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오두남(吳斗南) - 오인걸(吳人傑)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이며 주역(周易)에 밝아 《역도설(易圖說)》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오두미교(五斗米敎) - 도교(道敎)
황제(黃帝)와 노자(老子)를 교조로 삼은 중국의 토착종교. 진한(秦漢) 때의 신선방술(神仙方術)과 황로지학(黃老之學)을 이어받은 후한(後漢) 순제(順帝) 때 장도릉(張道陵)이 오두미도(五斗米道)로 알려진 천사도(天師道)를 창시한 것이 도교의 시발임.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오두미도(五斗米道) - 도교(道敎)
황제(黃帝)와 노자(老子)를 교조로 삼은 중국의 토착종교. 진한(秦漢) 때의 신선방술(神仙方術)과 황로지학(黃老之學)을 이어받은 후한(後漢) 순제(順帝) 때 장도릉(張道陵)이 오두미도(五斗米道)로 알려진 천사도(天師道)를 창시한 것이 도교의 시발임.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오량우(烏良友) - 영일(迎日)
경상도 동부 동해에 연해 있는 고을 이름. 연오랑(延烏郞)ㆍ세오녀(細烏女) 설화가 전하는 일월지(日月池)와 오천서원(烏川書院) 등의 유적이 있음. 지금은 경상북도 포항시(浦項市)에 속함.
경상도>영일 , 지명>행정지명
-
오려(吾廬) - 박성무(朴成武)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오례의(五禮儀)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조선 성종(成宗) 때 신숙주(申叔舟)ㆍ정척(鄭陟) 등에 의해 완성된 예전(禮典). 국가의 기본예식인 오례(五禮), 즉 길례(吉禮)ㆍ가례(嘉禮)ㆍ빈례(賓禮)ㆍ군례(軍禮)ㆍ흉례(凶禮)에 대해 규정함.
1474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오로(梧老) - 이문량(李文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음직(蔭職)으로 평릉도 찰방(平陵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웃에 살던 이황(李滉)과 가깝게 지내며 시를 읊고 학문을 토론함.
1498~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오로(鰲老)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오룡(五龍) - 조위(曺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울진 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조계문(曺繼門)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김일손(金馹孫)이 준 사초(史草)를 실록(實錄)에 기록한 일로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54~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오룡초부(臥龍樵夫) - 김일손(金馹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스승인 김종직(金宗直)이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실록(實錄)에 기재한 일로 인해 훈구파(勳舊派)의 미움을 사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당함.
1464~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오류(五柳)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오류선생(五柳先生)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오류옹(五柳翁)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오륜(五倫)@권오륜 - 권오륜(權五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예천(醴泉).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처형된 권오복(權五福)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오륜(五倫)@제오륜 - 제오륜(第五倫)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명신(名臣)으로 언변(言辯)이 뛰어났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오륜(五倫) - 전오륜(全五倫)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초의 문신ㆍ은자. 본관은 정선(旌善). 관직에 나아가 우상시(右常侍)ㆍ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했으나,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갔다가 후에 서운산(瑞雲山)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ㅣ강원도>정선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오릉사(於陵士) - 진중자(陳仲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의 은자. 맹자(孟子)는 그를 나라의 제일 큰 선비로 인정하면서도 사람의 윤리를 저버리고 소소한 청렴에 급급했다 하여 비난한 바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오릉중자(於陵仲子) - 진중자(陳仲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의 은자. 맹자(孟子)는 그를 나라의 제일 큰 선비로 인정하면서도 사람의 윤리를 저버리고 소소한 청렴에 급급했다 하여 비난한 바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오리(吾離) - 등후(鄧侯)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등(鄧) 나라의 제후. 조카인 초(楚) 나라 문왕(文王)에게 멸망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오리(梧里) - 이원익(李元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함천군(咸川君) 이억재(李億載)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병제와 조세제도를 정비하고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하는 데 공헌함.
1547~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승종(承宗)@이승종 - 이승종(李承宗)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으며,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승종(承宗) - 박승종(朴承宗)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으로, 선교랑(宣敎郞) 박안세(朴安世)의 아들. 윤인(尹訒)ㆍ이인경(李寅卿)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죽이려 할 때 인목대비를 보호하였고,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함.
