에 의해 양위했다가 다시 복위함.
1427~146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예흥수(禮興守) - 이몽문(李夢文)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증손인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오(䫨) - 정오(鄭䫨)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원(元) 나라에서 왕을 수종한 공으로 1등 공신이 되었으며,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올라 서원군(西原君)에 봉해졌으며,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됨.
?~135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오(塢) - 이오(李塢)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오(悟) - 민오(閔悟)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호례(閔好禮)의 아들로,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감찰(監察)ㆍ한림(翰林)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오(晤) - 이오(李晤)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계성군(雞城君) 이양생(李陽生)의 아들이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사종(李嗣宗)의 생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오(梧) - 금오(琴梧)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봉화(奉化)로, 지흥해군사(知興海郡事)를 지낸 금치담(琴致湛)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관직에 나가지 않음. 황준량(黃俊良)ㆍ권동보(權東輔)ㆍ정유일(鄭惟一) 등과 교유했음.
1486~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오(澳) - 유오(柳澳)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자윤(子潤) 유종인(柳種仁)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오(鰲) - 이오(李鰲)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공린(李公麟)의 아들로, 1486년(성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오^손(吳^孫) - 손^오(孫^吳)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병법가(兵法家)인 손무(孫武)와 위(魏) 나라의 병법가인 오기(吳起)를 함께 부르는 말. 병법(兵法)의 대가(大家)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오강수(烏江守) - 이건(李鍵)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여섯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오강재(吳康齋) - 오여필(吳與弼)
중국 명(明) 나라 때의 은자. 명(明) 영종(英宗)이 불러 좌유덕(左諭德)의 벼슬을 제수했지만 사양하고 낙향(落鄕)하였으며, 천문(天文)ㆍ병법(兵法)ㆍ음양(陰陽) 등에 통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오겸(五兼) - 신복담(辛福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첨정(僉正)을 지낸 신희정(辛熙貞)의 아버지로, 연기 현감(燕岐縣監)을 지냄.
?~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오겸중(吳謙仲) - 오수영(吳守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글씨를 잘 써 금보(琴輔)ㆍ이숙량(李叔樑) 등과 함께 ‘선성삼필(宣城三筆)’이라 불림.
1521~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오경부(吳敬夫) - 오겸(吳謙)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로, 부사(府使)를 지낸 오세훈(吳世勳)의 아들. 유우(柳藕)의 문인으로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49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오경사(五經笥) - 변소(邊韶)
중국 후한(後漢) 때의 학자. 유가(儒家)의 경전(經典)을 두루 통달하였으며, 훌륭한 문장으로 이름 높아 제자가 수백에 달하였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오경암(吳敬庵) - 오여벌(吳汝橃)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창(高敞). 오운(吳澐)의 아들이며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창원 부사(昌原府使) 등을 지냄. 저서로 《중국역대총론(中國歷代總論)》ㆍ《동국역대기사(東國歷代紀事)》 등이 있음.
1579~163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고창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오계(吳季) - 계찰(季札)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공자(公子). 각 제후국을 사신으로 순방하면서 예학을 논하는 등 박학하고 통명한 식견을 선보이며 현인으로 명성을 떨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오계(梧溪) - 한효원(韓效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철원 부사(鐵原府使) 한증(韓曾)의 아들.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공조 판서(工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468~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오계사(梧溪祠) - 세덕사(世德祠)@안동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사당. 1699년(숙종 25) 행정(杏亭) 탁순창(卓順昌)이 선조인 탁광무(卓光茂)ㆍ탁신(卓愼)의 위패(位牌)를 봉안함.
169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당
-
오계자(吳季子) - 계찰(季札)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공자(公子). 각 제후국을 사신으로 순방하면서 예학을 논하는 등 박학하고 통명한 식견을 선보이며 현인으로 명성을 떨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오고(五羖) - 백리해(百里奚)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목공(穆公) 때의 대부. 목공을 패주(霸主)의 지위로 이끄는 데 지대한 공을 세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오고(五誥)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오고당상(午鼓堂上) - 어세겸(魚世謙)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만종(萬從) 어효첨(魚孝瞻)의 아들로, 예종(睿宗)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봉해지고 좌의정 등을 지냄. 학식이 뛰어나고 문무를 겸비하였다 함.