1562~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승종(承宗)@백승종 - 백승종(白承宗)
조선 전기의 유학.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과 교유하여 편지를 주고받음. 그 내용이 《죽천집(竹集)》에 수록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승주(承周) - 이승주(李承周)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성(陽城). 이온(李蒕)의 아들이며 좌참찬(左參贊) 이승소(李承召)의 형으로, 어려서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문사>유학
-
승주(承霔) - 김승주(金承霔)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고려 말 왜구의 격퇴와 조선 태종(太宗)의 즉위에 공을 세움.
1354~142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승주(昇州) - 순천(順天)
전라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세조(世祖) 때 편제된 진관(鎭管) 체제에 따라 주진(主鎭)으로서 전라도 동남부 지역의 중심지가 됨.
전라도>순천 , 지명>행정지명
-
승준(承俊) - 박승준(朴承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진사(進士) 박형(朴珩)의 아들. 선조(宣祖)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형으로, 1543년(중종 3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승준(承濬) - 신승준(申承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된 신윤원(申允元)의 아들이며 신엄(申儼)의 아버지.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했으나, 일찍 죽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승중(承重) - 진승중(陳承重)
조선 전기의 아전. 본관은 흥덕(興德). 진유(陳留)의 아버지로, 녹사(錄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덕 , 인명>관인>아전
-
승중(承重)@나승중 - 나승중(羅承重)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귀후서 별제(歸厚署別提)를 지낸 나진충(羅盡忠)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승지(升之) - 노조린(盧照鄰)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익주 신도위(益州新都尉)를 지내고, 왕발(王勃)ㆍ양형(楊炯)ㆍ낙빈왕(駱賓王)과 함께 초당사걸(初唐四傑)로 불림.
636~69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승직(繩直) - 이승직(李繩直)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만실(李蔓實)의 아들로, 공신천첩(功臣賤妾)의 소생을 충의위(忠義衛)에 소속시키는 조치를 반대하고, 조말생(趙末生)의 장오죄(贓汚罪)를 논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378~143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승찬(僧粲) - 승찬(僧璨)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수(隋) 나라 때의 선승(禪僧). 중국 선종의 삼조(三祖)로, 이조(二祖) 혜가(慧可)에게서 법을 이어받은 후 도신(道信)에게 법을 전함.
?~606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승천(昇天) - 순천(順天)
전라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세조(世祖) 때 편제된 진관(鎭管) 체제에 따라 주진(主鎭)으로서 전라도 동남부 지역의 중심지가 됨.
전라도>순천 , 지명>행정지명
-
승천(昇天)@이정 - 이정(李楨)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어려서는 규암(圭菴) 송인수(宋麟壽)로부터 배우고 성장한 뒤에는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홍문관 부제학에 제수되었으나 사천(泗川)에 구암정사(龜巖精舍)를 짓고 후진양성에 힘씀.
1512~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승천체도열문영무(承天體道烈文英武) - 세조(世祖)@조선
조선 제7대 왕. 재위 1455~1468. 세종(世宗)의 둘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아우. 계유정난(癸酉靖難)을 통해 집권한 후 국방ㆍ외교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방면의 개혁을 추진함.
1417~14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승택(承澤) - 김승택(金承澤)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상락후(上洛侯) 김방경(金方慶)의 손자.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호종한 공로로 이등공신에 봉해지고, 공민왕 때 중서시랑 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 치사(致仕)함.
?~135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승평(昇平)@목승평 - 목승평(睦昇平)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사천(泗川).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목치상(睦致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승평(昇平) - 순천(順天)
전라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세조(世祖) 때 편제된 진관(鎭管) 체제에 따라 주진(主鎭)으로서 전라도 동남부 지역의 중심지가 됨.
전라도>순천 , 지명>행정지명
-
승평(繩平) - 이승직(李繩直)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만실(李蔓實)의 아들로, 공신천첩(功臣賤妾)의 소생을 충의위(忠義衛)에 소속시키는 조치를 반대하고, 조말생(趙末生)의 장오죄(贓汚罪)를 논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378~143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승평군(昇平君)@김약균 - 김약균(金若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선공시 판사(繕工寺判事)를 지낸 김원석(金元石)의 아들로, 선천 군수(行宣川郡守)ㆍ선공감 정(繕工監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승평군(昇平君) - 박이온(朴而溫)@조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철원 부사(鐵原府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승평군(昇平君)@이형 - 이형(李泂)@이쟁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증손인 회원군(會原君) 이쟁(李崢)의 아들로, 승평군(昇平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승평김씨(昇平金氏) - 순천김씨(順天金氏)
통일신라 헌안왕(憲安王) 때 평양군(平陽君)에 봉해진 김총(金摠)을 시조로 하는 성씨. 조선 단종(端宗) 때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김종서(金宗瑞)가 화를 입어 멸문지화(滅門之禍)를 당함. 김윤인(金允仁)과 김대영(金臺泳)을 중시조로 하는 두 파가 있음.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순천 , 인명>집단>성씨
-
승평부원군(昇平府院君) - 김류(金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으로, 송익필(宋翼弼)의 문인.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였고, 이귀(李貴) 등과 함께 인조반정(仁祖反正)을 주도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시문(詩文)과 서법(書法)에 뛰어남.
1571~164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승평부정(昇平副正) - 이형(李泂)@이쟁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증손인 회원군(會原君) 이쟁(李崢)의 아들로, 승평군(昇平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승하(承賀) - 최승하(崔承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어 교유하였고, 단성 현감(丹城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승해(承解) - 윤승해(尹承解)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윤유연(尹裕延)의 아들로, 감찰어사(監察御史)를 거쳐 검교상서 호부시랑(檢校尙書戶部侍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통진 , 인명>관인>문신
-
승헌(承憲) - 장승헌(張承憲)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545년(인종 1)에 황제의 고명(告命)을 받들고 와서 중종(中宗)의 국상(國喪)에 대해 제전(祭奠)과 시호(諡號) 및 부의(賻儀)를 전하였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승현(升鉉) - 유승현(柳升鉉)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조(英祖) 때 학자인 유도원(柳道源)의 아버지로, 1719년(숙종 45)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냄. 저서로 《용와집(慵窩集)》이 있음.
1680~17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승홍(承弘) - 윤승홍(尹承弘)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윤간(尹侃)의 아들로, 돈녕부 정(敦寧府正) 등을 지냄. 이황(李滉)의 《퇴계집(退溪集)》에 그의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83~156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승화(承華) - 곽승화(郭承華)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점필재(佔畢齋)의 문하에서 유학하였고, 청개(淸介)한 인품으로 사우(士友)들의 추앙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문사>유학
-
승화후(承化侯) - 왕온(王溫)
고려 후기의 종친. 현종(顯宗)의 8대손이며, 청화후(淸化侯) 왕경(王璟)의 아들. 삼별초(三別抄)의 배중손(裵仲孫)ㆍ노영희(盧永禧) 등에 의하여 왕으로 추대되었으나 삼별초가 패퇴하자 홍다구(洪茶丘)에게 피살됨.
?~127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승효(承孝) - 이승효(李承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김안로(金安老)의 문인.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지냈으며, 김안로가 사사(賜死)된 뒤 진우(陳宇) 등을 모함하였다 하여 관직을 삭탈당하고 경외(京外)로 추방됨.
151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승훈(承訓) - 조승훈(祖承訓)
중국 명(明) 나라의 무신. 요양 부총병(遼陽副摠兵)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몽징(郭夢徵) 등과 함께 조선에 오천여 명의 병사를 이끌고 와서 평양을 공격했으나 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승휘권씨(承徽權氏) - 현덕왕후(顯德王后)
조선 제5대 문종(文宗)의 비(妃).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전(權專)의 딸. 단종(端宗)의 어머니로, 세종(世宗) 때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나 가례(嘉禮)를 행하지 못한 채 4년 만에 죽자 현덕(顯德)이란 시호가 내려졌으며, 문종이 즉위한 후 왕후로 추봉(追封)됨.
1418~144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승휴(承休) - 윤승휴(尹承休)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군(鈴平君) 윤척(尹陟)의 맏아들로, 전의시 판사(典儀寺判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승휴(承休)@당 - 이승휴(李承休)@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덕종(德宗) 때 재상을 지낸 이필(李泌)의 아버지로, 2만여 권의 서책을 모아서 자손에게 물려주었다고 하며, 그의 서가(書架)를 ‘업가(鄴架)’라 일컬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승휴(承休)@고려 - 이승휴(李承休)@고려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가리이씨(加利李氏)의 시조. 충렬왕 때 국왕의 실정과 국왕 측근의 폐단을 간언하다가 파직된 후 삼척(三陟) 구동(龜洞)의 용안당(容安堂)에 은거하면서 《제왕운기(帝王韻紀)》ㆍ《내전록(內典錄)》 등을 저술함.