1430~150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오고대부(五羖大夫) - 백리해(百里奚)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목공(穆公) 때의 대부. 목공을 패주(霸主)의 지위로 이끄는 데 지대한 공을 세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오곡(五谷) - 서흥(瑞興)
황해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교통상의 요지이며, 고려 원종(元宗) 때 임금의 태(胎)를 이곳에 묻음.
황해도>서흥 , 지명>행정지명
-
오곡성(五谷城) - 대현산성(大峴山城)
고구려 광개토왕(廣開土王) 때 황해도 서흥군(瑞興郡) 고성리(古城里)에 쌓은 산성 이름. 현재의 성벽은 1597년(선조 30)에 수축한 것이며, 군사 요충지인 서흥 지방의 방어에 중심적 구실을 하였음.
한국>고구려 , 황해도>서흥 , 유적>시설>성,진,책
-
오공(吳公) - 언언(言偃)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 노 나라 무성(武城)에서 예악(禮樂)으로 고을을 잘 다스림. 자하(子夏)와 더불어 문학에 뛰어났고 예(禮)의 사상이 투철함.
B.C.506~B.C.4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오관(五關) - 서흥(瑞興)
황해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교통상의 요지이며, 고려 원종(元宗) 때 임금의 태(胎)를 이곳에 묻음.
황해도>서흥 , 지명>행정지명
-
오국산성(五國山城) - 운두성(雲頭城)
함경도 회령(會寧) 서쪽 50리 지점에 있던 석성(石城). 둘레는 10여 리로, 산세가 험준하고 두만강(豆滿江)이 그 밑을 둘러싸면서 흘러 천연적인 요새를 이룸.
함경도>회령 , 유적>시설>성,진,책
-
오국언(吳國彦) - 오세현(吳世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오억령(吳億齡)과 오백령(吳百齡)의 아버지로, 사옹원 직장(司饔院直長)을 지냄.
1524~160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 , 인명>관인>문신
-
오기(五紀) - 권오기(權五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동생 권오복(權五福)이 극형을 당하자 이에 연루되어 해남으로 유배됨.
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오기부(吳起夫) - 오흥문(吳興門)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학자
-
오내(吳來) - 오내(吳萊)
중국 원(元) 나라의 시인. 지방관의 추천을 받아 춘시(春試)에 응시하였으나 급제하지 못하고‚ 이후 심뇨산(深裊山)에 은거하며 독서와 저술에 전념함. 저서로는 제자인 송렴(宋濂)이 펴낸 《연영오선생집(淵潁吳先生集)》과 《맹자제자열전(孟子弟子列傳)》등이 있음.
1297~1340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오노(烏奴) - 오손(烏孫)
중국 한(漢) 나라 때의 투르크계 민족 이름. 천산산맥(天山山脈) 북쪽을 거점으로 활약한 유목민으로, 무제(武帝) 때 장건(張騫)이 이 나라에 사행(使行)한 이래, 한 나라와 흉노(匈奴)와의 관계에 개입하면서 조정자 역할을 담당함.
중국>후한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집단>종족
-
오대(烏臺) - 사헌부(司憲府)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 풍속의 교정, 백관(百官)에 대한 규찰과 탄핵, 서경(署經) 등을 담당한 관청.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오덕계(吳德溪) - 오건(吳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조식(曺植)ㆍ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조 좌랑으로 있으면서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여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521~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오도산인(五道山人) - 송남수(宋柟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임천 군수(林川郡守) 등을 지냈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도주하여 탄핵을 받았으나 곧 사면되었고, 이후 낙향하여 쌍청당(雙淸堂)을 중수함.
1537~162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오도원(吳道元) - 오도현(吳道玄)
중국 당(唐) 나라의 화가. 불화(佛畫)와 산수화(山水畵)에 뛰어나 화성(畫聖)이라 불림. 소화(疎畵)의 체인 서화일치의 화체를 확립하고, 준법(皴法) 등을 사용하여 동양 회화에 영향을 끼침.
700~760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오도자(吳道子) - 오도현(吳道玄)
중국 당(唐) 나라의 화가. 불화(佛畫)와 산수화(山水畵)에 뛰어나 화성(畫聖)이라 불림. 소화(疎畵)의 체인 서화일치의 화체를 확립하고, 준법(皴法) 등을 사용하여 동양 회화에 영향을 끼침.
700~760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