1224~130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승희(承禧) - 송승희(宋承禧)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진사(進士) 송구(宋枸)의 아들이고 병조 참판을 지낸 송일(宋馹)의 아버지로, 정랑(正郞)ㆍ사성(司成)을 지냄.
1538~15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偲)@이시 - 이시(李偲)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예조 정랑(禮曹正郞) 이유근(李惟謹)의 아버지로, 승의랑(承議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시(偲) - 권시(權偲)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무안 현감(務安縣監)을 지낸 권열(權挒)의 아버지. 1411년(태종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吏曹佐郞)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386~14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시(時) - 허시(許時)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개성 윤(開城尹) 허교(許喬)의 장남이자 문신 허응(許應)의 형.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시(蓍) - 강시(姜蓍)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조선이 건국될 때 직첩(職牒)을 회수당하고 유배됨.
1339~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시(諰) - 권시(權諰)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낸 권득기(權得己)의 아들. 잠야(潛冶) 박지계(朴知誡)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과 같은 기호학파(畿湖學派)로서 예론(禮論)에 밝았음.
1604~167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시^예(詩^禮) - 예^시(禮^詩)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 중 예기(禮記)와 시경(詩經)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시가(時可)@홍성민 - 홍성민(洪聖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홍춘경(洪春卿)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 1590년(선조 23)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듬해 건저문제(建儲問題)로 인해 파직당함.
1536~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시가(時可) - 강흔(姜訢)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로, 관찰사(觀察使) 강자평(姜子平)의 아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노필(盧㻶)ㆍ유호인(兪好仁) 등과 교유함. 1496년(연산군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시간(尸諫) - 시간(屍諫)
죽으면서도 임금에게 간언(諫言)함.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 사추(史鰌)가 자신이 죽은 뒤 주검을 문밖에 내놓는 것으로 영공(靈公)에게 간언(諫言)하여 깨닫게 했다는 고사로, 《공자가어(孔子家語)》 등에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시거(時擧) - 반시거(潘時擧)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가례도(家禮圖)를 작성한 인물로 추정되며, 무위군 교수(無爲軍敎授)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시걸(時傑) - 윤시걸(尹時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은(尹訔)의 아들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견(時見)@유덕룡 - 유덕룡(柳德龍)
조선 후기의 유학.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그에게 준 시가 실려 있음.
1563~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유학
-
시견(時見) - 김기서(金麒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 때에 조광조(趙光祖)와 신진사림(新進士林)들이 대거 숙청당하자 향리로 돌아가 후진양성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창 , 인명>문사>학자
-
시견(時見)@김정룡 - 김정룡(金廷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서계(西溪) 김담수(金聃壽)의 아들이며,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풍기 군수(豊基郡守)ㆍ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냈음.
1561~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ㅣ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시구(鳲鳩)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시구문(屍軀門) - 광희문(光熙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사소문(四小門)의 하나. 흥인지문(興人之門)과 숭례문(崇禮門) 사이에 있던 동남간문(東南間門)으로, 소의문(昭義門)과 함께 시신(屍身)을 성 밖으로 운반하는 통로 구실을 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시극(時極) - 김응회(金應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제자. 의병장 김천일(金千鎰)과 종유(從遊)했으며, 의병장 김덕령(金德齡)의 매부(妹夫). 효행이 뛰어나 정려(旌閭)됨.
155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시남(市南) - 유계(兪棨)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기계(杞溪).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여 예학과 사학에 정통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 등과 더불어 충청도 유림의 오현(五賢)으로 일컬어짐.
1607~166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시당(時堂) - 이교익(李喬翼)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1858년(철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工曹判書)ㆍ협판내무부사(協辦內務府事) 등을 지냄.
1830~189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동(蓍東) - 윤시동(尹蓍東)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득민(尹得敏)의 아들이며, 유척기(兪拓基)의 사위. 소신이 뚜렷하여 당론(黨論)을 논하다가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내직과 외직을 여러 번 거친 후 우의정 등을 지냄.
1729~17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시라(尸羅) - 신라(新羅)
B.C. 1세기경에 영남(嶺南) 지방에서 일어나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고대국가의 하나. 혁거세(赫居世)부터 경순왕(敬順王)까지 56대 992년간 존속.
B.C.57~A.D.935 한국>신라 , 시간>국명
-
시량(時亮) - 위시량(魏時亮)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목종(穆宗) 때의 문신ㆍ학자. 1567년 목종이 등극하였을 때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으로서 한림 검토(翰林檢討) 허국(許國)과 함께 반조(頒詔)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옴. 저서에 《대유학수(大儒學粹)》 등이 있음.
1529~159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시렴성(豉鹽城)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시령(始寧) - 문화(文化)
황해도 삼천(三泉), 신천(信川) 서부, 안악(安岳) 남부 일대에 있었던 옛 고을 이름. 단군(檀君)의 전설이 깃들어 있으며 구월산(九月山)이 있는 곳으로 유명함.
황해도>문화 , 지명>행정지명
-
시령군(始寧君) - 유돈(柳墩)@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와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역임함.
?~130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시령부원군(始寧府院君) - 유전(柳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상서원 직장(尙瑞院直長) 유예선(柳禮善)의 아들. 정여립(鄭汝立)의 옥사를 다스린 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31~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시로(詩老) - 매요신(梅堯臣)
중국 송(宋) 나라의 대표적 시인ㆍ문신. 당시(唐詩)의 섬세하고 교묘한 폐풍을 버리고 고문운동(古文運動)과 관련된 시 형식을 개척하여 새로운 송시(宋詩)의 개조(開祖)가 됨.
1002~106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시림(始林) - 경주(慶州)
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진한(辰韓)의 중심지이자 신라(新羅) 천년의 고도(古都).
경상도>경주 , 지명>행정지명
-
시립(時立) - 오시립(吳時立)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오명립(吳名立)ㆍ오유립(吳裕立) 등과 함께 문의(文義)에 송인수(宋麟壽)를 모실 노봉서원(魯峯書院)을 건립했음.
157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유학
-
시마(詩魔) - 변구상(卞九祥)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우부승지(右副承旨) 변중량(卞仲良)의 아들. 시(詩)에 뛰어나 변시마(卞詩魔)로 일컬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시망(時望) - 황집중(黃執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창원(昌原). 1576년(선조 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경력(經歷)을 지냄. 묵포도(墨葡萄)를 잘 그려 이정(李霆)의 묵죽(墨竹)과 어몽룡(魚夢龍)의 묵매(墨梅)와 함께 삼절(三絶)로 불림.
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시면(時勉) - 이무(李懋)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경제(景帝) 때의 문신. 《영락대전(永樂大典)》 등의 편찬에 참가하고 국자 좨주(國子祭酒) 등을 지냄.
1374~145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시민(時敏)@조선 - 이시민(李時敏)@조선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유학. 이승직(李繩直)의 아들이며,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의 아버지. 형인 이명민(李命敏)이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화를 당한 일로 인하여 안동(安東)의 금계촌(琴溪村)으로 낙향하여 은거함.
?~14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시민(時敏)@고려 - 이시민(李時敏)@고려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ㆍ권근(權近) 등과 교유하였으며, 《목은시고(牧隱詩稿)》ㆍ《도은집(陶隱集)》ㆍ《양촌집(陽村集)》 등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봉산 , 인명>문사>유학
-
시발(時發) - 이시발(李時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임진왜란 때 접반관(接伴官) 등으로 활약하고. 광해군(光海君) 때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비론에 반대함. 인조반정 후 이괄(李适)의 난을 수습하는 데 공을 세우고 형조 판서 등을 지냄.
1569~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백(施伯)@서경우 - 서경우(徐景雨)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서성(徐渻)의 아들로, 형조 판서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573~16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시백(施伯) - 남맹하(南孟夏)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통례(通禮)를 지낸 남경춘(南慶春)의 아들로, 송인(宋寅)ㆍ박민헌(朴民獻)ㆍ김사원(金士元)과 친교(親交)함.
1523~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시백(施伯)@권경룡 - 권경룡(權景龍)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안동 부사(安東府使) 권소(權紹)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61년(명종 1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문사>유학
-
시백(時白) - 이시백(李時白)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었고,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81~166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시번(始蕃) - 김시번(金始蕃)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김신국(金藎國)의 아들.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냈으나, 인조의 며느리인 민회빈강씨(愍懷嬪姜氏)를 구제하려다 파직당함.
161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관인>문신